아모이보프리아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모이보프리아속은 다양한 숙주 종을 감염시키는 균주를 포함하는 속이다. 이들은 숙주 비특이성에서 극도로 숙주 특이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20종 이상의 와편모조류가 아모이보프리아속 균주에 의해 감염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모이보프리아속은 유해 조류 번식(HABs)과의 연관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균주는 HABs 감소와 관련이 있고 다른 균주는 이를 유발하기도 한다. 아모이보프리아속은 디노스포어와 영양체 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숙주 세포 내에서 감염 과정을 거친다. 숙주를 죽인 후 디노스포어로 분리되어 새로운 숙주를 감염시킨다. 아모이보프리아속에는 여러 종이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생물 - 스피노코르도데스 텔리니
죄송합니다. 제공된 페이지의 개요가 비어 있어,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기생물 - 샤가스병
샤가스병은 Trypanosoma cruzi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며 빈대류를 통해 전파되고, 감염 초기에는 무증상일 수 있지만 만성으로 진행되면 심장이나 소화기 계통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주로 중남미 지역에서 발생하고 혈액 검사로 진단하며 벤즈니다졸이나 니푸르티목스로 치료한다. - 와편모충류 - 야광충
야광충은 전 세계 해양에 널리 분포하며 생물 발광을 일으키는 단세포 편모 생물로, 적조 현상을 유발하거나 해양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와편모충류 - 김노디니움목
김노디니움목은 김노디니움과, 카레니과, 워노비아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과의 분류군이며, 일부 과는 악티니스쿠스목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워노비아과의 일부 종은 안점을 특징으로 한다.
| 아모이보프리아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학문 분야 | 생물학 |
| 하위 분류 | 종 |
| 생물학적 분류 | |
| 역 | 진핵생물 |
| 미분류 계 | SAR |
| 미분류 상문 | 피하낭상문 |
| 문 | 와편모충문 |
| 강 | 신디니움강 |
| 목 | 신디니움목 (Coccidiniales) |
| 과 | 아메보프리아과 |
| 속 | 아모이보프리아속 (Amoebophrya) |
| 속 명명자 | 쾨펜 |
| 하위 분류 계급 | 종 |
2. 아메보프리아 균주 (Amoebophrya strains)
다양한 균주의 아모이보프리아속(''Amoebophrya'')은 서로 다른 숙주 종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4] 아모이보프리아속의 특이성에 대한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지만, 현재 지지되는 가설은 이들이 숙주 비특이성에서 극도로 숙주 특이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는 것이다.[4] 20종 이상의 와편모조류가 어떤 아모이보프리아속 균주에 의해 감염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 균주가 실제로 숙주 특이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숙주 특이성은 균주의 다양한 숙주를 감염시키는 능력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생식 능력으로도 확인된다. 아모이보프리아속 균주가 다양한 숙주를 감염시키지만 후대 생성을 성공적으로 만들 수 없다면, 숙주 특이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6] 아모이보프리아속(''Amoebophyra'')은 주로 유해 조류 번식 (HABs)과의 연관성으로 알려져 있다. 특정 균주의 풍부함은 해양 생물의 일부 HAB의 감소와 관련이 있는 반면, 다른 균주는 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모이보프리아속(''Amoebophrya'')이 포식을 통해 HAB를 형성하는 와편모조류의 개체수를 현저히 줄이는 능력은 자연사와 해양 생태계에 기여하는 필수적인 측면이다.
알려진 균주 (일부):
- Amoebophrya sp. ex Karlodinium veneficum
- Amoebophrya sp. ex Prorocentrum minimum
- Amoebophrya sp. ex Dinophysis norvengica
- Amoebophrya sp. ex Gonyaulax polygramma
- Amoebophrya sp. ex Akashiwo sanguinea
- Amoebophrya sp. ex Dinophysis norvegica
- Amoebophrya sp. ex Alexandrium affine
- Amoebophrya sp. ex Ceratium tripos
- Amoebophrya sp. ex Prorocentrum micans
- Amoebophrya sp. ex Ceratium lineatum
- Amoebophrya sp. ex Scrippsiella sp.
- Amoebophrya sp. ex Ceratium tripos
3. 감염 과정 (Infection process)
아모이보프리아는 일생 동안 디노스포어라고 불리는 자유 유영 무성 생식 단계와 숙주 내에서 영양체 단계라고 불리는 다핵 성장 단계를 번갈아 진행한다. 디노스포어는 숙주 (생물학) 세포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후 세포질로 들어간다. 대부분의 감염은 세포 핵 내에서 진행되지만 일부는 세포질에 국한된다.[7] 10분 이내에 기생충은 숙주의 핵막에 도달하여 다음 24시간 동안 크기가 현저하게 증가한다.[8]
''아모이보프리아 세라티''와 같은 특정 균주의 ''아모이보프리아''에 감염된 숙주는 기생충이 생활사를 완료하고 숙주를 죽이기 전에는 번식할 수 없다.[9] 이는 세포질 분열의 필요 없이 핵 분열을 통해 계속해서 크기가 증가하여 숙주 내에서 벌집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 숙주를 죽인 후 ''아모이보프리아''는 이동 가능하고 벌레와 같이 성장하지만 곧 디노스포어로 분리된다. 이 새로운 디노스포어는 물속에서 생존 시간이 짧기 때문에 새로운 숙주를 찾을 수 있는 짧은 시간을 갖는다.[10] 수생 환경은 ''아모이보프리아''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영양 환경이 생식 능력뿐만 아니라 자손의 감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11]
4. 하위 종 (Species)
아메보프리아 속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속한다.
- ''Amoebophrya acanthometrae'' Koeppen
- ''Amoebophrya ceratii'' (Koeppen) J.Cachon, 1964
- ''Amoebophrya grassei'' Cachon
- ''Amoebophrya leptodisci'' Cachon
- ''Amoebophrya stycholonchae'' Koeppen, 1894
- ''Amoebophrya tintinni'' Cachon
참조
[1]
논문
Multiple species of the dinophagous dinoflagellate genus Amoebophrya infect the same host species
2003
[2]
논문
Ultrastructure of Amoebophrya sp. and its Changes during the Course of Infection
2012-09
[3]
논문
Patterns in host range for two strains of ''Amoebophrya'' (Dinophyta) infecting thecate dinoflagellates: ''Amoebophrya'' spp. ex ''Alexandrium affine'' and ex ''Gonyaulax polygramma''
2006-12-23
[4]
논문
Genetic Diversity of Parasitic Dinoflagellates in the Genus Amoebophrya and Its Relationship to Parasite Biology and Biogeography
2008-01
[5]
논문
Infection of Gymnodinium sanguineum by the Dinoflagellate Amoebophrya sp.: Effect of Nutrient Environment on Parasite Generation Time, Reproduction, and Infectivity
2000-09
[6]
논문
Genetic Diversity of Parasitic Dinoflagellates in the Genus Amoebophrya and Its Relationship to Parasite Biology and Biogeography
2008-01
[7]
논문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Role of the Parasite Amoebophrya in the Termination of Alexandrium fundyense Blooms within a Small Coastal Embayment
2013-12
[8]
논문
Genetic Diversity of Parasitic Dinoflagellates in the Genus Amoebophrya and Its Relationship to Parasite Biology and Biogeography
2008-01
[9]
논문
Infection of Gymnodinium sanguineum by the Dinoflagellate Amoebophrya sp.: Effect of Nutrient Environment on Parasite Generation Time, Reproduction, and Infectivity
http://www.bioone.or[...]
2000
[10]
논문
Infection of Gymnodinium sanguineum by the Dinoflagellate Amoebophrya sp.: Effect of Nutrient Environment on Parasite Generation Time, Reproduction, and Infectivity
2000-09
[11]
논문
Infection of Gymnodinium sanguineum by the Dinoflagellate Amoebophrya sp.: Effect of Nutrient Environment on Parasite Generation Time, Reproduction, and Infectivity
http://www.bioone.or[...]
2000
[12]
웹인용
Genus Amoebophrya
http://www.marinespe[...]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13-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