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르주 (러시아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무르주는 아무르 강 중류의 좌안을 따라 동시베리아에 위치했던 러시아 제국의 행정 구역이다. 1858년 아이훈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블라고베셴스크를 중심으로 행정 구역이 정비되고 아무르 코사크 군이 주둔하여 군사적 통제가 이루어졌다. 이 지역은 금광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농업, 어업, 광업이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1878년 제정된 문장은 녹색 방패에 은색 물결 모양의 띠와 금색 별 세 개, 고대 차르의 왕관, 금색 참나무 잎으로 구성되었다. 1920년 극동 공화국에 편입되었다가, 1922년 아무르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무르주의 역사 - 자유시 참변
자유시 참변은 1921년 러시아 자유시에서 대한독립군단이 소련 붉은 군대에 공격받아 와해된 비극적인 사건으로, 독립군 내부 갈등과 소련의 정책적 판단이 작용한 결과이며 한국 독립운동사에 큰 상흔을 남겼다. - 아무르주의 역사 - 청-러시아 국경 분쟁
청-러시아 국경 분쟁은 17세기 중반 러시아의 시베리아 진출로 인해 청나라와 러시아 간에 발생한 아무르강 유역의 국경 및 영토 분쟁으로, 나선정벌을 통해 조선도 간접적으로 관여했으며,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일단락되었으나 이후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가 외만주를 획득했다. - 러시아 제국의 주 - 페르가나주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시대의 페르가나주는 5개의 군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튀르크화된 사르트족을 비롯해 키르기스족, 우즈베크족, 타지크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튀르크 문화권의 영향력이 강했던 행정 구역이었다. - 러시아 제국의 주 - 테레크주
테레크주는 1860년 러시아 제국이 북캅카스를 정복하는 과정에서 설치되어 테레크 코사크군의 관할지로 지정되었고 체첸, 잉구시 등 4개의 관구를 관할했으나, 1920년 해체되어 산악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개편되었으며, 현재의 체첸 공화국, 잉구셰티야 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등의 영역을 포함하고 다양한 민족 언어와 이슬람교, 동방 정교회가 나타났다.
아무르주 (러시아 제국) | |
---|---|
개요 | |
지위 | 러시아 제국의 오블라스트 |
위치 | 러시아 제국 내 |
존속 기간 | 1858년 ~ 1922년 |
수도 | 블라고베셴스크 |
오늘날 | 러시아 |
지도 | |
![]() | |
문장 | |
![]() | |
통계 | |
면적 | 449,500 제곱킬로미터 |
인구 (1897년) | 120,306명 |
역사 | |
이전 | 청나라 |
계승 | 아무르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
2. 지리적 특징
아무르강 중류 좌안에 위치하며, 제야강과 부레야강 유역을 포함한다. 면적은 449500km2로 매우 넓은 지역이다.
1858년 아이훈 조약에 따라 아무르강 중류 좌안 지역이 중국에서 러시아 제국으로 양도되면서 아무르주가 설치되었다.[1] 아무르주는 449500km2 면적에 블라고베셴스크를 주도로 하는, 제야강과 부레야강 유역을 포함하는 광대한 지역이었다.[1]
3. 역사
러시아 제국은 아무르주를 극동 지역 진출의 거점으로 삼고, 블라고베셴스크를 중심으로 행정 구역을 정비하였다. 아무르 코사크 군을 주둔시켜 군사적 통제를 강화하고, 철도 건설 등을 통해 지역 개발을 추진했다. 19세기 말에는 금광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경제적 중요성이 커졌다.
아무르주는 인구 밀도가 매우 낮았다.[1] 러시아가 이 지역을 정복하기 전에는 외국인들만이 거주했으며, 러시아의 인구 밀집 지역과 멀리 떨어져 있고 교통 수단도 부재하여 재정착이 매우 어려웠다.[1] 프리모르스키주는 바닷길을 통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상품을 판매하기 용이했고, 러시아 본토에 더 가까운 알타이 지역에는 비옥한 토지가 많았다.[1] 아무르강에는 길이 없었고, 여름에는 배, 겨울에는 강 얼음 위로 교통이 이루어졌으며, 봄과 가을에는 얼음이 녹아 교통이 완전히 중단되었다.[1]
3. 1. 러시아 제국 편입 이전
원래 중국에 속해 있었으며, 1858년 아이훈 조약에 따라 러시아에 양도되었다.[7]
러시아이 이 지역을 정복하기 전인 1850년대에는 유목 생활을 하는 소수 민족들만이 거주하고 있었다.[7] 네르 강 서쪽에는 사냥을 하는 오로촌이, 동쪽에는 가축 사육을 하는 마네그르족이 있었다.[7] 제야 강 근처에는 중국인과 만주족이 거의 없었고, 그 중 일부는 이 지역에 남았다.[7] 부레야 강 하구 아래에서는 퉁구스족과 골드족을 가끔 만날 수 있었다.[7]
1897년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7]
민족 | 비율 |
---|---|
대 러시아인 | 68.5% |
소 러시아인 | 17.5% |
중국인 | 6.5% |
만주족 | 2.8% |
한국인 | 1.3% |
에벤키족 | 1.1% |
3. 2. 러시아 제국 시대 (1858-1917)
1858년 아이훈 조약에 따라 아무르강 중류 좌안 지역이 중국에서 러시아 제국으로 양도되면서 아무르주가 설치되었다.[1] 아무르주는 449500km2 면적에 블라고베셴스크를 주도로 하는, 제야강과 부레야강 유역을 포함하는 광대한 지역이었다.[1]러시아 제국은 아무르주를 극동 지역 진출의 거점으로 삼고, 블라고베셴스크를 중심으로 행정 구역을 정비하였다. 아무르 코사크 군을 주둔시켜 군사적 통제를 강화하고, 철도 건설 등을 통해 지역 개발을 추진했다. 19세기 말에는 금광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경제적 중요성이 커졌다.
아무르주는 인구 밀도가 매우 낮았다.[1] 1850년대 러시아가 이 지역을 정복하기 전에는 외국인들만이 거주했으며, 러시아의 인구 밀집 지역과 멀리 떨어져 있고 교통 수단도 부재하여 재정착이 매우 어려웠다.[1] 러시아 본토에 더 가까운 알타이 지역에는 비옥한 토지가 많았고, 프리모르스키주는 바닷길을 통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상품을 판매하기 용이했기 때문이다.[1] 아무르강에는 길이 없었고, 여름에는 배, 겨울에는 강 얼음 위로 교통이 이루어졌으며, 봄과 가을에는 얼음이 녹아 교통이 완전히 중단되었다.[1]
4. 행정 구역
1858년 아이훈 조약에 따라 청나라에서 러시아 제국으로 양도된 아무르주는 인구 밀도가 매우 낮았다. 러시아의 인구 밀집 지역과의 먼 거리와 교통 수단의 부재로 인해 정착이 어려웠다. 아무르강을 따라서는 길이 없어 여름에는 배로, 겨울에는 강 얼음 위로 교통이 이루어졌고, 봄과 가을에는 얼음이 녹아 교통이 완전히 중단되었다.[3]
1917년부터 1920년까지 아무르주 영토에는 임시 국가 형태인 아무르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과 아무르주 임시 정부가 설립되었지만, 이들은 행정 구역을 변경할 능력이 없었다. 이 기간 동안 볼로스트는 주민 공동체의 힘에 의해 분할되고 개명되었다. 1920년까지 세르게예프스카야와 체르니고프스카야 볼로스트가 형성되었고, 트로이츠카야 볼로스트는 올긴스카야로 개명되었다.[4] 이후 1922년 11월 6일, 극동 공화국의 법률에 따라 주는 아무르주로 변경되었다.[6]
4. 1. 러시아 제국 시대
러시아 제국 시대 아무르 주는 아무르강 중류 좌안, 제야강과 부레야강 유역을 포함하는 광대한 지역이었다. 1858년 아이훈 조약에 따라 청나라로부터 러시아에 양도되었다.당시 아무르 주는 다음과 같은 구역으로 구성되었다.
- 아무르 코사크 군 관할 구역: 11개의 스타니차 구역으로 구성된 준군사 행정 구역
- 아무르 구역: 26개 농민 볼로스트 통합
- 철도 정착지: 헌병-경찰 부서 관할
- 산악 경찰 구역: 아무르스키, 부레인스키, 제이스키[3]
주요 도시로는 1858년 7월 17일에 형성된 블라고베셴스크가 있었다. 1906년 5월 12일에는 베르흐네아무르스카야 금광 회사 제이스키 창고 마을이 도시 지위를 부여받고 제야로 개칭되었다. 또한, 1913년 수라제브카 마을 근처에 새로운 도시인 알렉세예프스크가 설립되었으며, 1917년 스보보드니로 개명되었다.[3]
191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아무르 구역과 아무르 코사크 군 구역에는 각각 다음과 같은 볼로스트와 스타니차 구역이 포함되었다.[3]
아무르 구역 (볼로스트) | 아무르 코사크 군 구역 (스타니차) |
---|---|
| |
4. 2. 극동 공화국 시대 (1920-1922)
1920년 4월 6일, 아무르주는 극동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4] 극동 공화국은 1922년 6월 15일에 "아무르주를 군으로 분할하는 법"을 통과시켰고, 이는 1922년 7월 18일에 발효되어 아무르주의 행정 구역이 변경되었다.[4] 그 결과, 제이스키, 스보보드넨스키, 블라고베셴스크, 자비틴스키의 4개 구역으로 재편되었다.[5]5. 인구
1850년대 아무르주 정복 당시에는 원주민이 거의 없었다. 네베르 강 서쪽에는 사냥을 하는 오로촌이 있었고, 동쪽에는 가축 사육을 하는 마네그르족이 있었다. 제야 강 근처에는 중국인과 만주족이 거의 없었고, 일부는 이 지역에 남았다. 부레야 강 하구 아래에서는 퉁구스족과 골드족을 가끔 만날 수 있었다. 35년 이상 이곳에 살지 않은 러시아 인구는 주로 20 베르스타(верста) 떨어진 마을에 사는 코사크족이었다. 블라고베셴스크 근처에서만 인구가 조금 더 밀집되어 있었다. 1862년부터 코사크족의 의무적 이주가 거의 전적으로 이루어졌고, 그 다음 17년 동안 인구가 두 배로 증가했다. 15년간의 평균을 보면 주민 100명당 출생 4.7명, 사망 2.9명이었다.[7]
1897년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7]
6. 경제
제야강 하구와 아무르강 중류 지역은 토지가 비옥하여 러시아인, 중국인, 만주족이 농업에 종사했다. 그러나 이 지역 상황에 대한 무지로 인해 홍수가 잦아 곡물을 망치고, 베어 놓은 건초가 쓸려가는 등 피해를 입었다. 러시아인들은 주로 봄철에 호밀, 메밀, 귀리를 심었고, 만주족은 조(Setaria Italica|세타리아 이탈리카it), 밀, 보리, 완두를 심었다. 가축 사육과 원예는 코사크인과 농민들이 종사했다. 모피 획득을 위한 사냥은 꽤 널리 퍼져 있었고, 특히 다람쥐와 담비를 대상으로 했지만, 동물이 너무 무자비하게 사냥되어 그 산업이 쇠퇴했다. 아무르강과 그 지류는 물고기가 매우 풍부했고, 특히 연어와 흰살생선이 많았다. 그러나 대규모 어업은 없었고, 염장 등의 보존 방법이 불충분하여 물고기가 빨리 상했고, 겨울을 제외하고는 멀리 운반할 수 없었다.[1]
아무르주에서는 사금 채취를 중심으로 광업이 발달했다. 연간 약 200푸드(1푸드는 약 16kg)의 순금이 채굴되었으며, 이는 2600000RUB에 해당했다. 아무르주에서는 예니세이 지방이나 톰스크현보다 더 풍부한 광산을 개발할 수 있었으나, 노동자, 식량, 차량 등의 운송 비용이 매우 비쌌다. 노동자 1인당 비용은 아무르주에서 2350RUB이었던 반면, 알타이 광산에서는 586RUB에 불과했다. 석탄은 올도이 근처, 제야강 중류, 부레야강을 따라 발견되었지만 채굴되지는 않았다.[1]
6. 1. 농업
제야강 하구와 아무르강 중류 지역은 토지가 비옥하여 러시아인, 중국인, 만주족이 농업에 종사했다. 그러나 처음에는 이 지역의 상황을 잘 몰라서 홍수로 곡물이 망가지고, 베어 놓은 건초가 쓸려가는 등 피해를 입었다.[1]러시아인들은 주로 봄철에 호밀, 메밀, 귀리를 심었고, 만주족은 조, 밀, 보리, 완두를 심었다. 가축 사육과 원예는 별도의 산업은 아니었고, 모든 코사크인과 농민들이 함께 했다.[1]
6. 2. 어업
아무르강과 그 지류에는 물고기가 매우 풍부했고, 특히 가치 있는 연어와 흰살생선이 많았다.[1] 그러나 대규모 어업은 발달하지 못했는데, 염장 등의 보존 방법이 매우 불충분하여 물고기가 빨리 상했고, 겨울을 제외하고는 멀리 운반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1]6. 3. 광업
아무르주에서는 사금 채취를 중심으로 광업이 발달했다. 특히 금광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1]광산군 | 위치 | 특징 |
---|---|---|
베르흐네아무르스카야 | 제야강 합류 지점 이전, 얀카누강 일대 | 아무르강 근처 중국 영토에 젤투가강이 있는데, 1880년대 초 다양한 국적의 광부들이 무단으로 채굴할 정도로 사금이 풍부했음. |
제이스카야 | 스타노보이산맥 근처 | 산맥에 가까울수록 사금이 더 풍부했음. |
셀림진스카야 | ||
부레인스카야 | ||
오제르나야 | 소흥안령산맥 아래 아무르강둑 |
연간 약 200푸드(1푸드는 약 16kg)의 순금이 채굴되었으며, 이는 2600000RUB에 해당했다.[1] 아무르주에서는 예니세이 지방이나 톰스크현보다 더 풍부한 광산을 개발할 수 있었으나, 노동자, 식량, 차량 등의 운송 비용이 매우 비쌌다.[1] 노동자 1인당 비용은 아무르주에서 2350RUB이었던 반면, 알타이 광산에서는 586RUB에 불과했다.[1]
석탄은 올도이 근처, 제야강 중류, 부레야강을 따라 발견되었지만 채굴되지는 않았다.[1]
7. 상징
1878년 7월 5일 알렉산드르 2세 황제가 아무르 주의 문장을 승인했다. 문장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녹색 방패에는 은색 물결 모양의 띠가 있고, 방패의 머리 부분에는 8개의 광선을 가진 금색 별 세 개가 있다. 방패는 고대 차르의 왕관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알렉산드르 리본으로 연결된 금색 참나무 잎으로 둘러싸여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ilitary Governors of the Amur Oblast. Part II
http://archive.predi[...]
[2]
간행물
Highest Approved Regulation on the Management of the Amur Oblast. Nominal Decree Given to the Senate on December 8, 1858, Published on December 31, No. 33862
Complete Collection of Laws of the Russian Empire, Collection 2, Volume 33 / Saint Petersburg, 1860
[3]
웹사이트
Administrative–Territorial Division of the Amur Oblast. 1858–1917
http://xn--80afg3aio[...]
[4]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he History of the Administrative–Territorial Division of the Svobodnensky District (1858–1988)
http://www.gulevich.[...]
www.gulevich.net
1993
[5]
논문
Administrative and Territorial Structure of the Far Eastern Republic
[6]
서적
Amur Province
Great Russian Encyclopedia
[7]
웹사이트
Demoscope Weekly – Application. Handbook of Statistical Indicators
http://www.demoscope[...]
www.demoscope.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