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모르스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모르스키주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한 주로, 1651년 러시아의 침략 이후 러시아의 영토가 되었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와 민족의 지배를 받았으며, 8세기에는 발해의 영토였다.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가 영유하게 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프리모르스키주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역사 - 사할린 터널
    사할린 터널은 소련이 군사적 목적과 사할린 개발을 위해 추진했으나 스탈린 사후 중단된 러시아 본토와 사할린 섬을 잇는 해저 터널 프로젝트이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역사 - 니콜라옙스크 사건
    1920년 러시아 내전 중 니콜라옙스크에서 적군 빨치산이 일본군과 거류민을 공격하여 대규모 학살과 파괴가 발생했으며, 이는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과 북사할린 점령의 구실이 되었고, 사건의 진상과 책임 소재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역사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역사 - 하산호 전투
    하산호 전투는 1938년 여름 만주국과 소련의 국경 지대인 하산호 인근 장고봉에서 일본군과 소련군 간에 벌어진 국경 분쟁으로, 소련군의 반격과 증원으로 일본군이 고지를 유지하지 못하고 정전을 요청한 사건이다.
  • 러시아 제국의 주 - 페르가나주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시대의 페르가나주는 5개의 군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튀르크화된 사르트족을 비롯해 키르기스족, 우즈베크족, 타지크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튀르크 문화권의 영향력이 강했던 행정 구역이었다.
  • 러시아 제국의 주 - 테레크주
    테레크주는 1860년 러시아 제국이 북캅카스를 정복하는 과정에서 설치되어 테레크 코사크군의 관할지로 지정되었고 체첸, 잉구시 등 4개의 관구를 관할했으나, 1920년 해체되어 산악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개편되었으며, 현재의 체첸 공화국, 잉구셰티야 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등의 영역을 포함하고 다양한 민족 언어와 이슬람교, 동방 정교회가 나타났다.
프리모르스키주
지도
일반 정보
이름러시아어: Примо́рская о́бласть (Primorskaya oblast')
유형러시아와 극동 공화국의 州(오블라스트)
수도1856–1880: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1880–1888: 하바롭카
1888–1922: 블라디보스토크
프리모리예 주의 문장 (1878년)
문장
1912년의 프리모르스키 주 지도
1912년 지도
역사
시작1856년
종료1922년
사건 시작1856년 10월 31일
사건 종료프리모르스키 현으로 전환
이전청나라의 만주 지역
이후프리모르스키 현
캄차카 주
현재
현재 국가러시아

2. 역사

1651년 예로페이 하바로프의 러시아 원정으로 아무르주 지역이 침략당했으며, 이후 토착 다우르족은 살해되거나 청나라 영토로 도망쳤다. 러시아 정복 이후 이 지역은 외만주 또는 러시아 만주로 알려지게 되었다. 프리모르스키 주의 전신은 1882년부터 1886년까지 존재했던 알바지노 보이보드십이었으며, 중-러 국경 분쟁이 종결되면서 폐지되었다. 처음에는 동시베리아 총독부에 속했지만, 1884년부터는 시스아무르 총독부에 속했다.[1]

원래 이 주는 러시아 북동부 전체와 시스아무르 지역의 영토를 포함했으며, 아무르강 유역, 캄차카주, 사할린의 새롭게 획득한 영토를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1858년에는 아무르강 좌안을 따라 우수리강 하구까지의 영토가 새로 설립된 아무르주로 이관되었다.

당시 이 지역은 니콜라예프스크, 소피스크, 오호츠크, 캄차카의 4개 군만 포함했다. 1860년 아이군 조약과 베이징 조약을 기반으로 우수리 지방이 이 지역에 병합되었다. 1880년부터 1888년까지는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 반도와 블라디보스토크 항구를 포함하는 별도의 ''블라디보스토크 군정부''가 창설되었다. 1884년 사할린은 별도의 행정 구역으로 분리되었다.

주의 수도는 원래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였으며, 1880년부터 1888년까지는 하바로프카(현재 하바롭스크)였고, 1888년에는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전되었다.[1]

1920년 프리모르스키 주는 극동 공화국에 포함되었고, 1922년에는 프리모르스키 현으로 개편되었다. 1932년부터 1939년까지는 러시아 SFSR 극동 지방의 일부로 같은 이름의 지역이 있었다.

2. 1. 선사 시대

연해주에 최초의 인류가 도착한 것은 3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 우수리스크 근교의 구석기 시대 유적에서는 원력을 가공한 석기가 출토되었고, 파르티잔스크 지역의 동굴 유적에서는 맘모스 등의 동물 가 출토되었다.

2. 1. 1. 구석기 시대

연해주에 최초의 인류가 도착한 것은 3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 우수리스크 근교의 구석기 시대 유적에서는 원력을 가공한 석기가 출토되었다. 파르티잔스크 지역의 동굴 유적에서는 맘모스, 바이슨, 코뿔소, 사슴, 동굴 호랑이, 그 외 식용으로 한 동물 등이 출토되었다. 훨씬 후대에는 카발레로프스키 지역의 주거지에서 석 blade에 의한 석기가 발견되었다. 이 시기에는 아직 이동 생활 또는 반정주 생활로, 수십 명의 소규모 집단을 형성했다. 생활은 창, 던지는 창, 각종 덫을 사용하여 수렵을 했고, 기후가 좋아지면 식용 식물의 채집에 힘썼다.

2. 1. 2. 신석기 시대

연해주에 최초의 인류가 도착한 것은 3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 신석기 시대는 7000~6000년 전에 시작되어 '''신석기 시대 혁명'''이라고 불린다. 이 시기에는 주로 수렵·채집 경제에서 농업·재배·목축 등의 생산 경제로 변화했으며, 토기의 출현, 연마 기술의 보급에 따른 마제석기의 출현, 활과 화살 등의 새로운 노동 도구가 출현했다. 원통 토기나 빗살무늬 토기가 보이며[3], 하플로그룹 N (Y 염색체)가 담당하는 요하 문명권[4][5][6]에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2. 1. 3. 청동기 및 철기 시대

4000년 전 청동기 시대로 이행했다. 이 무렵부터 무문토기가 나타났고[2], 하플로그룹 O1b2 (Y 염색체) 집단이 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7]프리모르스키 주 남서부에는 시니가이 문화가, 동해안에는 리도프카 문화가 번성했다[8]。3000년 전에는 철기 시대로 이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2. 2. 고대 ~ 중세

프리모르스키 주(연해주) 지역은 고대부터 중세 시대에 걸쳐 그 역사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철기 시대에는 숙신이라는 정권이 중국에 조공을 하였고, 전한 이후에는 읍루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의 역사서에는 6세기 이후에도 숙신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8세기에는 발해의 영토였다.

2. 2. 1. 숙신과 읍루

철기 시대에 들어서면서 연해주 지역에 존재했다고 여겨지는 정권이 종종 중국의 역대 조공을 하게 되었고, 역사서에 숙신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게 된다. 전한 이후에는 숙신을 대신하여 읍루가 나타나지만, 중국이나 일본의 역사서에는 6세기 이후에도 계속해서 숙신으로서의 기술이 남아있다.

2. 2. 2. 발해

8세기 발해의 영토였다.

2. 3. 근세 ~ 현대

1651년 예로페이 하바로프의 러시아 원정으로 아무르주 지역이 침략당했고, 토착 다우르족은 살해되거나 청나라 영토로 도망쳤다. 러시아 정복 후 이 지역은 외만주 또는 러시아 만주로 알려졌다. 프리모르스키 주의 전신은 1882년부터 1886년까지 존재했던 알바지노 보이보드십이었으며, 중-러 국경 분쟁이 끝나면서 폐지되었다. 처음에는 동시베리아 총독부에 속했지만, 1884년부터 시스아무르 총독부에 속했다.[1]

원래 이 주는 러시아 북동부 전체와 시스아무르 지역을 포함했고, 아무르강 유역, 캄차카주, 사할린의 새 영토를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1858년 아무르강 좌안부터 우수리강 하구까지의 영토는 새로 설립된 아무르주로 이관되었다.

당시 이 지역은 니콜라예프스크, 소피스크, 오호츠크, 캄차카 4개 군만 포함했다. 1860년 아이군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우수리 지방이 병합되었다. 1880년부터 1888년까지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 반도와 블라디보스토크 항구를 포함하는 별도의 '블라디보스토크 군정부'가 있었다. 1884년 사할린은 별도 행정 구역으로 분리되었다.

주의 수도는 원래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였고, 1880년부터 1888년까지는 하바로프카(현재 하바롭스크), 1888년에는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전되었다.[1]

1920년 프리모르스키 주는 극동 공화국에 포함되었고, 1922년 프리모르스키 현으로 개편되었다. 1932년부터 1939년까지는 러시아 SFSR 극동 지방의 일부로 같은 이름의 지역이 있었다. 소비에트 연방 시대인 1938년 분할, 개편되어 남쪽 절반은 '''프리모르스키 지방'''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프리모르스키 크라이ru)이 되었고, 북쪽 절반은 하바롭스크 지방 일부가 되었다.

1938년 이후에도 일본어에서는 관용적으로 소련·러시아령 지역을 연해주라고 불렀다. 현재 러시아 연방의 구성 주체인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연해주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러시아 행정 용어에서 '주'로 번역되는 오블라스티 (о́бласть|오블라스티ru)와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지방'에 해당하는 크라이 (край|크라이ru)는 번역상 구분되는 단어이므로, 현행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연해주라고 부르는 것은 속칭이다.[2]

프리모르스키 지방으로 분할되기 전 연해주는 극동 러시아 동해안, 시호테알린 산맥 일대와 한카 호 주변 평지를 합한 지역으로, 현재의 프리모르스키 지방과 하바롭스크 지방 남부를 합한 것이었다.

2. 3. 1. 청나라

아무르주 지역은 1651년 예로페이 하바로프의 러시아 원정에 의해 침략받았으며, 그 후 토착 다우르족은 살해당하거나 청나라 영토로 도망쳤다.[1]

2. 3. 2. 러시아 제국

아무르주는 1651년 예로페이 하바로프의 러시아 원정으로 침략받았으며, 이후 토착 다우르족은 살해당하거나 청나라 영토로 도망쳤다. 러시아 정복 이후, 이 지역은 외만주, 또는 러시아 만주로 알려지게 되었다. 프리모르스키주의 전신은 1882년부터 1886년까지 존재했던 알바지노 보이보드십이었으며, 중-러 국경 분쟁이 종결되면서 폐지되었다. 처음에는 동시베리아 총독부에 속했지만, 1884년부터는 시스아무르 총독부에 속했다.[1]

원래 이 주는 러시아 북동부 전체와 시스아무르 지역의 영토를 포함했으며, 아무르강 유역, 캄차카주, 사할린의 새롭게 획득한 영토를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1858년에는 아무르강 좌안을 따라 우수리강 하구까지의 영토가 새로 설립된 아무르주로 이관되었다.

당시 이 지역은 니콜라예프스크, 소피스크, 오호츠크, 캄차카의 4개 군만 포함했다. 1860년 아이군 조약과 베이징 조약을 기반으로 우수리 지방이 이 지역에 병합되었다. 1880년부터 1888년까지는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 반도와 블라디보스토크 항구를 포함하는 별도의 ''블라디보스토크 군정부''가 창설되었다. 1884년 사할린은 별도의 행정 구역으로 분리되었다.

주의 수도는 원래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였으며, 1880년부터 1888년까지는 하바로프카(현재 하바롭스크)였고, 1888년에는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전되었다.[1]

2. 3. 3. 소비에트 연방 (소련)

1920년 프리모르스키 주는 극동 공화국에 포함되었고, 1922년에는 프리모르스키 현으로 개편되었다.[1]

1932년부터 1939년까지는 러시아 SFSR의 극동 지방의 일부였던 동일한 이름의 지역이 존재했다. 소비에트 연방 시대인 1938년에 분할, 개편되어 남쪽 절반은 '''프리모르스키 지방'''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프리모르스키 크라이ru)이 되었고, 북쪽 절반은 하바롭스크 지방의 일부가 되었다.[2]

2. 3. 4. 러시아 연방

1938년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 연해주는 분할, 개편되었다. 남쪽 절반은 '''프리모르스키 지방'''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프리모르스키 크라이ru)이 되었고, 북쪽 절반은 하바롭스크 지방의 일부가 되었다. 하지만, 그 후에도 일본어에서는 관용적으로 소련·러시아령의 이 지역을 가리켜 연해주라는 호칭을 사용했다. 현재 러시아 연방의 연방 구성 주체 중 하나인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연해주라고 부르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러시아의 행정 용어에서 '주'로 번역되는 오블라스티 (о́бластьru)와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지방'에 해당하는 크라이 (крайru)는 번역상 구분되는 별개의 단어이므로, 현행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연해주라고 부르는 것은 속칭이라고 할 수 있다.[2]

프리모르스키 지방으로 분할되기 이전의 연해주는 극동 러시아의 동해안, 시호테알린 산맥 일대와 한카 호 주변의 평지를 합한 지역으로, 현재의 프리모르스키 지방과 하바롭스크 지방 남부를 합한 것이었다.

참조

[1] 서적 History of Soviet Primorye
[2] 문서
[3] 웹사이트 ロシア極東新石器時代研究の新展開 http://21coe.kokugak[...]
[4] 논문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http://www.biomedcen[...] 2013
[5] 논문 Genetic diversity of two Neolithic populations provides evidence of farming expansions in North China 2017-02
[6] 웹사이트 中国北方新石器文化研究の新展開【詳細報告】「東北アジアにおける先史文化の交流」 王 巍(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副所長) http://www.ipc.tohok[...]
[7]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8] 웹사이트 ロシア極東新石器時代研究の新展開 http://21coe.kokuga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