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레슬링 연맹이 주관하는 레슬링 대회로, 1979년 인도 잘란다르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다. 남자 자유형을 시작으로,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 종목이 추가되었으며, 이란, 일본, 대한민국,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까지 이란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역대 메달 집계에서 3위를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마드리드 육상 대회
    마드리드 육상 대회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육상 경기로, 남자부와 여자부의 여러 종목에서 프레디 크론, 노아 라일스, 마이클 체리,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등 여러 선수가 대회 기록을 세웠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로 아시아 국가들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아시아 축구 발전과 함께 성장하며 대회 양상 변화와 규모 확대를 거듭해왔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풋살 아시안컵
    AFC 풋살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풋살 국가대표팀 간의 대륙 선수권 대회로, 1999년부터 시작되어 2006년부터 FIFA 풋살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2022년 명칭 변경을 통해 AFC 주관 주요 대회의 명칭을 통일했고, 이란이 최다 우승국이다.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대회 정보
종목레슬링
관할아시아 레슬링 연맹(Asian Associated Wrestling Committee)
첫 대회1979년
주기매년
통계
최다 우승 국가이란

2. 역사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1979년 인도 잘란다르에서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1] 아시아 각국을 순회하며 매년 개최되고 있다. 초기에는 남자 자유형 종목만으로 시작되었으나, 이후 남자 그레코로만형과 여자 자유형 종목이 추가되면서 대회의 규모와 위상이 점차 확대되었다.

개최 연도, 개최지, 경기 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


  • 1983년 대회부터 남자 그레코로만형 종목이 추가되었다.
  • 1996년 대회부터 여자 자유형 종목이 신설되었다.

2. 1. 초기 대회 (1979-1989)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Asian Wrestling Championships)의 첫 대회는 1979년 인도 잘란다르에서 개최되었다.[1] 초기에는 남자 자유형 종목만 진행되었다.[1] 1980년대에는 이란이 남자 자유형에서 강세를 보였고, 대한민국일본이 남자 그레코로만형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

회차연도개최지세부 종목
11979 잘란다르, 인도10
21981 라호르, 파키스탄10
31983 테헤란, 이란20
41987 뭄바이, 인도20
51988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10
61989 오아라이, 일본20


2. 2. 여자부 신설과 변화 (1990년대)

1996년 중국 샤오산에서 열린 대회에서 여자 자유형 종목이 신설되면서 대회 규모가 확장되었다.[1] 이 시기 대한민국은 남자 그레코로만형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일본은 여자 자유형에서 강세를 보였다.[1]

1990년대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의 국가별 메달 획득 현황은 다음과 같다.[1]

국가남자 자유형남자 그레코로만형여자 자유형합계
이란3016046
일본111820
대한민국010010
중국0088
카자흐스탄1607
우즈베키스탄4105
인도1001
0011


2. 3. 2000년대 이후 발전

2000년대 이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레슬링 강국으로 부상했다. 중국은 여자 자유형에서 성장세를 보이며 일본과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대한민국은 전통적인 강세 종목인 남자 그레코로만형 외에 여자 자유형에서도 점차 메달 획득 가능성을 높여가고 있다.[1]

국가남자 자유형남자 그레코로만형여자 자유형합계
3016046
일본111820
대한민국010010
중국0088
카자흐스탄1607
우즈베키스탄4105
인도1001
0011


3. 역대 대회

연도날짜개최 도시 및 국가우승 국가
남자 자유형남자 그레코로만형여자 자유형
197911월 8–11일 잘란다르, 인도— | —
198112월 1–4일 라호르, 파키스탄— | —
198311월 8–11일 테헤란, 이란| —
198710월 13–17일 뭄바이, 인도| —
198812월 12–16일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 —
19896월 30일 – 7월 2일 오아라이, 일본| —
19914월 17–19일 뉴델리, 인도— | —
5월 16–18일 테헤란, 이란| —
19924월 7–10일 테헤란, 이란| —
19934월 16–18일 울란바토르, 몽골— | —
4월 23–25일 히로시마, 일본| —
19956월 27일 – 7월 3일 마닐라, 필리핀| —
19964월 4–10일 샤오산, 중국| 일본
19974월 12–18일 테헤란, 이란| —
7월 20–21일 타이페이, 타이완— | 일본
19995월 25–30일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 일본
20004월 26–28일 구이린, 중국 우즈베키스탄 | — | —
5월 5–7일 서울, 대한민국| 일본
20016월 5–10일 울란바토르, 몽골| 중국
20036월 5–8일 뉴델리, 인도| 일본
20044월 16–18일 테헤란, 이란— | —
5월 8–9일 알마티, 카자흐스탄| —
5월 20–22일 도쿄, 일본— | 일본
20055월 24–29일 우한, 중국| 일본
20064월 4–9일 알마티, 카자흐스탄| 일본
20075월 8–13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중국
20083월 18–23일 제주, 대한민국 일본 | | 일본
20095월 2–7일 파타야, 태국| 중국
20105월 12–16일 뉴델리, 인도| 중국
20115월 19–22일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 | 일본
20122월 16–19일 구미, 대한민국| 중국
20134월 18–22일 뉴델리, 인도 인도 | 대한민국 | 중국
20144월 23–27일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 일본
20155월 6–10일 도하, 카타르| 일본
20162월 17–21일 방콕, 태국| 중국
20175월 10–14일 뉴델리, 인도| 일본
20182월 28일 – 3월 4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중국
20194월 23–28일 시안, 중국| 일본
20202월 18–23일 뉴델리, 인도| 일본
20214월 13–18일 알마티, 카자흐스탄|
20224월 19–24일 울란바토르, 몽골 카자흐스탄 | 일본
20234월 9–14일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 | 일본
20244월 11–16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일본
20253월 25–30일 암만, 요르단|


3. 1. 남자부

연도날짜개최 도시 및 국가우승 국가
남자 자유형남자 그레코로만형
197911월 8–11일 잘란다르, 인도
198112월 1–4일 라호르, 파키스탄
198311월 8–11일 테헤란, 이란
198710월 13–17일 뭄바이, 인도
198812월 12–16일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19896월 30일 – 7월 2일 오아라이, 일본
19914월 17–19일 뉴델리, 인도
5월 16–18일 테헤란, 이란
19924월 7–10일 테헤란, 이란
19934월 16–18일 울란바토르, 몽골
4월 23–25일 히로시마, 일본
19956월 27일 – 7월 3일 마닐라, 필리핀카자흐스탄
19964월 4–10일 샤오산, 중국
19974월 12–18일 테헤란, 이란
19995월 25–30일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우즈베키스탄우즈베키스탄
20004월 26–28일 구이린, 중국우즈베키스탄
5월 5–7일 서울, 대한민국
20016월 5–10일 울란바토르, 몽골
20036월 5–8일 뉴델리, 인도
20044월 16–18일 테헤란, 이란
5월 8–9일 알마티, 카자흐스탄카자흐스탄
20055월 24–29일 우한, 중국
20064월 4–9일 알마티, 카자흐스탄카자흐스탄
20075월 8–13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20083월 18–23일 제주, 대한민국일본
20095월 2–7일 파타야, 태국
20105월 12–16일 뉴델리, 인도
20115월 19–22일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우즈베키스탄
20122월 16–19일 구미, 대한민국
20134월 18–22일 뉴델리, 인도인도대한민국
20144월 23–27일 아스타나, 카자흐스탄카자흐스탄
20155월 6–10일 도하, 카타르
20162월 17–21일 방콕, 태국
20175월 10–14일 뉴델리, 인도
20182월 28일 – 3월 4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
20194월 23–28일 시안, 중국
20202월 18–23일 뉴델리, 인도
20214월 13–18일 알마티, 카자흐스탄
20224월 19–24일 울란바토르, 몽골카자흐스탄
20234월 9–14일 아스타나, 카자흐스탄카자흐스탄
20244월 11–16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20253월 25–30일 암만, 요르단


3. 2. 여자부

연도날짜개최 도시 및 국가여자 자유형
우승 국가
19964월 4–10일 샤오산, 중국
19977월 20–21일 타이페이, 타이완
19995월 25–30일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20004월 26–28일 구이린, 중국
5월 5–7일 서울, 대한민국
20016월 5–10일 울란바토르, 몽골
20036월 5–8일 뉴델리, 인도
20045월 20–22일 도쿄, 일본
20055월 24–29일 우한, 중국
20064월 4–9일 알마티, 카자흐스탄
20075월 8–13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20083월 18–23일 제주, 대한민국
20095월 2–7일 파타야, 태국
20105월 12–16일 뉴델리, 인도
20115월 19–22일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20122월 16–19일 구미, 대한민국
20134월 18–22일 뉴델리, 인도
20144월 23–27일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20155월 6–10일 도하, 카타르
20162월 17–21일 방콕, 태국
20175월 10–14일 뉴델리, 인도
20182월 28일 – 3월 4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20194월 23–28일 시안, 중국
20202월 18–23일 뉴델리, 인도
20214월 13–18일 알마티, 카자흐스탄
20224월 19–24일 울란바토르, 몽골
20234월 9–14일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20244월 11–16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20253월 25–30일 암만, 요르단




4. 종목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자유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 세 가지 종목이 진행된다. 각 종목은 10개의 체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종목별 메달 순위
colspan=2 |남자 자유형남자 그레코로만형여자 자유형종합
순위레슬링 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align=left|29513514752600004312661
2 일본17715115716622418141446
3 대한민국0538964190022911929
4 중화인민공화국0022034788218811827
5 카자흐스탄04913776200110117122544
6 우즈베키스탄40261438000054514
7 인도1651201230415111820
8align=left|074110000136101101021
9 키르기스스탄0011033600000347
10align=left|0000000003030303
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112000000000112
12 투르크메니스탄0000000000220022
합계3535351053232329625252575929292276


4. 1. 남자 자유형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남자 자유형 메달 순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295135
2 일본17715
3 대한민국0538
4 중화인민공화국0022
5 카자흐스탄04913
6 우즈베키스탄4026
7 인도16512
807411
9 키르기스스탄0011
10 타이완0000
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112
12 투르크메니스탄0000
합계353535105


4. 2. 여자 자유형

여자 자유형 레슬링은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의 한 종목으로, 여성 선수들이 참가하여 경기를 치른다.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여자 자유형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전체
1이란22289123434
2일본138113147398
3대한민국8577127289
4카자흐스탄8185141307
5중국6568118251
6우즈베키스탄475184182
7북한353635106
8키르기스스탄284383154
9몽골2782107216
10인도2475122221
11시리아4228
12타이완1141833
13파키스탄19818
14타지키스탄181322
15이라크121215
16투르크메니스탄1258
17바레인1023
18미국1001
19베트남051217
20태국0202
21요르단0145
22카타르0101
23필리핀0022


5. 참가국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레슬링 연맹(Asian Associated Wrestling Committee)에 가입된 국가들이 참가하는 레슬링 대회이다.



위의 테이블에서 대한민국 과 같이 표현된 부분은 템플릿:국기그림과 내부 링크를 결합한 형태이다. 주어진 지침에 따르면, flagicon 템플릿은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대한민국

다른 국가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정한다.

최종 수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6. 역대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이란23795132464
2일본153122161436
3카자흐스탄9093156339
4대한민국8579131295
5중국7074133277
6우즈베키스탄485894200
7키르기스스탄374996182
8북한373740114
9몽골2889118235
10인도2582137244
11시리아4228
12바레인30710
13대만1141934
14타지키스탄191323
15파키스탄19818
16이라크121316
17투르크메니스탄1258
18미국1001
19베트남051217
20태국0202
21요르단0145
22카타르0101
23필리핀0022



2024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기준 역대 메달 집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Kazakh Wrestler Wins Gold at Asian Wrestling Championships http://www.astanatim[...] Astana Times 2014-05-03
[2] 웹인용 Kazakh Wrestler Wins Gold at Asian Wrestling Championships http://www.astanatim[...] Astana Times 2014-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