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레슬링 연맹이 주관하는 레슬링 대회로, 1979년 인도 잘란다르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다. 남자 자유형을 시작으로,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 종목이 추가되었으며, 이란, 일본, 대한민국,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까지 이란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역대 메달 집계에서 3위를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마드리드 육상 대회
마드리드 육상 대회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육상 경기로, 남자부와 여자부의 여러 종목에서 프레디 크론, 노아 라일스, 마이클 체리,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등 여러 선수가 대회 기록을 세웠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로 아시아 국가들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아시아 축구 발전과 함께 성장하며 대회 양상 변화와 규모 확대를 거듭해왔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풋살 아시안컵
AFC 풋살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풋살 국가대표팀 간의 대륙 선수권 대회로, 1999년부터 시작되어 2006년부터 FIFA 풋살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2022년 명칭 변경을 통해 AFC 주관 주요 대회의 명칭을 통일했고, 이란이 최다 우승국이다.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종목 | 레슬링 |
관할 | 아시아 레슬링 연맹(Asian Associated Wrestling Committee) |
첫 대회 | 1979년 |
주기 | 매년 |
통계 | |
최다 우승 국가 | 이란 |
2. 역사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1979년 인도 잘란다르에서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1] 아시아 각국을 순회하며 매년 개최되고 있다. 초기에는 남자 자유형 종목만으로 시작되었으나, 이후 남자 그레코로만형과 여자 자유형 종목이 추가되면서 대회의 규모와 위상이 점차 확대되었다.
개최 연도, 개최지, 경기 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
회차 | 연도 | 개최지 | 경기 수 |
---|---|---|---|
1 | 1979 | 인도 잘란다르 | 10 |
2 | 1981 | 파키스탄 라호르 | 10 |
3 | 1983 | 이란 테헤란 | 20 |
4 | 1987 | 인도 뭄바이 | 20 |
5 | 1988 |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 10 |
6 | 1989 | 일본 오아라이 | 20 |
7 | 1991 | 인도, 이란 | 20 |
8 | 1992 | 이란 테헤란 | 20 |
9 | 1993 | 몽골, 일본 | 20 |
10 | 1995 | 필리핀 마닐라 | 20 |
11 | 1996 | 중국 샤오산 | 29 |
12 | 1997 | 이란, 대만 | 22 |
13 | 1999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22 |
14 | 2000 | 중국, 대한민국 | 22 |
15 | 2001 | 몽골 울란바토르 | 22 |
16 | 2003 | 인도 뉴델리 | 21 |
17 | 2004 | 이란, 카자흐스탄, 일본 | 21 |
18 | 2005 | 중국 우한 | 21 |
19 | 2006 | 카자흐스탄 알마티 | 21 |
20 | 2007 |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 21 |
21 | 2008 | 대한민국 제주 | 21 |
22 | 2009 | 태국 파타야 | 21 |
23 | 2010 | 인도 뉴델리 | 21 |
24 | 2011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21 |
25 | 2012 | 대한민국 구미 | 21 |
26 | 2013 | 인도 뉴델리 | 21 |
27 | 2014 |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 24 |
28 | 2015 | 카타르 도하 | 24 |
29 | 2016 | 태국 방콕 | 24 |
30 | 2017 | 인도 뉴델리 | 24 |
31 | 2018 |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 30 |
32 | 2019 | 중국 시안 | 30 |
33 | 2020 | 인도 뉴델리 | 30 |
34 | 2021 | 카자흐스탄 알마티 | 30 |
- 1983년 대회부터 남자 그레코로만형 종목이 추가되었다.
- 1996년 대회부터 여자 자유형 종목이 신설되었다.
2. 1. 초기 대회 (1979-1989)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Asian Wrestling Championships)의 첫 대회는 1979년 인도 잘란다르에서 개최되었다.[1] 초기에는 남자 자유형 종목만 진행되었다.[1] 1980년대에는 이란이 남자 자유형에서 강세를 보였고, 대한민국과 일본이 남자 그레코로만형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회차 | 연도 | 개최지 | 세부 종목 |
---|---|---|---|
1 | 1979 | 잘란다르, 인도 | 10 |
2 | 1981 | 라호르, 파키스탄 | 10 |
3 | 1983 | 테헤란, 이란 | 20 |
4 | 1987 | 뭄바이, 인도 | 20 |
5 | 1988 |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 10 |
6 | 1989 | 오아라이, 일본 | 20 |
2. 2. 여자부 신설과 변화 (1990년대)
1996년 중국 샤오산에서 열린 대회에서 여자 자유형 종목이 신설되면서 대회 규모가 확장되었다.[1] 이 시기 대한민국은 남자 그레코로만형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일본은 여자 자유형에서 강세를 보였다.[1]1990년대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의 국가별 메달 획득 현황은 다음과 같다.[1]
2. 3. 2000년대 이후 발전
2000년대 이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레슬링 강국으로 부상했다. 중국은 여자 자유형에서 성장세를 보이며 일본과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대한민국은 전통적인 강세 종목인 남자 그레코로만형 외에 여자 자유형에서도 점차 메달 획득 가능성을 높여가고 있다.[1]
3. 역대 대회
연도 날짜 개최 도시 및 국가 우승 국가 남자 자유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 1979 11월 8–11일 잘란다르, 인도 — | — 1981 12월 1–4일 라호르, 파키스탄 — | — 1983 11월 8–11일 테헤란, 이란 | — 1987 10월 13–17일 뭄바이, 인도 | — 1988 12월 12–16일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 | — 1989 6월 30일 – 7월 2일 오아라이, 일본 | — 1991 4월 17–19일 뉴델리, 인도 — | — 5월 16–18일 테헤란, 이란 | — 1992 4월 7–10일 테헤란, 이란 | — 1993 4월 16–18일 울란바토르, 몽골 — | — 4월 23–25일 히로시마, 일본 | — 1995 6월 27일 – 7월 3일 마닐라, 필리핀 | — 1996 4월 4–10일 샤오산, 중국 | 일본 1997 4월 12–18일 테헤란, 이란 | — 7월 20–21일 타이페이, 타이완 — | 일본 1999 5월 25–30일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 일본 2000 4월 26–28일 구이린, 중국 우즈베키스탄 | — | — 5월 5–7일 서울, 대한민국 | 일본 2001 6월 5–10일 울란바토르, 몽골 | 중국 2003 6월 5–8일 뉴델리, 인도 | 일본 2004 4월 16–18일 테헤란, 이란 — | — 5월 8–9일 알마티, 카자흐스탄 | — 5월 20–22일 도쿄, 일본 — | 일본 2005 5월 24–29일 우한, 중국 | 일본 2006 4월 4–9일 알마티, 카자흐스탄 | 일본 2007 5월 8–13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 중국 2008 3월 18–23일 제주, 대한민국 일본 | | 일본 2009 5월 2–7일 파타야, 태국 | 중국 2010 5월 12–16일 뉴델리, 인도 | 중국 2011 5월 19–22일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 | 일본 2012 2월 16–19일 구미, 대한민국 | 중국 2013 4월 18–22일 뉴델리, 인도 인도 | 대한민국 | 중국 2014 4월 23–27일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 일본 2015 5월 6–10일 도하, 카타르 | 일본 2016 2월 17–21일 방콕, 태국 | 중국 2017 5월 10–14일 뉴델리, 인도 | 일본 2018 2월 28일 – 3월 4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중국 2019 4월 23–28일 시안, 중국 | 일본 2020 2월 18–23일 뉴델리, 인도 | 일본 2021 4월 13–18일 알마티, 카자흐스탄 | 2022 4월 19–24일 울란바토르, 몽골 카자흐스탄 | 일본 2023 4월 9–14일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 | 일본 2024 4월 11–16일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 일본 2025 3월 25–30일 암만, 요르단 |
3. 1. 남자부
연도 | 날짜 | 개최 도시 및 국가 | 우승 국가 | |
---|---|---|---|---|
남자 자유형 | 남자 그레코로만형 | |||
1979 | 11월 8–11일 | 잘란다르, 인도 | — | |
1981 | 12월 1–4일 | 라호르, 파키스탄 | — | |
1983 | 11월 8–11일 | 테헤란, 이란 | ||
1987 | 10월 13–17일 | 뭄바이, 인도 | ||
1988 | 12월 12–16일 |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 — | |
1989 | 6월 30일 – 7월 2일 | 오아라이, 일본 | ||
1991 | 4월 17–19일 | 뉴델리, 인도 | — | |
5월 16–18일 | 테헤란, 이란 | — | ||
1992 | 4월 7–10일 | 테헤란, 이란 | ||
1993 | 4월 16–18일 | 울란바토르, 몽골 | — | |
4월 23–25일 | 히로시마, 일본 | — | ||
1995 | 6월 27일 – 7월 3일 | 마닐라, 필리핀 | 카자흐스탄 | |
1996 | 4월 4–10일 | 샤오산, 중국 | ||
1997 | 4월 12–18일 | 테헤란, 이란 | ||
1999 | 5월 25–30일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
2000 | 4월 26–28일 | 구이린, 중국 | 우즈베키스탄 | — |
5월 5–7일 | 서울, 대한민국 | — | ||
2001 | 6월 5–10일 | 울란바토르, 몽골 | ||
2003 | 6월 5–8일 | 뉴델리, 인도 | ||
2004 | 4월 16–18일 | 테헤란, 이란 | — | |
5월 8–9일 | 알마티, 카자흐스탄 | — | 카자흐스탄 | |
2005 | 5월 24–29일 | 우한, 중국 | ||
2006 | 4월 4–9일 | 알마티,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 |
2007 | 5월 8–13일 |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 ||
2008 | 3월 18–23일 | 제주, 대한민국 | 일본 | |
2009 | 5월 2–7일 | 파타야, 태국 | ||
2010 | 5월 12–16일 | 뉴델리, 인도 | ||
2011 | 5월 19–22일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 |
2012 | 2월 16–19일 | 구미, 대한민국 | ||
2013 | 4월 18–22일 | 뉴델리, 인도 | 인도 | 대한민국 |
2014 | 4월 23–27일 |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 |
2015 | 5월 6–10일 | 도하, 카타르 | ||
2016 | 2월 17–21일 | 방콕, 태국 | ||
2017 | 5월 10–14일 | 뉴델리, 인도 | ||
2018 | 2월 28일 – 3월 4일 |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2019 | 4월 23–28일 | 시안, 중국 | ||
2020 | 2월 18–23일 | 뉴델리, 인도 | ||
2021 | 4월 13–18일 | 알마티, 카자흐스탄 | ||
2022 | 4월 19–24일 | 울란바토르, 몽골 | 카자흐스탄 | |
2023 | 4월 9–14일 |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 |
2024 | 4월 11–16일 |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 ||
2025 | 3월 25–30일 | 암만, 요르단 |
3. 2. 여자부
연도 | 날짜 | 개최 도시 및 국가 | 여자 자유형 |
---|---|---|---|
우승 국가 | |||
1996 | 4월 4–10일 | 샤오산, 중국 | |
1997 | 7월 20–21일 | 타이페이, 타이완 | |
1999 | 5월 25–30일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
2000 | 4월 26–28일 | 구이린, 중국 | — |
5월 5–7일 | 서울, 대한민국 | ||
2001 | 6월 5–10일 | 울란바토르, 몽골 | |
2003 | 6월 5–8일 | 뉴델리, 인도 | |
2004 | 5월 20–22일 | 도쿄, 일본 | |
2005 | 5월 24–29일 | 우한, 중국 | |
2006 | 4월 4–9일 | 알마티, 카자흐스탄 | |
2007 | 5월 8–13일 |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 |
2008 | 3월 18–23일 | 제주, 대한민국 | |
2009 | 5월 2–7일 | 파타야, 태국 | |
2010 | 5월 12–16일 | 뉴델리, 인도 | |
2011 | 5월 19–22일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
2012 | 2월 16–19일 | 구미, 대한민국 | |
2013 | 4월 18–22일 | 뉴델리, 인도 | |
2014 | 4월 23–27일 |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 |
2015 | 5월 6–10일 | 도하, 카타르 | |
2016 | 2월 17–21일 | 방콕, 태국 | |
2017 | 5월 10–14일 | 뉴델리, 인도 | |
2018 | 2월 28일 – 3월 4일 |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 |
2019 | 4월 23–28일 | 시안, 중국 | |
2020 | 2월 18–23일 | 뉴델리, 인도 | |
2021 | 4월 13–18일 | 알마티, 카자흐스탄 | |
2022 | 4월 19–24일 | 울란바토르, 몽골 | |
2023 | 4월 9–14일 |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 |
2024 | 4월 11–16일 |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 |
2025 | 3월 25–30일 | 암만, 요르단 |
# | 연도 | 1위 | 2위 | 3위 |
---|---|---|---|---|
1 | 1996 | 일본 | 차이니스 타이베이 | 중국 |
2 | 1997 | 일본 | 차이니스 타이베이 | 투르크메니스탄 |
3 | 1999 | 일본 | 차이니스 타이베이 | 투르크메니스탄 |
4 | 2000 | 일본 | 중국 | 대한민국 |
5 | 2001 | 중국 | 일본 | |
6 | 2003 | 일본 | 인도 | |
7 | 2004 | 일본 | 대한민국 | |
8 | 2005 | 일본 | 중국 | |
9 | 2006 | 일본 | 중국 | 카자흐스탄 |
10 | 2007 | 중국 | 카자흐스탄 | 일본 |
11 | 2008 | 일본 | 중국 | 카자흐스탄 |
12 | 2009 | 중국 | 일본 | 카자흐스탄 |
13 | 2010 | 중국 | 일본 | 카자흐스탄 |
14 | 2011 | 일본 | 중국 | |
15 | 2012 | 중국 | 일본 | 카자흐스탄 |
16 | 2013 | 중국 | 일본 | |
17 | 2014 | 일본 | 중국 | |
18 | 2015 | 일본 | 중국 | 카자흐스탄 |
19 | 2016 | 중국 | 일본 | 카자흐스탄 |
20 | 2017 | 일본 | 인도 | 중국 |
21 | 2018 | 중국 | 일본 | |
22 | 2019 | 일본 | 중국 | 인도 |
23 | 2020 | 일본 | 인도 | 카자흐스탄 |
24 | 2021 | 인도 | 카자흐스탄 | |
25 | 2022 | 일본 | 카자흐스탄 |
4. 종목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자유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 세 가지 종목이 진행된다. 각 종목은 10개의 체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colspan=2 | | 남자 자유형 | 남자 그레코로만형 | 여자 자유형 | 종합 | |||||||||||||
---|---|---|---|---|---|---|---|---|---|---|---|---|---|---|---|---|---|
순위 | 레슬링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1 | align=left| | 29 | 5 | 1 | 35 | 14 | 7 | 5 | 26 | 0 | 0 | 0 | 0 | 43 | 12 | 6 | 61 |
2 | 일본 | 1 | 7 | 7 | 15 | 1 | 1 | 5 | 7 | 16 | 6 | 2 | 24 | 18 | 14 | 14 | 46 |
3 | 대한민국 | 0 | 5 | 3 | 8 | 9 | 6 | 4 | 19 | 0 | 0 | 2 | 2 | 9 | 11 | 9 | 29 |
4 | 중화인민공화국 | 0 | 0 | 2 | 2 | 0 | 3 | 4 | 7 | 8 | 8 | 2 | 18 | 8 | 11 | 8 | 27 |
5 | 카자흐스탄 | 0 | 4 | 9 | 13 | 7 | 7 | 6 | 20 | 0 | 1 | 10 | 11 | 7 | 12 | 25 | 44 |
6 | 우즈베키스탄 | 4 | 0 | 2 | 6 | 1 | 4 | 3 | 8 | 0 | 0 | 0 | 0 | 5 | 4 | 5 | 14 |
7 | 인도 | 1 | 6 | 5 | 12 | 0 | 1 | 2 | 3 | 0 | 4 | 1 | 5 | 1 | 11 | 8 | 20 |
8 | align=left| | 0 | 7 | 4 | 11 | 0 | 0 | 0 | 0 | 1 | 3 | 6 | 10 | 1 | 10 | 10 | 21 |
9 | 키르기스스탄 | 0 | 0 | 1 | 1 | 0 | 3 | 3 | 6 | 0 | 0 | 0 | 0 | 0 | 3 | 4 | 7 |
10 | align=left|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3 | 0 | 3 | 0 | 3 |
1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1 | 1 | 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1 | 2 |
12 | 투르크메니스탄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2 | 0 | 0 | 2 | 2 |
합계 | 35 | 35 | 35 | 105 | 32 | 32 | 32 | 96 | 25 | 25 | 25 | 75 | 92 | 92 | 92 | 276 |
4. 1. 남자 자유형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29 | 5 | 1 | 35 | |
2 | 일본 | 1 | 7 | 7 | 15 |
3 | 대한민국 | 0 | 5 | 3 | 8 |
4 | 중화인민공화국 | 0 | 0 | 2 | 2 |
5 | 카자흐스탄 | 0 | 4 | 9 | 13 |
6 | 우즈베키스탄 | 4 | 0 | 2 | 6 |
7 | 인도 | 1 | 6 | 5 | 12 |
8 | 0 | 7 | 4 | 11 | |
9 | 키르기스스탄 | 0 | 0 | 1 | 1 |
10 | 타이완 | 0 | 0 | 0 | 0 |
1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1 | 1 | 2 |
12 | 투르크메니스탄 | 0 | 0 | 0 | 0 |
합계 | 35 | 35 | 35 | 105 |
4. 2. 여자 자유형
여자 자유형 레슬링은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의 한 종목으로, 여성 선수들이 참가하여 경기를 치른다.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전체 |
---|---|---|---|---|---|
1 | 이란 | 222 | 89 | 123 | 434 |
2 | 일본 | 138 | 113 | 147 | 398 |
3 | 대한민국 | 85 | 77 | 127 | 289 |
4 | 카자흐스탄 | 81 | 85 | 141 | 307 |
5 | 중국 | 65 | 68 | 118 | 251 |
6 | 우즈베키스탄 | 47 | 51 | 84 | 182 |
7 | 북한 | 35 | 36 | 35 | 106 |
8 | 키르기스스탄 | 28 | 43 | 83 | 154 |
9 | 몽골 | 27 | 82 | 107 | 216 |
10 | 인도 | 24 | 75 | 122 | 221 |
11 | 시리아 | 4 | 2 | 2 | 8 |
12 | 타이완 | 1 | 14 | 18 | 33 |
13 | 파키스탄 | 1 | 9 | 8 | 18 |
14 | 타지키스탄 | 1 | 8 | 13 | 22 |
15 | 이라크 | 1 | 2 | 12 | 15 |
16 | 투르크메니스탄 | 1 | 2 | 5 | 8 |
17 | 바레인 | 1 | 0 | 2 | 3 |
18 | 미국 | 1 | 0 | 0 | 1 |
19 | 베트남 | 0 | 5 | 12 | 17 |
20 | 태국 | 0 | 2 | 0 | 2 |
21 | 요르단 | 0 | 1 | 4 | 5 |
22 | 카타르 | 0 | 1 | 0 | 1 |
23 | 필리핀 | 0 | 0 | 2 | 2 |
5. 참가국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레슬링 연맹(Asian Associated Wrestling Committee)에 가입된 국가들이 참가하는 레슬링 대회이다.
위의 테이블에서 대한민국 과 같이 표현된 부분은 템플릿:국기그림과 내부 링크를 결합한 형태이다. 주어진 지침에 따르면, flagicon 템플릿은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대한민국
다른 국가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정한다.
최종 수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6. 역대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합계 | |||
---|---|---|---|---|---|
1 | 이란 | 237 | 95 | 132 | 464 |
2 | 일본 | 153 | 122 | 161 | 436 |
3 | 카자흐스탄 | 90 | 93 | 156 | 339 |
4 | 대한민국 | 85 | 79 | 131 | 295 |
5 | 중국 | 70 | 74 | 133 | 277 |
6 | 우즈베키스탄 | 48 | 58 | 94 | 200 |
7 | 키르기스스탄 | 37 | 49 | 96 | 182 |
8 | 북한 | 37 | 37 | 40 | 114 |
9 | 몽골 | 28 | 89 | 118 | 235 |
10 | 인도 | 25 | 82 | 137 | 244 |
11 | 시리아 | 4 | 2 | 2 | 8 |
12 | 바레인 | 3 | 0 | 7 | 10 |
13 | 대만 | 1 | 14 | 19 | 34 |
14 | 타지키스탄 | 1 | 9 | 13 | 23 |
15 | 파키스탄 | 1 | 9 | 8 | 18 |
16 | 이라크 | 1 | 2 | 13 | 16 |
17 | 투르크메니스탄 | 1 | 2 | 5 | 8 |
18 | 미국 | 1 | 0 | 0 | 1 |
19 | 베트남 | 0 | 5 | 12 | 17 |
20 | 태국 | 0 | 2 | 0 | 2 |
21 | 요르단 | 0 | 1 | 4 | 5 |
22 | 카타르 | 0 | 1 | 0 | 1 |
23 | 필리핀 | 0 | 0 | 2 | 2 |
2024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 기준 역대 메달 집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Kazakh Wrestler Wins Gold at Asian Wrestling Championships
http://www.astanatim[...]
Astana Times
2014-05-03
[2]
웹인용
Kazakh Wrestler Wins Gold at Asian Wrestling Championships
http://www.astanatim[...]
Astana Times
2014-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