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게임 탁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탁구는 아시안 게임에서 진행되는 탁구 경기를 의미한다. 1958년 도쿄 대회부터 시작되어,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등 6개 세부 종목으로 시작했다가, 여자 단체전이 추가되기도 하고, 남녀 복식이 제외되기도 하는 변화를 거쳐 현재는 7개 종목으로 진행된다. 중국이 압도적인 메달 획득 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일본과 대한민국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대한민국은 유남규, 현정화, 김택수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신유빈-전지희 여자 복식조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탁구 - 2018년 아시안 게임 탁구
    2018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시안 게임 탁구는 26개국 179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남자 단식, 남자 단체, 여자 단식, 여자 단체, 혼합 복식의 5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금메달 5개로 우승, 대한민국은 은메달 1개와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탁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탁구
    2002년 아시안 게임 탁구 경기는 대한민국 울산에서 개최되었으며, 7개 세부 종목에 18개국 105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경기부터 시작, 이후 여자 유도 도입과 단체전 및 혼성 단체전 도입을 거쳐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본이 최우수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안 게임 탁구
대회 정보
종목탁구
영어 명칭Table tennis at the Asian Games
주최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시작 연도1958년
참가국 수25개국
참가 선수 수169명
국제 탁구 연맹 레이팅3
국제 탁구 연맹 보너스4
공식 웹사이트ASIAN GAMES
최근 대회
남자 단식왕추친
여자 단식류스원
남자 복식마룽/ 장지커
여자 복식주위링/천멍
혼합 복식김혁봉/김정
남자 단체중화인민공화국(판젠둥/마룽/쉬신/장지커/저우위)
여자 단체중화인민공화국(천멍/딩닝/류스원/우양/주위링)
최다 우승
남자 단식량거리앙 2회
여자 단식장리 2회
이전/다음 대회
이전 대회인천 2014
다음 대회자카르타 2018
이미지
1966년 남자 단식 시상식
1966년 남자 단식 시상식

2. 역대 대회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주최로 1951년에 시작된 "아시아판 올림픽"이라고도 불리는 아시안 게임에 탁구 경기는 1958년 일본 도쿄 대회부터 채택되었다. 1970년 대회를 제외하고 2022년 항저우 대회까지 총 16번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2. 1. 경기 종목

종목1958196219661974197819821986199019941998200220062010201420182022개최 횟수
남자 단식XXXXXXXXXXXXXXXX16
남자 복식XXXXXXXXXXXXXXX15
남자 단체전XXXXXXXXXXXXXXXX16
여자 단식XXXXXXXXXXXXXXXX16
여자 복식XXXXXXXXXXXXXXX15
여자 단체전XXXXXXXXXXXXXXXX16
혼합 복식XXXXXXXXXXXXXXXX16
합계7777777777777757



1958년 도쿄 대회부터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의 6개 세부 종목이 채택되었다.[1] 1962년 대회부터 여자 단체전이 추가되어 총 7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다.[1]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에서는 남녀 복식 종목이 제외되어 5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나,[1] 2022년 항저우 대회에서 다시 부활하여 7개 세부 종목이 되었다.[1]

2. 2.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 중국723927138
2 일본20204383
3 대한민국11315496
4 홍콩291021
5 북한241723
6 타이완142126
7 베트남2024
8 싱가포르02911
9 인도네시아0101
10 인도0033
11 이란0055
12 태국0011
합계110110192412


3. 대한민국 탁구

대한민국은 아시안 게임 탁구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며 탁구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신유빈-전지희 조가 여자 복식 금메달을 획득하며 21년 만에 아시안 게임 탁구 금메달을 획득했다.

1958년 도쿄 아시안 게임에서 조경자가 여자 단식 동메달을 획득한 것을 시작으로, 1966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는 최정숙, 윤기숙이 여자 단식 동메달을, 1974년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서는 정현숙이 여자 단식 은메달을 획득했다. 1978년 방콕 아시안 게임 김순옥, 1982년 뉴델리 아시안 게임 양영자와 윤경미,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양영자,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유지혜,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김경아,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양하은, 2018년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 전지희,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신유빈이 여자 단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3. 1. 주요 선수

유남규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남자 단식 금메달, 남자 복식 은메달, 혼합 복식 동메달,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 남자 복식 동메달, 혼합 복식 은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였다. 현정화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여자 단체전 금메달, 혼합 복식 동메달,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 여자 복식 금메달, 혼합 복식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택수는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 남자 복식 동메달,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남자 복식 은메달,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 남자 단식 금메달을 획득했다.

오상은은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 남자 복식 은메달,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남자 복식 은메달을 획득했다. 주세혁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단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전지희는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혼합 복식 동메달,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여자 단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상수는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단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신유빈은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여자 복식 금메달, 혼합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장우진은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복식 은메달, 혼합 복식 동메달을 획득했다.

3. 2. 주요 대회 성적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86서울금메달 2개은메달 2개동메달 5개
2002부산은메달 3개동메달 3개
2014인천은메달 2개동메달 4개
2022항저우 전지희
신유빈
차수영
박수경
장본 미와
기하라 미유
Sutirtha Mukherjee
Ayhika Mukherj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