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마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마크는 "부족" 또는 "유목지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의미하는 튀르크-몽골계 단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아프가니스탄 서부와 중부에 거주하는 유목 또는 반유목 생활을 하는 민족 집단이다. 이들은 주로 수니파 무슬림이며, 4개의 주요 부족(차하르 아이마크)으로 구성되나, 다른 분류도 존재한다. 아이마크족은 페르시아어의 아이마크 방언을 사용하며, 일부는 파슈토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 이란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 이란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아이마크인
아이마크인 정보
기본 정보
민족 이름아이마크
페르시아어 표기ایماق
파슈토어 표기چهار ایماق
로마자 표기Aimāq
아이마크인 의미부족
인구
전체 인구1,918,000명
아프가니스탄 인구1,697,000명
이란 인구214,000명
타지키스탄 인구7,600명
아프가니스탄 인구 비율4% (2021년)
언어
사용 언어페르시아어의 아이마크 방언
종교
주요 종교수니파 이슬람교
관련 민족
관련 민족하자라족
타지크족
파슈툰족
이란계 민족

2. 명칭

"아이마크"라는 단어는 "부족"과 "부족들의 집단"을 의미하는 튀르크계-몽골계 단어 "오이막(Oymaq)"에서 유래되었다.[7][9] “아이마크”라는 말은 몽골어로 “부족”이나 “방목 지역”[22], 유목지를 공유하는 유목민들의 공동체[18]를 의미한다. 언어적으로나 역사적으로 증거는 없지만, 이란의 고대 전설에 등장하는 반신의 왕 “이마”(불교에서 말하는 염마)나 잠시드와 무리하게 관련짓는 설이 있다.

3. 기원

아이마크족은 자신들의 부족 배경에 따라 서로 다른 기원을 주장한다. 일부는 칭기즈칸의 군대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12] 타이마니족과 피로즈코히족은 파슈툰 부족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13]

4. 문화 및 사회

아이마크족은 주로 유목 또는 반유목 생활을 하는 염소와 양을 치는 목축민들이다. 그들은 가축의 목초지를 찾아 이동하는 동안 마을과 농민들과 교역을 하기도 한다. 아이마크족의 물질 문화와 식량에는 가죽, 카펫, 우유, 유제품 등이 포함된다. 그들은 이러한 생산품을 정착민들에게 판매하고 그 대가로 채소, 곡물, 과일, 견과류 및 기타 식품과 상품을 얻는다.[12]

아이마크인은 대부분 수니파 무슬림이다.[14][22] 잠시디족은 주로 이스마일리 시아파 무슬림이며, 이는 주로 십이이맘파 시아파 무슬림인 하자라족과 대조적이다.[14]

4. 1. 종교

아이마크인은 대부분 수니파 무슬림이다.[14][22] 잠시디족은 주로 이스마일리 시아파 무슬림이며, 이는 주로 십이이맘파 시아파 무슬림인 하자라족과 대조적이다.[14]

5. 부족 구성

아이마크인은 차하르 아이마크로 알려져 있다. 차하르는 "4"를 의미하며, 고르주의 주요 주민인 타이마르니족, 필루즈쿠히족, 잠시디족, 타임리족을 가리킨다.[19] 다른 설에 따르면 4개 부족에 아이마크 하자라족이 포함되거나, 타임리족이 타히리족, 즈리족, 마레키족, 미슈마스트족과 함께 "소 아이마크" 또는 "기타 아이마크"(Aimaq-e diga)라고 불리기도 한다.[19]

명칭출신인구(3개국)비고
타이마르니족이란계59만 2000명[15]고르주 등.
필루즈쿠히족이란계29만 6000명[15]
잠시디족이란계15만 9000명[15]
타임리족몽골계33만 4000명[15]타히리족, 즈리족, 마레키족, 미슈마스트족 등.
아이마크 하자라족몽골계23만 9000명[15]


6. 분류

아이마크족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타이머니족, 필루즈쿠히족, 잠시디족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전통적인 검은 천막에서 생활한다.[20] 이들은 이란계 기원이며, 스스로를 타지크인이라고 부른다. 아프가니스탄 아이마크족의 대부분은 이란계 3개의 지파이다. 반면, 타임리족과 아이마크 하자라족은 유르트에서 생활한다.[20] 이들은 물리적 외모와 주거 형태에서 볼 수 있듯이 몽골족 기원이다.[21]

7. 분포

아이마크 인구에 대한 추정치는 25만 명에서 50만 명 사이로 다양하다. 아이막족의 인구는 조사에 따라 다르며, 25만 명에서 200만 명으로 추산된다.[22] 타지크족과 하자라족과 어느 정도 가까운 관계에 있기 때문에, 아프가니스탄의 인구 조사에서는 타지크족으로 분류된다.[22] 아이막족은 아프가니스탄 서부와 중부에 거주하며, 고르 주에서는 다수 민족을 차지한다. 헤라트 주와 바드기스 주 서부에도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파라 주, 파리야브 주, 조우즈잔 주, 사르폴 주에도 일부 거주한다.[22]

CIA 지도에서 보여주는 아프가니스탄 민족 집단 및 하위 집단의 정착 지역(2005)


8. 언어

아이마크인의 페르시아어는 아이마크 방언이며, 여러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남쪽의 타이마니족[23]이나 이란의 마레키에 사는 아이마크인들은 파슈토어를 사용한다.[24]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Matters https://afghanistan.[...] 2016-03-03
[2] 웹사이트 Afghanistan Population 2021 https://worldpopulat[...] 2021-09-19
[3] 웹사이트 Afghan Ethnic Groups: A Brief Investigation https://reliefweb.in[...] 2011-08-14
[4] 백과사전 AYMĀQ http://www.iranicaon[...] Columbia University
[5] 웹사이트 Aimaq https://minorityrigh[...] 2021-07-28
[6] 웹사이트 Aimaq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4-06-11
[7] 웹사이트 AYMĀQ – Encyclopaedia Iranica https://iranicaonlin[...] 2021-02-01
[8] 서적 A bitter harvest: US foreign policy and Afghanistan 2003
[9] 웹사이트 Aymak https://referencewor[...] Brill 2023-07-14
[10] 서적 The Afghan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1-04-01
[11] 서적 The Afghan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2-01-23
[12] 서적 Human: The Definitive Visual Guide Dorling Kindersley
[13] 웹사이트 Aymāq https://iranicaonlin[...] 2021-04-04
[14] 백과사전 Afghanistan Encyclopædia Britannica
[15] 웹사이트 Aimaq http://www.joshuapro[...] JoshuaProject 2009-08-11
[16] 서적 A bitter harvest: US foreign policy and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Ashgate Pub Ltd
[17] 백과사전 AYMĀQ http://www.iranicaon[...] コロンビア大学
[18] 서적 アイマク Aimakh 平凡社
[19] 서적 The Afghan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1-04-01
[20] 웹사이트 A SOCIOLOGICAL STUDY OF THE HAZARA TRIBE IN BALUCHISTAN (AN ANALYSIS OF SOCIO-CULTURAL CHANGE) http://www.tribalana[...] Tribal Analysis Center 2014-01-28
[21] 백과사전 Afghanistan Encyclopædia Britannica
[22] 웹사이트 Aimak, Ghor province http://www.nps.edu/P[...] アメリカ海軍大学院 2014-01-28
[23] 웹사이트 チャハール・アイマーク https://kotobank.jp/[...] kotobank 2014-01-28
[24] 서적 The Afghan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2-01-23
[25] 서적 Human: The Definitive Visual Guide Dorling Kinders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