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펩은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라의 적"이자 "혼돈의 지배자"로 묘사되는 존재이다. 거대한 뱀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태양신 라의 가장 큰 적으로 여겨진다. 아펩은 라가 매일 밤 저승을 통과할 때 방해하며, 어둠과 혼돈을 상징한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아펩을 물리치고 라의 승리를 돕기 위해 다양한 의식과 미신을 행했으며, '아펩 타도 의식'을 통해 아펩의 허수아비를 만들어 태우는 등의 행위를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종 - 아지 다하카
    아지 다하카는 조로아스터교와 페르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악마적 괴물로, 세 개의 머리와 여섯 개의 눈을 가졌으며, 종말에 부활하여 세상을 파괴할 운명을 지닌다.
  • 용종 - 베헤모스
    베헤모스는 히브리어에서 유래된 욥기에 등장하는 강력한 존재로, 꼬리가 삼나무 같고 넓적다리의 힘줄이 튼튼한 거대한 짐승으로 묘사되며, 유대교 전승에서는 리바이어던과 싸우다 죽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 이집트의 전설의 생물 -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사자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신화 속 존재로, 이집트,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파라오의 권위, 사악함, 액막이 등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 이집트의 전설의 생물 - 그리핀
    그리핀은 독수리의 머리와 날개를, 사자의 몸통과 발을 가진 상상의 동물로,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되어 황금 수호, 용맹함, 리더십 등을 상징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널리 활용된다.
  • 어둠의 신 - 헤카테
    헤카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땅, 바다, 하늘에서 권능을 부여받았으며, 경계, 교차로, 마법 등과 관련되어 횃불, 열쇠 등을 상징하고 문학 작품과 현대 신이교주의에서도 나타난다.
  • 어둠의 신 - 에레보스
    에레보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어둠을 의인화한 신으로, 카오스의 자손이자 밤의 여신 닉스의 남편이며, 저승의 어둠 또는 지하 세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아펩
기본 정보
람세스 1세의 무덤 KV16에 묘사된 아펩의 모습
람세스 1세의 무덤 KV16에 묘사된 아펩의 모습
역할어둠과 혼돈의 의인화
거주지두아트
상징
문헌사자의 서
부모없음, 일부 신화에서는 네이트
형제자매

2. 특징

는 빛을 가져다주는 태양신이자 마아트의 수호자였기 때문에, 아펩은 라의 가장 큰 적으로 여겨졌으며, "라의 적"과 "혼돈의 지배자"라는 칭호를 받았다.[3] "혼돈의 지배자"는 거대한 또는 뱀으로 여겨졌으며, "나일강의 뱀"과 "사악한 "과 같은 칭호가 붙었다. 몇몇 설명에 따르면, 아펩은 길이가 약 14.63m에 달했으며, 머리는 부싯돌로 만들어졌다.[3]

나카다 I 시대(기원전 4000–3550년)의 C-ware 사발(현재 카이로 박물관 소장)에는 뱀이 사발 안쪽 가장자리에 다른 사막 및 수생 동물과 함께 묘사되어 있었는데, 이는 보이지 않는 상태로 큰 노를 젓는 배에서 사냥하는, 태양신으로 보이는 신의 적으로 묘사되었다. 사발 안쪽 가장자리에 있는 뱀이 아펩으로 여겨진다.[3]

신화 속에서 아펩의 기원에 대한 몇 안 되는 묘사들은 아펩이 라 이후에 태어났다고 설명하며, 주로 라의 탯줄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제럴딘 핀치는 훨씬 후대의 창조 신화에서 "아포피스는 여신 네이트가 원시 물 속에 있을 때 그녀의 침에서 생겨났다. 그녀의 침은 길이가 약 109.73m나 되는 뱀이 되었다"고 설명한다.[4] 그러나 아펩은 일반적으로 원시 혼돈의 누의 물에서 시간의 시작부터 존재했다고 여겨졌다.[5]

아펩은 어둠과 혼돈을 상징하며, 그 모습은 주로 큰 뱀으로 묘사된다. 뱀은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친숙하면서도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태양의 운행을 방해하기 때문에 라는 아펩의 최대의 적이다.

아포피스는 세계가 탄생하기 전 으로 상징되는 원시의 물 속에서 태어났다. 세계의 질서가 정해지기 전에 태어났기 때문에 질서를 파괴하려 한다고 생각되었다. 혹은, 원래는 태양신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지만, 그것을 라에게 빼앗겼기 때문에 그를 매우 미워하여 적대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라가 타는 태양의 배의 운항을 방해하고 일식을 일으킨다고 여겨졌다.

명계에 붙잡혀 있으며, 이곳을 죽은 자의 영혼이 지나갈 때 습격한다. 사자의 서에는 아포피스로부터 몸을 지키는 방법이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라가 타는 태양의 배가 통과할 때 세트가 배를 지키고 아포피스를 물리치기 때문에 천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시대가 내려오면서 그 사악함 때문에 세트와 동일시되었다.

3. 라(Ra)와의 전투

세트가 뱀 아펩을 찌르는 모습(이집트 박물관, 카이로)


175px


아펩이 와 벌인 전투에 대한 이야기는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더욱 발전했다.[7] 이야기꾼들은 아펩이 매일 지평선 아래에 머물러야 하며 인간 세상에 나타나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는 아펩을 자연스럽게 저승의 일부로 만들었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아펩이 해가 지는 서쪽 산인 ''마누''에서 를 기다렸고,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아펩이 새벽 직전, 즉 ''밤의 열 번째 지역''에 숨어 있었다고 한다. 아펩의 광범위한 위치로 인해 그는 ''세계를 에워싸는 자''라는 칭호를 얻었다. 그의 끔찍한 포효는 저승을 흔들었다고 여겨졌다. 신화에서는 아펩이 에 의해 전복된 이전의 최고 신이거나, 악해서 갇혔기 때문에 그곳에 갇혔다고 묘사하기도 한다.

관 텍스트는 아펩이 마법의 시선으로 와 그의 수행원을 제압했다고 암시한다.[8] 는 세트와, 어쩌면 라의 눈을 포함한 여러 수호자들의 도움을 받았다.[9] 아펩의 움직임은 지진을 일으킨다고 여겨졌으며, 그가 세트와 벌인 전투는 뇌우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을 수 있다.[10] 한 기록에 따르면 는 고양이의 모습으로 아펩을 물리쳤다.[11]

아펩은 어둠과 혼돈을 상징하며, 그 모습은 주로 큰 뱀으로 묘사된다. 은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친숙하면서도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태양의 운행을 방해하기 때문에 의 최대의 적이 된다. 아펩은 세계가 탄생하기 전 으로 상징되는 원시의 물 속에서 태어났다. 세계의 질서가 정해지기 전에 태어났기 때문에 질서를 파괴하려 한다고 생각되었다. 혹은, 원래는 태양신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지만, 그것을 라에게 빼앗겼기 때문에 그를 매우 미워하여 적대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라가 타는 태양의 배의 운항을 방해하고 일식을 일으킨다고 여겨졌다.

명계에 붙잡혀 있으며, 이곳을 죽은 자의 영혼이 지나갈 때 습격한다. 사자의 서에는 아펩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방법이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라가 타는 태양의 배가 통과할 때 세트가 배를 지키고 아펩을 물리치기 때문에 천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시대가 내려오면서 그 사악함 때문에 세트와 동일시되었다.

4. 종교 의식

라의 매일 밤 승리는 고대 이집트 신전의 숭배자들과 사제들의 기도에 의해 보장된다고 생각되었다. 이집트인들은 아펩을 물리치고 가 하늘을 가로질러 여행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여러 의식미신을 행했다.[12]

매년 열리는 의식인 ''아포피스 타도 의식''에서 사제들은 이집트의 모든 악과 어둠을 담고 있다고 여겨지는 아펩의 허수아비를 만들어 태워 아펩의 악으로부터 모든 사람들을 1년 더 보호했다.

이집트 사제들은 ''아펩 타도서''(그리스어로 ''아포피스 서'')라고 불리는 아펩과 싸우는 상세한 지침서를 가지고 있었다.[13] 이 장들은 다음과 같은 굴욕, 해체 및 처분의 점진적인 과정을 설명했다.


  • 아펩에게 침을 뱉기
  • 왼발로 아펩을 더럽히기
  • 아펩을 치기 위해 창을 들기
  • 아펩을 묶기
  • 아펩을 치기 위해 칼을 들기
  • 아펩에게 불을 지르기


의 승리에 대한 이야기 외에도 이 지침서는 뱀의 밀랍 모형이나 작은 그림을 만들어 주문을 암송하면서 침을 뱉고, 훼손하고, 태우는 방법으로 아펩을 죽이는 데 도움을 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아펩의 이미지조차 악마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다고 두려워하여 어떤 묘사에도 항상 괴물을 제압할 다른 신이 포함되었다.

아펩은 지하 세계에 산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때때로 ''영혼을 먹는 자''로 여겨졌다. 따라서 죽은 자들 또한 보호를 받아야 했고, 아펩을 파괴할 수 있는 주문과 함께 매장되기도 했다. ''사자의 서''는 가 아펩이라고 명시적으로 불리는 혼돈의 뱀을 물리치는 경우를 자주 설명하지 않는다. ''사자의 서'' 주문 7과 39만이 그렇게 설명될 수 있다.[14]

5. 갤러리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에드푸 신전에 있는, 다섯 개의 칼로 찔린 뱀을 보여주는 아펩 이름의 상형 문자

5. 0. 1. 라의 배 아래에 있는 아펩



아펩은 어둠과 혼돈을 상징하며, 주로 큰 으로 묘사된다. 뱀은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친숙하면서도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태양의 운행을 방해하기 때문에 의 최대의 적이 된다.

아포피스는 으로 상징되는 원시의 물 속에서 태어났다. 세계의 질서가 정해지기 전에 태어났기 때문에 질서를 파괴하려 한다고 생각되었다. 혹은, 원래는 태양신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지만, 라에게 빼앗겨 그를 매우 미워하여 적대하게 되었다. 그래서 라는 태양의 배의 운항을 방해하고 일식을 일으킨다고 여겨졌다.

아포피스는 명계에 붙잡혀 있으며, 이곳을 죽은 자의 영혼이 지나갈 때 습격한다. 사자의 서에는 아포피스로부터 몸을 지키는 방법이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 세트는 라가 타는 태양의 배가 통과할 때 배를 지키고 아포피스를 물리치기 때문에 아포피스의 천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시대가 내려오면서 세트는 그 사악함 때문에 아포피스와 동일시되었다.

5. 0. 2. 에드푸 신전의 아펩


5. 0. 3. 후네페르의 파피루스

5. 0. 4. 람세스 1세의 무덤

5. 0. 5. 나카다 1 C-Ware 그릇

참조

[1] 서적 Gods of the Ancient Egyptians 1969
[2] 서적 Wörterbuch der aegyptischen Sprache im Auftrage der deutschen Akademien J. C. Hinrichs'schen Buchhandlungen 1926-1953
[3] 간행물 Jaarbericht van Ex Oriente Lux Leiden Nr.37 2002
[4] 서적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5]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http://archive.org/d[...]
[6] 문서 tomb of Inherkha Deir el-Medina
[7] 서적 Egyptian Solar Religion in the New Kingdom London 1995
[8] 간행물 The Evil Eye of Apopis 1973
[9] 간행물 The Evil Eye of Apopis 1973
[10] 서적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1] 서적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2] 웹사이트 Never-Ending Battles Between God Ra And Indestructible Apophis In Ancient Egyptian Beliefs - Ancient Pages https://www.ancientp[...] 2024-03-19
[13] 학위논문 Magic and religion as a performative theological unity : the apotropaic 'Ritual of Overthrowing Apophis' https://livrepositor[...] University of Liverpool 1999
[14] 서적 Book of the Dead [39]: From Shouting to Structure Wiesbaden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