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는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이 탈레반 정권을 축출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후, 국제 연합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다. 본 회의에서 임시 행정부 수립이 결정되었으며, 하미드 카르자이가 의장으로 선출되어 30명으로 구성된 내각을 이끌었다. 내각은 북부 동맹을 비롯한 다양한 파벌과 민족 집단을 대표하며, 아프가니스탄의 통합을 목표로 했다. 임시 행정부 기간 동안 군벌 간의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으나, 카르자이는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고 포용적인 정부를 구성하려 노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 분쟁 (1978년~현재) -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은 1978년 사우르 혁명으로 수립된 공산주의 국가로, 소련의 지원 아래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이슬람 세력의 반발과 내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1992년 붕괴되었다. - 아프가니스탄 분쟁 (1978년~현재) - 북부동맹 (아프가니스탄)
북부 동맹은 1996년 탈레반에 대항하여 결성된 아프가니스탄의 반 탈레반 연합 세력이며,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아흐마드 샤 마수드가 주요 지도자였고, 2001년 미군의 지원을 받아 탈레반 정권 붕괴에 기여했다. - 임시정부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직후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목표로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무장 투쟁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해방 후 정치적 난관을 겪으며 정통성과 역할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임시정부 -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은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주축으로 수립된 임시혁명정부로서, 남베트남에 대항하며 "독립, 민주, 평화, 중립"을 표방했으나, 사이공 함락 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 흡수되었고, 북베트남의 괴뢰 정부로 평가받는다.
| 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 |
|---|
2. 배경
9.11 테러 이후 미국은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 정권을 축출하기 위해 항구적 자유 작전을 수행했다.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국제 연합은 본 회의를 후원하며 반 탈레반 지도자들에게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국가 재건과 임시 행정부 설립을 요청했다.[14]
2. 1. 본 협정과 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
9·11 테러 이후 미국은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했고,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 정권을 축출하기 위해 항구적 자유 작전을 수행했다.[14]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국제 연합은 본 회의를 후원하며 반 탈레반 지도자들에게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국가를 재창설하고 임시 행정부를 설립할 것을 요청했다.[14] 본 회의에서 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가 설립되었으며, 이들은 긴급 대의회에 대한 특수 독립 위원단과 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 대법원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14] 긴급 대의회는 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를 대체할 아프가니스탄 과도 행정부 수립에 합의했다.[14]3. 역사
2001년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 유엔의 후원 하에 독일 본에서 아프가니스탄의 미래를 논의하기 위한 회담이 열렸다. 이 회담에는 탈레반에 반대하는 4개의 주요 파벌, 즉 북부 동맹, 이란과 연계된 "사이프러스 그룹", 전 국왕 모하마드 자히르 샤를 지지하는 "로마 그룹", 파키스탄에 기반을 둔 "페샤와르 그룹"이 참여했다.[2]
회담 결과, 하미드 카르자이를 수반으로 하는 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가 수립되었다.
3. 1. 본 회담의 협상 과정
본 회담에는 탈레반에 반대하는 4개 파벌의 대표단이 참석했다. 북부 동맹 또는 이슬람 연합 전선, 이란과 연계된 망명자 그룹인 "사이프러스 그룹", 로마에 망명하여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전 국왕 모하마드 자히르 샤에게 충성하는 "로마 그룹", 그리고 파키스탄에 기반을 둔 대부분의 아프간 망명자 그룹인 "페샤와르 그룹"이 참여했다. 회담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절반은 북부 동맹의 손에 있었으며, 여기에는 카불이 포함되었다. 카불에서 부르하누딘 라바니는 대통령 궁을 장악하고 아프가니스탄의 미래에 대한 모든 논의는 국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2]과도 정부를 이끌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었다. 라바니는 본 회담에서 과도 정부의 인선을 결정하는 것을 원치 않았지만, 미국과 러시아의 압력 이후, 유누스 카누니가 이끄는 북부 동맹 대표단은 라바니의 지지 여부와 관계없이 회담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2]
회의 초반에는 자히르 샤 국왕이 많은 지지를 받는 것처럼 보였지만, 북부 동맹은 이에 반대했다. 회담 마지막 날에는 두 명의 후보, 즉 미국이 유력한 후보로 지지하는 하미드 카르자이와 로마 그룹이 제안한 압둘 사타르 시라트로 압축되었다.[2] 본 회담은 카르자이가 과도 행정부를 이끌기로 합의했다.
3. 2. 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 내각 구성
하미드 카르자이가 임시 행정부의 "의장"으로 선출되면서 30명으로 구성된 내각을 구성했다. 북부 동맹은 임시 내각에서 약 절반의 자리를 차지했으며, 로마 그룹의 구성원들은 8개의 직책에 임명되었다. 여기에는 사설 민병대를 가진 군벌들이 포함되었다. 임시 행정부의 가장 주목할 만한 구성원으로는 북부 동맹의 가장 유명한 지도자 3인방인 유누스 카누니, 모하마드 파힘, 압둘라 압둘라가 있었다. 아프가니스탄은 1990년대 초부터 심각한 분열과 파벌주의 상태에 있었다. 카르자이는 내각에서 4개의 주요 민족 집단을 모두 참여시키고 대표함으로써 국가를 통합하려 했다.[3][4] 내각에 다양한 군벌을 포함시키고 (그리고 높은 지방 자리에 임명하는 것)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의견이 분분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를 카르자이가 탈레반 이후 시대의 아프가니스탄에서 추가적인 분쟁을 막기 위해 모든 사람을 포용하려는 시도로 보았다.[5]3. 3. 임시 행정부의 권력 갈등
임시 행정부 집권 기간 동안, 특정 군벌들 사이의 충돌이 발생했다. 특히 아프가니스탄 북부에서는 압둘 라시드 도스툼과 아타 무하마드 누르 추종자들 사이에 민족 간 충돌이 있었으며,[6] 이들의 갈등은 2003년경까지 계속되었다. 팍티아와 호스트 주에서는 파차 칸 자드란의 민병대와 타지 모하마드 와르다크를 포함한 라이벌들 간의 파벌 충돌이 있었다.[7][8] 카불의 카르자이 행정부는 군벌들이 싸우는 지역에서 항상 권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9]4. 아프가니스탄 임시 행정부 구성
2001년 12월, 유엔의 후원으로 본 협정이 체결된 후, 아프가니스탄의 임시 행정부를 구성하기 위해 각료를 선출하였다.[10] 임시 행정부의 각료 명단은 다음과 같다.
| 임시 행정부 직책 | 이름 | 민족 | 비고 |
|---|---|---|---|
| 부의장 겸 기획부 장관 | 무하마드 모하키크 | 하자라 | 통일 이슬람 전선에서 아프가니스탄 인민 이슬람 연합을 위해 탈레반에 맞서 싸운 군벌 |
| 부의장 겸 물 에너지부 장관 | 모하마드 샤키르 카르가르 | 우즈베크 | 통일 이슬람 전선 |
| 부의장 겸 재무부 장관 | 헤다야트 아민 아르살라 | 파슈툰 | 90년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가 외무부 장관. 로마 그룹. |
| 통신부 장관 | 압둘 라힘 | 타지크 | 통일 이슬람 전선 |
| 국경부 장관 | 아마눌라 자드란 | 파슈툰 | 미국의 침공 후 탈퇴한 탈레반 지도자, 로마 그룹 |
| 난민부 장관 | 에나야툴라 나자리 | 타지크 | 통일 이슬람 전선 |
| 소규모 산업부 장관 | 모하마드 아리프 노르자이 | 파슈툰 | 통일 이슬람 전선 |
| 광업 산업부 장관 | 모하메드 알림 라즘 | 우즈베크 | 통일 이슬람 전선 |
| 보건부 장관 | 수하일라 시디크 | 파슈툰 | 모하메드 자히르 샤 국왕 정부와 1970년대 및 1980년대 공산 정권에 참여. 독립 |
| 상무부 장관 | 사예드 무스타파 카제미 | 하자라 | 통일 국민 전선 대변인 겸 지도자 |
| 농업부 장관 | 사예드 후세인 안와리 | 하자라 | 통일 국민 전선에서 하라카트-에 이슬라미 최고 군사령관 |
| 법무부 장관 | 압둘 라힘 카리미 | 우즈베크 | 통일 이슬람 전선 |
| 정보 문화부 장관 | 사예드 막둠 라힌 | 타지크 | 시인 겸 작가, 로마 그룹 |
| 재건부 장관 | 모하마드 아민 파르항[11][12] | 타지크[13] | 로마 그룹 |
| 하지 및 모스크부 장관 | 모하마드 하니프 발키 | 타지크 | 독립 |
| 도시부 장관 | 압둘 카디르 | 파슈툰 | 헤즈비 이슬라미 할리스 파벌을 위한 통일 국민 전선 지도자 |
| 공공사업부 장관 | 압둘 칼리크 파잘 | 파슈툰 | 로마 그룹 |
| 관개부 장관 | 망갈 후세인 | 파슈툰 | 이전에는 헤즈비 이슬라미 굴부딘, 페샤와르 그룹 군벌 |
| 순교자 및 장애인부 장관 | 압둘라 와르다크 | 파슈툰 | 아프가니스탄 해방을 위한 이슬람 연합을 위한 통일 국민 전선 지도자 |
| 고등 교육부 장관 | 샤리프 파이에즈 | 타지크 | 통일 이슬람 전선 |
| 민간 항공 및 관광부 장관 | 압둘 라흐만 | 타지크 | 통일 이슬람 전선 회원이었으나, 전 국왕 자히르 샤를 지지하여 로마 그룹의 일원이 됨 |
| 노동 사회부 | 미르와이스 사디크 | 타지크 | 영향력 있는 군벌 이스마일 칸의 아들, 통일 이슬람 전선 |
| 교통부 장관 | 술탄 하미드 술탄 | 하자라 | |
| 교육부 장관 | 라술 아민 | 파슈툰 | 국민 이슬람 전선 및 로마 그룹 회원 |
| 농촌 개발부 장관 | 압둘 말리크 안와르 | 타지크 | 통일 이슬람 전선 |
4. 1. 주요 각료
| 직책 | 이름 | 민족 | 비고 |
|---|---|---|---|
| 의장 | 하미드 카르자이 | 파슈툰 | 파키스탄에 망명 중인 독립 파슈툰 부족 지도자[10] |
| 부의장 겸 국방부 장관 | 모하마드 파힘 | 타지크 | 통일 이슬람 전선 국방부 장관[10] |
| 부의장 겸 여성부 장관 | 시마 사마르 | 하자라 | 퀘타의 슈하다 기구 및 슈하다 진료소 설립자, 로마 그룹[10] |
| 외무부 장관 | 압둘라 압둘라 | 타지크 | 통일 이슬람 전선 외무부 장관[10] |
| 내무부 장관 | 유누스 카누니 | 타지크 | 통일 이슬람 전선 내무부 장관[10] |
참조
[1]
웹사이트
Bonn Agreement
http://www.afghangov[...]
[2]
Youtube
Filling the Vacuum: The Bonn Conferen
https://www.pbs.org/[...]
[3]
뉴스
The new Afghan administration
https://www.theguard[...]
2001-12-05
[4]
뉴스
Remembering Karzai
https://www.rferl.or[...]
[5]
웹사이트
Warlords As Bureaucrats: The Afghan Experience
https://carnegieendo[...]
2023-03-31
[6]
뉴스
Warlords' tanks roll over peace
https://www.theguard[...]
2002-03-03
[7]
뉴스
A NATION CHALLENGED: WARLORDS; Fighting Erupts in Afghan City as Warlords Compete for Power
https://www.nytimes.[...]
2002-01-31
[8]
뉴스
A NATION CHALLENGED: THE FIGHTING; in a Shift, U.S. Uses Airstrikes to Help Kabul
https://www.nytimes.[...]
2002-02-19
[9]
뉴스
Brothers in arms
https://www.economis[...]
2002-08-08
[10]
뉴스
The Prospects for Post-Conflict Afghanistan: A Call of the Sirens to the Country's Troubled Past
http://www.ccc.nps.n[...]
Strategic Insights
2009-06-29
[11]
웹사이트
Ex-Minister Gets Year in Prison, $864K Fine
https://tolonews.com[...]
2023-03-31
[12]
뉴스
Ex-minister Farhang sentenced to one year in jail
https://pajhwok.com/[...]
2021-02-23
[13]
웹사이트
Database
https://www.afghan-b[...]
2023-03-31
[14]
웹인용
Bonn Agreement
http://www.afghan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