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은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이 알 카에다와 탈레반 정권을 공격하기 위해 시작한 군사 작전이다. 역사적 배경은 1978년 사우르 혁명 이후 아프가니스탄의 오랜 전쟁 상태와 소련의 개입, 그리고 냉전 시대의 국제적 대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9.11 테러 이후 미국은 탈레반에게 오사마 빈 라덴의 인도를 요구했으나 거부당하자, 대테러 전쟁을 선포하고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다. 초기 군사 작전은 북부 동맹과의 협력, 공중 폭격, 특수 부대 투입으로 진행되었으며, 마자르-이-샤리프, 카불 함락, 토라 보라 전투 등 주요 전투가 벌어졌다.

전쟁은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에도 게릴라전으로 장기화되었고, 민간인 피해,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취약성, 부패, 미국의 일방주의적 외교 정책 등의 문제점을 야기했다. 2021년 미군 철수 이후 탈레반이 정권을 탈환하면서 아프가니스탄 전쟁은 탈레반의 승리로 끝났다.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제공했지만, 아프가니스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가 참가한 군사 작전 - 2011년 리비아 군사 개입
    2011년 리비아 군사 개입은 카다피 정권의 시위대 탄압에 대한 국제적 우려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시작된 다국적 군사 작전으로, 민간인 보호 명분 아래 비행금지구역 설정 및 무기 금수 조치가 이루어졌으나, 개입의 정당성 논란과 리비아 내전 심화 등 후폭풍을 야기했다.
  • 캐나다가 참가한 군사 작전 - 번영의 수호자 작전
    번영의 수호자 작전은 2023년 12월 미국 주도로 출범한 다국적 해군 부대로, 후티의 공격으로 위협받는 홍해의 해상 보안을 유지하고 항행의 자유를 보장하며 해운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 칸다하르 국제공항
    칸다하르 국제공항은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에 위치하며, 미국이 건설하고 탈레반의 거점이었다가 미군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여러 항공사의 노선이 운항하고 과거에 납치 및 테러 사건이 발생한 공항이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 확고한 지원 임무
    확고한 지원 임무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NATO 주도로 아프가니스탄에서 수행된 군사 훈련, 자문 및 지원 임무로서, 아프가니스탄 국가안보군 및 기관의 역량 강화를 목표로 훈련 자문 지원 사령부를 편성하여 아프간 군단을 지원했다.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분쟁 명칭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분쟁의 부분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테러와의 전쟁
시기2001년 10월 7일 – 2001년 12월 17일
장소아프가니스탄
결과미국 주도 연합군의 승리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년~2001년) 붕괴
아프가니스탄 과도 이슬람 국가 수립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시작
교전 세력
교전국 1미국
북부 동맹
영국
프랑스
캐나다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지원국
튀르키예
러시아
인도
교전국 2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년~2001년)
탈레반
하카니 네트워크
비국가 행위자 동맹
알카에다
055 여단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
테흐리크-에-나파즈-에-샤리아트-에-무함마디
자마아트 알-타우히드 왈-지하드
지원국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조지 W. 부시 (미국)
토니 블레어 (영국)
자크 시라크 (프랑스)
장 크레티앵 (캐나다)
존 하워드 (오스트레일리아)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헬렌 클라크 (뉴질랜드)
모하마드 하타미 (이란)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부르하누딘 라바니 (북부 동맹, 타지크인)
압둘 라시드 도스툼 (북부 동맹, 우즈베크인)
무함마드 모하케크 (북부 동맹, 하자라인)
토미 프랭크스 (미국)
마이클 보이스 경 (영국)
라인하르트 귄젤 (독일)
이스마일 칸 (북부 동맹)
비스밀라 칸 (북부 동맹)
모하마드 파힘 (북부 동맹)
굴 아그하 시르자이 (북부 동맹)
하미드 카르자이 (북부 동맹)
교전국 2 지휘관물라 무함마드 오마르 (탈레반)
오바이둘라 아쿤드 (탈레반)
압둘 카비르 (탈레반)
압둘 가니 바라다르 (탈레반)
악타르 무함마드 만수르 (탈레반)
물라 나지브 (탈레반)
사이푸르 만수르 (탈레반)
모하메트 카디르 (탈레반)
오사마 빈 라덴 (알카에다)
무함마드 아티프 (알카에다)
아이만 알-자와히리 (알카에다)
주마 카시노프 (알카에다)
수피 무함마드 (알카에다)
하산 마흐숨 (알카에다)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미국: 5,500명
북부 동맹: 15,000–20,000명
교전국 2 병력탈레반: 45,000명
파키스탄 지원병: 10,000명 (주장)
알카에다: 2,700명
사상자 및 피해
교전국 1 사상자미국: 13명 사망 (CIA 요원 1명, 비전투 사망 4명 포함)
북부 동맹: 알 수 없음
교전국 2 사상자탈레반: 8,000–12,000명 사망 또는 15,000명 사망/포로
민간인 피해1,537–2,375명 아프가니스탄 민간인 사망
기타 정보
관련 전투크레센트 윈드 작전, 토라보라 전투
2001년 10월에서 2002년 3월 사이 아프간 영토 내 주요 미국 특수 부대 작전
2001년 10월에서 2002년 3월 사이 아프간 영토 내 주요 미국 특수 부대 작전

2. 역사적 배경

2001년 아프가니스탄은 20년 이상 전쟁 상태였다. 1978년 사우르 혁명으로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이 권력을 잡았으나, 그들의 정책은 민중 봉기를 일으켰다. 1994년 파슈툰족 무자헤딘인 물라 오마르는 칸다하르에서 탈레반 운동을 창설했다. 그의 추종자들은 종교 학생들로, 이슬람 율법을 엄격히 준수하여 군벌 통치를 종식시키려 했다. 1994년 말까지 탈레반은 칸다하르 주 전체를 점령했다.[27]

1991년 걸프 전쟁 발발 당시, 미국 중심의 다국적군사우디아라비아에 주둔하면서 현지 무슬림들의 반감을 샀다.[28]

2. 1. 냉전 시대의 아프가니스탄

2001년 아프가니스탄은 20년 이상 전쟁 상태였다. 1978년 공산주의 정당인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은 사우르 혁명으로 권력을 잡았고, 그들의 정책은 민중 봉기를 촉발했다. 소련은 PDPA의 약점을 감지하고 1979년 정권을 지원하기 위해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개입했다.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진입은 미국과 사우디 아라비아 등 냉전 경쟁국들이 소련이 지원하는 PDPA에 맞서 싸우는 반군을 지원하도록 자극했다. 세속적이고 사회주의적인 정부가 도시를 통제하는 동안, 종교적으로 동기 부여된 ''무자헤딘''은 시골 지역의 상당 부분을 장악했다. 가장 중요한 ''무자헤딘'' 사령관은 잘 조직된 타지크 군대를 이끈 아흐마드 샤 마수드였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무자헤딘''에 대한 해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파키스탄의 ISI와 긴밀히 협력했다. 이 전쟁은 "아프간 아랍인"으로 알려진 아랍인 자원병들을 끌어들였으며, 여기에는 오사마 빈 라덴도 포함되었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중인 1986년의 소련군


1989년 2월 소련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 이후, PDPA 정권은 1992년에 붕괴되었다. 그 결과 발생한 권력 공백 속에서, ''무자헤딘'' 지도자들은 1992년부터 1996년까지의 내전에서 지배력을 다투었다.

냉전 시대인 1979년, 미국이 아프가니스탄 정부 전복을 꾀하여 이슬람주의 반정부 세력에게 무기와 자금을 제공(사이클론 작전)함으로써 아프가니스탄 전쟁 (1978년-1989년)이 발발했다.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거듭된 구원 요청을 거절했던 소련은 결국 치안 유지를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군대를 파병했다. 소련군은 9년간의 전투 끝에 철수했고, 이슬람 원리주의 조직이 세력을 확장했다.[27]

2. 2. 탈레반 정권의 등장과 9.11 테러

1990년대 초, 소련군 철수 이후 아프가니스탄은 혼란에 빠졌다. 1996년, 파키스탄의 군사적 지원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재정적 지원을 받은 탈레반카불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에미레이트를 건국했다.[28] 탈레반은 통제 지역에서 근본주의적 해석을 강요하여 여성의 외부 활동이나 학교 출석을 금지하고 부르카 착용을 강제했다.[29]

카불 점령 후, 아흐마드 샤 마수드는 판지시르 계곡으로 물러나 북부 동맹을 결성했다.[29] 북부 동맹은 러시아, 이란, 인도에서 지원을 받았다.[29] 2001년까지 탈레반은 아프가니스탄 영토의 80%를 통제했고, 북부 동맹은 아프가니스탄 북동쪽 구역에 갇혔다.[29]

1996년 수단에서 추방된 오사마 빈 라덴은 아프가니스탄 잘랄라바드에 도착했다.[29] 그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종전 후 지하드를 계속하기 위해 1980년대 후반 알 카에다를 창설했다.[29] 그는 알 카에다의 작전을 아프가니스탄 동부로 옮겼고, 탈레반과 긴밀한 관계를 발전시켰다.[29]

1991년 걸프 전쟁 당시, 미국을 중심으로 한 다국적군사우디아라비아에 주둔하면서 현지 무슬림들의 반감을 샀다.[28]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끄는 알 카에다는 2001년 9월 11일, '''9·11 테러'''를 일으켜 3,062명의 희생자를 냈다.[29]

3.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2001년)

2001년 9월 11일, 알카에다는 9.11 테러를 일으켜 미국을 공격했다. 이 공격으로 약 3,000명이 사망하고 6,0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1] CIA는 공격 배후에 알카에다가 있음을 확인했다.[2] 오사마 빈 라덴은 2004년에 9.11 테러에 대한 책임을 인정했지만,[3] 처음에는 부인했다.[4]

9·11 테러 이전인 2001년 9월 9일, 저널리스트로 위장한 두 명의 알 카에다 조직원이 마수드를 암살했다.[13] 이후 모하마드 파힘이 북부 동맹의 새로운 지도자가 되었다.[14]

당시 탈레반과 북부 동맹의 전력은 다음과 같았다.

구분병력 규모주요 장비기타
탈레반약 45,000명 (아프가니스탄인) + 2,700명 (외국인 용병, 055 여단 포함)[15]주로 러시아제 장비, FIM-92 스팅어 미사일 (미국이 무자헤딘에게 기증)[22], 픽업트럭알리 잘랄리에 따르면 055 여단은 400~600명 규모였으나 오사마 빈 라덴과의 관계로 정치적 중요성[16], 외국인 용병은 아랍인, 카슈미르인, 체첸인, 우즈벡인, 위구르인 등 포함[17], 2001년 10월 중순까지 약 10,000명의 파키스탄 자원병 합류 (대부분 14세 마드라사 학생)[18][19]
북부 동맹15,000~20,000명14.5mm 중기관총, 러시아 포병, T-72 전차,[20] BMP-1 장갑차 (소련 전투 헬리콥터 개조 로켓 포드 장착),[21] 18대의 헬리콥터와 3대의 고정익기 (주로 물류 목적)모하마드 파힘이 아흐마드 샤 마수드 암살 이후 새로운 지도자[14]



양측 모두 인권 유린의 역사가 있었다. 우즈벡인과 하자라인은 "수백 명의 탈레반 포로를 학살하고 카불 북부와 주변의 파슈툰족 마을 사람들을 살해"했으며,[23] 탈레반은 1998년 마자르-이-샤리프를 점령한 후 5,000~8,000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24] 아프가니스탄은 또한 2001년 가뭄으로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에 직면했다. 유엔에 따르면 그 해 500만 명의 아프가니스탄인이 인도주의적 지원을 필요로 했고 380만 명은 유엔 식량 지원 없이는 생존할 수 없었다.[25]

3. 1. 미국의 군사 작전 계획과 목표

9·11 테러로 자국민이 학살당한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는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알 카에다에 대한 반격을 결정했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정권이 알 카에다의 지도자인 오사마 빈 라덴을 숨기고 있었기 때문에[30], 미국 정부는 탈레반 정권에 빈 라덴의 인도를 요구했지만, 탈레반은 이를 거부했다.

2001년 9월 20일 미국 의회 합동 회의에서 연설하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탈레반에게 오사마 빈 라덴을 인도하고 알 카에다 기지를 파괴할 것을 요구했다.


2001년 9월 11일 아침, 알 카에다는 4차례의 조직적인 공격을 감행하여 미국을 공격했으며, 납치된 제트 여객기 4대를 사용했다.[29] 이 공격으로 거의 3,000명이 사망하고 6,0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29] 9월 11일 이른 오후까지, CIA는 알 카에다가 공격의 배후임을 확인했다.[6] 탈레반은 이 공격을 비난했지만,[7] 오마르는 빈 라덴의 연루를 부인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빈 라덴은 결국 2004년에 9.11 테러에 대한 책임을 인정했지만, 처음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부인했다. 빈 라덴의 전략적 목표 중 하나는 미국을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처럼 붕괴될 수 있는 비용이 많이 드는 전쟁으로 끌어들이는 것이었다.

9월 11일 저녁, 부시 대통령은 미국이 공격에 대응할 것이며 "이러한 행위를 계획한 자들과 그들을 숨긴 자들을 구별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2001년 9월 14일, 의회는 알 카에다와 그 지지 세력에 대한 군사력 사용을 승인하는 "대테러 군사력 사용 승인"이라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부시 대통령은 9월 20일 의회에서 연설하며 탈레반에게 빈 라덴과 알 카에다를 넘기거나 전쟁에 직면할 것을 요구했다.

9.11 테러 직후 며칠, 몇 주 동안 오사마 빈 라덴은 자신이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거듭 부인했다.


같은 날, 빈 라덴의 운명을 결정하기 위해 소집된 아프가니스탄 전역의 300명 또는 700명의 이슬람 율법학자들로 구성된 대 의회는 빈 라덴에게 그들의 나라를 떠나라고 요청하는 ''파트와''를 발표했다. 그 ''파트와''는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할 경우 침략자들이 추방될 때까지 지하드가 의무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9월 21일, 오마르는 부시의 요구와 위원회의 조언을 모두 거부하며, 빈 라덴이 9.11 테러의 배후라는 사실을 다시 부인했다.

동시에 미국은 파키스탄에게 탈레반 정권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오마르에게 빈 라덴을 넘기도록 압력을 가할 것을 촉구했다. 9월 12일, 미국은 파키스탄에게 탈레반과의 국경을 폐쇄하고 부시 행정부와 정보를 공유할 것을 요구했다. 파키스탄에 대한 미국의 압력에는 파키스탄이 친구인지 적인지를 선언하라는 최후통첩과 "파키스탄을 석기 시대로 되돌릴" 위협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무샤라프 파키스탄 대통령은 이에 동의하고 ISI 국장을 탈레반과 협상하도록 파견했다. 오마르는 파키스탄에게 빈 라덴을 제3국에 넘길 의향이 있다고 밝혔지만, 미국은 직접 인도를 요구하며 이를 거부했다.

한편, 오마르는 부관 아크타르 모하마드 오스마니에게 파키스탄 주재 CIA 지부장인 로버트 그레니에와 협상하여 빈 라덴을 넘기는 문제를 논의하도록 지시했다. 두 사람은 9월 15일과 10월 2일 퀘타에서 만났다. 후자의 회의에서 오스마니가 탈레반의 온건파에 속하며 빈 라덴을 싫어한다는 것을 알고 있던 그레니에는 오스마니에게 아프가니스탄에서 권력을 장악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오스마니가 이후 빈 라덴을 넘겨준다는 조건으로 쿠데타에 대한 CIA의 지원을 제안했다.[6] 오스마니는 처음에는 이 제안에 관심을 보였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7]

10월 4일, 영국 정부는 빈 라덴을 테러와 연결하는 증거를 요약한 문서를 공개했다. 같은 날,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는 역사상 처음으로 북대서양 조약 제5조를 발동했다. 제5조는 동맹국 중 한 곳에 대한 공격은 모든 회원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10월 7일, 미국의 공중 폭격이 시작되자 부시 대통령은 "충분한 경고가 주어졌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했다.

3. 2. 국제 사회의 반응과 지원

2001년 10월 7일, 미국은 영국, 독일 등 동맹국들과 함께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하여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공습을 시작하고 침공했다.[31] 이전부터 탈레반과 대립하고 있던 북부 동맹도 미국의 군사 작전에 합류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결의안 1267호를 통해 탈레반에 대한 제재를 가하고, 오사마 빈 라덴의 인도를 요구했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북대서양 조약 제5조를 발동하여, 9.11 테러를 회원국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미국을 지원했다.[32]

3. 3. 초기 군사 작전의 전개

2001년 9월 11일, 알카에다는 9.11 테러를 일으켜 미국을 공격했다. 이 공격으로 약 3,000명이 사망하고 6,0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1] CIA는 공격 배후에 알카에다가 있음을 확인했다.[2] 오사마 빈 라덴은 2004년에 9.11 테러에 대한 책임을 인정했지만,[3] 처음에는 부인했다.[4]

미국은 알카에다를 파괴하고 탈레반 정권을 몰아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5] 당시 미국 국방부는 아프가니스탄 침공 계획이 없었기에,[6]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승인한 계획은 CIA가 마련한 것이었다.[7] 부시는 9월 17일에 CIA의 계획을 승인하고 군에게 상세한 전쟁 계획을 개발하도록 지시했다.[8] 군은 9월 21일까지 전쟁 계획을 완료하고 '무한 정의 작전'이라고 명명했으나, 도널드 럼즈펠드 미국 국방장관은 이 이름을 '항구적 자유 작전'으로 변경했다.[9]

도널드 럼즈펠드 미국 국방장관


험난한 지형과 혹독한 기후를 가진 내륙 국가인 아프가니스탄은 군사 작전에 큰 어려움을 안겨주었다. 미국은 우즈베키스탄의 카르시-하나바드 공군 기지(K2)에 주요 기지를 설립했다.[10] 파키스탄은 샤바즈 공군 기지의 사용을 허가했고,[11] CIA는 샴시 비행장에서 프레데터 드론을 운용했다.[12]

2001년 10월 7일,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TV 연설에서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군사 작전을 발표했다. 미군은 B-2, B-52 등 전략 폭격기와 항공모함의 전투기, 순항 미사일을 사용하여 탈레반 지역에 대한 공습을 시작했다. 2001년 10월 19일, 미군 특수 부대가 아프가니스탄에 도착했다.

4. 주요 전투 및 사건

미국 침공 초기, 아프가니스탄은 22년간의 분쟁으로 인해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에 처해 있었다. 수백만 명의 아프가니스탄 난민이 발생하여 인접 국가로 피난하였고,[10] 식량 재고는 부족했으며, 2001년 기준 인구의 70%가 영양실조 상태였다.[9] 유엔 난민 기구는 이러한 위기가 보스니아 전쟁과 르완다 집단 학살의 정점에 이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11]

2001년 9월 기준, 목적지별 아프가니스탄 지역 난민 수[10]
국가난민 수
파키스탄2,000,000
이란1,400,000
인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30,000


  • 2001년 10월 7일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TV 연설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군사 작전을 발표했다. 미국군은 B-2, B-52 등 전략 폭격기와 항공모함에서 발진한 전투기, 순항 미사일 등을 이용하여 탈레반 지역에 대한 공습을 시작했다.
  • 2001년 10월 19일 미군 특수 부대가 아프가니스탄에 도착했다.
  • 2001년 11월 북부 동맹군이 공격을 시작했다.
  • 2001년 11월 12일 북부 동맹군이 헤라트를 점령했다.
  • 2001년 11월 25일 칼라-이-장기 요새에서 탈레반 포로들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CIA 요원 조니 마이클 스팬이 사망하여 미국의 첫 전투 사망자가 발생했다.[12]

4. 1. 마자르-이-샤리프 함락 (2001년 11월 9일)

2001년 11월, 북부 동맹군은 미국의 지원을 받아 공세를 시작했다. 11월 9일, 북부 동맹군은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주요 도시인 마자르-이-샤리프를 점령하여 탈레반의 지배 영역을 크게 줄였다. 이는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초기 중요한 군사적 성과였다.

4. 2. 카불 함락 (2001년 11월 13일)

2001년 11월 13일, 북부 동맹군이 카불을 함락시켰다.[1] 탈레반 정권은 붕괴되었지만[1], 탈레반 지도부와 알 카에다 조직원들은 파키스탄 국경 지대로 도주했다.[1]

4. 3. 토라 보라 전투 (2001년 12월)

토라 보라에 대한 공습


2001년 11월 난가르하르주에 위치한 미 육군 특수 부대 본부


카불칸다하르 함락 후, 오사마 빈 라덴을 포함한 알 카에다 핵심 지도자들은 난가르하르주 잘랄라바드로 철수했다.[32] 이후 이들은 스핀 가르(백색 산맥)의 토라 보라 지역으로 이동했는데, 이곳은 파키스탄 국경에서 20km 떨어진 곳으로,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중 "무자헤딘"이 사용했던 동굴과 방어 시설이 있었다.[32] 탈레반 전투원과 알 카에다 테러리스트 심문 및 신호 가로채기를 통해, 이 지역에 상당수의 외국인 전투원과 고위 지도자들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32]

백악관과 펜타곤은 기존 병력 투입 대신, 현지 모집 아프간 민병대를 지원하는 미군 특수 작전 부대(SOF)를 통해 알 카에다 세력을 고립, 파괴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소련의 경험이 반복되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32]

ODA 572와 CIA 팀은 동부 반 탈레반 민병대 지원을 위해 토라 보라로 파견되었으며, 하즈라트 알리와 모하메드 자만 두 군벌이 지휘했다.[32] 이들은 서로 불신했고, 전투 중 민병대가 서로에게 총격을 가하기도 했다.[32] CIA 자금으로 약 1,000명의 아프간 전투원이 모집되었다.[32] CIA 팀 리더는 게리 번트슨으로, 11월 아프가니스탄 수석 CIA 요원 게리 슈론을 대신했다.[32] 12월 2일, 번트슨은 파키스탄으로 가는 탈출로에 차단 진지 구축을 위해 레인저 대대 투입을 요청했다.[32] 짐 매티스 휘하 해병 1,000명과 제10 산악 사단 군인들도 투입 가능했지만, 프랭크스는 요청을 거부했다.[32]

전투 초, ODA 572는 전투 관제사와 함께 정밀 공습을 요청했고, 아프간군은 알 카에다 진지에 여러 차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은 공격을 감행했지만 제한적 성공을 거두었다.[32] 민병대는 미군 공습 후 아침에 전진했지만, 같은 날 점령지를 포기했다.[32] 라마단 기간이라 매일 밤 잠을 자고 단식을 깨기 위해 기지로 후퇴하기도 했다.[32] 아프간군 공세 교착, CIA와 ODA 팀 과로로, 프랭크스는 12월 9일 JSOC 특수 작전 병력 투입을 결정했다.[32]

델타 포스 A 중대 40명 작전 요원이 CIA로부터 전술 지휘권을 넘겨받아 토라 보라로 전진 배치되었다. 영국 SBS 12명 대원도 함께했다.[32] 델타 작전 요원들은 민병대 내 소규모 팀으로 배치, 빈 라덴 수색 작전을 펼쳤다. 그린 베레와 CIA 작전 요원 도움으로 민병대는 진전을 보였다.[32] 델타 중대 지휘관은 턱브레이커 상황 평가에 동의, 산길 차단을 위한 차단 병력 또는 공중 지뢰 살포를 요청했으나, 프랭크스 장군은 모두 거부했다.

12월 12일, 전투 시작 2주 후 자만은 토라 보라에 갇힌 알 카에다, 탈레반과 협상을 시작했다.[32] 미국과 영국 반대에도 불구, 자만은 알 카에다 항복을 위한 일시 휴전을 선언했다.[32] 이는 055 여단 포함 수백 명 알 카에다 대원들이 밤 사이 파키스탄으로 탈출하는 술책이었다.[32] 피터 버겐에 따르면, 빈 라덴은 12월 12일 밤 토라 보라를 떠나 쿠나르주로 갔다.[32]

다음 날, 사망한 알 카에다 전투원에게서 회수한 라디오로 델타 중대, SBS, CIA, MI6 대원들은 빈 라덴 목소리를 들었다. 그는 추종자들에게 사과하고 항복을 축복했는데, 이는 탈출 위한 후위 작전 테러리스트들에게 보낸 녹음으로 추정된다. 토라 보라 CIA 턱브레이커 팀 리더는 두 알 카에다 그룹 탈출을 믿었다. 130명 소규모 지하디 그룹은 동쪽 파키스탄으로, 빈 라덴과 200명 사우디, 예멘 지하디 포함 두 번째 그룹은 산 넘어 파키스탄 파라치나르로 갔다. 델타 중대 지휘관은 빈 라덴이 12월 16일 경 국경을 넘었다고 믿었다. 델타 정찰팀 '재칼'은 카무플라주 재킷 입고 많은 전투원과 동굴로 들어가는 키 큰 남자 발견, 빈 라덴으로 추정, 공습 요청했으나, 잔해 DNA는 빈 라덴과 불일치했다.[32] 대부분 적 사라져, 12월 17일 전투 종료.[32]

12월 20일, ODA 561은 동굴 정보 수집, 테러리스트 시체 DNA 샘플 수집 위해 ODA 572 지원, 백색 산맥에 투입되었다.[32] 미군, 영국군 1월까지 수색했지만 알 카에다 지도부 흔적은 없었다. 전투 중 알 카에다 전투원 약 220명 사망, 52명 포로. 미국, 영국 인명 피해는 없었다.[32]

이후 군은 빈 라덴 체포 위해 토라 보라 지상군 미투입 비판을 받았다.[33] 숀 네일러에 따르면, 프랭크스는 "대규모 부대 배치, 소련 실수 반복 강박관념"에 반대, 대중 저항 우려.[32] 다른 설명은 관심이 딴 곳에 있었다는 것. 프랭크스는 빈 라덴 탈출 가능성 있는 12월 12일 이라크 침공 계획 럼즈펠드 국방장관에게 브리핑.[32] 물류 장애도 있었다. 육군 공식 역사: 아프간 공수 자산 제한, 대규모 지상군 스핀 가르 수송, 재보급 "본질적 불가능".[32] 매티스는 5일 유지 보급, 산길 포병 관측병 투하 등 실행 가능 계획 개발.[33]

4. 4. 칼라-이-장기 전투 (2001년 11월 25일)

2001년 11월, 마자르이샤리프 인근 칼라-이-장기 요새에 수감되어 있던 탈레반 포로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CIA 요원 조니 마이클 스팬이 사망하면서, 미국의 첫 전투 사망자가 발생했다.[12] 미군과 북부동맹은 이 반란을 진압하였다.

5. 전쟁의 장기화와 문제점

탈레반 정권은 붕괴되었지만, 정권을 잃은 탈레반은 각지에서 게릴라전을 펼치며 분쟁은 장기화되었다. 20년 후인 2021년 미군이 완전 철수하자 탈레반은 대공세를 펼쳐 정권을 탈환[34]했다. 이로써 아프간 전쟁은 탈레반의 승리로 끝났다.

2001년 당시 아프가니스탄은 가뭄으로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에 직면했다. 유엔에 따르면 그해 500만 명의 아프가니스탄인이 인도주의적 지원을 필요로 했고, 380만 명은 유엔 식량 지원 없이는 생존할 수 없었다.[34]

전쟁 당사자 양측 모두 인권 유린의 역사가 있었다. 우즈벡인과 하자라인은 "수백 명의 탈레반 포로를 학살하고 카불 북부와 주변의 파슈툰족 마을 사람들을 살해"했으며,[34] 탈레반은 1998년 마자르-이-샤리프를 점령한 후 5,000~8,000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34]

5. 1. 탈레반의 부활과 저항

주어진 요약에 따르면, 탈레반은 파키스탄 국경 지대를 근거지로 삼아 게릴라전을 펼치며 저항했고,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국제안보지원군(ISAF)을 공격하고 민간인을 대상으로 테러를 자행했다. ISAF는 2001년 12월 20일 UN 승인으로 창설되어 카불과 그 주변 지역 치안을 담당했다. 2003년 이라크 전쟁으로 미국의 관심이 아프가니스탄에서 멀어지면서 탈레반이 세력을 키웠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제공된 원문은 2001년 10월~11월 미군 특수부대의 초기 작전(예: Objective Rhino, 델타 포스의 Objective Gecko)과 압둘 하크의 반란 시도 및 처형, 미군 항공기의 탈레반 전선 공격 전환, 특수부대(ODA)와 현지 군벌 협력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요약된 내용과 원문의 내용은 서로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지만, 이 섹션의 제목이 '탈레반의 부활과 저항'이므로, 원문에서 탈레반의 저항과 관련된 초기 군사 작전 내용을 일부 발췌하여 섹션 내용에 맞게 구성할 수 있다.

2001년 10월 19일, 미군 특수부대는 Objective Rhino 작전을 통해 칸다하르 남쪽 착륙장에 낙하했다. 이 과정에서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와 AC-130 건쉽이 해당 지역을 폭격 및 기총 소사하여 탈레반 전투원 11명을 사살하고 9명을 도주하게 만들었다.[12]

10월 23일, 반 탈레반 파슈툰 지도자 압둘 하크는 낭가르하르에서 탈레반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려다 체포되어 처형당했다.[12]

11월 초, 미군 항공기는 전략적 목표물 공격에서 탈레반 전선 공격으로 전환했다. 이는 탈레반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는 조치였다.

5. 2. 민간인 피해와 인권 문제

미군과 국제안보지원군(ISAF)의 군사 작전으로 인해 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다.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민간인 사상자 수는 수만 명에서 수십만 명으로 추정된다. 오폭, 무차별 폭격, 야간 급습 등으로 인해 민간인들이 희생되면서 아프가니스탄 국민들의 반미 감정이 커졌다.

브라운 대학교의 전쟁 비용 프로젝트는 침공 기간 동안 1,537명에서 2,375명의 민간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14] 휴먼 라이츠 워치에 따르면, 침공 기간 동안 북부 동맹은 파슈툰족 마을에 대한 조직적인 공격을 감행하여 여성들을 강간하고, 민간인을 즉결 처형하며, 가축과 토지를 훔쳤다.[14]

5. 3.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취약성과 부패

2001년 11월 말, 유엔 주최로 본 회의가 열렸다.[13] 이 회의에는 탈레반은 배제되었고,[13] 세 개의 아프가니스탄 반대 세력이 참여했다.[13] 인접국 및 기타 주요 관련 국가의 대표는 옵서버로 참여했다.[13] 그 결과 본 협정이 체결되어 아프가니스탄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으며, 새로운 헌법과 새로운 아프가니스탄 정부 수립을 위한 본 프로세스가 개시되었다.[13] 본 회의 이후, 부족 지도자들과 망명 인사들은 하미드 카르자이 하에 카불에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13]

하지만, 하미드 카르자이 정부는 권위주의적인 통치와 만연한 부패로 인해 국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탈레반과의 평화 협상에 실패하고, 효과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6. 전쟁의 결과와 영향

2001년 10월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초기, 미국과 영국 등에서는 군사 행동 지지 여론이 높았으나,[15] 대한민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는 반대 여론도 상당했다.[16] 아프가니스탄 내에서는 미국의 개입에 대한 지지가 있었으며, 특히 탈레반에게 억압받던 비파슈툰족 사이에서 그러했다.[18]

2001년 12월 20일, UN은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을 승인하여 아프가니스탄 안보 유지를 지원했다.[17] ISAF는 초기에 카불과 그 주변 지역에 한정되었으며, 2002년 2월 미국은 ISAF의 작전 범위를 확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18] 이는 훗날 큰 실수로 평가받는데, 카르자이 정부가 지방 군벌 세력에게 의존하게 만들었고, 이는 국가 안정에 악영향을 미쳤다.[19]

미군은 카불 북쪽 바그람 공군 기지를 주요 기지로 삼았고,[20] 칸다하르 공항 또한 중요한 기지로 활용되었다.[21] 동부 지역에는 전초 기지를 설치하여 탈레반과 알 카에다 잔당을 추적했다.[22] 2002년 3월, 아나콘다 작전으로 샤이코트 계곡에서 탈레반과 알 카에다 세력을 소탕하려 했으나, 미군도 상당한 피해를 보았다.[23]

2001년 12월 바그람 공군 기지에서 미 국방장관 도널드 럼즈펠드와 병사들


도널드 럼즈펠드 당시 미국 국방장관은 신속한 작전 수행 후 철수를 목표로 정밀 대테러 작전에 집중하고, 아프가니스탄 군을 새로 건설하려 했다.[24] 그러나 2002년 중반 "아프가니스탄 전쟁은 끝났다"라는 럼즈펠드의 발표는 현지 상황과 맞지 않았으며, 아프가니스탄 군 규모도 축소되었다.[25]

2002년 1월 12일 자지 산에서 태스크 포스 K-바 소속 미 해군 특수 부대원들이 민감한 현장 활용 수행


2002년 4월,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 재건을 위한 '마셜 플랜'을 언급했지만,[26] 2003년 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지원은 줄어들었다.[27] 침공 이후, 수백만 명의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이 귀환하여 국가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18][19]

6. 1. 인명 피해와 인도주의적 위기

브라운 대학교의 전쟁 비용 프로젝트는 침공 기간 동안 1,537명에서 2,375명의 민간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14] 북부 동맹의 사상자는 알려지지 않았다.[14] 미국의 사상자는 군인 12명과 CIA 요원 1명(마이크 스팬)이었으며,[15] 탈레반은 8,000명에서 12,000명이 사망했다.[16] 휴먼 라이츠 워치는 침공 기간 동안 북부 동맹이 파슈툰족 마을에 대한 조직적인 공격을 감행하여 여성들을 강간하고, 민간인을 즉결 처형했으며, 가축과 토지를 훔쳤다고 기록했다.[14]

침공과 탈레반 정권 전복 이후, 수백만 명의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이 이전 수십 년간의 전쟁으로 파키스탄과 이란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왔다. 2012년까지 570만 명 이상이 귀환하여 국가 인구가 25% 증가했다.[18][19]

6. 2. 미국의 대테러 전쟁과 국제적 위상

2001년 10월, 여론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약 88%, 영국인의 약 65%가 군사 행동을 지지했다.[15] 입소스-레이드가 2001년 11월과 12월 사이에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66%), 프랑스 (60%), 독일 (60%), 이탈리아 (58%), 영국 (65%)에서 미국 공습을 지지하는 여론이 다수였고, 아르헨티나 (77%), 중국 (52%), 대한민국 (50%), 스페인 (52%), 터키 (70%)에서는 반대하는 여론이 다수였다.[16] 9월 29일 워싱턴 D.C.에서 2만 명,[15] 10월 7일 런던에서 2만 명[16] 등 침공 반대 시위가 여러 차례 열렸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인류학자 토마스 바필드에 따르면 "특히 비파슈툰족 사이에서 미국의 개입에 대한 놀라운 수준의 대중적 지지"가 있었다.[18] 2001년 11월, CNN은 탈레반이 도시에서 도망친 후 카불 주민들 사이에서 젊은 남성들이 수염을 깎고 여성들이 부르카를 벗는 등 광범위한 안도감이 있었다고 보도했다.[19]

역사학자 카터 맬라시안에 따르면, 이 작전은 "놀라운 군사적 성공"이었다. 미국은 110명의 CIA 요원, 350명의 특수 작전 요원, 5,000명의 레인저와 해병대만 투입하고도 전쟁 목표를 달성했다. 현지 전투원과 협력하여 정밀 공습을 요청하는 특수 부대의 모델은 미국이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시리아에서 벌인 이후 작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신속한 승리의 한 가지 설명은 아프가니스탄 문화에서 전투원들이 승리가 불가피하다고 여겨지면 승리하는 편으로 전향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인류학자 토마스 바필드는 "탈레반이 싸우지 않고도 승자라고 사람들을 설득하고, 흔들리는 지휘관들의 변절을 백 달러짜리 지폐가 가득한 가방으로 매수하여 권력을 잡았듯이, 그들은 역의 과정을 거쳐 전쟁에서 졌다."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패턴은 2021년 탈레반 공세에서도 되풀이되었는데, 미국이 지원하는 정부가 붕괴되고 부활한 탈레반이 카불에 무혈 입성하기 전에 일주일 만에 12개의 주도를 점령했다.

그러나 미국이 2003년 3월 침공한 이라크 전쟁에 대한 약속이 커지면서 점점 더 많은 자원을 흡수했고, 이는 아프가니스탄에 그러한 자원을 투입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6. 3. 한국의 입장과 역할

Trent영어 작전은 영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초기 군사 작전이다. 이 작전에서 영국 특수공수단(SAS)은 아편 생산 시설 파괴 임무를 맡았다.

2001년 11월, G 중대 공중 부대의 8명으로 구성된 정찰대가 HALO 낙하산 강하를 수행하여 레지스탄의 사막 지역에 착륙하였다. 이들은 C-130 허큘리스 수송기의 착륙을 위한 임시 활주로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했다.[1]

공격 부대는 A 중대와 G 중대의 작전 요원들로 구성되었으며, 38대의 랜드로버 사막 정찰 차량, 2대의 물류 차량, 8대의 가와사키 오토바이를 이용했다. A 중대는 공격을, G 중대는 화력 지원을 제공했다.[1]

공격은 준비 공습으로 시작되었고, A 중대는 차량에서 내려 목표물을 향해 도보로 접근했다. G 중대는 중화기로 엄호 사격을 제공했고, 공중 지원이 이루어졌다. 임무는 4시간 동안 지속되었고 4명의 SAS 대원이 부상을 입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Uzbek Militancy in Pakistan's Tribal Region http://www.underst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War 2023-11-30
[2] 웹사이트 Inside rebel Pakistan cleric's domain - USATODAY.com http://www.usatoday.[...] 2009-05-01
[3] 뉴스 Top Pakistani militant released http://news.bbc.co.u[...] 2008-04-21
[4] 뉴스 Al-Zarqawi's Biography https://www.washingt[...] 2006-06-08
[5] 서적 The Osama bin Laden I Know 2006
[6] 서적 The Good War: Why We Couldn't Win the War Or the Peace in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Jonathan Cape 2014
[7] 서적 The Good War: Why We Couldn't Win the War Or the Peace in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Jonathan Cape 2014
[8] 뉴스 Afghan refugee crisis spreads https://edition.cnn.[...] 2001-09-20
[9] 웹사이트 Afghanistan: Life barely worth living: UN - Afghanistan | ReliefWeb https://reliefweb.in[...] 2001-10-12
[10] 웹사이트 Afghanistan's Refugee Crisis https://merip.org/20[...] 2001-09-24
[11] 웹사이트 Millions of Afghans About to Starve https://www.foxnews.[...] 2015-03-25
[12] 서적 Weapon of Choice: ARSOF in Afghanistan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13] 웹사이트 This 85-year-old Special Forces legend has one of the most badass military resumes we've ever seen https://www.wearethe[...] 2020-02-05
[14] 웹사이트 How US-Funded Abuses Led to Failure in Afghanistan https://www.hrw.org/[...] 2021-07-06
[15] 뉴스 New York City protest opposes war in Afghanistan http://www.wsws.org/[...] Wsws.org
[16] 뉴스 20,000 join anti-war protest https://www.theguard[...] Guardian 2001-10-13
[17] 뉴스 Kabul residents relish new freedoms https://web.archive.[...] CNN 2001-11-14
[18] 웹사이트 2012 UNHCR country operations profile - Afghanistan https://web.archive.[...] UNHCR 2012-06-04
[19] 웹사이트 Afghan Refugees https://web.archive.[...] Costs of War 2012-11
[20] 웹사이트 米、アフガン攻撃を開始 タリバーン防空施設を空爆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01-10-08
[21] 웹사이트 タリバーン全面投降、組織壊滅へ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01-12-07
[22] 서적 アフガニスタン―戦乱の現代史 渡辺光一 2003-03-20
[23] 웹사이트 アフガニスタン概況 https://www.mofa.go.[...] 外務省 2003-02-20
[24] 웹사이트 アフガニスタン https://web.archive.[...] 外務省 2001-04-02
[25] 웹사이트 アフガニスタン戦争 https://www.nikkei49[...] 日本経済新聞 2021-10-01
[26] 웹사이트 20年間のアフガン戦争で市民4万6000人が死亡…米軍の空爆強化で巻き添えや誤爆増加、今後も犠牲拡大の懸念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1-09-29
[27] 웹사이트 出典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東洋経済 2021-08-20
[28] 웹사이트 出典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NHK 2021-03-24
[29] 웹사이트 出典 https://www.mofa.go.[...] 外務省 2002-05
[30] 웹사이트 出典 https://www.moj.go.j[...] 公安調査庁
[31] 웹사이트 出典 https://yoshinori-ko[...] 小林よしのり 2015-07-21
[32] 서적 The American War in Afghanistan: A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33] 서적 The Longest War: The Enduring Conflict between America and Al-Qaeda Free Press 2011-06-28
[34] 웹사이트 出典 https://news.ntv.co.[...] 日本テレビ放送網|日本テレビ 2021-08-16
[35] 간행물 From Soldier to Civilian: DISARMAMENT DEMOBILISATION REINTEGRATION IN AFGHANISTAN DIIS
[36] 뉴스 Why Al Qaeda Wants a Safe Haven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2009-10-23
[37] 뉴스 Bush rejects Taliban offer to hand Bin Laden over https://www.theguard[...] 2015-01-24
[38] 뉴스 After the September Eleventh Terrorist attacks on America, "It's time for war, Bush and Blair tell Taliban – We're ready to go in – PM|Planes shot at over Kabul" https://www.theguard[...] 2001-10-07
[39] 뉴스 Canada in Afghanistan: 2001 http://afghanistan.n[...] 2013-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