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부동맹 (아프가니스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부 동맹은 1996년 탈레반 정권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된 아프가니스탄의 반 탈레반 연합 세력이다. 타지크족, 하자라족, 우즈베크족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아흐마드 샤 마수드가 주요 지도자였다. 1990년대 이란, 인도, 러시아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았으며, 탈레반에 대항하여 아프가니스탄의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군의 지원을 받아 탈레반 정권을 붕괴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후 아프가니스탄 과도 정부에 참여했다. 2021년 탈레반의 재집권 이후 아흐마드 마수드의 아들 아흐마드 마수드와 암룰라 살레가 이끄는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으로 재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정치 - 탈레반
    탈레반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활동하는 이슬람 근본주의 무장 단체로, 샤리아 법을 적용한 통치와 인권 유린 등으로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으며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기도 했으나, 현재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정치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은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과 동맹국이 탈레반 정권을 응징하고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시작되어, 탈레반 축출과 미군 철수, 탈레반의 재장악으로 종결되었으며, 막대한 인명 피해와 사회적 영향을 남겼다.
  • 아프가니스탄 분쟁 (1978년~현재) -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은 1978년 사우르 혁명으로 수립된 공산주의 국가로, 소련의 지원 아래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이슬람 세력의 반발과 내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1992년 붕괴되었다.
  • 아프가니스탄 분쟁 (1978년~현재) - 카불 함락 (2021년)
    2021년 카불 함락은 2021년 8월 15일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을 점령하여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정부가 붕괴된 사건이다.
  • 유격대 - 후크발라합
    후크발라합은 1942년 루손섬에서 결성된 농민 기반 반일 게릴라 조직으로, 일본군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표로 활동했으나, 전후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탄압받으며 필리핀 사회의 불평등과 토지 문제를 드러낸 반란을 일으켰다.
  • 유격대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은 서사하라 독립을 목표로 결성된 무장 정치 조직으로, 모로코와 무력 투쟁 후 휴전했으나, 국민투표 연기와 모로코의 자치권 부여 방안 제시로 갈등이 지속되고 2020년 휴전이 깨지면서 서사하라의 미래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북부동맹 (아프가니스탄)
개요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의 국기 (1992-1996, 2001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의 국기 (1992-1996, 2001년)
1996년 아프가니스탄 북부 동맹과 탈레반의 최대 영토 통제 상황
1996년 아프가니스탄 북부 동맹 (파란색)과 탈레반 (빨간색)의 최대 영토 통제 상황
기본 정보
명칭아프가니스탄 구원을 위한 통합 이슬람 국민 전선
페르시아어جبهه متحد اسلامی ملی برای نجات افغانستان (자브헤-예 무타헤드-에 에슬라미-예 밀리 바라이-예 네자트-에 아프가네스탄)
다른 이름ائتلاف شمال (에테라프-에 쇼말, 북부 동맹)
اتحاد شمال (에테하드-에 쇼말, 북부 연합)
존속 기간1992년 1월 ~ 2001년 12월
본부탈로칸 (2000년 9월까지)
파이자바드 (2000년 9월 ~ 2001년 11월)
활동 지역아프가니스탄
이념탈레반
반 알카에다
이슬람 민주주의
규모80,000명 (1997년)
50,000명 (2001년)
소속 국가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지도부
주요 지도자부르하누딘 라바니
아흐마드 샤 마수드
무함마드 파힘
아티쿨라 바르얄라이
압둘 라시드 도스툼
압둘라 압둘라
하지 압둘 카디르
무함마드 모하케크
카림 할릴리
동맹 및 적대 세력
국가 동맹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인도
이란
이탈리아
일본
대한민국
뉴질랜드
러시아
타지키스탄
튀르키예
투르크메니스탄 (1997년)
우크라이나
영국
미국
우즈베키스탄
비국가 동맹나토
국가 적대 세력탈레반 (1996-2001)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1992)
비국가 적대 세력탈레반
알카에다
관련 전쟁
참전제2차 아프가니스탄 내전
제3차 아프가니스탄 내전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2021)
미국 아프가니스탄 침공

2. 역사적 배경

1992년 소련의 지원을 받던 나지불라 정권이 붕괴하고, 무자헤딘 세력 간의 내전이 발발했다. 이 혼란한 상황 속에서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는 탈레반이 급부상했다. 1996년 탈레반은 수도 카불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수립했다.[4] 이에 맞서 아흐마드 샤 마수드와 압둘 라시드 도스툼 등은 북부 동맹을 결성하여 탈레반에 저항했다.

북부 동맹에는 타지크족, 우즈벡족, 하자라족, 파슈툰족 등 여러 민족이 참여했다. 1990년대 내내 이란은 북부 동맹의 주요 후원국이었으며, 인도러시아가 그 뒤를 이었다.[27] 반면, 탈레반파키스탄,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의 지원을 받았다.[28]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항구적 자유 작전을 개시하여 북부 동맹과 협력하여 탈레반 정권을 공격했다. 북부 동맹은 미국의 공중 지원을 받아 2001년 11월 카불을 탈환하고,[71] 탈레반 정권 붕괴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 1. 아프가니스탄 내전과 북부 동맹의 결성

1990년대 초, 모하마드 나지불라 정권이 무너진 후 아프가니스탄은 무자헤딘 파벌 간의 권력 다툼으로 혼란에 빠졌다.[4] 이란시아파 하자라족의 헤즈-에 와흐다트를 지원했고,[14][15][16] 사우디 아라비아는 와하브파 파슈툰족의 압둘 라술 사이야프와 그의 이티하드-에 이슬라미 파벌을 지원하며 대리전을 벌였다.[14][15]

1994년,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는 탈레반 운동이 자미아트 울레마-에-이슬람이 운영하는 파키스탄 아프간 난민을 위한 종교 학교에서 시작되어 정치-종교 세력으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전했다.[20] 이들은 1994년 11월 남부 도시 칸다하르를 장악하고 빠르게 세력을 확장했다.[19] 많은 분석가들은 탈레반을 파키스탄의 지역적 이익을 위한 대리전 세력으로 묘사한다.[14]

1996년 말 아프가니스탄 상황 지도; 마수드 (빨간색), 도스툼 (녹색) 및 탈레반 (노란색) 영토.


1996년 9월 26일, 파키스탄의 군사적 지원과 사우디 아라비아의 재정적 지원을 받은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수립했다. 이에 과거 동맹이자 적이었던 아흐마드 샤 마수드와 압둘 라시드 도스툼은 탈레반에 맞서 연합 전선(북부 동맹)을 결성했다. 이 연합 전선에는 마수드의 타지크족 군대와 도스툼의 우즈벡족 군대 외에도, 하지 모하마드 모하키크가 이끄는 하자라족 병력과 압둘 하크, 하지 압둘 카디르와 같은 지휘관들이 이끄는 파슈툰족 병력이 포함되었다.

2. 2. 외세의 개입과 탈레반의 득세

1990년대 내내 이란북부동맹의 주요 후원국이었으며, 인도러시아가 그 뒤를 이었다.[27] 반면, 탈레반파키스탄,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의 지원을 받았다.[28] 인도와의 동맹 관계 때문에 파키스탄은 북부 동맹의 승리가 파키스탄을 인도와 인도 동맹국인 북부 동맹 양쪽에 포위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29][30][31] 1990년대 동안 터키도 북부 동맹을 지원했다.[32]

카르자이 행정부에 대한 인도의 지원과 그 결과 카르자이의 아프가니스탄 정부 관리들 사이에서 압도적인 인도로 인해, 파키스탄은 2001년에 탈레반을 육성하여 이러한 위협을 무력화하려 했다.[34] 인도가 제공한 지원은 제복, 무기, 박격포, 소형 무기, 개조된 칼라시니코프, 전투복, 겨울옷, 자금 지원 등을 포함하여 광범위했다.[35] 2001년 한 해에만 여러 국제 소식통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 지하드 기간 동안 파키스탄으로 피난한 28,000~30,000명의 아프가니스탄인, 14,000~15,000명의 아프간 탈레반, 2,000~3,000명의 알 카에다 무장세력이 약 45,000명 규모의 군사력으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반 탈레반 세력과 싸웠다.[24][57][36][37] 당시 육군 참모총장이었던 파키스탄 대통령 페르베즈 무샤라프는 탈레반 및 오사마 빈 라덴과 함께 아흐마드 샤 마수드의 군대에 맞서 싸우기 위해 수천 명의 파키스탄인을 파견하는 데 책임이 있었다.[24][25][38]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한 후, 이란의 북부 동맹에 대한 지원은 극적으로 증가했다. 이란은 북부 동맹에 대량의 무기를 수송하기 위해 마슈하드와 바그램, 쿨랴브의 아프간 공군 기지 사이에 "공중 다리"를 구축했다.[40]

1998년, 이란은 파키스탄 공군이 탈레반 세력을 지원하기 위해 마자리샤리프를 폭격했다고 비난했으며 파키스탄군을 바미안에서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고 직접 비난했다.[43] 같은 해 러시아는 파키스탄이 다수의 파키스탄 군인을 파견하여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북부 군사 확장에 책임이 있으며, 그들 중 일부는 이후 반 탈레반 연합군에 의해 포로로 잡혔다고 말했다.[44]

2000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탈레반에 대한 군사 지원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부과했으며, 유엔 관계자는 파키스탄을 명시적으로 지목했다. 유엔 사무총장은 파키스탄의 군사 지원을 암묵적으로 비판했으며, 안전 보장 이사회는 "수천 명의 비아프간 국적자들이 탈레반 측의 전투에 관여했다는 보고에 깊이 고통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45] 2001년 7월,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은 파키스탄이 "탈레반에 대한 군사 지원으로 인해 유엔 제재를 위반하고 있다"고 비난했다.[46]

2001년 11월 카불이 반 탈레반 세력에 함락되자, ISI 군은 탈레반 민병대와 협력하여 후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52] 2001년 11월, 탈레반, 알 카에다 전투원 및 ISI 요원은 "악의의 공수 작전"이라고 불린 작전에서 파키스탄 공군 화물 항공기를 통해 쿤두즈에서 파키스탄의 치트랄길기트에 있는 파키스탄 공군 기지로 안전하게 대피했다.[53]

파키스탄 군의 역할은 국제 관찰자들과 반 탈레반 지도자 아흐마드 샤 마수드에 의해 "점증하는 침공"으로 묘사되었다.[54]

2. 3. 9.11 테러와 북부 동맹의 부활

2001년 9월 9일, 알 카에다 소속으로 추정되는 두 명의 아랍인이 기자로 위장하여 아흐마드 샤 마수드를 인터뷰하던 중 비디오 카메라에 숨겨진 폭탄을 터뜨려 암살했다.[69] 마수드는 헬리콥터로 병원으로 이송되던 중 사망했으며, 판지시르 계곡의 바자락 고향 마을에 묻혔다.[69]

이틀 뒤인 2001년 9월 11일, 미국에서 9.11 테러가 발생하여 약 3,000명이 사망했다.[70] 마수드의 암살은 이 테러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며, 마수드가 몇 달 전 유럽 의회 연설에서 경고했던 대규모 공격으로 보인다.[68]

9.11 테러 이후, 미국은 탈레반에게 테러의 주모자로 지목된 오사마 빈 라덴과 알 카에다의 인도를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이에 미국은 항구적 자유 작전을 개시하여 북부 동맹과 협력하여 탈레반 정권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북부 동맹은 미국의 공중 지원을 받아 2001년 11월 카불을 탈환하고,[71] 탈레반 정권 붕괴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3. 주요 세력 및 지도자

북부 동맹은 다양한 민족과 종교적 배경을 가진 여러 군벌들의 연합체였다. 1999년 초부터 아흐마드 샤 마수드는 탈레반에 대항하여 자신의 영토를 방어할 수 있는 유일한 주요 지도자였으며, 북부 동맹의 실질적인 정치 및 군사 지도자로 인정받았다. 마수드는 동맹의 주요 정치 노선과 군사 전략을 결정했지만, 준비쉬-이 밀리나 헤즈브-에 와흐다트와 같은 일부 군사 세력은 마수드의 직접적인 통제 없이 각 지역 또는 민족 지도자 아래에 있었다.[5]

2009년 아프가니스탄 대통령 선거의 주요 후보였던 압둘라 압둘라하미드 카르자이는 모두 북부 동맹에서 활동했다. 압둘라는 마수드의 가까운 친구이자 동맹의 외무 장관이었고, 카르자이의 아버지는 탈레반에 의해 살해되었으며, 카르자이는 이후 유럽과 미국에서 마수드를 지원하는 외교 임무를 수행했다.

3. 1. 주요 세력

북부 동맹의 군사 사령관은 독립적이거나 다음 정당 중 하나에 속해 있었다.

정당주도 민족주요 지도자
자미아트-에 이슬라미 및 슈라-에 나자르수니파 타지크족부르하누딘 라바니, 아흐마드 샤 마수드
헤즈브-에 와흐다트시아파 하자라족무하마드 모하키크, 카림 칼릴리
준비쉬-이 밀리수니파 우즈베크족과 투르크멘족압둘 라시드 도스툼
동부 슈라수니파 파슈툰족하지 압둘 카디르
하라카트-에 이슬라미시아파 타지크족과 하자라족아시프 모흐세니, 사예드 모하마드 알리 자위드

[5][13]

3. 2. 주요 지도자

다음은 북부 동맹의 주요 지도자들이다.

  • '''아흐마드 샤 마수드''': 타지크족 출신으로, 북부 동맹의 상징적인 군사 지도자였다. 뛰어난 군사 전략으로 탈레반에 저항했으며, 2001년 9월 9일 알 카에다에 의해 암살당했다.[69]
  • '''압둘 라시드 도스툼''': 우즈베크족 군벌로,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북부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 '''부르하누딘 라바니''': 타지크족 출신으로 북부 동맹의 정치적 지도자였으며,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 '''모하마드 파힘''': 타지크족 출신으로 마수드의 후계자였으며, 국방 장관을 역임했다.
  • '''압둘라 압둘라''': 타지크족 출신으로 북부 동맹의 외무 장관을 역임했으며, 이후 아프가니스탄 정부에서 요직을 맡았다.


이 외에도 자미아트-에 이슬라미, 슈라-에 나자르, 헤즈브-에 와흐다트, 준비쉬-이 밀리, 동부 슈라, 하라카트-에 이슬라미 등 다양한 정당 및 군사 조직의 지도자들이 북부 동맹에 참여했다.

4. 국제 관계

1996년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함락시키자, 무자헤딘 세력은 연합하여 아프가니스탄 구국·민족 이슬람 통일 전선(북부 동맹)을 결성했다.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정부는 국제 연합에서의 대표권을 유지했지만, 탈레반 정권을 승인한 국가는 파키스탄,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3개국에 불과했다.

북부 동맹은 타지크인, 하자라족, 우즈베크인 등 여러 민족으로 구성되어, 파슈툰족 중심의 탈레반과 대립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을 비롯한 다국적 연합군의 공격과 북부 동맹의 공세로 탈레반 정권은 붕괴되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373호는 "탈레반 정권을 교체하려는 아프가니스탄 국민의 노력을 지원"한다고 명시하여 북부 동맹에 의한 정권 교체를 승인했다.

북부 동맹의 주요 후원국은 이란, 인도, 러시아, 터키 등이었고, 탈레반은 파키스탄,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의 지원을 받았다.

4. 1. 북부 동맹 지원 국가

이란, 인도, 러시아, 터키는 1990년대 내내 북부 동맹의 주요 후원국이었다.[27]

국가지원 내용 및 이유
이란시아파 이슬람 국가인 이란은 수니파 탈레반에 반대하는 시아파 하자라족 중심의 헤즈-에 와흐다트를 지원하여 그들의 군사력과 영향력을 극대화하고자 했다.[14][15][16]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한 후, 이란의 북부 동맹에 대한 지원은 더욱 증가했다. 이란은 마슈하드와 바그램, 쿨랴브의 아프간 공군 기지 사이에 공중 다리를 구축하여 대량의 무기를 북부 동맹에 수송했다.[40] 1997년에는 하루에만 13편의 이란 항공편이 바그램에 도착했다는 보고도 있었으며,[40] 타지키스탄을 통해 700톤의 무기를 보낸 것이 발견되기도 했다.[40]
인도인도는 파키스탄을 견제하기 위해 북부 동맹을 지원했다. 인도는 제복, 무기, 박격포, 소형 무기, 개조된 칼라시니코프, 전투복과 겨울옷, 자금 등을 북부 동맹에 제공했다.[35]
러시아러시아는 탈레반의 이슬람 극단주의 확산을 우려하여 북부 동맹을 지원했다. 1998년 10월에서 11월까지 북부 동맹은 이란과 러시아 무기를 사용하여 우즈베키스탄 및 타지키스탄 국경 근처에서 탈레반으로부터 영토를 탈환하기도 했다.[42]
터키터키는 1990년대 동안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북부 동맹을 지원했다.[32]


4. 2. 탈레반 지원 국가

طالبان|탈레반ar을 지원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국가지원 내용
파키스탄탈레반을 지원하여 아프가니스탄에 친 파키스탄 정권을 수립하려 했다.[14][25] 1990년대 파키스탄은 탈레반의 주요 후원국 중 하나였다.[28] 2001년 한 해에만 여러 국제 소식통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 지하드 기간 동안 파키스탄으로 피난한 28,000~30,000명의 아프가니스탄인, 14,000~15,000명의 아프간 탈레반, 2,000~3,000명의 알 카에다 무장세력이 약 45,000명 규모의 군사력으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반 탈레반 세력과 싸웠다.[24][57][36][37]
사우디아라비아와하비즘 이념을 공유하는 탈레반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14][25] 1990년대 사우디아라비아는 탈레반의 주요 후원국 중 하나였다.[28]
아랍에미리트탈레반 정권(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승인한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였다.[28]


5. 인권 문제

북부 동맹은 탈레반에 맞서 싸웠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인권 침해 문제가 발생했다. 압둘 라시드 도스툼이 통제했던 지역에서는 1996년부터 1998년 사이에 특히 심각한 인권 침해 행위가 많이 발생했다.[84] 1997년 도스툼 군대는 마자리샤리프 주변에서 탈레반 포로 3,000여 명을 즉결 처형했고,[39] 2001년 다쉬트-이-레일리 학살에서는 수백에서 수천 명의 탈레반 포로가 트럭 컨테이너 안에서 사망했다.[85] 도스툼은 이 혐의를 부인했다.[86][87][88]

전투 중 인권 상황은 지휘관과 부대에 따라 크게 달랐다. 아흐마드 샤 마수드는 자신의 통제 지역에 민주적 기구를 설립하고 여성 인권을 옹호했지만,[67] 인도주의적 위기가 발생하기도 했다.[83] 일부 북부 동맹 지휘관들은 바차 바지 관습에 따라 소년들을 성적으로 학대하기도 했다.[1]

5. 1. 아흐마드 샤 마수드 지역

마수드는 자신의 통제 지역에 민주적 기구를 설립하고 여성 권리 선언에 서명했다.[67] 그는 정치, 보건, 교육, 경제 등 여러 위원회를 만들었다.[24] 마수드의 통제 지역에서는 여성과 소녀들이 일하고 학교에 가는 것이 허용되었으며,[24] 최소 두 번의 알려진 사례에서 마수드는 강제 결혼 사례에 직접 개입했다.[82] 여성들은 아프간 부르카를 착용할 필요가 없었다.[24] 마수드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며 동일한 권리를 누려야 한다고 믿었지만, 아프간 전통을 극복하는 데에는 한 세대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교육을 통해 이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24]

하지만, 수십만 명의 아프간인들이 탈레반을 피해 마수드의 통제 지역으로 피난하면서[83] 심각한 인도주의적 문제가 발생했다.[83] 기존 인구와 국내 실향민 모두에게 충분한 식량이 부족했다. 2001년, 마수드는 한 프랑스 기자와 함께 실향민들의 어려운 상황을 묘사하고 인도주의적 지원을 요청했다.[83]

5. 2. 압둘 라시드 도스툼 지역

압둘 라시드 도스툼은 사만간 주, 발흐, 조우즈잔 주, 파르야브 주, 바글란 주를 통제했다. 휴먼 라이츠 워치에 따르면, 북부 동맹군이 저지른 국제 인도법 위반 행위 중 상당수는 도스툼이 북부 대부분을 통제했던 1996~1998년에 발생했다.[84]

1997년, 도스툼의 준비쉬-이 밀리 군대는 압둘 말리크 팔라반의 지휘 하에 마자리샤리프 주변에서 약 3,000명의 포로로 잡힌 탈레반 군인을 즉결 처형했다.[39] 2001년 12월, 아프가니스탄 전쟁 중, 다쉬트-이-레일리 학살에서 250명에서 3,000명(자료에 따라 다름)의 탈레반 포로가 금속 트럭 컨테이너 안에서 총에 맞아 죽거나 질식사했다. 포로들은 쿤두즈에서 셰베르간으로 이송되는 동안 살해되었다.[85] 2009년, 도스툼은 이러한 혐의를 부인했다.[86][87][88]

도스툼은 종종 가혹한 자신만의 법을 만드는 지휘관으로 알려져 있으며, 휴먼 라이츠 워치는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범죄 혐의를 제기하는 문서를 발표했다.[39]

5. 3. 바차 바지 관습

일부 북부 동맹 지휘관과 구성원들은 바차 바지 관습에 따라 춤추는 소년들을 성적으로 학대했다. 이 관행은 미국 및 아프가니스탄 당국에 의해 축소되고 은폐되었다.[1]

6. 탈레반 이후

2001년 초, 연합 전선은 군사적 압박과 국제적인 정치적 호소를 병행하는 새로운 전략을 사용했다.[63] 아흐마드 샤 마수드는 1990년대 초 실패했던 카불 정부를 부활시키는 것에 대해 우려했다.[63] 그는 2001년 유럽 의회에서 아프가니스탄 국민에게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해 줄 것을 국제 사회에 요청했다.[64] 또한, 탈레반과 알 카에다가 "매우 잘못된 이슬람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고 있으며, 파키스탄과 오사마 빈 라덴의 지원 없이는 탈레반이 1년 이상 군사 작전을 지속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64]

2001년 9월 9일, 알 카에다 소속으로 추정되는 두 명의 아랍인이 기자로 위장하여 아흐마드 샤 마수드를 인터뷰하던 중 비디오카메라에 숨겨둔 폭탄을 터뜨려 그를 암살했다. 이 사건은 이틀 뒤 발생한 미국에서의 테러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69]

9.11 테러 이후, 연합 전선군은 항구적 자유 작전에서 미국 공군의 지원을 받아 카불에서 탈레반을 몰아냈다. 이 과정에서 6 + 2 그룹 회의에서 이란이 제공한 정보 보고서가 활용되었다.

6. 1. 과도 정부 참여

9.11 테러 이후, 북부동맹항구적 자유 작전에서 미군 주도 세력의 공중 지원을 받아 탈레반으로부터 카불을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독일 본에서 아프가니스탄 지도자들이 모여 새로운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회의(본 합의)를 가졌고, 12월 5일 하미드 카르자이를 의장으로 하는 잠정 행정 기구 출범에 합의했다.[93]

파르완 주의 바그람 공군 기지 활주로에 정렬한 연합 전선 군대. (2001년 12월 16일)


잠정 정부에서 북부 동맹은 과반수의 각료 자리를 획득했다. 모하마드 파힘은 부통령 겸 국방 장관, 유누스 카누니는 교육부 장관 겸 안보 고문, 압둘라 압둘라는 외무 장관을 역임했다. 이들은 판지시르 계곡 출신이라 "판지시르 3인방"이라고 불렸다.[93]

6. 2. 해체와 재편

9.11 테러 이후, 북부 동맹은 항구적 자유 작전 동안 미군 주도 세력의 공중 지원을 받아 탈레반으로부터 카불을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71] 2001년 11월과 12월에 연합 전선은 국가의 많은 부분을 장악했으며 2001년 말 탈레반 이후의 임시 정부인 하미드 카르자이의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2~1996년 내전과 유사한 혼란으로의 회귀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모든 아프가니스탄 지도자들은 독일에서 만나 새로운 정부를 수립했다. 하미드 카르자이가 국가를 이끌도록 선택되었고, 주요 요직은 북부 동맹의 타지크족 구성원들에게 주어졌다. 이는 주요 국제 문제를 야기했다.[71]

2001년부터 2004년까지 하미드 카르자이의 과도 아프가니스탄 정부에서 북부 동맹은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모하메드 파힘은 부통령 겸 국방부 장관이 되었고, 유누스 카누니는 교육부 장관 겸 안보 고문이 되었으며, 압둘라 압둘라는 외무부 장관이 되었다.[93]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전쟁 활동은 비교적 잠잠했다. 그러나 2006년에는 탈레반 반군이 점점 더 강력해졌다.[74]

아프가니스탄군의 존재와 강화는 이전 UIF 세력이 새로운 NATO 지원 아프가니스탄 정부에 대항하여 군사 행동을 시도할 위협을 상당히 줄였다. UIF의 군사력 일부는 현재 아프가니스탄군에 흡수되었으며, 나머지 병사들 중 다수는 전국적인 군축 프로그램을 통해 무장 해제되었다.

동맹의 일부 구성원은 현재 라바니가 이끌고 유누스 카누니, 모하메드 파힘, 압둘 라시드 도스툼 등 UIF의 일부 전 지도자들이 포함된 아프가니스탄 국민 전선에 참여하고 있다. 국민 전선은 하미드 카르자이에 대한 "충성스러운" 야당으로 자리매김했다.

2011년 말, 탈레반과의 평화 회담에 반대하기 위해 아흐마드 지아 마수드, 압둘 라시드 도스툼, 모하마드 모하키크에 의해 결성된 아프가니스탄 국민 전선은 일반적으로 북부 동맹 군사 조직의 개편으로 여겨진다.[74] 한편, 정치 조직의 상당 부분은 압둘라 압둘라가 이끄는 아프가니스탄 국민 연합으로 재결합했다.[75][76]

전 국가안보국 (NDS) 국장 암룰라 살레는 청년층의 지지를 받아 새로운 운동인 바세지 밀리를 창설했다. 이 운동은 2011년 5월 수도 카불에서 열린 반 탈레반 시위에 약 1만 명을 동원했다.[77][78][79]

6. 3. 2021년 부활 시도

2021년 탈레반이 카불과 아프가니스탄 대부분 지역을 점령한 후, 아흐마드 샤 마수드의 아들 아흐마드 마수드와 임시 대통령 취임을 선언한 암룰라 살레 (아프가니스탄 부통령)는 판지시르 계곡에서 저항 운동을 조직하기 시작했다.[80][81][94] 이들은 2001년 이후 처음으로 판지시르 계곡에 북부 동맹의 깃발을 게양하며 세력의 귀환을 알렸다.[80][81]

판지시르 계곡에는 북부 동맹의 깃발이 다시 내걸렸고, 타지크인, 우즈베크인 등 수천 명이 탈레반에 대항하기 위해 집결하고 있다.[95]

참조

[1] 웹사이트 Fateful Victory http://edition.cnn.c[...] 2021-09-15
[2] 웹사이트 Military Assistance to the Afghan Opposition: Human Rights Watch Backgrounder October 2001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21-09-15
[3] 웹사이트 Northern Alliance https://fas.org/irp/[...] 2020-03-03
[4] 논문 The Decline of the Pashtuns in Afghanistan https://www.jstor.or[...] 1995
[5] 서적 The fragmentation of Afghanistan Yale University Press
[6] 문서 Rubin, p.270
[7] 뉴스 Afghanistan's Northern Alliance http://news.bbc.co.u[...] 2001-09-19
[8] 서적 Ghost Wars: The Secret History of the CIA, Afghanistan, and Bin Laden, from the Soviet Invasion to September 10, 2001 Penguin Group
[9] 웹사이트 USATODAY.com - Taliban flees Kandahar http://usatoday30.us[...] 2020-03-03
[10] 웹사이트 'Panjshir stands strong': Afghanistan's last holdout against the Taliban http://www.theguardi[...] 2022-06-29
[11] 잡지 The Surrender https://www.newyorke[...] 2021-09-15
[12] 웹사이트 How India secretly armed Afghanistan's Northern Alliance https://www.thehindu[...] 2021-09-15
[13] 서적 Empires of mud Wars and warlords in Afghanistan Hurst & Company
[14] 서적 Modern Afghanistan: A History of Struggle and Survival I.B. Tauris & Co Ltd., London New York 2004-08-27
[15] 웹사이트 Blood-Stained Hands, Past Atrocities in Kabul and Afghanistan's Legacy of Impunity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5-07-06
[16] 서적 How We Missed the Story: Osama Bin Laden, the Taliban and the Hijacking of Afghanistan Endowment of the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17] 웹사이트 The September 11 Sourcebooks Volume VII: The Taliban File http://www.gwu.edu/~[...] gwu.edu
[18] 웹사이트 Casting Shadows: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1978–2001 https://web.archive.[...] Afghanistan Justice Project
[19] 웹사이트 II. BACKGROUND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 서적 The Taliban Phenomenon, Afghanistan 1994–1997 Oxford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Afghanistan: further information on fear for safety and new concern: Deliberate and arbitrary killings: Civilians in Kabul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1995-11-16
[22] 웹사이트 Afghanistan: escalation of indiscriminate shelling in Kabul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0-12-06
[23] Youtube BBC Newsnight 1995 https://ghostarchive[...] Youtube.com 2012-02-04
[24] 서적 Massoud: An Intimate Portrait of the Legendary Afghan Leader Webster University Press 2009-03-01
[25] 웹사이트 Documents Detail Years of Pakistani Support for Taliban, Extremists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6] 서적 Ghost Wars Penguin
[27] 서적 Treacherous Alliance Yale University Press
[28] 서적 Pakistan in Regional and Global Politics
[29] 서적 Conflict and Peace in South Asia
[30] 서적 The Long Shadow: Nuclear Weapons and Security in 21st Century Asia Stan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Shooting Up: Counterinsurgency and the War on Drugs
[32] 서적 Turkey's Asia Relations
[33] 서적 Taliban Yale University Press
[34] 웹사이트 ISI cultivated Taliban to counter Indian action against Pakistan: Musharraf http://www.dawn.com/[...] 2020-03-03
[35] 웹사이트 How India secretly armed Afghanistan's Northern Alliance http://www.thehindu.[...] The Hindu 2021-08-15
[36] 서적 Killing the Cranes: A Reporter's Journey Through Three Decades of War in Afghanistan Chelsea Green Publishing
[37] Harvnb
[38] 웹사이트 Inside the Taliban https://www.youtub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39] 뉴스 Pakistan's support of the taliban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40] 서적 Iran in Crisis?: Nuclear Ambitions and the American Response https://books.google[...] Zed Books 2013-07-04
[41] 서적 Conflict in Afghanistan: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ABC-CLIO
[42] 서적 Persian Dreams: Moscow and Tehran Since the Fall of the Shah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2011-09-01
[43] 뉴스 Afghanistan: Arena for a New Rivalry https://web.archive.[...]
[44] 뉴스 Pak involved in Taliban offensive – Russia https://web.archive.[...]
[45] 뉴스 Afghanistan & the United Nations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46] 뉴스 U.S. presses for bin Laden's ejection http://nl.newsbank.c[...]
[47] 서적 The 9/11 Encyclopedia ABC-CLIO
[48] 서적 Regime change: U.S. strategy through the prism of 9/11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9] 서적 Confronting Al-Qaeda Naval Institute Press
[50] 뉴스 Book review: The inside track on Afghan wars by Khaled Ahmed https://web.archive.[...]
[51] 웹사이트 Brigade 055 https://www.youtube.[...] CNN
[52] 서적 Frontline Pakistan: The Struggle With Militant Islam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53] 잡지 The Getaway http://www.NewYorker[...] 2002-01-28
[54] 서적 The Afghanistan wars Palgrave Macmillan
[55] 뉴스 Taliban massacres outlined for UN https://www.chicagot[...] 2001-10-01
[56] 웹사이트 Confidential UN report details mass killings of civilian villagers https://web.archive.[...] newsday.org
[57] 뉴스 Afghanistan resistance leader feared dead in blast https://www.telegrap[...] 2001-09-11
[58] 뉴스 He would have found Bin Laden http://edition.cnn.c[...] CNN 2009-05-27
[59]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northern[...] Friends of the Northern Alliance
[60] 웹사이트 The Last Interview with Ahmad Shah Massoud https://web.archive.[...] Piotr Balcerowicz
[61] 웹사이트 Proposal for Peace, promoted by Commander Massoud https://web.archive.[...] peace-initiatives.com
[62] 뉴스 The man who would have led Afghanistan http://www.sptimes.c[...]
[63] 서적 Ghost Wars: The Secret History of the CIA, Afghanistan, and Bin Laden, from the Soviet Invasion to September 10, 2001 Penguin Press HC
[64] 웹사이트 Massoud in the European Parliament 2001 https://www.youtube.[...] EU media
[65] 웹사이트 Inside the Taliban https://www.youtube.[...] National Geographic
[66] 웹사이트 Inside the Taliban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67] 서적 Massoud: An Intimate Portrait of the Legendary Afghan Leader Webster University Press
[68] 웹사이트 Defense Intelligence Agency (2001) report http://www.gwu.edu/~[...] Gwu.edu
[69] 뉴스 Rebel Chief Who Fought The Taliban Is Buried https://www.nytimes.[...] 2001-09-17
[70] 웹사이트 The Man Who Knew https://www.pbs.org/[...] PBS
[71] 뉴스 High Stakes for India The Hindu 2001-10-08
[72] 웹사이트 Afghanistan is a proxy war between India and Pakistan https://www.telegrap[...] 2014-02-13
[73] 웹사이트 Musharraf: Afghanistan Is a Proxy War Between India and Pakistan – ABC News https://abcnews.go.c[...] Abcnews.go.com 2011-10-06
[74] 웹사이트 There is more to peace than Taliban http://www.atimes.co[...] Asia Times 2012-01-12
[75] 뉴스 Afghan opposition says new parliament can check Karzai https://www.reuters.[...] Reuters 2010-11-24
[76] 뉴스 2010 Afghan Parliamentary Election: Checks and Balances of Power http://www.khaama.co[...] Khaama Press 2010-12-09
[77] 뉴스 Thousands of Afghans Rally in Kabul https://www.nytimes.[...] 2011-05-05
[78] 뉴스 Anti-Taliban rally http://www.bbc.co.uk[...] BBC Persian 2011-05-05
[79] Youtube Govt Opposition Warn of Taking to Streets https://www.youtube.[...] Tolo TV 2011-05-05
[80] 웹사이트 The Panjshir Valley: what is the main bastion of resistance against the Taliban advance in Afghanistan https://marketresear[...] Market Research Telecast 2021-08-17
[81] 웹사이트 Leadership http://www.northerna[...] Friends of the Northern Alliance 2021-08-19
[82] 서적 Massoud: An Intimate Portrait of the Legendary Afghan Leader Webster University Press 2009-03-01
[83] Youtube Massoud in the European Parliament 2001 https://www.youtube.[...] EU media 2001
[84] 웹사이트 Human Rights Watch Backgrounder, October 2001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1
[85] 뉴스 Starved, hurt and buried alive in Afghanistan https://web.archive.[...] 2002-05-02
[86] 뉴스 It Is Impossible Prisoners Were Abused http://www.rferl.org[...] Rferl.org 2009-07-17
[87] 뉴스 Afghan Warlord Denies Links to '01 Killings https://www.nytimes.[...] 2014-02-13
[88] 웹사이트 A Response To General Dostum http://www.rferl.org[...] Rferl.org 2009-07-17
[89] 웹사이트 Transcript: The Dancing Boys of Afghanistan https://www.pbs.org/[...] 2010-04-20
[90] 웹사이트 Bacha Bazi: The Tragedy of Afghanistan's Dancing Boys https://thediplomat.[...] MHT Corporation 2014-08-23
[91] 웹사이트 'The Dancing Boys of Afghanistan' Examines Sexual Abuse in Afghanistan https://www.huffpost[...] BuzzFeed 2012-02-08
[92] 웹사이트 ‘Panjshir stands strong’: Afghanistan’s last holdout against the Taliban http://www.theguardi[...] 2021-08-18
[93] 서적 二〇〇四年一〇月大統領選挙をめぐる政治過程 明石書店 2007
[94] 뉴스 アフガン暫定大統領を宣言 ガニ氏逃亡でサレー第1副大統領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08-18
[95] Youtube Afghanistan Collapse First video of Northern Alliance resistance forces in Panjshir province of Afghanistan The RAGEX@theragexX 2021-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