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하이아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하이아 현은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반도 북부에 위치하며, 일리아, 아르카디아, 코린티아 현과 접한다. 북동쪽에는 코린토스만, 북서쪽에는 파트라만이 있으며, 파나하이코 산과 아로아니아 산 등 산악 지형을 이룬다. 주요 도시인 파트라는 상업 및 산업 중심지이며, 아하이아 공국과 같은 역사를 거쳤다. 현재는 5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행정 구역이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스포츠 팀과 출신 인물을 배출했다. 교통은 KTEL 버스, 철도, 도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하이아현 - 파트라
    파트라는 그리스 아카이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서그리스의 중심지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시대의 지배를 거쳐 풍부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의 중요한 무대였고 현재는 문화 유적과 현대 도시의 모습을 갖춘 그리스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이다.
  • 아하이아현 - 코린토스만
    코린토스만은 그리스에 위치하며, 이오니아해의 만입부로 리오 해협 안쪽에 위치하고, 에게해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에 있어 지진이 활발하며, 코린토스 운하를 통해 사로니코스만과 연결된다.
  • 서그리스주의 현 - 에톨로아카르나니아현
    에톨로아카르나니아현은 그리스 서부 그리스 지방에 위치한 그리스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현으로, 산맥, 강, 호수, 석호가 존재하며, 역사적으로 아이톨리아와 아카르나니아 지역으로 나뉘어 현재 7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 서그리스주의 현 - 일리아현
    일리아현은 그리스 서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위치하며, 고대 올림픽이 열린 올림피아가 있고, 농업, 어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지진과 산불 등의 자연재해를 겪는 현이다.
  • 펠로폰네소스반도 - 펠로폰네소스주
    펠로폰네소스주는 1987년 설립되어 2011년 권한이 확대된 그리스의 행정 구역으로,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트리폴리를 주도로 아르카디아, 아르골리스, 코린티아, 라코니아, 메시니아 5개 현으로 구성되고 미케네 문명의 중심지이자 스파르타, 코린토스 등 도시 국가들이 번성했던 지역이다.
  • 펠로폰네소스반도 - 일리아현
    일리아현은 그리스 서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위치하며, 고대 올림픽이 열린 올림피아가 있고, 농업, 어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지진과 산불 등의 자연재해를 겪는 현이다.
아하이아현
지도
기본 정보
현지어 이름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
Αχαΐας
유형지역 단위
위치서그리스
현도파트라
면적3272
인구305979
인구 조사 기준2021
우편 번호25x xx, 26x xx
지역 번호261, 269x
차량 번호판ΑΖ, AX
웹사이트아하이아 공식 웹사이트
지리
고도알 수 없음
행정 구역
자치체5 (데모스)
이미지
아하이아의 자치체
아하이아의 자치체
그리스 내 아하이아 위치
그리스 내 아하이아 위치

2. 지리

아하이아는 서쪽과 남서쪽으로는 일리아, 남쪽으로는 아르카디아현, 동쪽과 남동쪽으로는 코린티아와 접하고 있다. 코린토스만이 아하이아 북동쪽에, 파트라만이 북서쪽에 있다. 아하이아에서 가장 높은 산은 아니지만 파나하이코산(높이 1,926m)이 파트라 인근 해안 지역을 내려다보고 있다. 아로아니아산(높이 2,341m)과 에리만토스산(높이 2,224m)과 같이 높은 산들은 남쪽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하이아에 다른 산맥들에는 스콜리스산, 옴플로스산, 콤보부니산, 모브리산들이 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내려오는 아하이아의 주요 강들에는 라리소스강, 티테우스강, 페이로스강, 하라드로스강, 셀리눈다스강, 부라이코스강이 있다. 서쪽 끝 지역을 포함한 평야 지대에 일부가 존재하지만, 숲의 대부분은 산악 지역에 있다. 중간 고지 일대에는 목초지이고 고지대는 불모지이다.

파트라스만


아로아니아산(Chelmos)


에리만토스산


라돈강

2. 1. 위치 및 지형

아하이아현은 펠로폰네소스반도 북부 해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과 남서쪽으로는 일리아, 남쪽으로는 아르카디아현, 동쪽과 남동쪽으로는 코린티아현과 접하고 있다. 북동쪽에는 코린토스만이 있고, 북서쪽에는 파트라만이 있다. 파트라 인근 해안 지역에는 파나하이코산(1,926m)이 있으며, 남쪽에는 아로아니아산(2,341m)과 에리만토스산(2,224m)과 같이 더 높은 산들이 위치한다. 아하이아현의 다른 산맥으로는 스콜리스산, 옴플로스산, 콤보부니산, 모브리산이 있다.

현의 북부는 코린토스만에 접한 작고 비옥한 평야이며, 현 남부에는 에리만토스 산맥이나 킬리니산맥과 같은 산들이 이어져 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주요 강으로는 라리소스강, 티테우스강, 페이로스강, 하라드로스강, 셀리눈다스강, 부라이코스강이 있다. 삼림은 산지와 서부 평원에 많으며, 고지대 중 해발고도가 높은 토지에는 식물이 자라지 않고, 그 외에는 초원이다.

2. 2. 기후

아하이아현은 더운 여름과 온난한 겨울 날씨를 띠고 있다. 여름 기간에는 맑은 날이 아하이아 해안 인근 지역에 만연하지만, 산악 지역에서는 구름이 끼고 비가 온다. 눈은 겨울철 에리만토스산, 파나카이코산, 아로아니아산에서는 매우 흔하다. 겨울 기간 저지대의 온도는 평균 10°C 정도이다.

3. 역사

3. 1. 고대

고대 펠로폰네소스반도 지도


아카이아 동맹은 기원전 280/281년에 결성된 헬레니즘 시대 아카이아 지역 도시 국가들의 연합이다. 펠로폰네소스반도의 대부분이 포함될만큼 성장했으나, 마케도니아의 지배로 약화되었다.

기원전 2세기에 로마에게 마케도니아가 패배하자, 아카이아 동맹은 스파르타를 쓰러트리고 펠로폰네소스반도 전역을 장악한다. 하지만 로마의 영향력이 커져감에 따라, 아카이아 전쟁을 일으켰으나 코린토스 전투에서 패배했고, 아카이아 동맹은 해체당한다.

서기 51/52년에 아카이아 총독 루키우스 유니우스 갈리오 안나이아누스가 코린토스에서 사도 파울로스의 재판을 주관했다.[3] 이 사건은 사도행전에 기록되어 있다.

아하이아 현 명칭의 유래인 아카이아인은 일리아스에서는 그리스 군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기원전 13세기경 히타이트인의 문서에는 아히야와로 언급되어 있다. 도리아인이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진입했을 때 아카이아인은 이 땅으로 쫓겨났다는 설과, 테살리아 지방 남부 ''아카이아 프티오티스''가 기원이라는 설이 있다.

3. 2. 중세 및 근대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아하이아는 비잔티움 제국의 속주로 남았다. 6, 7세기에 슬라브족이 펠로폰네소스반도에 침입하여 일부 지역에 정착했다. 9세기경 펠로폰네소스반도 전역이 다시 비잔티움의 지배권으로 들어왔다. 그러나 제4차 십자군 전쟁 이후 십자군 국가 중 하나인 아카이아 공국이 1205년에 건국되었다. 아카이아 공국은 전통적인 아하이아 지역보다 더 넓은 영역을 차지했다. 1430년 비잔티움 제국이 아하이아를 되찾았고, 모레아 전제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비잔틴 제국 시대의 그리스, 서기 900년경


아카이아 공국을 포함한 프랑크 제국 시대의 그리스 지도


모레아 전제공국은 1460년 오스만 제국에게 멸망당했다. 모레아 전쟁 중 베네치아 공화국이 1687년 아하이아를 점령하여 1715년까지 보유했지만, 오스만 제국이 펠로폰네소스반도를 탈환했다. 오스만 통치하에서 아하이아는 모레아 에야레트의 일부였다.

그리스 독립 전쟁 때, 에요는 그리스가 해방시킨 최초의 도시들 중 하나였고, 1821년 말 아하이아 전역이 해방되었다. 아하이아는 카나리스, 자이미스, 루포스, 안드레아스 미할라코풀로스 등 독립 인사와 수상들을 배출했다.

3. 3. 현대



아하이아는 서로마 제국 멸망 후 비잔티움 제국의 속주로 남았으나, 6, 7세기에 슬라브족펠로폰네소스반도에 침입하여 일부 지역에 정착했다. 9세기경 펠로폰네소스반도 전역이 다시 비잔티움의 지배권으로 들어왔다. 그러나 제4차 십자군 전쟁으로 십자군 국가들이 그리스에 세워졌고, 그 중 하나인 아카이아 공국이 1205년에 건국되었다. 아카이아 공국은 전통적인 아하이아 지역보다 넓은 영역을 차지했다. 1430년 비잔티움 제국이 아하이아를 되찾아 모레아 전제공국의 일부가 되었으나, 1460년 오스만 제국에게 멸망당했다.

모레아 전쟁 중 베네치아 공화국이 1687년 아하이아를 차지하여 1715년까지 보유하다가, 오스만에게 펠로폰네소스반도를 탈환당했다. 오스만 지배하에서 아하이아는 모레아 에야레트의 일부가 되었다.

그리스 독립 전쟁 때, 에요는 그리스가 해방시킨 최초의 도시들 중 하나였고 1821년 말 쯤에는 아하이아 전역이 해방되었다. 아하이아는 카나리스, 자이미스, 루포스를 포함한 독립 인사들과 안드레아스 미할라코풀로스를 포함한 그리스 수상들을 배출해냈다.

그리스 독립 당시 최초의 행정 구분에서, 아하이아는 아하이아 일리아현의 일부였다. 이 행정 구역은 1899년에 아하이아일리아현으로 나뉘었다. 아하이아와 일리아는 1909년에 다시 합쳐졌다가 1930년에 다시 분리되었다.

아하이아는 1919년-1922년 그리스 터키 전쟁 기간 소아시아에서 건너온 난민의 유입을 겪었다. 만여 명의 난민들은 파트라의 교외지와 해안가에 위치한 많은 마을에 있는 난민 캠프로 이전되었으며, 그 캠프 중 하나는 프로스피이카라 이름 붙여졌다.

1994년에는 지진 피해를 입었고, 2007년에는 산불이 발생했다.

4. 행정 구역

2011년 칼리크라티스 개혁에 따라 아하이아의 행정 구역은 옛 아하이아 의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아하이아 현은 현재의 지방 구역과 범위는 같지만, 지방 자치제는 재편성되었다.[5][2]

아하이아 현은 5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세분화된다.[2]


  • 아이기알리아 (2)
  • 에리만토스 (4)
  • 칼라브리타 (5)
  • 파트라 (1)
  • 서아하이아 (3)


아하이아 현


카스트리아 북쪽, 카토 로우시(Kato Lousi) 마을 인근의 카르스트 (Karst) 평원.


칼라브리타




신설 지방 자치제옛 지방 자치제중심지
에얄리아에이라에요
에요
아크라타
디아코프토
에리네오스
심볼리티아
에리만토스파레스할란드리차
칼렌지
레온티오
트리테아
칼라브리타칼라브리타칼라브리타
아로아니아
클리토리아
파이온
파트라파트라파트라
브라흐나이카
메사티다
파랄리아
리오
서부 아하이아
(Dytiki Achaia)
디미카토아하이아
라리소스
모브리
올레니아



2006년까지는 아이기알리아 군(아이기오), 칼라브리타 군(칼라브리타), 파트라 군(파트라)이 있었으나, 현재는 법적인 위치가 정해지지 않았다.

4. 1. 현황

2011년 칼리크라티스 개혁에 따라 아하이아의 행정 구역은 옛 아하이아 의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아하이아 현은 현재의 지방 구역과 범위는 같지만, 지방 자치제는 재편성되었다.[5]

아하이아 현은 5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세분화된다:[2]

  • 아이기알리아
  • 에리만토스
  • 칼라브리타
  • 파트라
  • 서아하이아


신설 지방 자치제옛 지방 자치제중심지
에얄리아에이라에요
에요
아크라타
디아코프토
에리네오스
심볼리티아
에리만토스파레스할란드리차
칼렌지
레온티오
트리테아
칼라브리타칼라브리타칼라브리타
아로아니아
클리토리아
파이온
파트라파트라파트라
브라흐나이카
메사티다
파랄리아
리오
서부 아하이아
(Dytiki Achaia)
디미카토아하이아
라리소스
모브리
올레니아



2006년까지는 아이기알리아 군(아이기오), 칼라브리타 군(칼라브리타), 파트라 군(파트라)이 있었으나, 현재는 법적인 위치가 정해지지 않았다.

4. 2. 칼리크라티스 개혁 (2011년)

2011년 칼리크라티스 개혁에 따라 아하이아의 행정 구역은 이전 아하이아 현(Νομός Αχαΐας)의 형태로 구성되었다.[5][2] 현과 현재의 지방 구역은 동일한 범위를 가지지만, 지방 자치제는 아래와 같이 재편성되었다.[5][2]

신설 지방 자치제옛 지방 자치제중심지
에얄리아에이라에요
에요
아크라타
디아코프토
에리네오스
심볼리티아
에리만토스파레스할란드리차
칼렌지
레온티오
트리테아
칼라브리타칼라브리타칼라브리타
아로아니아
클리토리아
파이온
파트라파트라파트라
브라흐나이카
메사티다
파랄리아
리오
서부 아하이아
(Dytiki Achaia)
디미카토아하이아
라리소스
모브리
올레니아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 아하이아 현은 23개의 기초 자치체 (21개의 디모스, 2개의 키노티타)로 구성되었다. 개혁 이후 옛 자치체는 신 자치체(디모스)를 구성하는 행정 구역(디모티키 에노티타)이 되었고, 이는 다시 키노티타 (도시·촌락 공동체)로 나뉜다.

2006년 이후 법적인 지위가 없는 군(에파르히아)으로는 아이기알리아 군 (아이기오), 칼라브리타 군 (칼라브리타), 파트라 군 (파트라)이 있었다.

5. 경제

파트라는 그리스의 주요 산업과 상업 중심지 가운데 한 곳이다. 테메니는 생수 아브라(아브라/Άυραel)가 생산되는 곳으로, 코카콜라 컴퍼니의 계열사인 트리아 엡실론이 소유하고 있다. 리오 인근에는 작은 정유 공장이 있다. 아테네 양조장은 파트라에 이 회사의 최대 생산 시설을 두고 있다.

6. 문화

아기아 라브라 수도원


아기아 라브라 수도원은 언덕 정상에 있는 칼라브리타에서 서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 동쪽으로 12~20km 정도 떨어진 곳에는 안쪽에 호수가 있는 동굴 호수가 있으며, 길이는 300m에서 500m 정도이다.

아하이아의 산악 지역에는 국립 아테네 관측소가 운용하는, 그리스에서 가장 최신 천체 망원경인 아리스타르코스 망원경이 있다. 이 망원경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인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길이가 30 km에 달하는 협궤 철도가 운행되고 있으며, 주로 관광 목적으로 활용된다. 열차는 칼라브리타 인근에서 운행되어 디아코프토에서 끝난다.

7. 교통

KTEL 아카이아가 대도시간 버스 대중교통을 운영하며, 주요 버스 터미널은 파트라에 있다.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이오니아 오도스 (A5, E55의 일부): 리오 - 안티리오 - 아르타 - 이오아니나
  • 그리스 국도 8호선: 아테네 - 코린토스 - 리오 - 파트라를 연결하는 옛 도로
  • 그리스 국도 8A호선 (E55 및 E65의 일부): 아테네 - 코린토스 - 리오 - 파트라
  • 그리스 국도 9호선 (E55의 일부): 파트라 - 피르고스 - 키파리시아 - 필로스
  • 그리스 국도 31호선: 아이기오 - 칼라브리타
  • 그리스 국도 33호선: 파트라 - 트리타이아 - 람페이아 - 블라케르나


KTEL 아카이아가 대도시간 버스 대중교통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버스 터미널은 파트라에 있다. KTEL 아카이아에서 시외 버스 운송을 제공한다.

아하이아는 피레아스, 아테네, 펠로폰네소스 철도선을 통해 코린티아, 일이아, 아티카와 연결되어있다. 이 노선은 아테네 - 코린티아 - 에요 - 파트라 - 피르고스 - 키파리시아를 연결한다. 파트라 - 키파리시아 구간의 여객 수송은 2011년 이후로 중지되었다. 디아코프토–칼라브리타 철도는 랙식 철도로, 여객 수송을 제공하고 있다.

아하이아현은 파트라-키파리시아 선의 파트라행 파트라 교외 철도와 아테네 공항-파트라 선의 아기오에서 아테네행 아테네 교외 철도가 운행한다. 두 노선은 아직 연결되지 않았다.

7. 1. 도로

대도시간 버스 대중교통은 KTEL 아카이아가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버스 터미널은 파트라에 있다.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이오니아 오도스 (A5, E55의 일부): 리오 - 안티리오 - 아르타 - 이오아니나
  • 그리스 국도 8호선: 아테네 - 코린토스 - 리오 - 파트라를 연결하는 옛 도로
  • 그리스 국도 8A호선 (E55 및 E65의 일부): 아테네 - 코린토스 - 리오 - 파트라
  • 그리스 국도 9호선 (E55의 일부): 파트라 - 피르고스 - 키파리시아 - 필로스
  • 그리스 국도 31호선: 아이기오 - 칼라브리타
  • 그리스 국도 33호선: 파트라 - 트리타이아 - 람페이아 - 블라케르나

7. 2. 버스

대도시간 버스 대중교통은 KTEL 아카이아가 운영하고 있다. 주요 버스 터미널은 파트라에 있다. KTEL 아카이아에서 시외 버스 운송을 제공한다.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이오니아 오도스 (E55의 일부인 A5): 리오 - 안티리오 - 아르타 - 이오아니아
  • 그리스 국도 8: 아테네 - 코린티아 - 리오 - 파트라를 연결하는 옛 도로
  • 그리스 국도 8A (E55와 E65의 일부): 아테네 - 코린티아 - 리오 - 파트라
  • 그리스 국도 9 (E55의 일부): 파트라 - 피르고스 - 키파리시아 - 필로스
  • 그리스 국도 31: 에요 - 칼라브리타
  • 그리스 국도 33: 파트라 - 트리테아 - 람피아 - 레비디


7. 3. 철도

아하이아는 피레아스, 아테네, 펠로폰네소스 철도선을 통해 코린티아, 일이아, 아티카와 연결되어있다. 이 노선은 아테네 - 코린티아 - 에요 - 파트라 - 피르고스 - 키파리시아를 연결한다. 파트라 - 키파리시아 구간의 여객 수송은 2011년 이후로 중지되었다. 디아코프토–칼라브리타 철도는 랙식 철도로, 여객 수송을 제공하고 있다.

아하이아현은 파트라-키파리시아 선의 파트라행 파트라 교외 철도와 아테네 공항-파트라 선의 아기오에서 아테네행 아테네 교외 철도가 운행한다. 두 노선은 아직 연결되지 않았다.

8. 스포츠

팜펠로포니시아코 경기장


아하이아 현에는 두 개의 스키 리조트가 있다. 하나는 파트라스 동쪽의 파나차이코스 산 정상 서쪽(해발 약 1700m)에 있으며, 2004년 중반에 완공된 새로운 다리 때문에 나프팍토스에서 가장 가깝다. 다른 하나는 칼라브리타 근처의 아로니아 산(켈모스 산이라고도 불림)에 있으며, 칼라브리타에서 가장 가깝다.
스포츠 팀2005-06 시즌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팀들은 2005-06 시즌의 축구 축구 클럽 연합 아카이아에 의해 운영된다.

다수의 스포츠 클럽을 보유한 팀은 다음과 같다:

  • 파네기알리오스 FC - 아이기오 - 2부 리그
  • 아카이오스 사라발리 파트라 - 사라발리 - 4부 리그
  • 아나겐니시/아이아스 심폴리테이아 - 로도다프니
  • 아폴론 파트라스, A1 바스켓리그
  • 아트로미토스 파트라스 - 4부 리그
  • 디아코프토 AC - 디아코프토 - 4부 리그
  • 포스티라스 오브리아 FC - 오브리아, 4부 리그
  • 이라클리스 파트라스 - 파트라, 4부 리그
  • NO 파트라스 - 파트라, A2 리그/수구
  • NE 파트라스 - 파트라, A2 리그/수구
  • 올림피아코스 아이기오 - 아이기오, 4부 리그
  • 올림피아코스 카마레스 - 카마레스 - 4부 리그
  • 올림피아코스 파트라스 - 파트라 - 4부 리그
  • 오르미 파트라스 - 파트라, A1 리그/여자 핸드볼
  • 파나차이키 - 파트라, 3부 리그
  • E.A. 파트라스 - 파트라, 3부 리그/배구
  • 스파르타코스 오브리아 - 오브리아 - 3부 리그 (2007년 기준)
  • 티엘라 파트라스 FC - 파트라, 3부 리그
  • A.P.S. 자블라니 - 4부 리그


농구 전용 팀은 다음과 같다:

  • 프로미테아스 파트라스 BC
  • A.O. 스카기오풀레이오


해체되었거나 역사적인 팀은 다음과 같다:

  • 레프코스 아스테라스 - 파트라
  • 트리암보스 파트라스 - 파트라, 현재 NE 파트라스의 일부

8. 1. 스포츠 팀

2005-06 시즌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팀들은 2005-06 시즌의 축구 축구 클럽 연합 아카이아에 의해 운영된다.

다수의 스포츠 클럽을 보유한 팀은 다음과 같다:

  • 파네기알리오스 FC - 아이기오 - 2부 리그
  • 아카이오스 사라발리 파트라 - 사라발리 - 4부 리그
  • 아나겐니시/아이아스 심폴리테이아 - 로도다프니
  • 아폴론 파트라스, A1 바스켓리그
  • 아트로미토스 파트라스 - 4부 리그
  • 디아코프토 AC - 디아코프토 - 4부 리그
  • 포스티라스 오브리아 FC - 오브리아, 4부 리그
  • 이라클리스 파트라스 - 파트라, 4부 리그
  • NO 파트라스 - 파트라, A2 리그/수구
  • NE 파트라스 - 파트라, A2 리그/수구
  • 올림피아코스 아이기오 - 아이기오, 4부 리그
  • 올림피아코스 카마레스 - 카마레스 - 4부 리그
  • 올림피아코스 파트라스 - 파트라 - 4부 리그
  • 오르미 파트라스 - 파트라, A1 리그/여자 핸드볼
  • 파나차이키 - 파트라, 3부 리그
  • E.A. 파트라스 - 파트라, 3부 리그/배구
  • 스파르타코스 오브리아 - 오브리아 - 3부 리그 (2007년 기준)
  • 티엘라 파트라스 FC - 파트라, 3부 리그
  • A.P.S. 자블라니 - 4부 리그


농구 전용 팀은 다음과 같다:

  • 프로미테아스 파트라스 BC
  • A.O. 스카기오풀레이오


해체되었거나 역사적인 팀은 다음과 같다:

  • 레프코스 아스테라스 - 파트라
  • 트리암보스 파트라스 - 파트라, 현재 NE 파트라스의 일부

9. 출신 인물

아하이아현 출신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악토르 : 신화 인물
  • 알렉손 : 고대 인물
  • 티몰레온 암블라스 : 작가
  • 앙키알로스 : 신화 인물
  • 디미트리오스 안드리코풀로스-부카우리스 : 파트라 시장
  • 안테이아 : 신화 인물
  • 아르기라 : 신화 인물
  • 아우토노오스 : 고대 인물
  • 볼리나 :고대 인물
  • 아카이아의 브리손 :고대 인물
  • 아나스타시오스 하랄람비스 : 군사령관 및 1922년 총리.
  • 바실리오스 흐리스토풀로스 : 예술가
  • 다니엘리스 : 고대 인물
  • 코스타스 다부를리스 : 축구 선수
  • 테오도로스 딜리얀니스 : 그리스 총리
  • 이오아니스 디아키디스
  • 레나 도르 : 배우
  • 디마스 : 고대 인물
  • 에페라투스 : 고대 인물
  • 에우리필로스
  • 스피로스 포카스 : 배우
  • 아시마키스 포틸라스 : 혁명 지도자
  • 파나요타키스 포틸라스 : 혁명 지도자
  • 요르고스 야니아스 : 혁명 지도자
  • 디미트리오스 구나리스 : 그리스 총리
  • 헤리케 : 고대 왕비
  • 이온 : 신화 인물
  • 안도니오스 칼라모그다르티스 : 혁명 지도자
  • 아타나시오스 카나카리스-루포스 : 혁명 지도자
  • 파나요티스 카라자스 : 혁명 지도자
  • 코스타스 카추라니스 : 축구 선수 -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유로 2004)
  • 콘스탄디노스 콘스탄도풀로스 : 파트라 시장 및 그리스 총리
  • 안드레아스 콘도구리스 : 혁명 지도자
  • 니콜라오스 콘도풀로스
  • 크리스토스 라스카리스
  • 아프로디티 라우타리 : 배우
  • 디미트리어스 막시모스
  • 바실리스 마크리스 : 예술가
  • 메모스 마크리스 : 예술가
  • 디미트리오스 막시모스 : 그리스 총리
  • 안드레아스 미할라코풀로스 : 그리스 총리
  • 안드레아스 미크루치코스
  • 베티 모스호나 : 배우
  • 몰루로스 : 고대 인물
  • 타노스 미크루치코스 : 작곡가, 전직 문화부 장관
  • 미스켈로스
  • 코스티스 팔라마스 : 시인
  •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 그리스 총리
  • 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 : 그리스 군사 정권 지도자
  •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역사가) : 역사가 및 언어학자
  • 아나그노스티스 페티메자스 : 혁명 지도자
  • 콘스탄티노스 페티메자스 : 혁명 지도자
  • 콘스탄티스 페티메자스 : 혁명 지도자
  • 니콜라오스 페티메자스
  • 앙겔로스 루포스
  • 베니젤로스 루포스 : 그리스 총리
  • 이오아니스 루포스
  • 셀레모스 : 신화 인물
  • 파나요티스 스카요풀로
  • 소크라티스 스카르치스 : 시인
  • 콘스탄티노스 스쿠를레티스 : 파트라 시장
  • 마르코스 스클리바니오티스
  • 아카이아의 소크라테스 : 고대 인물
  • 디메의 소스크라토스 : 고대 인물
  • 펠레네의 소스크라토스 : 고대 그리스 올림픽 출전 선수
  • 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 : 그리스 대통령
  • 에파미논다스 토모풀로스
  • 디미트리오스 토팔로스 : 올림픽 출전 선수
  • 스피리돈 바실리아디 : 시인
  • 크세노폰 베리키오스
  • 디미트리오스 보치스 : 파트라 시장
  • 스피로스 브레토스 : 시인
  • 알렉산드로스 제미스 : 그리스 총리 및 대통령

참조

[1] 문서 The spelling ''Achaea'' is the most common in English (as shown by the entries in the Britannica and Columbia encyclopedias and most dictionaries and other reference works) although this is based on an erroneous but well-established transliteration of the [[Greek language|Greek]] original (which does not have a diphthong) and in disregard of the [[Latin]] spelling (Achaia) of the related [[Achaia (Roman province)|Roman province]]. The spelling ''Achaia'' is used in English by the Greek authorities and the [[European Union]]. The transliteration ''Akhaia'' of the ([[Ancient Greek|Ancient]] and [[Modern Greek|Modern]]) Greek is sometimes used in English, for example by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nd the Collins English Dictionary.
[2]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Greece)
[3] 웹사이트 Religious 'Slogans' in 1 Corinthians: Wit, Wisdom, and the Quest for Status in a Roman Colony https://academic.oup[...] 2021-10-26
[4] 웹사이트 Home http://www.imeranews[...]
[5] 웹인용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kedke.gr/[...] 2018-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