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하스는 기원전 8세기 유다 왕국의 왕으로, 북이스라엘과 아람의 연합에 맞서 아시리아에 도움을 요청했다. 그는 우상 숭배를 조장하고 아시리아 신앙을 도입하는 등 종교적으로 타락한 행위를 보였으며, 결국 아시리아에 조공을 바치는 등 의존적인 관계를 맺었다. 아하스는 36세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히스기야가 왕위를 이었다. 아하스 시대의 유물로는 인장(불라)과 인장이 발견되었으며, 랍비 문학에서는 악행을 지속한 왕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다 국왕 - 다윗 왕조
다윗 왕조는 고대 이스라엘 왕국의 다윗 왕을 시조로 하는 왕조로서 성경과 고고학적 자료로 존재가 확인되며 유다 왕국 왕들을 배출하여 고대 이스라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특히 유대교에서는 메시아가 다윗 가문에서 나올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 유다 국왕 - 르호보암
르호보암은 솔로몬의 아들이자 유다 왕국의 초대 왕으로, 강압적인 정책으로 이스라엘 왕국을 분열시키고 이집트의 침공으로 국력이 쇠퇴했다. - 구약성경의 인물 - 시바의 여왕
시바의 여왕은 성경, 에티오피아,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언급되는 전설적인 인물로, 솔로몬 왕을 방문하여 그의 지혜를 시험하고, 에티오피아 왕조의 기원과 관련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구약성경의 인물 - 호세아
기원전 8세기 후반 북이스라엘의 마지막 왕인 호세아는 앗시리아의 꼭두각시 왕으로 즉위했으나 이집트와 손잡고 독립을 추구하다가 사마리아 함락으로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며 통치를 마감했다.
아하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유다 왕 |
재위 기간 | 기원전 732년–716년 |
선임자 | 요담 |
후임자 | 히즈키야 |
왕가 | 다윗 왕조 |
아버지 | 요담 |
배우자 | 아비야 |
이름 정보 | |
히브리어 | אָחָז (’Āḥāz, "가졌다") |
그리스어 | Ἄχαζ, Ἀχάζ |
라틴어 | Achaz |
완전한 히브리어 이름 | יְהוֹאָחָז (Yəhō’aḥaz, Yŏhō’āḥāz) |
아카드어 | 𒅀𒌑𒄩𒍣 (Ia-ú-ḫa-zi) |
2. 즉위와 초기 상황
아하스는 20세에 유다 왕국의 왕위에 올랐으며, 즉위 직후 창문에서 떨어져 중상을 입었다. 그의 치세는 북이스라엘 페카의 치세 17년에 시작되었다. 아하스의 행적은 구약성서의 「이사야서」나 「열왕기」에 자세히 나와 있다. 아하스는 아시리아에 신종하는 자세를 보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구약성서에서는 우상 숭배를 용인한 배교자로 묘사된다.
아하스는 선왕 요담의 아들이며, 어머니와 첩들의 이름은 거의 전해지지 않지만, 스가랴의 딸 아비(열왕기하) 또는 아비야(역대기하) 사이에서 후계자 히스기야가 태어났다.
2. 1. 즉위 과정
아하스는 즉위하자마자 창문에서 떨어져 중상을 입었다. 이로써 아하스에게 불길한 징조가 보이기 시작했다. 아하스의 치세는 20세에 시작되었으며, 북이스라엘 페카의 치세 17년에 시작되었다.아하스는 선왕 요담의 아들로 태어났다. 기원전 734년경, 아시리아 왕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가 시리아 방면으로 진군했기 때문에, 아하즈는 아시리아에 신종하는 자세를 취하고 공물을 바쳤다. 같은 시기에 아시리아에 복속된 다마스코 (시리아)와 이스라엘 (에브라임) 등이 동맹을 맺어 반아시리아 자세를 취했다. 이에 아하즈가 친아시리아 정책을 유지했기 때문에, 다마스코 왕 르신과 이스라엘 왕 베가 벤 르말리야는 공모하여 아하즈를 폐위시키려 유다 왕국을 공격했다 (시리아-에브라임 전쟁). 예루살렘이 포위되자, 아하즈는 예언자 이사야 등의 반대를 무릅쓰고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속왕의 예를 취하여 원군을 요청하고, 그 대가로 공물을 바쳤다.
2. 2. 국제 정세와 위협
아하스 왕 즉위 직후,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베가 통치)과 다마스쿠스(르신 통치)가 연합하여 아하스를 압박했다. 이들은 아시리아의 왕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 대항하기 위해 아하스를 끌어들이려 했다. 이사야는 아하스에게 외국 동맹 대신 하나님을 믿으라고 조언했지만, 아하스는 이를 거절했다.[5]결국 아하스는 아시리아에 도움을 요청했고,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다마스쿠스를 점령하고 아람을 병합했다.[6] 아람의 백성들은 추방되었고 르신 왕은 처형되었다. 이후 티글라트-필레세르는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이욘, 아벨 벳 마아가, 야노아, 게데스, 하솔을 점령하고, 길르앗과 갈릴리, 납달리 지역 사람들을 아시리아로 추방했다.[7]
아시리아의 개입으로 아하스는 이웃 국가들의 위협에서 벗어났지만, 아시리아는 유다 왕국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침략 전쟁은 기원전 734년부터 732년까지 2년간 지속되었으며, 다마스쿠스가 아시리아에 점령 및 병합되고 이스라엘 북쪽 지역이 점령되면서 끝났다. 아하스는 아시리아에 계속 복종하며, 선지자 이사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외부 세력에 의존하는 정책을 유지했다. 이러한 상황은 기원전 722년 사마리아가 함락되고 북이스라엘 왕국이 완전히 아시리아 제국에 편입될 때까지 계속되었다.[8]
아하스는 아시리아에 신하로서 복종하는 자세를 보였지만, 이와 관련하여 구약성서에서는 우상 숭배를 용인한 나쁜 왕으로 묘사된다. 예언자 이사야 등의 반대를 무릅쓰고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원군을 요청하여 공물을 바쳤으며(열하 16:7-8, 이사야서 7장),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즉시 다마스코와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다마스코를 정복하고 이스라엘 영토의 대부분을 병합했다.
3. 시리아-에브라임 전쟁과 아시리아 의존
아하스 즉위 직후,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베가 통치)과 다마스쿠스(르신 통치)가 연합하여 아시리아에 대항하려 했다. 이들은 아하스에게 동맹을 제안했지만, 아하스는 이사야의 조언을 듣지 않고 아시리아의 왕 디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5]
이에 디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다마스쿠스를 약탈하고 아람을 병합했으며,[6]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이욘, 아벨 벳 마아가, 야노아, 게데스, 하솔을 점령하고, 길르앗, 갈릴리, 납달리 지역 사람들을 아시리아로 추방했다.[7]
아시리아의 개입으로 아하스는 이웃 국가들의 위협에서 벗어났지만, 아시리아는 유다 왕국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침략 전쟁은 기원전 734년부터 732년까지 2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다마스쿠스가 점령 및 병합되고 이스라엘 북쪽 지역이 점령되면서 끝났다. 아하스는 통치 기간 내내 아시리아에 복종하여, 기원전 722년 사마리아 함락과 북이스라엘의 아시리아 제국 편입과 같은 문제를 겪지 않았다.[8]
선지자 이사야는 아하스에게 외부의 도움에 의존하지 말고 주님을 의지하라고 조언했지만, 아하스는 이를 따르지 않았다.[8]
3. 1. 시리아-에브라임 전쟁 발발
아하스 왕은 우상 숭배를 다시 시작하여 바알 신상을 만들고, 벤 힌놈 골짜기에서 향을 피우는 등 죄를 지었다.[5]이 때문에 아람 군대가 쳐들어와 많은 유다 백성을 포로로 잡아 다마스쿠스로 끌고 갔다. 또한 이스라엘 왕국의 왕 베가는 유다를 공격하여 하루 만에 12만 명의 군사를 죽였다. 에브라임 출신 용사 지크리는 마아세야 왕자, 아즈리캄 궁내 대신, 그리고 왕 다음 서열인 엘카나를 살해했다. 이스라엘 군대는 20만 명이 넘는 유다 백성을 포로로 잡아 수도 사마리아로 끌고 갔다.[5]
이스라엘의 수도 사마리아의 예언자 오뎃은 유다 포로들을 돌려보내라는 예언을 했다. 에프라임의 우두머리들인 여호하난의 아들 아자르야, 므실레못의 아들 베레크야, 살룸의 아들 여히스키야, 하들라이의 아들 아마사도 전쟁에서 돌아오는 이스라엘 군대를 막으며 포로들을 돌려보내라고 말했다.[5]
결국 이스라엘 군대는 포로들과 노획품을 유다 지도자들에게 넘기고, 포로들에게 옷을 입히고 먹을 것을 주며 예리코까지 데려다 준 후 사마리아로 돌아갔다.[5]
아하스 즉위 초, 북이스라엘 왕 베가와 아람 왕 르신은 연합하여 아시리아에 대항하려 했다. 이들은 아하스를 설득하려 했으나, 아하스는 이사야의 조언을 거부하고 아시리아의 디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5]
3. 2. 아시리아에 대한 군사적 의존
아하스는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가 통치하던 아시리아에 군사적으로 의존했다. 아하스는 아시리아로 사신을 보내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이는 오히려 유다를 포위하는 결과를 낳았다.[5] 아하스는 성전, 왕궁, 대신들의 집에서 재물을 빼앗아 아시리아 왕에게 바쳤지만, 유다는 여전히 도움을 받지 못했다.[5]아하스는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페카 통치)과 다마스쿠스(아람)(르신 통치) 연합에 맞서기 위해 아시리아의 도움을 요청했다.[5] 이에 티글라트-필레세르는 다마스쿠스를 약탈하고 아람을 병합했으며,[6]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여러 지역을 점령하고 사람들을 아시리아로 추방했다.[7]
아시리아의 개입으로 아하스는 이웃 국가들의 위협에서 벗어났지만, 아시리아는 유다 왕국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하며 유지했다.[8] 이 침략 전쟁은 기원전 734년부터 732년까지 2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다마스쿠스가 점령 및 병합되고 이스라엘 북쪽 지역이 점령되면서 끝났다.[8] 아하스는 통치 기간 내내 아시리아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지 않아, 기원전 722년 사마리아 함락과 북이스라엘의 아시리아 제국 편입과 같은 문제를 겪지 않았다.[8]
선지자 이사야는 아하스에게 외부의 도움에 의존하지 말고 주님을 의지하라고 조언했지만, 아하스는 이를 따르지 않았다.[8]
3. 3. 아시리아의 개입과 결과
아람 군대가 유다를 침공하여 많은 사람들을 포로로 잡아 다마스쿠스로 데려갔고, 이스라엘 왕국의 왕 베가는 유다를 공격하여 하루 만에 12만 명의 군사를 죽였다.[5] 에프라임 출신 용사 지크리는 왕자 마아세야, 궁내 대신 아즈리캄, 그리고 임금 다음 서열인 엘카나를 살해했다. 2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마리아로 끌려갔으나, 오뎃이라는 예언자와 에프라임 지도자들의 중재로 포로들은 예리코로 돌려보내졌다.[5]에돔과 블레셋도 유다를 공격하여 포로를 끌고 가거나 성읍들을 점령했다.[5] 이에 아하스는 아시리아 왕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오히려 아시리아는 유다를 포위했다.[6][7] 아하스는 성전과 왕궁의 재물을 아시리아 왕에게 바쳤지만, 유다는 여전히 도움을 받지 못했다.[8]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아하스의 요청에 따라 다마스쿠스를 약탈하고 아람을 병합했으며, 아람 주민들을 추방하고 르신 왕을 처형했다.[6] 또한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여러 성읍을 점령하고 길르앗, 갈릴리, 납달리 지역 사람들을 아시리아로 추방했다.[7]
아시리아의 개입으로 아하스는 이웃 국가들의 위협에서 벗어났지만, 아시리아는 유다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다. 아하스는 아시리아에 계속 의존해야 했으며, 이는 선지자 이사야의 비판을 받았다.[8]
4. 종교적 타락과 우상 숭배
아하스는 바알들을 위한 신상을 만들고 벤 힌놈 골짜기에서 향을 피우고, 산당과 언덕과 온갖 푸른 나무 아래에 제물을 바치고 향을 피우는 등 우상 숭배를 다시 시작했다.[8]
이로 인해 아람 군대가 쳐들어와 많은 사람들을 포로로 잡아 다마스쿠스로 데려갔고, 이스라엘 왕국의 왕 베가는 유다를 침공하여 단 하루 만에 12만 명의 군사를 죽였다. 에브라임 출신 용사 지크리는 마아세야 왕자와 아즈리캄 궁내 대신, 그리고 왕 다음 서열인 엘카나를 살해했으며, 2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마리아로 끌려갔다.
4. 1. 아시리아 신앙 도입
아하스는 정치뿐만 아니라 종교에서도 아시리아인들의 화려함과 위세에 쉽게 굴복했다. 기원전 732년, 그는 티글라트-필레세르와 그의 신들에게 충성을 맹세하기 위해 다마스쿠스로 갔고, 그곳에서 본 제단에 매료되어 예루살렘에도 비슷한 제단을 만들었다. 제단 의식에도 변화를 주어 성전 예배의 영구적인 특징으로 만들었다. 또한 "아시리아 왕 때문에" 성전의 배치와 가구에도 변화가 있었다.[8] 게다가 아하스는 지배 민족의 방식에 따라 천문 관측소를 갖추고 관련 제사를 드렸다. 다른 방식으로도 아하스는 국가 예배의 성격을 떨어뜨렸다.ויעבר את בנו באשhe에 따르면 아하스가 그의 아들을 불에 태워 몰렉에게 바치는 금지된 행위[8]를 했다. 이 말은 정화 의식이나 희생 제물을 의미할 수 있다.[9] 역대기에는 '아들들'(복수)을 언급한다.
그의 통치는 신명기 역사학자에 의해 국가의 종교적 상태에 재앙을 가져온 것으로 여겨지며, 그의 아들 히스기야의 개혁 사업의 상당 부분은 아하스가 저지른 악을 되돌리기 위한 것이었다.[8]
4. 2. 우상 숭배와 인신 제사
아하스는 우상 숭배를 다시 시작하여 바알들을 위한 신상을 만들고 벤 힌놈 골짜기에서 향을 피웠으며, 산당과 언덕과 온갖 푸른 나무 아래에 제물을 바치고 향을 피웠다.[8]아하스는 정치뿐만 아니라 종교에서도 아시리아인들의 화려함과 위세에 쉽게 굴복했다. 기원전 732년, 그는 티글라트-필레세르와 그의 신들에게 충성을 맹세하기 위해 다마스쿠스로 갔고, 그곳에서 본 제단에 매료되어 예루살렘에도 비슷한 제단을 만들었다. 제단 의식에도 변화를 주어 성전 예배의 영구적인 특징으로 만들었다. 또한 "아시리아 왕 때문에" 성전의 배치와 가구에도 변화가 있었다. 게다가 아하스는 지배 민족의 방식에 따라 천문 관측소를 갖추고 관련 제사를 드렸다. 다른 방식으로도 아하스는 국가 예배의 성격을 떨어뜨렸다.[8]
בְּנֵי הִנֹּםhe는 아하스가 그의 아들을 불에 태워 몰렉에게 바쳤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לֹא תִתֵּן מִזַּרְעֲךָ לְהַעֲבִיר לַמֹּלֶךְhe에서 금지된 행위였다.[8] 이 말은 정화 의식이나 희생 제물을 의미할 수 있다.[9] וַיַּבְעֵר אֶת בָּנָיוhe의 기록은 '아들들'(복수)을 언급한다.
그의 통치는 신명기 역사학자에 의해 국가의 종교적 상태에 재앙을 가져온 것으로 여겨지며, 그의 아들 히스기야의 개혁 사업의 상당 부분은 아하스가 저지른 악을 되돌리기 위한 것이었다.[8]
5. 유다 왕국의 쇠퇴와 아하스의 죽음
아하스는 36세의 나이로 죽었고, 그의 아들 히스기야가 왕위를 계승했다. 아하스는 악행을 저질러 "왕들의 묘실에 들어가지 못했다."[10] 아하스가 주님을 숭배하는 것을 소홀히 했다는 사실은 아들 히스기야가 왕위에 오른 후 니산월 초하루에 제사장과 레위인에게 성전 문을 열고 수리하며 성소의 부정을 제거하도록 지시했다는 데서 드러난다. 이 작업에는 16일이 걸렸다.
5. 1. 주변국의 침략
아하스는 다시 우상 숭배를 시작하여 바알들을 위한 신상을 만들고 벤 힌놈 골짜기에서 향을 피웠으며, 산당과 언덕과 온갖 푸른 나무 아래에 제물을 바치고 향을 피웠다.그러자 아람 군대가 쳐들어와 많은 사람들을 포로로 잡아 수도 다마스쿠스로 데려갔다. 이스라엘 왕국의 왕 베가는 유다에 쳐들어와 단 하루 만에 12만 명의 군사들을 쳐 죽였고, 에브라임 출신 용사 지크리는 마아세야 왕자와 아즈리캄 궁내 대신과 임금 다음 서열인 엘카나를 살해했다. 그리고 2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수도 사마리아로 끌려갔다.
이스라엘 왕국에 이어 에돔이 다시 유다를 쳐 포로들을 끌고 갔고, 블레셋 사람들도 평원 지대와 유다 남부의 성읍들을 공격해 벳 세메스, 아얄론, 그데롯, 소코, 팀나, 김조와 거기에 딸린 마을들을 점령했다.
5. 2. 아하스의 죽음과 평가
에돔이 다시 유다를 쳐 포로들을 끌고 갔고 블레셋 사람들도 평원 지대와 유다 남부의 성읍들을 공격해 벳 세메스, 아얄론, 그데롯, 소코, 팀나, 김조와 거기에 딸린 마을들을 점령했다.결국 아하스는 아시리아로 사신을 보내 아시리아의 왕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오히려 유다를 포위해 버렸다. 그래서 아하스는 성전과 왕궁과 대신들의 집에서 재물을 빼앗아 아시리아 왕에게 주었으나 여전히 유다를 도와주지 않았다.
이렇듯 아하스는 수많은 죄를 저지르다가 죽었다. 그는 36세의 나이로 죽었고, 그의 아들 히스기야가 왕위를 계승했다. 그의 악행 때문에 그는 "왕들의 묘실에 들어가지 못했다" [10] 아하스가 주님을 숭배하는 것을 소홀히 했다는 사실은 아하스 사후 니산월 초하루에 그의 아들 히스기야가 제사장과 레위인에게 성전 문을 열고 수리하며 성소의 부정을 제거하도록 지시했다는 진술에서 드러나는데, 이 작업에는 16일이 걸렸다.
6. 아하스 시대의 유물
아하스의 역사성을 보여주는 유물로는 디글랏 빌레셀 3세의 연대기가 있는데, 여기에는 유다 왕 아하스와 므나헴 이스라엘 왕으로부터 받은 조공과 지불에 대한 언급이 있다.[18][19] 또한, 2015년 에일라트 마자르는 "유다 왕 아하즈의 아들 히스기야 소유"라고 적힌 히스기야 왕의 왕실 불라를 발견했는데, 이 불라는 기원전 727년에서 698년 사이에 제작되었다.[20]
6. 1. 아하스 왕의 인장
1990년대 중반에 한 불라가 골동품 시장에 나타났다. 이 불라는 너비가 약 1.02cm이다. 불라의 뒷면에는 한때 봉인했던 파피루스의 흔적과 그것을 함께 묶었던 이중 끈의 흔적이 새겨져 있다. 왼쪽 가장자리에는 지문이 있다. 많은 불라와 마찬가지로, 이것 또한 우연히 (집이나 도시가 불탔을 때) 가마에서 구워진 듯한 불에 의해 보존되었다. 비문은 "유다 왕 여호탐의 아들 아하즈 소유"라고 적혀 있다. 불라를 제작하고 보존하는 과정을 고려할 때, 불라는 위조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불라가 진품이라고 믿는다. 이 불라는 기원전 732년부터 716년까지 통치한 유다 왕 아하즈의 인장을 담고 있다.[15][16]기원전 8세기에 제작된 오렌지색 카넬리언 스카라베오이드 인장 또한 아하즈를 언급한다. 인장의 비문은 "아하즈의 종 우스나 소유"라고 적혀 있다. 우스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인장은 열왕기하 16장에 언급된 유다 왕 아하즈를 언급한다. 이 유물은 현재 예일 대학교의 고대 인장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17]
6. 2. 우스나의 인장
1990년대 중반에 한 불라가 골동품 시장에 나타났다. 이 불라는 너비가 약 1.02cm이다. 불라의 뒷면에는 한때 봉인했던 파피루스의 흔적과 그것을 함께 묶었던 이중 끈의 흔적이 새겨져 있다. 왼쪽 가장자리에는 지문이 있다. 많은 불라와 마찬가지로, 이것 또한 우연히 (집이나 도시가 불탔을 때) 가마에서 구워진 듯한 불에 의해 보존되었다. 비문은 "유다 왕 여호탐의 아들 아하즈 소유"라고 적혀 있다. 불라를 제작하고 보존하는 과정을 고려할 때, 불라는 위조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불라가 진품이라고 믿는다. 이 불라는 기원전 732년부터 716년까지 통치한 유다 왕 아하즈의 인장을 담고 있다.[15][16]기원전 8세기에 제작된 오렌지색 카넬리언 스카라베오이드 인장 또한 아하즈를 언급한다. 인장의 비문은 "아하즈의 종 우스나 소유"라고 적혀 있다. 우스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인장은 열왕기하 16장에 언급된 유다 왕 아하즈를 언급한다. 이 유물은 현재 예일 대학교의 고대 인장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17]
7. 랍비 문학에서의 아하스
랍비 문헌에 따르면, 아하스는 역대기하 28장 19-25절에 언급된 왕으로, 모든 시련에도 불구하고 악행을 계속하며 회개하지 않았다고 한다.(산헤드린 103a, 메길라 11a)[1] 그는 이스라엘의 종교를 근본부터 위협하여 모든 갱생의 희망을 파괴하려 했다.[1] 학교와 예배당을 폐쇄하여 가르침을 불가능하게 만들었고, 셰키나(하나님의 영광)가 이 땅을 떠나게 했다.[1] 이 때문에 이사야는 은밀히 가르쳐야 했다.(예루살렘 산헤드린 10. 28b; 창세기 라바 42장)[1] 아하스가 예언자의 책망에 겸손하게 순종한 것은 그의 유일한 장점이었다.(산헤드린 104a)[1] 아비는 아들 히스기야를 몰렉에게 제물로 바치려는 남편 아하스로부터 그의 생명을 구했다.[1] 그녀는 도롱뇽의 피를 히스기야에게 발라 몰렉의 불을 무사히 통과하게 했다.(산헤드린 63b)[1]
8. 연대기적 문제
이스라엘 왕들의 실제 통치 연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상당한 논쟁이 있었다. 학자들은 성경에 언급된 사건의 연대기를 다른 외부 자료의 연대기와 맞추려고 노력했다.[13]
유다와 이스라엘 왕들의 재위 연도를 계산하는 달력은 6개월 차이가 났는데, 유다는 티슈리(가을)에 시작했고 이스라엘은 니산(봄)에 시작했다. 따라서 두 왕국 간의 상호 동기화는 종종 왕의 시작 및/또는 종료 날짜를 6개월 범위 내로 좁힐 수 있게 해준다. 아하스의 경우, 성경 데이터에 따르면 요담과의 공동 통치의 시작을 기원전 735년 니산 1일 시작하는 6개월 간격의 시점으로 추정할 수 있다. 티슈리(가을)에 재위 연도를 시작하는 유다 달력에 따르면, 이것은 736/735년, 또는 더 간단히 기원전 736년으로 기록할 수 있다. 그의 아버지는 기원전 732년 티슈리에 시작하는 해의 어느 시점에 친 아시리아 파벌에 의해 책임을 면하게 되었다.[13] 그는 기원전 716년 티슈리 1일과 기원전 715년 니산 1일 사이에 사망했으며, 즉 716/715년, 또는 더 간단히 기원전 716년에 사망했다.
로저 영은 열왕기하 15장 30절(בְּשְׁנַת שְׁתֵּים עֶשְׂרֵה שָׁנָה לְאָחָז מֶלֶךְ יְהוּדָהhe)에서 요담에게 4년이 더 할당된 이유와 아하스의 16년 통치(열왕기하 16장 2절, In the seventeenth year of Pekah son of Remaliah, Ahaz son of Jotham king of Judah began to reign영어)가 요담이 기원전 736/735년에 폐위된 것이 아니라 기원전 732/731년에 사망한 시점부터 계산된 이유에 대한 가능한 설명을 제시한다. 당시의 파벌주의를 고려하여 영은 다음과 같이 적었다.
> 열왕기하 16장 2절과 같은 기록에서 요담의 마지막 4년을 인정한 것은 아하스가 죽은 후 우세했던 반 아시리아 및 반 아하스 궁정의 연대기에서 나왔음에 틀림없다. 아하스는 이 연대기에서 16년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그가 요담을 폐위시킨 기원전 736t [즉, 기원전 736/735년]부터 계산하는 대신, 그의 단독 통치 시작부터 계산한 것이다.[14]
「열왕기 하」 및 「역대기 하」에 따르면, "아하스는 20세에 왕이 되어 16년 동안 예루살렘에서 왕위에 있었다"(열왕기 하 16:1, 역대기 하 28:1, 공동번역 성서|공동번역한국어).
윌리엄 올브라이트는 아하스의 재위 연도를 기원전 735년부터 기원전 715년으로, 에드윈 티일은 기원전 732년부터 기원전 716년으로 제시했다.
참조
[1]
웹사이트
Douay-Rheims Catholic Bible, Isaias (Isaiah) Chapter 7
http://www.drbo.org/[...]
[2]
서적
The Tiberian Pronunciation Tradition of Biblical Hebrew, Volume 1.
Open Book Publishers
[3]
문서
The Royal Inscriptions of Tiglath-pileser III (744-727 BC) and Shalmaneser V (726-722 BC), Kings of Assyria
Eisenbrauns
[4]
서적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Kregel Academic
1994-10-01
[5]
서적
Isaiah 7
https://books.google[...]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
2003
[6]
서적
Ancient Israel: What Do We Know and How Do We Know It?
T&T Clark
[7]
문서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Ahaz, King of Judah
http://jewishencyclo[...]
[9]
웹사이트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on 2 Kings 16
http://biblehub.com/[...]
2018-01-14
[10]
문서
2 Chronicles 29:3–20
NIV
[11]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Ahaz
http://jewishencyclo[...]
[12]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Abijah
http://jewishencyclo[...]
[13]
서적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Eerdmans
[14]
간행물
When Was Samaria Captured? The Need for Precision in Biblical Chronologies
http://home.swbell.n[...]
[15]
웹사이트
Biblical Archaeology 15: Ahaz Bulla
https://theosophical[...]
2011-08-12
[16]
웹사이트
First Impression
http://www.archaeolo[...]
[17]
웹사이트
Ancient Seals From the Babylonian Collection
https://www.library.[...]
2020-06-24
[18]
서적
Jewish History and You: From the Patriarchs to the Expulsion from Spain With Documents and Texts
https://books.google[...]
KTAV Publishing House, Inc.
2000-01-01
[19]
서적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https://books.google[...]
Kregel Academic
1994-10-01
[20]
웹사이트
First Ever Seal Impression of an Israelite or Judean King Exposed near Temple Mount
http://www.jpost.com[...]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