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즈키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즈키야는 "야훼가 강하게 하신다"는 뜻의 이름을 가진 유다의 왕으로, 열왕기하, 이사야, 역대기하에 기록되어 있다. 그는 25세에 왕위에 올라 29년간 통치했으며, 일부 학자들은 그의 아버지 아하스와의 공동 섭정을 주장한다. 히즈키야는 성전을 정화하고 종교 개혁을 단행하여 우상 숭배를 척결하고 야훼 신앙을 강화했다. 그는 아시리아의 침공에 대비하여 성벽을 요새화하고 실로암 터널을 건설하는 등 방어 체제를 구축했으며, 질병에서 기적적으로 회복되기도 했다. 히즈키야는 바빌론 사절단에게 자신의 부를 과시하는 실수를 저질렀고, 말년에 병들어 죽어 다윗 자손의 묘실에 안장되었다. 그의 통치 기간에는 유다 왕국의 국력이 증가했고, 고고학적으로도 다양한 증거가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다 국왕 - 다윗 왕조
    다윗 왕조는 고대 이스라엘 왕국의 다윗 왕을 시조로 하는 왕조로서 성경과 고고학적 자료로 존재가 확인되며 유다 왕국 왕들을 배출하여 고대 이스라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특히 유대교에서는 메시아가 다윗 가문에서 나올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 유다 국왕 - 르호보암
    르호보암은 솔로몬의 아들이자 유다 왕국의 초대 왕으로, 강압적인 정책으로 이스라엘 왕국을 분열시키고 이집트의 침공으로 국력이 쇠퇴했다.
  • 구약성경의 인물 - 시바의 여왕
    시바의 여왕은 성경, 에티오피아,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언급되는 전설적인 인물로, 솔로몬 왕을 방문하여 그의 지혜를 시험하고, 에티오피아 왕조의 기원과 관련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구약성경의 인물 - 호세아
    기원전 8세기 후반 북이스라엘의 마지막 왕인 호세아는 앗시리아의 꼭두각시 왕으로 즉위했으나 이집트와 손잡고 독립을 추구하다가 사마리아 함락으로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며 통치를 마감했다.
히즈키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7세기 성모 마리아 교회의 성가대에 있는 무명 예술가의 그림에 묘사된 히즈키야 왕
칭호유다 왕
재위 기간 종료기원전 687년경
출생일기원전 739/41년경
출생지아마도 예루살렘
사망일기원전 687년경 (51~54세)
사망지아마도 예루살렘
매장지예루살렘
계승자므나쎄
배우자헵시바
자녀므나쎄
아마랴?
왕가다윗 가문
아버지아하즈
어머니아비야 (아비라고도 함)
이름
히브리어(ḥizqiyyāhu)
의미야훼께서 강하게 하신다
통치
통치 시작기원전 716/15 – 687/86년경
평가
성경적 평가열왕기하 18:3, 역대기하 29:2에 따라 야훼 보시기에 올바른 일을 행함

2. 어원

히즈키야라는 이름은 히브리어로 "야훼가 강하게 하신다"는 뜻이다.[7] 또는 "야훼는 나의 힘"으로 번역될 수도 있다.[8]

3. 성경 기록

히스기야 통치에 대한 주요 성경 기록은 열왕기하[9], 이사야[10], 역대기하[11]에 나와 있다. 잠언 25장 1절은 "유다 왕 히스기야의 신하들이 베낀" 솔로몬의 잠언 모음으로 시작한다.[12] 그의 통치는 예레미야서, 호세아서, 미가서, 이사야서 등의 예언서에도 언급되어 있다. 호세아서미가서는 그들의 예언이 히스기야의 통치 기간에 이루어졌다고 기록한다. 이사야서는 히스기야가 신(新) 아시리아 제국의 산헤립에게 유다가 포위되었을 때 이사야의 도움을 구했던 내용을 기록한다.[13]

4. 생애와 통치

히즈키야는 25세에 유다의 왕이 되어 29년간 통치했다.[21] 일부 학자들은 히즈키야가 아버지 아하스와 함께 약 14년간 공동 섭정을 했다고 주장한다. 그의 단독 통치는 기원전 715-687년(올브라이트) 또는 기원전 716-687년(틸레)으로 추정되며, 마지막 10년은 아들 므낫세와 공동 섭정 기간이었다.[15]

히즈키야는 아버지가 몰렉에게 제물로 바치려 했으나, 어머니가 도롱뇽의 피를 발라 불길을 무사히 통과하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71]

히즈키야는 주님을 신뢰하는 모범적인 인물로 여겨진다. 탈무드 학자들은 그의 히브리어 이름 "Ḥizḳiyyah"를 "여호와에 의해 강해진 자" 또는 "이스라엘과 여호와 사이에 확고한 동맹을 맺은 자"로 해석한다. 그는 율법 연구를 회복한 자로 불리며, 벳 하 미드라쉬 문 앞에 칼을 세워 율법을 공부하지 않는 자는 그 무기로 쳐야 한다고 선언했다고 한다. 그 결과 유다 왕국 전체에 정결법과 부정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탈무드 학자들은 히즈키야의 경건함이 아시리아 군대의 멸망과 예루살렘 구원을 이끌었다고 보았으며, 일부는 그를 메시아로 여기기도 했다. 바르 카파라는 히즈키야가 메시아가 될 운명이었지만, 정의의 속성이 그가 하나님의 찬양을 노래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반대했다고 전한다.

실로암 터널


히즈키야는 실로암 터널을 뚫어 저수지를 만들고,[104][105] 국경 방비를 강화하고 성벽을 수리했다.[103] 아시리아산헤립 시대에 히즈키야는 반란에 가담했다. 그러나 바빌론 군과 이집트 군이 진압되고, 기원전 701년에는 유다 왕국의 46개 도시가 점령되었으며, 많은 백성이 아시리아로 끌려갔다.

히즈키야는 산헤립에게 은 300달란트와 금 30달란트를 지불했지만 배신당했고, 산헤립은 대군을 이끌고 예루살렘으로 쳐들어왔다.[106] 산헤립의 기록에 따르면, 히즈키야는 예루살렘에 갇힌 새와 같았다고 한다.[102]

히즈키야는 예루살렘을 넘겨줄 것을 요구받았지만 거부했고, 산헤립은 군대를 철수시켰다.(:en:Assyrian Siege of Jerusalem) 이사야는 적이 도시에 들어오지 못할 것이라고 예언했다.[107] 구약성서에서는 야훼의 사자가 아시리아 진영에서 18만 5천 명을 살해했다고 한다.[108]

히즈키야는 병들어 죽게 되었을 때 하느님께 기도하여 15년의 생명을 연장받았다.[45] 그러나 바빌론 사절단에게 이스라엘의 부와 명예를 과시하여, 야훼 하느님의 진노를 샀다.[49]

히즈키야는 엄청난 부와 영광을 누렸으며, 은과 금, 보석 등 귀중품을 보관하는 창고를 지었다.[128] 또한 기혼 샘의 물줄기를 돌려 예루살렘으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다.

4. 1. 즉위와 초기 생애

히즈키야는 아하스 왕과 대제사장 스가랴의 딸인 아비야(아비라고도 함)[6]의 아들이었다. 헤프지바와 결혼했으며,[19] 기원전 687년경 54세의 나이로 자연사했고, 그의 아들 므낫세가 왕위를 계승했다.[20]

재위 기간은 기원전 715년 또는 716년부터 687년까지였다. 25세에 왕이 되었을 때, 유다 왕국은 아시리아의 속국 상태에 있었다. 그러나 히스기야는 아시리아의 눈치를 보면서 국력을 증강시켰다.

4. 2. 성전 정화와 종교 개혁

히즈키야는 왕이 된 뒤 가장 먼저 성전 문들을 열고 보수했으며, 사제들과 레위인들을 모아 성전을 정화하도록 명령하였다.[113] 그의 명령에 따라 레위인들은 형제들을 모아 자신들을 거룩하게 하고 성전을 정화했으며, 부정한 것들은 기드론 골짜기에 버렸다.[114]

이때 대표적으로 나선 레위인들은 다음과 같다.

가문인물
크핫의 자손아마시야의 아들 마핫과 아자르야의 아들 요엘
므라리의 자손압디의 아들 키스와 여할렐렐의 아들 아자르야
게르손인짐마의 아들 요아와 요아의 아들 에덴
엘리차판의 자손시므이와 여이엘
아삽의 자손즈카르야와 마탄나
헤만의 자손여히엘과 시므이
여두툰의 자손스마야와 우찌엘



또한, 모세가 광야에서 만든 놋뱀을 이스라엘 백성들이 계속 숭배하는 것을 우상 숭배로 규정하고 부순 뒤 느후스탄(נְחֻשְׁתָּן|놋조각he)이라고 불렀다.[115][116][117]

여러 달 동안 거룩하게 일을 진행했고, 황소 7마리, 숫양 7마리, 어린 양 7마리, 그리고 나라와 성소와 유다를 위한 속죄 제물로 숫염소 7마리를 제물로 바쳤다. 레위인들은 성전에 배치하고 다윗의 악기를 연주했으며, 사제들은 쇠 나팔을 불어 하나님을 찬양하였다.

이 모든 일이 끝나자 히즈키야는 다음과 같은 종교 개혁을 실시했다.


  • 주상을 부수었다.
  • 아세라 목상을 찍어 버렸다.
  • 산당과 당을 없애 버렸다.
  • 율법에 기록된 대로 번제와 안식일 등의 절기 제물을 드리는 일을 진행했다.
  • 모세가 만든 놋뱀을 쳐서 부쉈다.


성경에 따르면 히즈키야는 성전을 정화하고 수리했으며, 그 안의 우상들을 제거하고 제사장직을 개혁했다.[22] 그는 왕국에서 우상 숭배를 없애기 위해 높은 곳과 모세가 만들었다고 기록된 놋뱀 (느후스탄)을 파괴했다. 대신 그는 예루살렘 성전에서 야훼 예배를 중앙 집권화했다. 히즈키야는 또한 블레셋을 "가자 및 그 영토까지" 물리쳤고,[23] 유월절 순례를 재개했으며, 흩어진 이스라엘 지파를 초대하여 유월절 축제에 참여하는 전통을 부활시켰다.

역대기 30장에 따르면, 히즈키야는 에브라임과 므낫세에게 유월절 기념을 위해 예루살렘으로 초청하는 사자들을 보냈다. 사자들은 조롱을 받았지만, 아셀, 므낫세, 스불론 지파의 몇몇 사람들이 "겸손하여" 예루살렘으로 왔다.[24] 유월절은 솔로몬 시대 이후 예루살렘에서 볼 수 없었던 엄숙함과 기쁨으로 기념되었다.[6] 이 축제는 첫째 달에 충분한 제사장들이 성별하지 못했기 때문에, 둘째 달인 이야르에 열렸다.

히즈키야는 정치적인 수단으로는 유다와 이스라엘의 연합을 회복할 수 없었기에, 북쪽 지파에 대한 초청을 종교적인 "예배의 통일성을 회복하려는 시도"로 사용했다는 제안이 있다.

아하스 왕 시대에 성행했던 우상 숭배를 척결하고 토착 신전들을 제거하여 국교의 순수성을 회복했기에, 히즈키야는 역대 유다 왕국과 이스라엘 왕국의 왕들 중에서도 경건한 왕으로 칭송받는 몇 안 되는 왕 중 한 명으로 꼽힌다.[102]

4. 3. 유월절 준수와 북이스라엘과의 관계

히즈키야는 서로 다른 국가지만, 같은 민족인 북이스라엘까지 사람을 보내 예루살렘 성전으로 와서 유월절을 지키라고 권유했다.[118] 이때 남유다의 남쪽에 있는 브엘세바에서 북이스라엘의 북쪽 지방인 단에 이르기까지 온 이스라엘에 율법서에 기록된 유월절을 지키라는 소식을 전했다. 그러나 대부분은 무시하는 것을 넘어 조소를 보내고, 므낫세 지파와 아셀 지파즈불룬 지파에서 온 소수만이 예루살렘으로 와서 유월절을 지켰다.[119] 유월절은 원래 1월에 지키는 절기이지만, 사제도 준비가 잘 되어있지 않고 백성들도 제때 도착하지 못하여 2월에 유월절을 지켰는데 이를 제2유월절이라 한다.[120]

제2유월절을 지키기 위해서 많은 백성들이 예루살렘으로 모이자 성전 안에 있던 우상의 제단들을 치우고 분향 단들도 모두 치워 기드론 시내에 버렸다.[121] 또한 유월절 양을 잡아 제물로 바치고 봉헌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지방에서 온 사람들은 율법대로 하지 않고 정결하지 못한 몸으로 유월절 양을 먹었다.[122]

예루살렘에 모인 백성들은 크게 기뻐하며 이레 동안 무교절을 지내며 하나님을 찬양했고 히즈키야는 능숙한 솜씨로 레위인들을 격려해 주고 친교 제물을 바치고 축제 제물들을 나눠 먹었다. 또한 히즈키야는 회중에게 황소 1000마리와 양 7000마리를 내놓고 대신들 역시 황소 1000마리와 양 를 회중에게 내놓았다. 히즈키야는 다윗의 아들 솔로몬 시대 이후 예루살렘에서 가장 큰 유월절을 지냈는데, 북이스라엘과 남유다 사이의 통합을 도모한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123]

역대기 30장(열왕기에는 나오지 않음)에 따르면, 히즈키야는 에브라임 지파와 므낫세 지파에게 유월절 기념을 위해 예루살렘으로 초청하는 사자들을 보냈다. 사자들은 조롱을 받았지만, 아셀 지파, 므낫세, 스불론 지파의 몇몇 사람들이 "겸손하여" 그 도시에 왔다.[24] 성경 기록에 따르면, 유월절은 솔로몬 시대 이후 예루살렘에서 볼 수 없었던 엄숙함과 기쁨으로 기념되었다.[6] 이 축제는 첫째 달에 충분한 제사장들이 성별하지 못했기 때문에, 둘째 달인 이야르에 열렸다.

성서 저술가 H. P. 마티스는 히즈키야가 정치적인 수단으로는 유다와 이스라엘의 연합을 회복할 수 없었기에, 북쪽 지파에 대한 초청을 종교적인 마지막 "예배의 통일성을 회복하려는 시도"로 사용했다고 제안한다. 그는 이 기록이 "부정적인 측면도 보고되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신뢰할 만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종종 여겨진다"고 언급하지만, 그것이 역사적으로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한다.[25]

4. 4. 아시리아의 침공과 대응

산나케립 침공 당시 예루살렘 성벽 유적


히즈키야 4년, 북이스라엘의 수도 사마리아아시리아 군대에 포위되어 3년간의 공성전 끝에 사르곤 2세에게 함락되고 호세아를 비롯한 백성들이 잡혀갔다. 기원전 705년 아시리아 왕 사르곤 2세가 죽자 그의 아들 센나케립(산헤립)이 왕이 되었다. 기원전 703년 센나케립은 아시리아의 지배에 반발하는 세력을 진압하기 위해 동부 도시들을 시작으로 군사 작전을 시작했고, 기원전 701년에는 서쪽 도시들로 방향을 틀어 유다를 침략하기 시작했다. 당시 히즈키야는 아시리아를 배척하고 블레셋을 공격해 영토를 가자까지 넓히는 등 확장 정책을 펼치고 있었다.[124] 히즈키야는 성들의 방비를 튼튼히 하여 이에 대비했다.

그러나 유다 왕국에 대한 아시리아의 괴롭힘이 심해지자, 히즈키야는 산나케립이 유다 왕국을 파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은 300달란트 (단위)와 금 30달란트 (단위)를 공물로 바쳤고, 심지어 성전 문을 떼어 보내기까지 했다. 그럼에도 산나케립은 공세를 강화하여 예루살렘을 공격하기 시작했다.[125] 산나케립은 랍사게를 전령으로 보냈는데, 랍사게는 예루살렘 성벽 앞에서 유다 방언으로 히즈키야의 개혁은 야훼의 뜻이 아니며, 너희는 약하니 반역하지 말라고 말했다.[126] 히즈키야의 신하들이 유다 방언이 아닌 아람 방언으로 말해달라고 부탁하자, 랍사게는 병사들도 알아야 한다며 계속 유다 방언으로 말했다. 이에 히즈키야는 통탄하며 이사야에게 전령을 보내 하나님의 뜻을 구하고, 성전에 들어가 기도했다.[127]

히즈키야 왕과 아모츠의 아들 이사야 예언자가 하늘을 향해 부르짖으며 기도하자 하느님이 천사를 보내 아시리아 군대의 모든 지휘관과 장수를 쓸어버렸다고 한다. 그리고 산헤립은 수치심을 안고 자기 나라로 돌아갔다가 자신의 친아들들에게 암살당했다고 성경은 기록한다.

아시리아 궁수


히즈키야는 실로암 터널을 뚫어 저수지를 만드는 등 물을 확보하고,[104][105] 국경 방비를 강화하고 성벽을 수리했다.[103]

아시리아산헤립 시대에 바빌로니아와 이집트가 아시리아에 대한 반란 기운을 조성하여 전쟁이 시작되자, 히즈키야도 이에 휩쓸려 반란 측에 가담했다. 그러나 바빌론 군과 이집트 군이 진압되고, 기원전 701년에는 유다 왕국의 46개 도시가 점령되었으며, 많은 백성이 아시리아로 끌려갔다.

히즈키야는 산헤립에게 물러가게 해달라고 요청하며 은 300달란트 (단위)와 금 30달란트 (단위)를 지불했지만, 오히려 배신당했고, 산헤립은 대군을 이끌고 예루살렘으로 쳐들어왔다.[106] 이때 산헤립의 기록에 따르면, 히즈키야를 마치 새장 속의 새처럼 예루살렘에 가두었다고 한다.[102]

히즈키야는 예루살렘을 넘겨줄 것을 요구받았지만, 이를 거부하자, 산헤립은 예루살렘에 입성하지 않고 군대를 철수시켰다.(:en:Assyrian Siege of Jerusalem) 이때 유다 왕국의 예언자 이사야는 적이 이 도시에 들어오지 못할 것이라고 예언했다.[107] 실제 철수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구약성서에서는 야훼의 사자가 아시리아 진영의 18만 5천 명을 살해했다고 한다.[108]

4. 5. 기적적인 구원과 산헤립의 최후



히즈키야는 북이스라엘이 아시리아에 멸망하고 센나케립(산헤립)이 왕위에 오르자, 아시리아에 반기를 들고 불레셋을 공격하는 등 확장 정책을 펼쳤다.[124] 이에 아시리아는 유다 왕국을 침공했고, 히즈키야는 센나케립에게 은 삼백 달란트와 금 삼십 달란트를 바치며 화친을 청했으나, 산헤립은 공세를 강화하여 예루살렘을 공격했다.[125]

산헤립은 랍사게를 보내 히즈키야의 개혁을 비난하고 항복을 요구했으나, 히즈키야는 이사야에게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성전에서 기도했다.[127] 히즈키야와 이사야가 기도하자, 하느님은 천사를 보내 아시리아 군대를 물리쳤고, 산헤립은 본국으로 돌아가 아들들에게 암살당했다.[33]

성경 기록에 따르면, 센나케리브는 히즈키야에게 위협적인 편지를 보냈지만, 예루살렘을 포위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시리아 군대는 큰 피해를 입고 물러났다.[33] 잭 파인건 교수는 아시리아 왕들의 비문에 나타나는 자랑스러운 어조를 고려할 때, 센나케리브가 이러한 패배를 기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정한다.[34]

센나케리브 프리즘에는 히즈키야가 조공을 바쳤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지만, 성경 기록과는 달리 예루살렘 점령에 대한 언급은 없다.[35] 헤로도토스는 센나케리브의 군대가 쥐 떼에 의해 휩쓸렸다고 기록했고,[36] 요세푸스는 베로수스의 말을 인용하여 성경 기록과 유사하게 묘사했다.[37]

히즈키야는 예루살렘이 포위될 것에 대비하여 성벽을 강화하고 실로암 터널을 건설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했다.[22] 성경은 야훼의 사자가 아시리아 진영에서 18만 5천 명을 살해하여 산헤립이 군대를 철수시켰다고 기록한다.[108]

4. 6. 질병과 치유, 그리고 바빌론 사절단

히즈키야는 병들어 죽게 되었을 때 하느님께 기도하여 15년의 생명을 연장받는 표징을 받았다.[45] 그러나 바빌론 사절단에게 이스라엘의 부와 명예를 과시하는 실수를 저질렀고, 이로 인해 야훼 하느님의 진노를 샀다.[49]

히즈키야는 엄청난 부와 영광을 누렸으며, 은과 금, 보석 등 귀중품을 보관하는 창고를 지었다.[128] 또한 기혼 샘의 물줄기를 돌려 예루살렘으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다.

말년에 히즈키야는 종기[43] 또는 염증으로[44] 앓게 되었다. 이사야는 히즈키야에게 죽을 것이라고 예언했지만, 히즈키야의 간절한 기도로 하느님은 그를 치유하고 수명을 연장시켜 주었다. 이사야는 징표로 아하스의 해시계 그림자를 10도 뒤로 물러가게 했다.[45]

회복 후, 여러 사절단이 히즈키야를 찾아왔는데,[46] 그중에는 바빌론 왕 므로닥발라단의 아들도 있었다.[47] 히즈키야는 자만심에 빠져[48] 바빌론 사절단에게 예루살렘의 모든 재물과 무기를 보여주었다. 이사야는 이를 경고하며 훗날 유다 백성이 바빌론 유수로 끌려갈 것이라고 예언했다.[49]

탈무드에 따르면, 히즈키야의 질병은 이사야와의 논쟁, 결혼과 출산 거부[6], 또는 그의 오만함[73] 때문이었다고 한다.

4. 7. 말년과 죽음

이 무렵 히즈키야는 병들어 죽게 되자 하느님께 기도했고 15년을 더 살게 되었다. 그러나 바빌론 대사에게 이스라엘의 부와 명예를 보여주는 실수를 범했고, 이를 통해 야훼 하느님의 진노가 유다와 예루살렘에 내려졌다.[49]

히즈키야는 대단한 부와 영광을 누려 은과 금, 보석, 향료, 작은 방패와 온갖 값진 기물들을 보관한 창고를 지었다. 또한 수확한 곡식과 포도주, 기름을 저장할 곳집, 온갖 가축 우리와 양 우리들도 지었다. 그는 기혼 샘의 위쪽 물줄기를 막아 뒤잇 성 서쪽 밑으로 돌려 끌어들이는 데에도 성공했다.

히즈키야는 이 들어 그의 선조들 곁에 안장되었다.[128] 온 유다 국민과 예루살렘 주민이 그를 다윗 자손의 묘실 중 높은 곳에 장사하여, 그의 죽음에 존경을 표하였다.[129] 히즈키야가 죽은 후, 그의 아들 므나쎄가 유다의 왕이 되었다.[130] 히즈키야는 헤프지바와 결혼했으며[19] 기원전 687년경 54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그의 아들 므낫세가 왕위를 계승했다.[20]

히스기야가 바빌론 왕의 사절들에게 자신의 부를 과시하는 모습, 비센테 로페스 포르타냐의 1789년 유화


말년에 히스기야는 종기[43] 또는 염증으로 앓게 되었다.[44] 이사야는 그에게 주께서 그에게 죽을 것이니 집을 정리하라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그러나 히스기야는 기도했고, 이사야는 주께서 그의 기도를 들으시고 그를 낫게 해주시겠다고 말하며 돌아왔다. 히스기야는 징표를 요구했고, 이사야는 그림자가 10도 앞으로 갈지, 뒤로 갈지를 물었다. 히스기야는 뒤로 가야 한다고 말했고, 기록에는 "선지자 이사야가 주께 부르짖으니, 그는 아하스의 해시계에서 그림자를 10도 뒤로 물러가게 하셨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의 질병과 기적적인 회복에 대한 이야기는 열왕기하, 역대하, 이사야서에 나온다.[45]

다양한 사절들이 그의 회복을 축하하기 위해 왔고,[46] 그중에는 "히스기야가 병들었다는 소식을 들었다"는 므로닥발라단, 바빌론 왕의 아들이 있었다.[47] 히스기야는 그 방문에 자만심을 느껴[48] 바빌론 사절단에게 예루살렘의 모든 재산, 무기, 저장물을 보여주며 바빌론 왕인 발라단에게 너무 많은 정보를 노출시키거나, 어쩌면 그의 부를 자랑했을 것이다. 그 후 이사야는 그에게 나타나 유다 백성의 미래 세대가 바빌론 유수로 끌려갈 것이라고 예언했다. 히스기야는 자신의 생애 동안 평화와 안보를 누릴 것이라고 안심했다.[49]

이사야에 따르면, 히스기야는 하나님께 기도한 후 15년을 더 살았다.[50]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므낫세는 이 기간 동안 태어났으며, 히스기야의 뒤를 이었을 때 12세였다.[51]

5. 고고학적 증거



히스기야 왕의 도장이 찍힌 불라(bulla), "유다 왕 아하스의 아들 히스기야". 출처 불분명, 이스라엘 박물관 소장


쐐기 문자로 새겨진 비문으로, 유다 왕 히스기야가 산헤립에게 보낸 조공에 대해 상세히 언급하고 있다. 대영 박물관 소장


실로암 연못


영국 박물관에 소장된 라키스 부조의 일부. 전투 장면으로, 아시리아 기병대의 활동을 보여준다. 위쪽에는 포로들이 끌려가고 있다.


산헤립의 군사 원정을 기록한 6면 점토 프리즘, 시카고 대학교 동양 연구소 박물관


히스기야는 예루살렘이 포위될 것에 대비하여 수도의 성벽을 요새화하고 망대를 건설했으며, 성 밖의 샘에서 도시로 물을 끌어오는 실로암 터널을 건설했다.[22] 넓은 성벽 건설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그는 아시리아 왕 산헤립이 예루살렘을 공격할 것을 예상하고, 성 밖의 샘물을 막아 아시리아 군대가 물을 얻지 못하게 했다.[30] 성경 기록에 따르면 산헤립의 군대는 예루살렘을 포위했다.[31]

성경 외 자료들은 히스기야의 이름, 통치 기간, 영향력을 명시하고 있다. 고고학자 아미하이 마자르는 앗시리아와 유다 사이의 긴장을 "철기 시대에 가장 잘 기록된 사건 중 하나"라고 평가하며, 히스기야의 이야기는 중동의 다른 역사적 문서와 상호 참조하기에 가장 좋은 사례 중 하나라고 말한다.

상인방 비문은 그의 비서 셉나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53] LMLK 봉인이 찍힌 저장 항아리는 산헤립의 침략에 대비한 준비를 보여주며, 히스기야의 왕실 통제력을 보여주는 증거이다.[52] 이 항아리들은 그의 29년 통치 기간 동안 사용되었다. 히스기야 본인의 것으로 추정되는 불라도 발견되었다.[54] 2015년 에일라트 마자르는 "유다 왕 아하스의 [아들] 히스기야에게 속함"으로 번역되는 고대 히브리 문자로 새겨진 불라를 발견했는데,[55] 이는 고고학 발굴에서 발견된 최초의 이스라엘 또는 유다 왕의 봉인이다.[56][57] 이러한 고고학적 발견은 고대 유다 왕국이 고도로 발달된 행정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준다.[58] 2018년, 마자르는 이사야의 것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 불라 발견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59] 그러나 크리스토퍼 롤스턴 등은 불라가 불완전하며, 현재의 비문이 반드시 성서 속 인물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60]

히스기야 통치 기간 동안 유다 왕국의 국력은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유다는 아시리아-이집트 국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였다.[61] 문해력이 향상되었고 문학 작품 생산이 증가했다. 광폭 성벽 건설, 도시 확장 등으로 예루살렘 인구는 25,000명까지 증가했다.[52] 고고학자 이스라엘 핀켈스타인은 예루살렘과 유다의 인구 증가가 경제적 번영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으며, 북부 왕국이 아시리아에 의해 파괴되면서 도망친 이스라엘인들의 유입 때문이라고 주장한다.[62] 마자르는 이러한 설명에 의문을 제기한다.[62]

실로암 터널은 기혼 샘 또는 실로암 연못의 물을 예루살렘으로 끌어오기 위해 만들어졌다. 실로암 비문은 터널 양쪽 끝에서 작업하던 두 팀이 만나는 순간을 기념하며,[41] 고대 히브리어 비문 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로 여겨진다.[41]

윌리엄 G. 데버와 같은 고고학자들은 히스기야 재위 기간 동안의 우상 파괴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를 지적한다. 아라드 성전의 중앙 제실이 의도적으로 해체되었으며, 제단과 마세보트가 석고 바닥 아래에 숨겨졌다.[63]

르호보암 시대에 라키스는 유다 왕국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도시였다. 히스기야가 아시리아에 반란을 일으키자, 사르곤 2세는 라키스를 포위하여 함락시켰다 (라키스 포위전). 라키스 부조는 전투와 도시의 패배를 생생하게 묘사한다.[64]

산헤립의 프리즘은 니네베 궁전 기초에서 발견되었으며, 쐐기 문자로 기록되었다. 이 프리즘에는 46개의 도시[65]와 예루살렘 포위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산헤립은 히스기야를 "새장 속의 새처럼" 가두었다고 묘사했다.[41] 히브리 성경에는 여호와(YHWH)의 천사가 18만 5천 명의 아시리아 군인들을 죽였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지만,[66] 포위 이후 산헤립에게 300 달란트의 은을 조공으로 바쳤다는 기록도 있다. 산헤립의 기록에는 800 달란트의 은을 조공으로 받았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는 포위를 끝내기 위한 항복을 암시한다. 산헤립은 히스기야가 종속을 받아들였다고 주장하며, 일부 학자들은 히스기야가 종속 통치자로서 왕위에 머물렀다고 본다. 아시리아 기록과 성경 열왕기에는 차이가 있지만, 아시리아인들이 과장을 잘한다는 점에는 의견이 일치한다.[41]

성경적 관점을 취하는 한 이론은 패배의 원인이 흑사병 발병이었을 것이라고 본다.[69] 또 다른 이론은 이것이 탈출기 이야기와 유사한 전설적 모티프를 사용한 합성 텍스트라고 본다.[70] 열왕기 2서에는 300 달란트의 은을 바쳤다고 설명하는 반면, 산헤립의 프리즘에는 800 달란트가 기록되어 있다.[41] 이는 아시리아와 이스라엘 은 달란트 무게 차이 또는 아시리아의 과장 경향 때문일 수 있다.[41]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쥐의 전염병으로 인한 아시리아인의 죽음을 기록했고,[52]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헤로도토스의 기록을 따랐다.[52] 이들 역사가들은 예루살렘을 점령하는 센나케립의 실패를 논쟁의 여지가 없는 사건으로 기록하고 있다.[52]

탈무드 (바바 바트라 15a)는 히스기야가 이사야서, 잠언, 아가, 전도서 등의 성경 편찬을 감독했다고 기록한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아시리아인에 대한 승리와 히스기야의 건강 회복은 유월절 첫날밤에 동시에 일어났다.

히스기야는 왕국의 행정, 조세 제도를 간소화하고 곡물을 비축했으며 축산을 발전시켰다. 또한 국경 방비를 강화하고 성벽을 수리했으며,[103] 물 확보를 위해 터널을 뚫어 저수지를 만들었다.[104][105] 히스기야 치세의 특기할 만한 점은 지하 수로 개발이다. 유다 왕국은 산으로 둘러싸여 방어가 견고했지만, 식량 공격이나 단수에 취약했다. 히스기야는 광대한 지하 수로를 개착하여 음료수 확보에 성공했다. 이 수로는 현재도 남아 있으며, "히스기야의 샘"이라고 불린다. 샘에는 당시의 비문도 남아 있는데, 이것이 고대 아람어|고대 아람어arc 해독에 기여한 "실로암 비문"이다.

6. 평가



성경 외 자료는 히스기야의 이름, 통치 기간 및 영향력을 명시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그의 통치는 다양한 성경 자료와 종종 동일한 사건을 다루는 다양한 성경 외 증거가 수렴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히스기야에 대한 중요한 자료는 신명기 역사, 역대기 저자, 이사야, 아시리아 연대기 및 부조, 이스라엘 비문, 그리고 점점 더 많은 층서학에서 나타난다."[52] 고고학자 아미하이 마자르는 앗시리아와 유다 사이의 긴장을 "철기 시대에 가장 잘 기록된 사건 중 하나"라고 불렀다. 히스기야의 이야기는 중동 세계의 다른 역사적 문서와 상호 참조하기에 가장 좋은 사례 중 하나이다.

무덤 입구에 발견된 상인방 비문은 그의 비서 셉나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53]

소위 "LMLK 봉인"이 찍힌 저장 항아리는 "산헤립의 침략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신중한 준비를 보여주며", "히스기야가 시골 제사 장소를 파괴하고 예루살렘에서 예배를 중앙집권화하는 데 기여할 왕실의 도시 통제력을 보여준다"고 한다.[52] 증거에 따르면 이 항아리들은 그의 29년 통치 기간 동안 사용되었다고 한다.

봉인된 문서에서 나온 몇 개의 불라가 있는데, 이는 히스기야 본인의 것일 수도 있다.[54] 2015년, 에일라트 마자르는 고대 히브리 문자로 새겨진 불라를 발견했는데, 그 내용은 "유다 왕 아하스의 [아들] 히스기야에게 속함"으로 번역된다.[55] 이는 과학적 고고학 발굴에서 빛을 본 최초의 이스라엘 또는 유다 왕의 봉인이다.[56] 히스기야 왕의 또 다른 출처가 불분명한 불라가 알려져 있었지만, 실제 발굴 과정에서 히스기야의 봉인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57]

히스기야 봉인과 같은 고고학적 발견은 학자들이 고대 유다 왕국이 고도로 발달된 행정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게 했다.[58] 2018년, 마자르는 이사야의 것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 불라 발견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녀는 조각이 "선지자 이사야에게 속함"으로 읽혔을 수 있는 봉인의 일부라고 믿고 있다.[59] 조지 워싱턴 대학교의 크리스토퍼 롤스턴을 포함한 다른 여러 성서 고고학자들은 불라가 불완전하며, 현재의 비문이 반드시 성서 속 인물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60]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 (기원전 484년경 – 기원전 425년경)는 침략에 대해 기록했고 많은 아시리아인의 죽음을 인정했는데, 그는 이것이 쥐의 전염병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헤로도토스의 기록을 따랐다.[52] 이들 역사가들은 예루살렘을 점령하는 센나케립의 실패를 "논쟁의 여지 없는" 사건으로 기록하고 있다.[52]

탈무드 (바바 바트라 15a)는 히스기야가 이사야서, 잠언, 아가, 전도서 등의 성경을 편찬하는 것을 감독했다고 기록한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아시리아인에 대한 승리와 히스기야의 건강 회복은 동시에 일어났으며, 이는 유월절의 첫날밤에 일어났다.

히스기야는 솔로몬 왕이나 아합 왕이 보인 (바알 신 등) 타국·타민족 종교에 대한 관용성·세계주의에서는 매우 부족했지만, 필요에 따라 종교가 다른 이집트와도 손을 잡고 아시리아에 대항하여 유다 왕국의 독립을 지켰다. 세속적인 독립과 정신적인 독립을 모두 추구하여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7. 연대기적 해석

에드윈 R. 틸레윌리엄 F. 올브라이트는 히스기야의 통치 연대를 기원전 715/16년에서 686/87년 사이로 추정했다.[14][15] 롭 앤드류 영은 기원전 725~696년, 게르숀 갈릴은 기원전 726~697/6년으로 추정한다.[16] 성경사마리아의 함락이 히스기야 통치 6년에 일어났다고 기록하고 있는데,[17] 이는 히스기야가 기원전 727년경에 왕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나다브 나아만은 8세기 후반 카우프만 컬렉션의 인장 인상들이 산헤립의 침략으로 파괴된 장소들을 언급하고, 최대 26년까지의 통치 연도가 새겨져 있어 이보다 앞선다는 점을 들어 이 날짜를 뒷받침한다.[18]

학자 스티븐 L. 해리스에 따르면, 열왕기하 20장은 18장과 19장의 사건보다 먼저 일어났다.[85] 바빌론 사절은 아시리아의 침략과 포위보다 먼저 등장하며, 20장은 포로 시대에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해리스는 이것이 "히스기야가 '아시리아에 대항하기 위해 바빌론을 동맹으로 끌어들이려고 애쓰던' 시기인 '산헤립의 침략 전에 일어난 것임이 분명하다'"고 말한다.[85] ''고고학 연구 성경'' 역시 히스기야가 바빌론인들에게 보여준 "이러한 부의 존재"가 "이 사건이 기원전 701년에 산헤립에게 조공을 바치기 전에 일어났음을 나타낸다"(564)고 언급한다.[41]

이스라엘 왕들의 실제 통치 연대에 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상당한 논쟁이 있었다. 학자들은 히브리 성경에 언급된 사건의 연대기를 다른 외부 자료와 동기화하려 노력해 왔다. 히스기야의 경우, 학자들은 히스기야가 유다 왕들의 선조 4대에 걸쳐 그랬던 것처럼 그의 아버지와 공동 통치를 했으며, 이 공동 통치는 기원전 729년에 시작되었다는 증거를 받아들여 불일치를 해결했다.

공동 통치를 배제했을 때 계산에 불일치가 있음을 보여주는 예로, 열왕기하 18장 10절[86]은 사마리아의 함락 시기를 히스기야 통치 6년으로 기록하고 있다. 올브라이트는 이스라엘 왕국의 함락 시기를 기원전 721년, 틸레는 기원전 723년으로 계산했다. 만약 이 연대 측정이 정확하다면 히스기야의 통치는 기원전 729년 또는 727년에 시작될 것이다. 반면, 열왕기하 18장 13절[87]은 산헤립이 히스기야 통치 14년에 유다를 침공했다고 기록한다. 앗시리아 기록에 따르면 이 침공은 기원전 701년으로, 히스기야의 통치는 기원전 716/715년에 시작될 것이다.[88] 이 연대 측정은 열왕기하 20장에 나오는 히스기야의 질병 기록으로 확인되는데,[89] 이는 산헤립이 떠난 직후에 이어진다. 이는 그의 질병을 히스기야 14년에 해당하게 하며, 그는 15년을 더 살 것이라는 이사야의 진술[90]에 의해 확인된다(29 - 15 = 14).

율리우스 벨하우젠의 접근 방식을 따르면, 히스기야는 기원전 722년 이전에 왕위에 오르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올브라이트의 계산에 따르면, 예후의 즉위 첫해는 기원전 842년이고, 그해부터 사마리아의 멸망까지 ''열왕기하''에 나오는 이스라엘 왕들의 총 통치 기간은 143 7/12년이다. 유다 왕들의 경우, 그 숫자는 165년이다. 유다의 경우 45년(165–120)에 달하는 이 불일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되어 왔다.

올브라이트와 리처드 엘리엇 프리드먼 이후, 여러 학자들은 이러한 연대 측정 문제를 히스기야와 그의 아버지 아하스 사이의 기원전 729년과 716/715년 사이의 공동 통치에 근거하여 설명해 왔다. 앗시리아학자들과 이집트학자들은 공동 통치가 앗시리아와 이집트 모두에서 시행되었던 관습임을 인식하고 있다.[93][94] 나다브 나아만은 공동 통치가 북부 왕국(이스라엘)에서 드물게 사용되었음을 언급한 후,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반면, 유다 왕국에서는 공동 통치자를 임명하는 것이 일반적인 절차였으며, 이는 다윗이 죽기 전에 그의 아들 솔로몬을 왕위에 올린 것에서 시작되었다. 요아스 시대부터 유다의 공동 통치가 영구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동 통치의 정확한 연대 측정이 실제로 기원전 8세기의 성경 연대기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라고 감히 결론 내릴 수 있다."he[95]

아하스와 히스기야 사이의 공동 통치를 인정한 학자들로는 케네스 키친,[96] 레슬리 맥팔,[97] 잭 파인건이 있다.[98] 맥팔은 1991년 논문에서 유다의 연도가 기원전 729년 티슈리에서 시작하는 아하스/히스기야의 공동 통치 시작으로, 그리고 기원전 716/715년을 아하스의 사망일로 간주한다면, 기원전 8세기 말 히스기야와 그의 동시대 인물에 대한 광범위한 연대기적 데이터가 모두 조화를 이룬다고 주장한다.

공동 통치 원칙을 받아들이는 학자들은 성경 자료 자체에서 그 사용에 대한 풍부한 증거가 발견된다는 점에 주목한다.[100]

참조

[1] 서적 The Tiberian Pronunciation Tradition of Biblical Hebrew, Volume 1 Open Book Publishers
[2]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1985
[3] 간행물 Hezekiah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09-11-12
[4] 성경
[5] 성경
[6] 웹사이트 Hezekiah http://www.jewishenc[...] 2012-04-15
[7] 서적 Far From Minimal: Celebrating the Work and Influence of Philip R. Davies Bloomsbury Publishing 2012-03-22
[8] 문서 The Contemporary Shilo Pocket Dictionary
[9] 성경 Hebrew-English Bible
[10] 성경 Hebrew-English Bible
[11] 성경 Hebrew-English Bible
[12] 성경 Hebrew-English Bible
[13] 성경 Hebrew-English Bible
[14] 학술지 The Chronology of the Divided Monarchy of Israel https://www.jstor.or[...]
[15] 서적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Macmillan 1951
[16] 서적 The Chronology of the Kings of Israel and Judah https://books.google[...] BRILL 1996
[17] 성경
[18] 서적 Gabriel: Tell this Man the Meaning of His Vision (Daniel, 8:16) : Studies in Archaeology, Epigraphy, Iconography and the Biblical World in Honor of Gabriel Barkay on the Occasion of His 80th Birthday (22 June 2024) Archaeological Center Publications
[19] 성경 Hebrew-English Bible
[20] 성경 Hebrew-English Bible
[21] 성경 Hebrew-English Bible
[22] 웹사이트 Sennacherib and Jerusalem http://www.metmuseum[...]
[23] 성경 Hebrew-English Bible
[24] 성경 Jerusalem Bible
[25] 서적 1 and 2 Chronicles https://b-ok.org/dl/[...] The Oxford Bible Commentary 2001
[26] 성경 Hebrew-English Bible
[27] 서적 1 & 2 Kings Baker Publishing Group 2006
[28] 성경 Hebrew-English Bible
[29] 성경 Hebrew-English Bible
[30] 성경 Hebrew-English Bible
[31] 성경 Hebrew-English Bible
[32] 성경 Hebrew-English Bible
[33] 성경 Hebrew-English Bible
[34] 문서 Light From the Ancient Past 1959
[35] 문서 Ancient Near Eastern Texts
[3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Herodotus http://www.gutenberg[...] Book 2, Verse 141
[37] 웹사이트 Antiquities of the Jews https://penelope.uch[...] Flavius Josephus, Book 10, chapter 1, section 5
[38] 성경 Hebrew-English Bible 2 Kings 19:37
[39] 서적 New Bible Dictionary Eerdmans 1965
[40]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Oxford Press 2010
[41] 서적 Archaeological Study Bible Zondervan 2005
[42] 서적 Ancient Iraq
[43] 성경 Bible 2 Kings 20:7
[44] 성경 Bible 2 Kings 20:7 in the Amplified Bible translation
[45] 성경 Hebrew-English Bible 2 Kings 20:1, 2 Chronicles 32:24 and Isaiah 38:1
[46] 성경 Hebrew-English Bible 2 Chronicles 32:23
[47] 성경 Bible 2 Kings 20:12
[48] 웹사이트 Biblic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http://biblehub.com/[...] 2018-01-23
[49] 성경 Bible 2 Kings 20:12–19
[50] 성경 Hebrew-English Bible Isaiah 38:5
[51] 성경 Bible 2 Kings 20:21;2 Kings 21:1
[52] 서적 Hezekiah 1992
[53] 성경 Hebrew-English Bible 2 Kings 18:18
[54] 문서 2004
[55] 웹사이트 King Hezekiah's seal discovered in Jerusalem https://edition.cnn.[...] CNN 2018-03-14
[56] 웹사이트 Impression of King Hezekiah's Royal Seal Discovered in Ophel Excavations South of Temple Mount in Jerusalem {{!}} האוניברסיטה העברית בירושלים {{!}}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http://new.huji.ac.i[...] 2018-03-14
[57] 웹사이트 Impression of King Hezekiah's royal seal discovered in excavations in Jerusalem: First seal impression of an Israelite or Judean king ever exposed in situ in a scientific archaeological excavation https://www.scienced[...] 2020-06-24
[58] 뉴스 Hezekiah Seal Proves Ancient Jerusalem Was a Major Judahite Capital https://www.haaretz.[...] 2018-03-14
[59] 간행물 Is This the Prophet Isaiah's Signature? https://members.bib-[...] 2018-03-14
[60] 웹사이트 2018 February http://www.rollstone[...] 2018-02-27
[61] 서적 Ancient Israel and Its Neighbors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2005
[62] 서적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Israel: Debating Archaeology and the History of Early Israel Brill 2007
[63] 서적 Did God Have a Wife?]: Archaeology and Folk Religion in Ancient Israel Eerdmans 2005
[64] 서적 Hezekiah 1972
[65]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ed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66] 성경 Hebrew-English Bible 2 Kings 19:35
[67] 문서 Ancient Near Eastern Texts
[68]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III Part 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서적 Zondervan Handbook to the Bible Lion Publishing 1999
[70] 서적 Isaiah 1–39: With an Introduction to Prophetic Literatur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6
[71]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Abijah http://jewishencyclo[...]
[72] 문서 Ber. 10a
[73] 문서 Sanh. 104a
[74] 문서 Pes. iv., end
[75] 문서 Ber. 10b; comp. Ab. R. N. ii., ed. Schechter, p. 11
[76] 문서 "Gesch. des Volkes Israel," iii. 669, note 5
[77] 문서 Ḥul. 6b
[78] 문서 II Kings xviii. 13–16 and II Chron. xxxii. 1–8
[79] 문서 Eccl. R. ix. 27
[80] 문서 II Chron. xxxii. 25
[81] 문서 Yalḳ., l.c. 245
[82] 문서 Sanh. 94b
[83] 문서 Yalḳ., II Chron. 1085
[84] 웹사이트 Hezekiah http://jewishencyclo[...]
[85]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cGraw-Hill 2011
[86] 서적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Zondervan/Kregel 1983
[87] 성경 2 Kings 18:13
[88] 간행물 A Translation Guide to the Chronological Data in Kings and Chronicles https://web.archive.[...] 1991
[89] 성경 2 Kings 20
[90] 성경 2 Kings 20:6
[91] 성경 2 Kings 18:2
[92] 성경 2 Kings 16:2
[93] 서적 Ancient Egyptian Coregencies The Oriental Institute 1977
[94] 서적 New Bible Dictionary Eerdmans 1965
[95] 간행물 Historical and Chronological Notes on the Kingdoms of Israel and Judah in the Eighth Century BC 1986
[96] 서적 New Bible Dictionary
[97] 간행물 Translation Guide
[98] 서적 Handbook of Biblical Chronology Hendrickson 1998
[99] 간행물 Translation Guide https://web.archive.[...]
[100] 서적 Mysterious Numbers
[101] 서적 Handbook of Biblical Chronology
[102] 서적 旧約聖書人名事典 東洋書林 1996
[103] 성경 歴代誌下32:5-6
[104] 성경 歴代誌下32:30
[105] 성경 列王記下20:20
[106] 문서 列王紀下(口語訳)#18:13-17
[107] 문서 列王記下19:31-34
[108] 문서 イザヤ書(口語訳)#37:36
[109] 문서 歴代誌下32:33
[110] 웹인용 개역한글판/열왕기하 16:20 https://ko.wikisourc[...] 2021-04-01
[111] 웹인용 개역한글판/열왕기하 18:3 https://ko.wikisourc[...] 2021-04-01
[112] 웹인용 개역한글판/역대하 29장 https://ko.wikisourc[...] 2021-04-01
[113] 웹인용 개역한글판/역대하 29:3~5 https://ko.wikisourc[...] 2021-04-01
[114] 웹인용 개역한글판/열왕기하 23:4~6 https://ko.wikisourc[...] 2021-04-01
[115] 웹인용 개역한글판/열왕기하 18:4 https://ko.wikisourc[...] 2021-04-01
[116] 웹인용 성경/사전/주석 - 두란노닷컴 http://www.duranno.c[...] 2021-04-01
[117] 웹인용 대한성서공회 용어사전 https://www.bskorea.[...] 2021-04-01
[118] 웹인용 개역한글판/역대하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https://ko.wikisourc[...] 2021-04-01
[119] 웹인용 개역한글판/역대하30:10~11 https://ko.wikisourc[...] 2021-04-01
[120] 웹인용 두 번째 유월절(The second Passover) - 2월 유월절, 제 2유월절의 유래 https://pasteve.com/[...] 2021-02-02
[121] 웹인용 개역한글판/역대하 30장 https://ko.wikisourc[...] 2021-04-01
[122] 웹인용 평강제일교회 http://www.pyungkang[...] 2021-04-01
[123] 서적 "1 and 2 Chronicles" in Barton, J. and Muddiman, J. (2001), The Oxford Bible Commentary https://b-ok.org/dl/[...] 2017-11-22
[124] 문서 열왕기하 18:19-22, 32-36, 19:14-19, 28
[125] 서적 "1 & 2 Kings," Brazos Theological Commentary on the Bible Baker Publishing Group 2006
[126] 문서 열왕기하 18:17-35
[127] 문서 열왕기하 19장
[128] 웹인용 개역한글판/열왕기하 20장 21절 https://ko.wikisourc[...] 2022-03-09
[129] 웹인용 개역한글판/역대하 32장 33절 https://ko.wikisourc[...] 2022-03-09
[130] 문서 역대하 32장 33절, 열왕기하 20장 21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