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자기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성 자기애는 1964년 에리히 프롬이 처음 사용한 용어로, 악의 전형을 나타내는 심각한 정신 장애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를 기본으로 하며 반사회적, 편집성, 가학적 인격 장애의 특징을 포함하며, 때로는 사이코패스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악성 자기애는 공감 능력 부족, 피해에 대한 죄책감 부재, 타인에게 고통을 가하는 데서 기쁨을 느끼는 특징을 보이며, 정신분석학적 치료가 어렵고 사회적, 가족적으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사회적 행동 - 깨진 유리창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소한 무질서가 방치되면 더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이론으로, 1982년 제시되었으며, 뉴욕시 치안 정책에 반영되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했으나, 과잉 단속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반사회적 행동 - 차별
차별은 특정 집단이라는 이유로 개인이나 집단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부당하게 대우하는 행위로, 인종, 성별, 종교 등 다양한 근거로 발생하며, 국제기구들은 차별 종식을 위해 노력하고 각국은 차별 금지 법률을 시행하고 있다. - 자기애 - 트로피 와이프
트로피 와이프는 성공한 남성이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얻는 젊고 매력적인 아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여성을 남성의 성공을 나타내는 전리품처럼 취급한다는 비판적인 의미를 내포하며, 여성의 성적 대상화 및 사회적 불평등을 드러내는 사례로 지적된다. - 자기애 - 가스라이팅
가스라이팅은 상대방의 현실 인식을 조작하여 자존감을 훼손하고 의존하게 만드는 심리적 조종 행위로, 다양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정신적 학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만 용어 남용에 대한 우려와 사회적 문제로의 인식도 존재한다. - 이상심리학 - 망상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확고하게 믿는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뇌 기능 장애,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조현병, 망상장애 등에서 나타나며,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이상심리학 - 식사장애
식사장애는 체중, 체형, 음식 섭취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비정상적인 식사 행동을 보이는 정신 질환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 장애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유전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심각한 합병증과 높은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악성 자기애 |
---|
2. 역사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은 1964년에 '악성 자기애(Malignant narcissism)'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으며, 이는 악의 전형을 나타내는 심각한 정신 장애를 표현하는 데 이용되었다. 프롬은 그 상태를 가장 심각한 병리성이며, 가장 잔인한 파괴성과 비인간성의 근원으로 특징지었다[30].[25] 하바트 로젠페르드는 악성 자기애를 자기애성 성격의 불안정한 한 형태로, 과대성이 공격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자기의 파괴적인 측면이 이상화된 것으로 표현했다[31].[26]
이후 정신 분석학자 오토 칸바그가 이 개념을 더욱 발전시켰다. 그는 반사회성 성격은 기본적으로 자기애적이며 윤리성이 없다고 지적했다[32].[27] 칸바그는 1984년에 악성 자기애를 정신과 진단명으로 제안했지만, 국제 질병 분류(ICD-10)나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 등 주요 의료 메뉴얼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는 악성 자기애를 자기애성 성격 장애, 반사회적 특성, 망상적 특징, 자아 친화적 공격성 등이 복합된 증후군으로 설명했다. 또한 양심의 결여, 권력에 대한 욕구, 특별하다는 느낌(과대성) 등도 악성 자기애의 증상에 포함될 수 있다고 보았다[32].[27]
2. 1. 용어의 기원
사회 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이 1964년에 '악성 자기애(Malignant narcissism)'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만들었으며, 이는 악의 전형을 나타내는 심각한 정신 장애를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다. 프롬은 이 상태를 가장 심각한 병리성이며, 가장 잔인한 파괴성과 비인간성의 근원으로 특징지었다.[30] 그는 이 상태를 유아론적 형태의 자기애로 특징지었으며, 개인은 자신의 성취보다는 내재된 특성에 자부심을 느끼며, 따라서 다른 사람이나 현실과의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보았다.[4]에디트 바이게르트는 1967년에 악성 자기애를 "좌절로부터의 퇴행적인 도피, 왜곡과 현실 부정"으로 보았고,[5] 허버트 로젠펠드는 1971년에 이를 "과대성이 공격성과 결합하고 자아의 파괴적인 측면이 이상화되는, 자기애적 성격의 불안한 형태"로 묘사했다.[31][5]
정신분석학자 조지 H. 폴락은 1978년에 "악성 자기애자는 병적으로 과대하며, 양심과 행동 규제가 결여되어 있으며, 특징적으로 기쁨에 찬 잔혹함과 가학증을 보인다"고 썼다.[6] 1983년, M. 스콧 펙은 악성 자기애를 악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사용했다.[7]
정신 분석학자 오토 컨버그는 반사회성 퍼스낼러티는 기본적으로 자기애적이고, 윤리성을 가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32] 그는 1984년에 악성 자기애를 정신과 진단명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지만, ICD-10이나 DSM-5를 시작으로 한, 어느 의료 메뉴얼에서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칸바그는 악성 자기애를,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 반사회적 특성, 망상적 특징, 그리고 자아 친화적 공격성에 특징 지울 수 있는 증후군으로서 기술했다. 다른 증상으로서는, 양심의 결여, 권력에의 정신상의 욕구, 특별하다는 감각 (과대성)을 포함할 수 있다.[32] 악성 자기애는 가학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본질적으로는, 가학적 정신병질자를 만들어 낸다고 보았다.
2. 2. 오토 컨버그의 연구
정신분석학자 오토 케른버그는 에리히 프롬과 허버트 로젠펠드의 악성 자기애 개념을 발전시켜, 1984년에 악성 자기애를 정신 의학적 진단으로 제안했다.[8] 그는 악성 자기애[9]를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 반사회적 행동적 특징, 편집증적 특징, 그리고 자아동조적 공격성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묘사했다. 다른 증상으로는 양심의 부재, 권력의 남용과 통제에 대한 심리적 필요성, 그리고 중요성(과대성)의 느낌 등이 있을 수 있다.[32]케른버그는 악성 자기애를 병적 자기애의 심각성 스펙트럼의 일부로 보았으며, 가장 심한 단계는 "반사회적 성격"(사이코패스 또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에서 악성 자기애를 거쳐 자기애성 성격 장애까지 이어진다고 보았다.[10]
그는 악성 자기애를 사이코패스와 구별했는데, 악성 자기애 환자는 "공격적이고 이상화된 초자아 전구체를 모두 내면화하여 병적인 과대 자기의 공격적이고 가학적인 특징을 이상화하게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케른버그에 따르면, 사이코패스는 외부의 영향에 대한 편집증적 태도로 인해 "공격자"의 가치조차 내면화하려 하지 않지만, 악성 자기애 환자는 "강력한 사람들을 존경할 능력이 있으며, 가학적이고 강력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부모의 이미지에 의존할 수 있다".[11] 사이코패스와는 대조적으로 악성 자기애 환자는 "응집력 있는 '갱'의 일부로서 다른 강력한 이상화된 인물과 어느 정도 동일시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충성심과 좋은 대상 관계를 내면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들 중 일부는 합리화된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학적인 갱이나 테러리스트 단체의 리더로서 동료에 대한 충성심을 갖는 경우"라고 한다.[11]
케른버그는 반사회성 인격은 근본적으로 자기애적이며 도덕성이 없다고 지적했다.[12] 악성 자기애는 가학피학증적 요소를 포함하여 본질적으로 가학적인 사이코패스를 만들어낸다.
현재, 악성 자기애는 국제 질병 분류(ICD) 또는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같은 의학 교과서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3. 특징
악성 자기애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의 특징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면서도, 더 광범위하고 심각한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 질환이다. 에리히 프롬은 1964년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악의 전형"이자 "가장 잔인한 파괴성과 비인간성의 근원"이라고 묘사했다.[30]
악성 자기애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 외에도 반사회적 행동, 편집증적 특징, 자아동조적 공격성을 보인다.[32] 양심의 부재, 권력의 남용과 통제에 대한 심리적 필요성, 과대성 또한 주요 특징이다.[32]
악성 자기애 환자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 환자와 달리, 반사회적 인격 장애, 편집성 인격 장애, 가학성 인격 장애의 특징을 함께 보인다. 이들은 공감 능력이 현저히 부족하고, 자신이 초래한 피해에 대해 죄책감이나 후회를 느끼지 않는다.[9][13][32]
오토 케른베르크는 악성 자기애가 가학증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가학적 사이코패스를 만들어 낸다고 보았다.[32] 또한, 악성 자기애 환자는 심리적 투사를 방어 기제로 사용하며, 비판에 직면하면 편집증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18][19]
3. 1. 자기애성 성격 장애와의 관계
악성 자기애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더 광범위한 증상을 나타낸다.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은 1964년에 "악성 자기애"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이는 악의 전형을 나타내는 심각한 정신 장애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프롬은 이 상태를 가장 심각한 병리성이자 가장 잔인한 파괴성과 비인간성의 근원으로 특징지었다.[30]정신분석학자 오토 케른베르크는 악성 자기애를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 반사회적 행동적 특징, 편집증적 특징, 그리고 자아동조적 공격성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묘사했다. 다른 증상으로는 양심의 부재, 권력의 남용과 통제에 대한 심리적 필요성, 그리고 중요성(과대성)의 느낌 등이 있을 수 있다.[32] 케른베르크는 악성 자기애 환자가 사이코패스와 달리 "응집력 있는 '갱'의 일부로서 다른 강력한 이상화된 인물과 어느 정도 동일시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충성심과 좋은 대상 관계를 내면화하는 것을 허용한다"고 보았다.[11]
악성 자기애와 자기애성 성격 장애의 주요 차이점은 악성 자기애가 다른 성격 장애의 공존 질환적 특징을 포함하여, 병적인 자기애(NPD)보다 더 광범위한 증상 범위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악성 자기애에서는 NPD에 반사회적 인격 장애, 편집성 인격 장애, 가학성 인격 장애의 추가적인 증상이 동반된다. NPD를 가진 사람은 자신의 이기적인 욕망을 추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지만, 그렇게 한 것에 대해 후회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후회를 보일 것이다. 반면, 악성 자기애에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의 특징이 나타나기 때문에, 악성 자기애자는 NPD만 있는 사람보다 더 광범위한 공감 능력 부재를 보이며, 자신이 초래한 피해에 대해 죄책감이나 후회를 느끼지 않는다.
3. 2. 반사회성, 가학성, 편집증
악성 자기애는 반사회성 성격장애, 가학성 성격장애, 편집증적 성격장애의 특징들을 보인다. 공감 능력과 죄책감이 부족하고, 타인에 대한 공격성과 지배욕, 과대성 등이 두드러진다.[9][13][32]에리히 프롬은 악성 자기애를 "가장 잔인한 파괴성과 비인간성의 근원"이라고 묘사했다.[30] 오토 케른버그는 반사회성 성격은 기본적으로 자기애적이며 윤리성이 없다고 지적했다.[32] 그는 악성 자기애가 가학증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가학적 사이코패스를 만들어 낸다고 보았다.
케른버그는 악성 자기애를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 반사회적 행동적 특징, 편집증적 특징, 자아동조적 공격성을 보이는 증후군으로 묘사했다. 또한 양심의 부재, 권력의 남용과 통제에 대한 심리적 필요성, 과대성 등이 포함된다고 설명했다.[10]
악성 자기애 환자는 심리적 투사를 방어 기제로 사용하며, 비판받으면 편집증을 보이기도 한다.[18][19]
3. 3. 사이코패스와의 관계
오토 케른베르크는 악성 자기애를 사이코패스와 구별했는데, 악성 자기애 환자는 "공격적이고 이상화된 초자아 전구체를 모두 내면화하여 병적인 과대 자기의 공격적이고 가학적인 특징을 이상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케른베르크에 따르면, 사이코패스는 외부 영향에 대한 편집증적 태도로 "공격자"의 가치조차 내면화하려 하지 않지만, 악성 자기애 환자는 "강력한 사람들을 존경할 능력이 있으며, 가학적이고 강력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부모의 이미지에 의존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사이코패스와 달리 악성 자기애 환자는 "'갱'과 같이 응집력 있는 집단의 일원으로서, 다른 강력하고 이상화된 인물과 어느 정도 동일시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충성심과 좋은 대상 관계를 내면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악성 자기애 환자는 합리화된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학적인 갱이나 테러리스트 단체의 리더로서 동료에 대한 충성심을 갖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11]"악성 자기애"와 "사이코패스"라는 용어는 임상적으로 둘을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때때로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자기애성 성격 장애, 악성 자기애, 그리고 사이코패스를 가진 사람들은 모두 헤어 사이코패스 체크리스트(Hare Psychopathy Checklist)에 상세히 설명된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헤어 사이코패스 체크리스트는 20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은 3점 척도(0점: 전혀 해당하지 않음, 1점: 부분적으로 일치하거나 정보가 혼합됨, 2점: 상당히 일치함)로 점수가 매겨진다. 미국의 사이코패스 진단 기준은 40점 만점에 30점, 영국의 경우 25점이다.[17] 높은 점수는 충동성, 공격성, 마키아벨리즘, 지속적인 범죄 행동과 관련이 있지만, 공감 능력이나 친밀감과는 관련이 없다.
4. 진단
에리히 프롬은 1964년에 '악성 자기애(Malignant narcissism)'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어, 악의 전형을 나타내는 심각한 정신 장애를 표현했다. 프롬은 악성 자기애를 가장 심각한 병리성이며, 잔인한 파괴성과 비인간성의 근원으로 보았다.[30] 허버트 로젠펠드는 악성 자기애를 자기애성 성격의 불안정한 형태로, 공격성을 중심으로 한 과대성이 형성되어 자기 파괴적인 측면이 이상화된 것이라고 설명했다.[31]
정신분석학자 오토 칸바그는 반사회성 성격이 기본적으로 자기애적이고 윤리성이 없다고 지적하며, 악성 자기애가 가학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가학적 사이코패스를 만들어낸다고 보았다.[32] 칸바그는 1984년에 악성 자기애를 정신과 진단명으로 제안했지만, 국제질병분류(ICD)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는 악성 자기애를 자기애성 성격 장애, 반사회적 특성, 망상적 특징, 자아 친화적 공격성이 나타나는 증후군으로 기술했다. 다른 증상으로는 양심 결여, 권력에 대한 정신적 욕구, 특별하다는 느낌(과대성) 등이 있다.[32]
오토 케른버그는 1984년에 악성 자기애를 정신 의학적 진단으로 처음 제안했다.[8] 그는 악성 자기애[9]를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 반사회적 행동적 특징, 편집증적 특징, 그리고 자아동조적 공격성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묘사했다. 다른 증상으로는 양심의 부재, 권력의 남용과 통제에 대한 심리적 필요성, 그리고 중요성(과대성)의 느낌 등이 있을 수 있다.
케른버그는 악성 자기애를 병적 자기애의 심각성의 스펙트럼의 일부로 간주해야 한다고 믿었다. 가장 심한 단계는 "반사회적 성격"([허비 M. 클레클리]] 정신과 의사가 정의한, 현재 사이코패스 또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로 불림)에서 악성 자기애를 거쳐 자기애성 성격 장애까지 이어졌다.[10]
현재, 악성 자기애는 국제 질병 분류 (ICD) 또는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DSM)과 같은 의학 교과서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5. 치료
악성 자기애는 광범위한 사회적, 가족적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성격 장애이므로 정신과와 사회 과학 분야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치료는 치료 공동체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 전문가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 교육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권장된다.[22]
5. 1. 치료의 어려움
일반적으로 악성 자기애를 분석할 때, "환자는 분석을 파괴하고 자신을 파괴함으로써 분석가를 이기려 한다."[20] 이는 자크 라캉이 묘사한 "자존심의 심리적 저항... 종종 '나는 나 외에 누구에게서도 자유로워지는 생각을 견딜 수 없다'고 표현된다"의 극단적인 형태이다.[21]5. 2. 치료적 접근
악성 자기애는 광범위한 사회적, 가족적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성격 장애이므로 정신과와 사회 과학 분야 모두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치료는 치료 공동체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 전문가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 교육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권장된다.[22]6. 한국 사회와 악성 자기애
한국 사회에서 악성 자기애는 아직 널리 알려진 개념은 아니지만, 최근 개인주의 심화와 사회적 경쟁 과열로 인해 점차 주목받고 있다.
악성 자기애는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 부족, 과도한 자기중심성, 특권 의식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성향은 대인 관계의 어려움, 사회 부적응, 심한 경우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집단주의 문화를 중시했지만, 최근 개인의 성공과 자아실현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악성 자기애 성향이 나타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또한, 과도한 입시 경쟁, 외모지상주의, 물질 만능주의 등도 악성 자기애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악성 자기애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함께, 건강한 개인주의와 공동체 의식을 조화롭게 추구하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7. 관련 인물 (해외)
- 에리히 프롬: 사회심리학자로 1964년에 '악성 자기애'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었으며, 이를 '악의 전형'을 나타내는 심각한 정신 장애로 표현했다. 그는 악성 자기애를 가장 심각한 병리성이며 잔인한 파괴성과 비인간성의 근원으로 특징지었다.[30] 또한, 개인이 자신의 성취보다는 내재된 특성에 자부심을 느끼는 유아론적 형태의 자기애로 보았다.[4]
- 허버트 로젠펠드: 악성 자기애를 자기애성 퍼스낼러티의 불온한 한 형태로, 공격성을 중심으로 과대성이 형성되어 자기 파괴적인 측면이 이상화된 것으로 표현했다.[31] 에디트 바이게르트와 함께 악성 자기애를 "좌절로부터의 퇴행적인 도피, 왜곡과 현실 부정"으로 보았다.[5]
- 오토 컨버그: 정신분석학자로, 반사회성 퍼스낼러티는 기본적으로 자기애적이고 윤리성이 없다고 지적했다.[32] 악성 자기애가 가학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가학적 사이코패스를 만들어낸다고 보았다. 악성 자기애를 정신과 진단명으로 제안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는 악성 자기애를 자기애성 퍼스낼러티 장해(NPD), 반사회적 특성, 망상적 특징, 자아 친화적 공격성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증후군으로 기술했다.[32]
참조
[1]
서적
Campbells' Psychiatric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
논문
Transference-Focused Psychotherapy for Pathological Narcissism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TFP-N)
https://guilfordjour[...]
2021-06
[3]
서적
Camouflaged aggression: The hidden threat to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https://archive.org/[...]
Brush Education
[4]
서적
The heart of man: Its genius for good and evil
Lantern Books
1964
[5]
서적
Comprehensive dictionary of psychoanalysis
https://archive.org/[...]
Routledge
[6]
논문
Process and affect: Mourning and grief
https://www.pep-web.[...]
Taylor & Francis
1978
[7]
서적
People of the Lie: The Hope for Healing Human Evil
Touchstone
1998
[8]
서적
Severe personality disorders: Psychotherapeutic strategie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3
[9]
논문
Malignant narcissism in relation to clinical change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exploratory study
Karger Publishers
2018-01
[10]
서적
Psychopathy: Antisocial, criminal, and violent behavior
The Guilford Press
[11]
서적
Disorders of narcissism
1997
[12]
논문
Factors in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of narcissistic personalities
SAGE Publications
1970-01-01
[13]
논문
The new science of narcissism
Sounds True
[14]
논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sexual sadism, malignant narcissism, and serial murder
Wiley
1997-01
[15]
논문
Child serial murder-psychodynamics: Closely watched shadows
Guildford Press
2001-Summer
[16]
웹사이트
Merriam-Webster Dictionary definition of Malignant
https://www.merriam-[...]
2024-01
[1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sychiat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8]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Psychoanalysis
Thomson-Gale
[19]
논문
Malignant narcissism: Concealed side of psychopathy
https://biomedres.us[...]
2019-10-15
[20]
서적
Disorders of Narcissism: Diagnostic, Clin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Jason Aronson
1997
[21]
서적
Écrits: A selection
W. W. Norton & Company
2004
[22]
논문
Malignant narcissism: From fairy tales to harsh reality
https://pubmed.ncbi.[...]
2010
[23]
서적
Campbells' Psychiatric Dictionary
R. J. Campbell
[24]
서적
Camouflaged Aggression
A. Abdennur
[25]
서적
The Heart of Man
Fromm, Erich
[26]
서적
Comprehensive Dictionary of Psychoanalysis
Salman Akhtar
[27]
논문
Factors in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of narcissistic personalities
Kernberg O.
[28]
서적
Campbells' Psychiatric Dictionary
R. J. Campbell
[29]
서적
Camouflaged Aggression
A. Abdennur
[30]
서적
The Heart of Man
Fromm, Erich
[31]
서적
Comprehensive Dictionary of Psychoanalysis
Salman Akhtar
[32]
논문
Factors in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of narcissistic personalities
Kernberg 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