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악장 (악곡의 부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장은 악곡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3개 또는 4개로 구성된다. 바로크 시대에는 교회 소나타가 느림-빠름-느림-빠름의 4악장, 후기 바로크 시대 협주곡은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 형식을 보였다. 고전파 이후에는 4악장 구성의 경우 빠름-느림-무곡-빠름, 3악장 구성의 경우 빠름-느림-빠름의 조합이 일반적이다. 낭만파 시대 이후에는 다양한 형식이 나타났으며, 악장이 하나만 있는 경우나 5악장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악장 간의 통일성은 고전 시대 이후 하이든에 의해 추구되었으며, 낭만주의 시대에는 순환 형식을 통해 강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악곡의 형식 - 돌림노래
    돌림노래는 동일 멜로디를 여러 성부가 시간차를 두고 부르는 형식으로, 중세부터 존재했으며 "Sumer is icumen in" 같은 초기 영어 노래와 노트르담 악파의 라틴어 노래가 있고, 멜로디 블록 구조와 화음으로 가능하며, 클래식 작곡가도 사용했고, 한국의 "개구리 합창" 등도 있다.
  • 악곡의 형식 - 코랄
    코랄은 독일 종교 개혁에서 유래한 독일어 찬미가를 지칭하며, 마르틴 루터의 예배 운동으로 촉발되어 다성부 형태로 발전, 바흐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한 음악 형식으로 창작되었고 현재까지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널리 사용된다.
  • 음악 용어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음악 용어 - 오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는 소스에서 스피커 또는 녹음 장치로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흐르는 신호이며, 대역폭, 레벨 등의 매개변수로 특징지어지고 다양한 형태로 전송된다.
악장 (악곡의 부분)
음악적 특징
정의더 큰 작품의 한 부분으로, 그 자체로 완전한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는 독립적인 단위이다.
일반적인 배열빠름-느림-빠름 또는 대조를 제공하는 기타 순서로 배열된다.
조화 목표작품 내에는 최종 으뜸음 3화음 외에도 많은 내부 조화 목표가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으뜸음 3화음이고 일부는 그렇지 않다.
추가 정보
관련 용어악곡의 일부
관련 개념악곡 형식
목표내부 조화 목표 달성

2. 악장의 구성

악장은 보통 3개 또는 4개로 구성된다. 교향곡은 4악장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고, 협주곡은 3악장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

2. 1. 바로크 시대

바로크 시대에는 교회 소나타 형식과 후기 바로크 시대 협주곡 형식이 나타났다. 교회 소나타는 느림-빠름-느림-빠름의 4악장 구성을 가지며, 후기 바로크 시대 협주곡은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 구성을 가진다.

2. 1. 1. 교회 소나타 형식

교회 소나타는 느림-빠름-느림-빠름의 4악장 구성을 가진다.

악장빠르기
제1악장완만함
제2악장빠름
제3악장완만함
제4악장빠름


2. 1. 2. 후기 바로크 시대 협주곡

후기 바로크 시대 협주곡은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 구성을 가진다.

악장빠르기
제1악장빠름
제2악장느림
제3악장빠름


2. 2. 고전파 시대 이후

고전파 시대 이후에는 4악장 구성(빠름-느림-무곡-빠름)과 3악장 구성(빠름-느림-빠름)이 주로 사용되었다.[1] 교향곡에서는 4악장이 많고, 협주곡에서는 3악장이 대부분이다.[1]

2. 2. 1. 4악장 구성

고전파 이후의 작품에서는 4악장 구성의 경우 빠름-느림-무곡-빠름의 조합이 많다. 4악장 구성의 소나타, 실내악, 교향곡은 이 형식이 기본이다.

  • 제1악장: 빠르게
  • 제2악장: 느리게 (완서악장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 제3악장: 무곡 (미뉴에트 또는 스케르초가 많다)
  • 제4악장: 빠르게


완서악장과 무곡 악장의 순서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교향곡에서는 베토벤교향곡 9번이 최초로 순서를 바꾼 곡이지만, 소나타나 실내악에서는 모차르트의 현악 사중주 14번 '봄'이나 베토벤의 현악 사중주 '라주모프스키' 1번, 함머클라비어 소나타 등, 그 이전부터 종종 찾아볼 수 있다.

2. 2. 2. 3악장 구성

협주곡, 소나타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형식이다.

악장빠르기
제1악장빠름
제2악장느림
제3악장빠름


2. 3. 낭만파 시대 이후

낭만주의 음악 시대 이후에는 다양한 형식의 악장 구성이 나타났다. 고전주의 음악 시대 이전에도 5악장이나 6악장으로 구성된 작품을 찾아볼 수 있었지만, 후기 낭만주의 시대부터 현대 음악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구성이 일반화되었다.[1]

2. 3. 1. 1악장 구성

악장이 하나만 있는 예도 있다. 이와 같은 것 중에는 한 악장 안의 각 부분이 다악장 구성을 하는 것과 같은 예도 있다. (리스트피아노 협주곡 1번, 피아노 소나타 등)

2. 3. 2. 다악장 구성

낭만주의 음악 시대 이후에는 다양한 형식의 악장 구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고전주의 음악 시대 이전에도 5악장이나 6악장으로 구성된 작품을 찾아볼 수 있었지만, 후기 낭만주의 음악 시대부터 현대 음악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구성이 일반화되었다.[1]

3. 악장 간의 통일성

고전 이전 시대 작품에서는 악장 간에 큰 관련성이 보이지 않아 각 악장으로 하나의 곡을 만들 때 통일성이 다소 부족했지만, 하이든은 서로 다른 악장 간의 주제에 관련성을 부여하여 곡으로서의 통일성을 추구하게 되었다. 낭만주의 시대에 들어서면서 작품의 구축성보다는 감정 표현과 그를 위한 선율성이 중요하게 여겨졌기 때문에 다시 악장 간의 통일성이 약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베를리오즈리스트는 각 악장 간 선율의 공통성을 더욱 중시한 순환 형식을 강화했다. 이러한 경향은 후에 프랑크에게 특히 강하게 계승되었다. 곡으로서의 통일성이라는 개념에 크게 기여한 작품으로는 베토벤의 여러 작품(특히 교향곡 5번),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 프랑크의 교향곡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A Practical Approach to the Study of Form in Music https://archive.org/[...] Waveland Press
[2] 서적 Music in Theory and Practice McGraw-Hill
[3] 서적 Tonal Harmony McGraw-H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