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 노부마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도 노부마사는 이와키 다이라 번의 번주이자, 막말 시대의 로주였다. 1819년에 태어나 1871년에 사망했으며, 1860년에는 로주에 임명되었다. 그는 이이 나오스케의 사후, 구제 히로치카와 함께 막부를 이끌며, 공무합체 정책을 추진하여 조정과 막부의 관계 개선을 꾀했다. 외교 문제 해결에도 힘썼으나, 사카시타 문 밖의 변으로 인해 로주에서 파면되었다. 이후 메이지 유신 시기에는 번의 통치를 지휘했으나, 오우에쓰 열번동맹의 패배 이후 항복하여 근신 처분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이와키 다이라번 사람 - 사카이 다다미치 (1856년)
사카이 다다미치(1856년)는 쇼나이 번의 마지막 번주로서 보신 전쟁 후 가문을 재건하고, 오우에쓰 열번 동맹 가담으로 폐위된 형을 이어 번주가 되어 아이즈 번과 이와키다이라 번 통치자를 겸했으며, 폐번치현 후 도쿄로 이주하여 생을 마감했다. - 막말 이와키 다이라번 사람 - 안도 노부타미
안도 노부타미는 에도 시대 후기 이시타카번의 6대 번주였으나, 아버지의 실각 후 어린 나이에 번주가 되었고, 재임 기간 동안 영지가 삭감되었으며, 5세의 나이로 후사 없이 사망했다. - 막부의 외교관료 - 시부사와 에이이치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도쿠가와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일본 근대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한 실업가이자 사상가로, 500개가 넘는 기업 설립 및 경영에 참여하며 "도덕경제합일설"을 주창했고 사회 및 교육 사업에도 헌신했다. - 막부의 외교관료 - 마나베 아키카쓰
마나베 아키카쓰는 에도 시대 사바에 번주이자 로주로, 덴포 개혁 시기 실각 후 이이 나오스케에 의해 재등용되어 막부 말기 주요 정치적 사건에 관여했으나, 강압적인 정치 스타일과 이이 나오스케 사후 실각하여 은거했다. - 미카와 안도씨 - 다카사키번
에도 시대 고즈케국 다카사키 지역을 다스린 다카사키번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이 나오마사에게 성을 건설하게 하면서 시작되어 여러 가문이 통치했으며, 막부 말기 덴구토 당의 난 진압, 보신 전쟁 때 신정부군에 합류 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었다. - 미카와 안도씨 - 가노번
가노번은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오쿠다이라 노부마사에게 주어져 성립되었으며, 나가이 가문이 통치했고, 일본 우산 생산이 성행했다.
안도 노부마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안도 노부마사 |
출생 | 1820년 1월 10일 |
출생지 | 에도, 도쿠가와 막부 |
사망 | 1871년 11월 20일 |
사망지 | 에도, 일본 제국 |
묘소 | 가와시마 산 나라기시 원 료젠지 |
다른 이름 | 긴노신 긴노스케 노부치카 노부유키 |
관직 | |
관위 | 종5위하 종4위하 |
관직명 | 이세노카미 나가토노카미 쓰시마노카미 지주 |
막부 | 기가마즈메 소샤반 지샤부교 와카도시요리 노주 캇테가카리 노주 타마리노마즈메 |
번 | 무쓰국 이와키다이라 번 번주 |
가문 | |
씨족 | 미카와 안도 씨 |
가족 관계 | |
부 | 안도 노부요리 |
모 |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 딸 |
배우자 | 마쓰다이라 무네토시 딸 |
자녀 | 안도 노부타미 안도 노부모리 다마코 나이토 마사나리 정실 |
다이묘 정보 | |
직위 | 다이묘 |
영지 | 이와키다이라 번 |
임기 시작 | 1847년 |
임기 종료 | 1862년 |
이전 | 안도 노부요리 |
이후 | 안도 노부타미 |
기타 정보 | |
시대 | 에도 시대 후기 - 메이지 시대 |
사망일 | 메이지 4년 음력 10월 8일 (1871년 11월 20일) |
존칭 | 학옹, 긴사이, 반세이 (호) |
계명 | 謙徳院殿秀譽松巌鶴翁大居士 |
2. 생애
분세이 2년(1819년) 11월 25일에 이와키 다이라 번의 4대 번주 안도 노부요리의 적자로 에도에서 태어났다. 고카 4년(1847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이와키 다이라 번주가 되었고, 고카 5년(1848년) 소자반, 가에이 4년(1851년)에 지샤부교직을 맡았다. 만엔 원년(1860년)에는 로주가 되었다.[1]
로주 취임 직후 사쿠라다 문 밖의 변으로 이이 나오스케가 암살당하면서, 같은 로주인 구제 히로치카와 함께 사실상 막정을 다루는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노부마사는 안세이 대옥을 일으킨 이이 나오스케의 강경 노선을 부정하고 온건책을 취해 조정과 막부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했다. 그 일례로 고메이 천황의 여동생 가즈노미야 지카코와 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결혼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이 무렵 일본 국내 정세 불안과 더불어 헨리 휴스켄(:en:Henry Heusken) 살해 사건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으나, 노부마사는 이를 무난히 처리했다. 또한 외국과의 조약 체결로 인한 금화 유출 문제와 물가 앙등 문제에 대응하는 방지책을 마련하여 막부 권력 안정화를 꾀했다.
분큐 2년(1862년), 가즈노미야 혼인 문제로 원한을 품은 존왕양이파 미토번 낭인 6명에게 습격당해 등에 부상을 입었으나 목숨은 건졌다. 이 사건은 사카시타 문 밖의 변으로 불리며, 사건 직후 붕대를 감은 채 영국 공사 러드퍼드 올콕과 회견했다. 올콕은 부상 중에도 막부 권력자로서 의지를 보여준 그의 모습에 감탄했으나, 막부 일각에서는 '등에 상처를 입은 것은 무사 축에 끼지 못할 일'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여기에 여자 문제, 타운젠드 해리스에게서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로 참소당해 결국 로주직에서 파면되었다.[1] 이후 은거, 근신을 명령받고 영지 2만 석을 삭감당했다. 번주직은 맏아들 노부타미가 계승하였다.
게이오 4년(1868년), 메이지 정부가 들어서자, 아직 젊은 번주 안도 노부타케를 대신해 번의 통치를 지휘했고, 오우에쓰 열번동맹에 가담하여 신정부군과 싸웠으나 패배하여 이와키 다이라 성이 함락되었다. 이때 노부마사도 항복하여 근신 처분을 받았다. 메이지 2년(1869년) 9월 10일에 영구 칩거 처분이 해제되었고, 메이지 4년(1871년) 10월 8일에 5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분세이 2년(1819년) 음력 11월 25일, 이와키 다이라 번의 4대 번주 안도 노부요리의 적자로 에도에서 태어났다.[3] 아명은 긴노신(欽之進일본어)이다. 어머니는 오코치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의 딸이다. 원복 당시 처음 이름은 노부무쓰(信睦일본어)였으며, 로주 재직 중에 노부유키(信行일본어)로, 다시 노부마사로 개명했다.[2]덴포 6년(1835년) 3월 15일,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에게 오메미에했다. 같은 해 12월 16일, 종5위하 이세노카미에 서임되었다. 이후 나가토노카미, 쓰시마노카미로 개명했다.
고카 4년(1847년) 8월 2일, 아버지 노부요리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아 이와키 다이라 번주가 되었다. 고카 5년(1848년) 1월 23일, 소자반에 취임했다.[1]
2. 2. 가독 상속과 초기 관직
분세이 2년(1819년) 11월 25일에 이와키 다이라 번의 4대 번주 안도 노부요리의 적자로 에도에서 태어났다.[3] 아명은 긴노신(欽之進), 후에 킨노스케(欽之助)였다. 원복 당시의 첫 이름은 노부무쓰(信睦)였고, 로주 재직 중에는 노부유키(信行)로, 다시 노부마사(信正)로 개명했다.[2] 덴포 6년(1835년) 3월 15일,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에게 오메미에하였고, 같은 해 12월 16일, 종5위하・이세노카미에 서임되었다. 이후 나가토노카미, 쓰시마노카미로 개명했다.고카 4년(1847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이와키 다이라 번주가 되었고, 고카 5년(1848년) 소자반이 되었다.[1] 가에이 4년(1851년)에 지샤부교직을 맡았다.
다음은 안도 노부마사의 초기 관직 이력을 정리한 표이다.
시기 | 관직 |
---|---|
고카 4년(1847년) 5월 5일 | 이와키 다이라 번주 (5만 석) |
고카 4년(1847년) 8월 1일 | 에도 성의 간마즈메 |
고카 5년(1848년) 1월 23일 | 소자반 |
가에이 4년(1851년) 6월 9일 | 지샤부교 가역(견습) |
가에이 4년(1851년) 12월 21일 | 지샤부교(본역) |
안세이 3년(1856년) 12월 1일 | 쓰시마노카미 |
2. 3. 로주 취임과 공무합체
고카 4년(1847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이와키 다이라 번 번주가 되었고, 고카 5년(1848년) 소자반이 되었다. 가에이 4년(1851년)에 지샤부교직을 맡았고, 만엔 원년(1860년)에 로주가 되었다.[1] 취임 직후 사쿠라다 문 밖의 변으로 이이 나오스케가 암살당하면서, 같은 로주인 구제 히로치카와 함께 사실상 막정을 다루는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노부마사는 안세이 대옥을 일으킨 이이 나오스케의 강경 노선을 부정하고 온건책을 취함으로써, 조정과 막부의 관계를 개선하려고 하였다. 그 일례로 고메이 천황의 여동생 가즈노미야 지카코와 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결혼시킨 일을 들 수 있다. 이 무렵 일본 국내 정세의 불안을 비롯하여 헨리 휴스켄(:en:Henry Heusken) 살해 사건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이 일들을 무난히 처리하였으며, 외국과의 조약 체결로 인하여 발생한 금화 유출 문제와 물가 앙등 문제에 대응하여 방지책을 내고 막부 권력의 안정화를 꾀했다.
분큐 2년(1862년), 가즈노미야의 혼인 문제로 원한을 품고 있던 존왕양이파 미토번 낭인 등 6명의 습격을 받아 등에 부상을 입었으나 목숨은 구할 수 있었다. 이 사건을 사카시타 문 밖의 변이라 하는데, 그 직후 붕대를 감은 채로 영국 공사 러드퍼드 올콕과 회견을 하였다. 올콕은 부상 중에도 막부의 권력자로서의 의지를 보여주는 그의 모습에 감탄했다고 하나, 막부 일각에서 '등에 상처를 입은 것은 무사 축에 끼지 못할 일'이라는 비판이 일었고, 여기에 여자 문제, 타운젠드 해리스로부터의 뇌물 수수 혐의에 대한 참소를 받아 결국 로주직에서 파면되었다.
2. 4. 외교 문제와 국내 정세
1862년(분큐 2년), 가즈노미야의 혼인 문제로 원한을 품은 존왕양이파 미토번 낭인 6명에게 습격당해 등에 부상을 입었으나 목숨은 건졌다. 이 사건은 사카시타 문 밖의 변으로 불리는데, 사건 직후 붕대를 감은 채 영국 공사 러드퍼드 올콕과 회견했다. 올콕은 부상 중에도 막부 권력자로서 의지를 보여준 그의 모습에 감탄했다고 한다.[1]그러나 막부 일각에서는 '등에 상처를 입은 것은 무사 축에 끼지 못할 일'이라는 비판이 나왔고, 여자 문제 및 타운젠드 해리스에게서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로 참소당해 결국 로주직에서 파면되었다. 이후 은거, 근신을 명령받고 영지 2만 석을 삭감당했다.
2. 5. 사카시타 문 밖의 변과 실각
분큐 2년(1862년), 가즈노미야의 혼인 문제로 원한을 품고 있던 존왕양이파 미토번 낭인 등 6명에게 습격당해 등에 부상을 입었으나 목숨은 건졌다. 이 사건을 사카시타 문 밖의 변이라 하는데, 그 직후 붕대를 감은 채로 영국 공사 러더퍼드 올콕과 회견했다. 올콕은 부상 중에도 막부의 권력자로서 의지를 보여주는 그의 모습에 감탄했다고 하나, 막부 일각에서는 '등에 상처를 입은 것은 무사 축에 끼지 못할 일'이라는 비판이 있었다.[1] 여기에 여자 문제, 타운젠드 해리스에게서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로 참소당해 결국 로주직에서 파면되었다. 이후 은거, 근신을 명령받고 영지 2만 석을 삭감당했다.[4] 번주직은 맏아들 노부타미가 계승하였다.2. 6. 메이지 유신과 최후
분큐 2년(1862년), 가즈노미야의 혼인 문제로 원한을 품었던 존왕양이파 미토번 낭인 등 6명에게 습격당해 등에 부상을 입었으나 목숨은 건졌다. 이 사건을 사카시타 문 밖의 변이라 하는데, 그 직후 붕대를 감은 채로 영국 공사 러드퍼드 올콕과 회견하였다. 올콕은 부상 중에도 막부의 권력자로서 의지를 보여주는 모습에 감탄했다고 하나, 막부 일각에서는 '등에 상처를 입은 것은 무사 축에 끼지 못할 일'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여기에 여자 문제, 타운젠드 해리스에게서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에 대한 참소까지 받아 결국 로주직에서 파면되었다.[1] 이후 은거, 근신을 명령받고 영지 2만 석을 삭감당했다. 번주직은 맏아들 노부타미가 계승하였다.게이오 4년(1868년), 메이지 정부가 들어서자, 아직 젊은 번주 안도 노부타케를 대신해 번의 통치를 지휘했고, 오우에쓰 열번동맹에 가담하여 신정부군과 싸웠으나 패배하여 이와키 다이라 성이 함락되었다. 이때 노부마사도 항복하여 근신 처분을 받았다. 메이지 2년(1869년) 9월 10일에 영구 칩거 처분이 해제되었고, 메이지 4년(1871년) 10월 8일에 5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3. 가계
구분 | 내용 |
---|---|
아버지 | 안도 노부요시 |
어머니 | 측실 -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의 딸 |
정실 | 포 - 마쓰다이라 무네모토의 딸 |
장남 | 안도 노부타미 |
차남 | 안도 노부모리 |
장녀 | 옥자 - 호리노 미요시의 정실, 후에 교고쿠 다카노리의 계실 |
차녀 | 리키 - 나이토 마사노부의 정실, 후에 소에다 킨이치의 첩 |
4. 평가
(이전 출력이 없어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단계의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5. 등장 작품
다음은 안도 노부마사가 등장하는 작품들이다.
=== 드라마 ===
- 아츠히메 (2008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시라이 아키라)
- 푸른 하늘을 꿰뚫다 (2021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이와세 료)
=== 소설 ===
- 토쿠나가 신이치로의 소설 《막말 각료전》에 「안도 노부마사」가 수록되어 있다. (마이니치 신문사 출판, PHP 문고로도 출간)
=== 만화 ===
- 미나모토 타로의 만화 풍운아들 막말편(風雲児たち 幕末編|후운지타치 바쿠마쓰헨일본어)
5. 1. 드라마
- 아츠히메 (2008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시라이 아키라)
- 푸른 하늘을 꿰뚫다 (2021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이와세 료)
5. 2. 소설
토쿠나가 신이치로의 소설 《막말 각료전》에 「안도 노부마사」가 수록되어 있다. 이 소설은 마이니치 신문사에서 출판되었으며, 이후 PHP 문고로도 출간되었다.5. 3. 만화
- 풍운아들 막말편(風雲児たち 幕末編|후운지타치 바쿠마쓰헨일본어) (미나모토 타로)
6. 관직 이력
安藤信正일본어의 관직 이력은 다음과 같다.
날짜(구력) | 사건 |
---|---|
1819년(분세이 2년) 12월 28일 | 원복, 노부무쓰라 칭함. |
1835년(덴포 6년) 12월 16일 | 종5위하 이세노카미에 서임. |
1843년(덴포 14년) 윤 9월 12일 | 나가토노카미로 전임. |
1847년(고카 4년) 5월 5일 | 가독 상속, 무쓰국 이와키다이라번주(5만 석)가 됨. |
같은 해 8월 1일 | 에도성 간마즈메가 됨. |
1848년(고카 5년) 1월 23일 | 주자반에 보임. |
1851년(가에이 4년) 6월 9일 | 지샤 봉행 가역(견습). |
같은 해 12월 21일 | 지샤 봉행(본역). |
1856년(안세이 3년) 12월 1일 | 쓰시마노카미로 전임. |
1858년(안세이 5년) 8월 1일 | 와카도시요리 취임. |
1859년(안세이 6년) 7월 21일 | 갓테카케 겸무. |
같은 해 8월 28일 | 히타치 국미토번 어용향 취급 겸무. |
1860년(안세이 7년) 1월 15일 | 로주에 보임. 외국 어용 취급 겸무. |
같은 해(만엔 원년) 윤 3월 18일 | 종4위하에 승서. |
같은 해 6월 24일 | 지주 겸무. |
같은 해 10월 28일 | 노부유키로 개명. |
같은 해 12월 21일 | 갓테 입용 걸을 겸무. |
1861년(분큐 원년) 3월 21일 | 외국 어용 취급 공으로 1만 석 가증. |
1862년(분큐 2년) 1월 15일 | 사카시타몬 밖의 변으로 부상. |
같은 해 3월 26일 | 노부마사로 개명. |
같은 해 4월 11일 | 로주 면직. 에도성 루마즈메 격이 됨. |
같은 해 8월 16일 | 은거 근신 처분. 2만 석 몰수, 3만 석이 됨. |
같은 해 11월 20일 | 영척거 처분. |
1868년(게이오 4년/메이지 원년) 3월 1일 | 이와키다이라로 귀국. 츠루오를 칭함. |
같은 해 5월 3일 | 오우에쓰 31번 동맹 성립. |
같은 해 7월 13일 | 이와키다이라성 함락. |
같은 해 9월 14일 | 노부마사 항복, 근신. |
같은 해 12월 7일 | 영척거 처분. |
1869년(메이지 2년) 9월 10일 | 영척거 면함. |
참조
[1]
서적
Toward Restoration
[2]
서적
江戸時代人物控1000
小学館
2007
[3]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2009
[4]
서적
歴史と旅 新・藩史事典
秋田書店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