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토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토번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인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초대 번주로, 고산케 중 하나로서 쇼군을 보좌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2대 번주 도쿠가와 미쓰쿠니는 대일본사를 편찬하여 존왕 사상을 고취했고, 이는 미토학으로 발전하여 막부 말기 존왕양이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미토 번은 보수파와 개혁파 간의 갈등으로 혼란을 겪었으며, 메이지 유신 이전부터 막부 타도를 위한 개혁을 요구했다. 미토 번은 다케다 가문, 기슈 도쿠가와 가문, 미토 도쿠가와 가문이 번주를 역임했으며, 다카마쓰번, 모리야마번, 후추번, 시시도번 등의 지번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토번 - 미토성
    미토성은 1214년 바바 스케모토가 축성한 이바라키현 미토시의 평산성으로, 에도 시대에는 미토 도쿠가와 가문의 거성이었으며, 에도 시대 내내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화재, 폐성, 공습 등으로 소실되었고, 고도칸 등 일부 시설은 중요문화재로 보존, 복원 중이며 성터 일부는 학교 부지로 사용되고 있다.
  • 미토번 - 고이시카와 고라쿠엔
    고이시카와 고라쿠엔은 도쿄도 분쿄구에 있는 일본 정원으로, 1629년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조성하고 도쿠가와 미쓰쿠니 대에 주지유의 조언을 받아 완성되었으며, 중국 명소를 본뜬 회유식 정원으로 일본의 사적 및 특별 명승지로 지정되었다.
  • 미토시 - 모모쿠리
    모모쿠리는 쿠로세의 만화이자 애니메이션으로, 고등학생 쿠리하라 유키가 모모츠키 신야에게 반해 연애를 시작하지만 유키의 집착적인 성격이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이야기이다.
  • 미토시 - NHK 미토 방송국
    NHK 미토 방송국은 1941년 미토 임시 방송소로 개국하여 중파 방송으로 시작, FM 방송과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을 거쳐 현재는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 이바라키현에 종합 텔레비전, 교육 텔레비전, FM 방송을 송출하며 지역 뉴스 및 정보 프로그램을 제작·방송하는 NHK의 방송국이다.
  • 시모쓰케국의 번 - 히코네번
    히코네번은 에도 시대 이이 가문이 다스린 번으로, 에도 막부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막부 말기에는 신정부 지지로 전환하여 보신 전쟁에서 공을 세우고 폐번치현 이후 시가현에 편입되었다.
  • 시모쓰케국의 번 - 구보타번 (데와국)
    구보타번은 1602년 사타케 씨가 데와국 아키타 지역을 다스리기 시작한 번으로, 농업 위기 속에서도 문화 및 교육 사업을 추진했으며, 메이지 유신 시기에는 신정부 측에 가담하여 아키타 전쟁을 치르고 1871년 폐번치현으로 아키타현에 흡수되었다.
미토번
위치 정보
미토 번의 위치
미토 번의 위치
기본 정보
번 명칭미토 번(水戸藩)
번 종류친번
석고35만 석
존속 기간1602년 ~ 1871년
폐번치현1871년
역사
성립1602년
폐지1871년
정치
정치 체제
번주 가문미토 도쿠가와 가(水戸徳川家)
지리
위치히타치 국(常陸国)
현재의 위치이바라키 현(茨城県)
관련 항목
주요 사건미토가쿠(水戸学)

2. 번의 역사

도쿠가와 이에야스1603년 도쿠가와 막부를 성립한 후, 1608년 자신의 11번째 아들인 도쿠가와 요리후사다이묘로 임명하면서 미토 번이 시작되었다. 요리후사는 도쿠가와 씨 미토 분가의 시조가 되었다. 미토 분가는 기이와 오와리의 도쿠가와 분가와 함께 고산케로 알려진 세 도쿠가와 가문 중 하나였다.[4]

미토 분가는 다른 두 분가보다 토지와 부가 적었지만, 에도 시대 내내 상당한 영향력을 유지했다. 에도와 가까웠던 점도 그 영향력에 기여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비공식적으로 미토 다이묘를 "부쇼군"으로 여겼다.[5]

도쿠가와 요리후사의 셋째 아들인 도쿠가와 미쓰쿠니1661년 미토의 두 번째 다이묘가 되었다. 미쓰쿠니는 1657년대일본사』를 후원함으로써 미토의 지위를 존경받는 번으로 더욱 확고히 했다.[6] 이 사업은 미토를 지적 사상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미토 번은 고산케 중 유일하게 참근교대를 하지 않고 에도에 상주하는 번으로, 쇼군을 보좌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러나 격식을 중시하여 실제 수확량보다 높은 고쿠다카를 유지해야 했고, 막부에 대한 군역도 격식에 맞춰야 했기 때문에 재정난에 시달렸다.

3대 번주 도쿠가와 쓰나조는 1709년 낭인 마쓰나미 요시토시를 등용하여 재정 개혁을 시도했으나, 농민 봉기로 인해 실패했다.[33] 5대 번주 도쿠가와 무네히로는 호레키 개혁을 통해 재정 재건을 추진했으나, 오타 스케타네의 사직으로 중단되었다. 6대 번주 도쿠가와 하리야스는 간세이 개혁을 추진했지만, 덴메이 대기근으로 인해 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

9대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는 번정 개혁과 막부 정치 참여를 시도했으나, 존왕양이 성향 때문에 막부의 견제를 받아 은거하게 되었다. 나리아키는 재정난 속에서도 새로운 가신을 등용하여 번 재정을 더욱 악화시켰다.

막부 말기에는 번내 보수파(쇼세이 당)와 개혁파(덴구 당)의 갈등으로 통제가 어려웠고, 미토 번사들에 의한 사쿠라다 문 밖의 변, 덴구당의 난, 홍도관 전쟁이 발생했다.

미토 번은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어 미토 현이 되었다가, 이후 이바라키 현에 편입되었다.

2. 1. 미토 도쿠가와 가문 이전

도요토미 히데요시로부터 영지를 인정받은 센고쿠 다이묘 사타케씨가 히타치 국을 다스리고 있었다. 그러나 세키가하라 전투 당시 54만 석의 영지를 보유하고 있던 사타케 요시노부는 도쿠가와 측에 가담하지 않았기 때문에, 1602년(게이초 7년) 데와 아키타 21만 석 영지로 삭감 전봉되었다. 그 후 히타치 미토에는 사쿠라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다섯 번째 아들인 다케다 노부요시가 15만 석 영주로서 입봉하였다. 하지만 이듬해인 1603년(게이초 8년), 노부요시는 급사하였고, 이어서 이에야스의 열번째 아들인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입봉하였다. 요리노부도 1609년(게이초 14년) 슨푸로 영지를 옮기게 되면서, 미토에는 요리노부와 어머니가 같은 동생인 이에야스의 열한번째 아들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들어왔다. 당시 영지는 25만 석이었고, 이후 28만 석으로 증가되었으며, 겐로쿠 연간에는 고쿠다카가 35만 석에 이르렀다.

2. 2. 미토 도쿠가와 가문 시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서 히타치 국의 지배를 인정받은 센고쿠 다이묘 사타케씨가 이 지역을 다스리고 있었다. 그러나 세키가하라 전투 당시 54만 석의 영지를 보유하고 있던 사타케 요시노부는 도쿠가와 측에 가담하지 않아, 게이초 7년(1602년) 데와 아키타 21만 석 영지로 삭감 전봉되었다. 그 후 히타치 미토에는 사쿠라(佐倉일본어)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다섯 번째 아들인 다케다 노부요시가 15만 석 영주로 들어왔다. 하지만 이듬해인 게이초 8년(1603년), 노부요시는 급사하였고, 이어서 이에야스의 열 번째 아들인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들어왔다. 요리노부도 게이초 14년(1609년) 슨푸로 영지를 옮기면서, 미토에는 요리노부와 어머니가 같은 동생인 이에야스의 열한 번째 아들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들어왔다. 당시 영지는 25만 석이었고, 이후 28만 석으로 증가되었으며, 겐로쿠 연간에는 고쿠다카가 35만 석에 이르렀다.

미토 번주가 된 미토 도쿠가와가는 고산케 중 하나인데, 그 중에서도 유일하게 에도에 상시 근무하는 것으로 정해져 쇼군을 보좌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때문에 미토 번주는 격식을 우선하게 되어 실태와 맞지 않는 고쿠다카 개정을 행하게 되었고, 실제 수확량이 표면적인 고쿠다카를 늘 밑도는 상황이 발생했다. 막부에 대한 군사 요역 등은 격식에 맞춰 이루어져야 했기 때문에 미토 번은 이에 따른 재정난에 허덕이게 되었다.

요리후사는 맏아들 요리시게가 아닌 셋째 아들 미쓰쿠니에게 번주 자리를 물려주었다. 이는 요리후사가 형인 도쿠가와 요시나오, 요리노부에게 아들이 없는 것을 꺼려서 맏아들 요리시게를 서장자(庶長子)로 대해 번주직을 계승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대신 요리시게는 다카마쓰번 12만 석 영지를 지급받았다. 2대 번주 미쓰쿠니는 학문을 좋아하였고, 대일본사의 편찬을 시행하여, 미토 번에 존왕(尊王)의 기풍을 심어놓았다. 이러한 토양을 바탕으로 미토 번에서 발생한 미토학은 막부 말기 존왕양이 운동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9대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는 번 통치의 개혁과 막부 정치에 대한 참여에 뜻을 두었다. 하지만 그가 존왕양이적인 경향이 강했던 관계로 막부로부터 멀어져 나중에는 은거당하게 되었다. 또한 나리아키는 재정난 속에서도 새로 가신을 등용하였기 때문에 번 재정은 더욱 궁핍해졌다.

막말에는 번내의 보수파(쇼세이 당(諸生党일본어))와 개혁파(덴구 당(天狗党일본어))의 항쟁이 벌어지면서 미토 번은 통제가 되지 않았고, 미토 번사들에 의한 사쿠라다 문 밖의 변, 덴구당의 난, 홍도관 전쟁(弘道館戦争일본어)을 야기했다.

미토 번은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어 미토 현이 되었고, 이어서 이바라키 현에 편입되었다.

2. 3. 메이지 유신과의 관계

미쓰쿠니가 편찬한 대일본사미토학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막부 말기 존왕양이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25] 9대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존왕양이 사상을 바탕으로 번정 개혁과 막부 정치 참여를 시도했으나, 막부의 견제로 은거하게 되었다. 나리아키의 가신 등용은 번 재정을 더욱 악화시켰다.[26]

막부 말기, 미토 번 내에서는 보수파인 쇼세이 당(諸生党)과 개혁파인 덴구 당(天狗党) 간의 갈등이 격화되었다. 이로 인해 사쿠라다 문 밖의 변, 덴구당의 난, 홍도관 전쟁이 발생했다.[27]

미토 번은 1871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어 미토 현이 되었다가, 이후 이바라키 현에 통합되었다.

미토의 급진파들은 막부 타도로 이어진 많은 폭력 행위를 주도했다. 이이 나오스케 암살로 시작된 민족주의적 테러가 일본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미토에서는 배외적인 충신들이 후지타 도코의 아들을 포함한 반란을 일으켰다. 막부와 번의 군대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연합했고, 충신 운동은 일시적으로 힘을 잃었다.

1864년에는 무장한 미토 반군이 막부와 전투를 벌인 미토 반란이 발생했다. 후지타 코시로가 이끈 덴구(天狗) 부대에는 다른 여러 번의 군대를 물리친 미토 출신의 수천 명의 병사들이 포함되었다.[28] 나중에 주요 전투가 발생하여 반군 1천 명이 보수파의 자비를 약속받고 항복했다.[29] 반대파는 히토츠바시 케이키가 이끌었다. 그러나 보수파는 거짓말을 하고 반란의 지도자들을 처형했다. 덴구 반란은 메이지 유신 직전 몇 년 동안 막부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미토 세력은 성공적인 유신 이전의 초기 봉기에 많이 관여했다. 미토는 사쓰마 번이나 조슈 번처럼 주요 전투에 큰 역할을 하지는 않았지만, 미토의 이념은 사쓰마와 조슈의 혁명가들이 천황을 위해 싸우도록 영향을 미쳤다.

3. 역대 번주

미토 번의 역대 번주는 다음과 같다.


  • 다케다 가문: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인 다케다 노부요시가 1602년부터 1603년까지 15만 석으로 다스렸다.[1]
  • 기슈 도쿠가와 가문: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제10자인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1603년부터 1609년까지 번주를 역임했다.
  • 미토 도쿠가와 가문: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1남 도쿠가와 요리후사를 시조로 하는 가문이다. 요리후사 이후의 번주 가문을 미토 도쿠가와 가문이라고 부른다.
  • 요리후사는 셋째 아들 미쓰쿠니를 후계자로 삼고, 맏아들 마쓰다이라 요리시게는 사누키 다카마쓰 번 12만 석을 받았다.
  • 미쓰쿠니는 학문을 좋아하여 『대일본사』를 편찬, 미토 번에 존왕론 기풍을 심어 미토학막말 존황양이 운동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31]
  • 3대 번주 쓰나에다는 재정 개혁을 실시했지만, 1709년 농민 봉기로 인해 실패했다.[33]
  • 5대 번주 무네모토 시기에는 8대 장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에 의해 나카야마 노부마사 등 미토 가문의 중신이 불려 나가기도 했다.
  • 6대 번주 하루모리는 검약에 힘쓰고 번주 취임 이래 24년 만에 영지를 방문하여 개혁에 나섰지만, 덴메이 대기근에 의해 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
  • 9대 번주 나리아키는 번정 개혁과 막부 정치 참가를 지향하여 인재를 등용하고 고도관을 건설하여 정비를 실시, 미토학이 번론에 강한 영향을 주게 되었으나, 강한 존왕양이 경향 때문에 막부에 미움을 받아 은거를 강요당했다.
  • 10대 번주 요시아쓰는 마쓰다이라 요리타네, 마쓰다이라 요리토모, 마쓰다이라 요리나와의 후견하에 번정을 실시했다. 15대 장군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요시아쓰의 친동생이지만, 히토쓰바시 가를 계승하고 나서 장군이 되었다.
  • 미토 번은 막말에 나리아키가 존재감을 보였지만, 번내에서는 보수파(제생당)와 개혁파(천구당)의 항쟁으로 통제를 잃고, 번사에 의한 사쿠라다몬 외의 변, 천구당의 난, 고도관 전쟁을 초래하여 막말 정국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없었다.
  • 미토 번령은 폐번치현에 의해 미토 현을 거쳐 이바라키 현에 편입되었다.

3. 1. 다케다 가문

武田信吉|다케다 노부요시일본어1602년 ~ 1603년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제5자.[1]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인 다케다 노부요시가 1602년부터 1603년까지 15만 석으로 미토 번을 다스렸다.[1]

3. 2. 기슈 도쿠가와 가문

徳川頼宣|도쿠가와 요리노부일본어
1603년 ~ 1609년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제10자.[30]


3. 3. 미토 도쿠가와 가문

徳川頼房일본어
1609년 ~ 1661년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제11자.2도쿠가와 미쓰쿠니
徳川光圀일본어
1661년 ~ 1690년3도쿠가와 쓰나에다
徳川綱條일본어1690년 ~ 1718년4도쿠가와 무네타카
徳川宗堯일본어1718년 ~ 1730년5도쿠가와 무네모토
徳川宗翰일본어1730년 ~ 1766년6도쿠가와 하루모리
徳川治保일본어1766년 ~ 1805년7도쿠가와 하루토시
徳川治紀일본어1805년 ~ 1816년8도쿠가와 나리노부
徳川斉脩일본어1816년 ~ 1829년9도쿠가와 나리아키
徳川斉昭일본어
1829년 ~ 1844년10도쿠가와 요시아쓰
徳川慶篤일본어1844년 ~ 1868년11도쿠가와 아키타케
徳川昭武일본어
1868년 ~ 1871년



요리후사는 셋째 아들 미쓰쿠니를 후계자로 삼고, 맏아들 마쓰다이라 요리시게는 사누키 다카마쓰 번 12만 석을 받았다. 미쓰쿠니는 학문을 좋아하여 『대일본사』 편찬을 시작하여 미토 번에 존왕의 기풍을 심어주었다. 미토 번에서 탄생한 미토학막말의 존황양이 운동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31]

3대 번주 쓰나에다는 낭인 마쓰나미 간쥬로를 등용하여 재정 개혁을 실시했지만, 1709년의 농민 봉기에서 3000명이나 되는 농민이 에도로 나가 여러 가지 집단적인 시위 행위를 했기 때문에, 연공 증징 철회와 마쓰나미 파면을 실시하여 개혁은 실패했다.[33]

5대 번주 무네모토가 어린 나이에 미토 번을 계승했을 때에는, 8대 장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에 의해 나카야마 노부마사 등 미토 가문의 중신이 불려 나가, 어린 군주의 보육과 충성을 직접 명령받았다.

6대 번주 하루모리는 검약에 힘쓰고, 번주 취임 이래 24년 만에 영지를 방문하여 개혁에 나섰지만, 덴메이 대기근에 의해 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

9대 번주 나리아키는 번정 개혁과 막부 정치 참가를 지향하여 인재를 등용하고, 번내 보수파의 중심이 되어 막부와의 연계를 꾀하는 세력을 깎기 위해 일반 가신과 같은 지행제에 편입시켰다. 교육 개혁에도 힘써 고도관을 건설하여 정비를 실시하고, 미토학이 번론에 강한 영향을 주게 되었다. 그러나, 강한 존왕양이 경향 때문에 막부에 미움을 받아, 장남 요시아쓰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를 강요당했다.

10대 번주가 된 요시아쓰는 다카마쓰 번주 마쓰다이라 요리타네, 모리야마 번주 마쓰다이라 요리토모, 후츄 번주 마쓰다이라 요리나와의 후견하에 번정을 실시했다. 15대 장군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요시아쓰의 친동생이지만, 고산쿄 중 하나인 히토쓰바시 가를 계승하고 나서 장군이 되었다.

미토 번은 막말에 나리아키가 존재감을 보였지만, 번내에서는 보수파(제생당)와 개혁파(천구당)의 항쟁으로 통제를 잃고, 번사에 의한 사쿠라다몬 외의 변, 천구당의 난, 고도관 전쟁을 초래하여 막말 정국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없었다.

미토 번령은 폐번치현에 의해 미토 현을 거쳐 이바라키 현에 편입되었다.

4. 지번

미토번에는 요리후사의 자손을 번주로 하고, 필요할 때 본가를 계승하는 지번(支藩, 당주가 고렌시(御連枝)라 불림)이 4개 있었다.

5. 가신단

가문명석고비고
나카야마 가문2만 5천 석이바라키현다카하기시 마쓰오카 성 어붙가로, 메이지 유신남작
야마노베(山野辺)씨1만 석센고쿠 시대 모가미(最上)씨의 자손, 스케가와 해방성주 역임.
스즈키(이시미노카미(石見守))가5000석→4500석미카와(三河) 호족 이이야(井伊谷) 삼인중(三人衆) 중 한 명인 스즈키 시게토키의 자손.
오타(太田)씨2000석사토미(里見)씨 구신. 초대 번주 요리후사의 준모 에이쇼인(英勝院)의 일문.
長倉마쓰다이라가3000석번주 일문, 가로격, 장창진야로 이주, 메이지 유신 후 사족.
우쓰노미야가1000석시모쓰케 우쓰노미야씨의 자손. 시모쓰케국 슈고 등을 역임.
스즈키(자자가)가3000석→600석칭호: 자자가 성
코야마가1000석시모쓰케 코야마씨의 자손. 시모쓰케국 슈고 등을 역임.



렌다가는 향사였다. 메이지 유신 이후 가가와로 성을 바꾸고 쇼켄황태후의 황후궁대부를 역임한 가가와 케이조의 공적으로 화족 백작가가 되었다. 미토 번사 가문 중 메이지 유신 이후 가장 출세한 가문이다.

5. 1. 어붙가로(御附家老)

5. 2. 누가대로(累代家老) 및 중신(重臣)

가문명석고비고
야마노베(山野辺)씨1만 석센고쿠 시대 모가미(最上)씨의 자손, 스케가와 해방성주 역임.
스즈키(鈴木)(이시미노카미(石見守))가5000석→4500석미카와(三河) 호족(豪族) 이이야(井伊谷) 삼인중(三人衆) 중 한 명인 스즈키 시게토키의 자손.
오타(太田)씨2000석사토미(里見)씨 구신(旧臣). 초대 번주 요리후사의 준모(准母) 에이쇼인(英勝院)의 일문.
長倉마쓰다이라가3000석번주 일문, 가로격, 장창진야로 이주, 메이지 유신 후 사족.
우쓰노미야가1000석시모쓰케 우쓰노미야씨의 자손. 시모쓰케국 슈고 등을 역임.
스즈키(자자가)가3000석→600석칭호: 자자가 성
코야마가1000석시모쓰케 코야마씨의 자손. 시모쓰케국 슈고 등을 역임.

5. 3. 일대가로(一代家老) 및 중견가신(中堅家臣)

5. 4. 하급번사(下級藩士)

렌다가(가가와가)는 향사였다. 메이지 유신 이후 가가와로 성을 바꾸고 쇼켄황태후의 황후궁대부를 역임한 가가와 케이조의 공적으로 화족 백작가가 되었다. 미토 번사 가문 중 메이지 유신 이후 가장 출세한 가문이다.

6. 번교(藩校)

홍도관

7. 번저(藩邸)

1863년(분큐 3년)의 수도 번 고이시카와 저택 (국립국회도서관 소장 「御上京道記」에서)

8. 번주 은거소(藩主隠居所)

서산장

9. 막말 영지

지역마을 수
히타치국나카군127개
쿠지군141개
이바라키군115개
타가군34개
가시마군6개
나카군25개
신지군14개
시모쓰케국나스군16개



메이지 유신 이후, 이바라키군 21개 마을( 막부령 6개 마을, 지방 지행 17개 마을), 신지군 1개 마을(막부령), গামী국 미우라군 1개 마을( 사찰령), 가마쿠라군 11개 마을(사찰령 6개 마을, 막부령 5개 마을, 막부령 2개 마을), 텐쇼국 토마마에군, 텐쇼군, 나카가와군, 카미카와군, 키타미국 리시리군이 추가되었다. 참고로 겹치는 지행도 존재하기 때문에, 마을 수의 합계는 일치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Hitachi Province at JapaneseCastleExplorer.com http://www.japanese-[...] 2013-05-15
[2]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3]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4] 문서 History of Mito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Conflict
[29] 문서 Conflict
[30]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13-05-15
[31] 서적 Nobiliar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13-05-15
[32] 웹사이트 Genealogy (jp) http://reichsarchiv.[...]
[33] 서적 綱吉と吉宗 吉川弘文館 2012
[34] 문서 山上門の立て札の解説
[35] 웹사이트 東京大学本郷キャンパス浅野地区の史跡 https://www.um.u-tok[...] 2018-04-08
[36] 웹사이트 特別展・将軍が撮った明治のすみだ 小梅水戸邸物語 http://www.city.sumi[...] 墨田区 2018-04-08
[37] 웹사이트 KA010 水戸藩邸跡 https://www2.city.ky[...] 2018-04-08
[38] 웹사이트 日本銀行大阪支店のあゆみ http://www3.boj.or.j[...] 日本銀行大阪支店 2019-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