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더 로드첸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더 로드첸코는 러시아의 화가, 조각가, 사진 작가, 그래픽 디자이너로, 20세기 초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초기 입체주의와 미래주의의 영향을 받아 추상 미술을 시도했으며, 1920년대에는 생산주의를 주창하며 포스터, 책, 영화의 그래픽 디자인에 집중했다. 1923년부터 사진을 시작하여 구성주의적인 기법을 활용한 작품을 선보였으며, 1930년대에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압박 속에서 형식주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말년에는 회화로 복귀하여 추상 표현주의 작품을 제작했으며, 1956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20세기 그래픽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사진가 - 세르게이 프로쿠딘고르스키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프로쿠딘고르스키는 러시아의 사진작가이자 화학자로, 20세기 초 니콜라이 2세의 지원으로 러시아 제국을 기록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컬러 사진 기술의 선구자로서, 적색, 청색, 녹색 필터를 사용한 흑백 사진 합성 방식으로 러시아 제국의 다양한 모습을 담아냈고, 그의 작품은 미국 의회도서관에 의해 보존 및 복원되어 공개되었다.
  • 러시아의 사진가 - 세르게이 프로쿠딘고르스키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프로쿠딘고르스키는 러시아의 사진작가이자 화학자로, 20세기 초 니콜라이 2세의 지원으로 러시아 제국을 기록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컬러 사진 기술의 선구자로서, 적색, 청색, 녹색 필터를 사용한 흑백 사진 합성 방식으로 러시아 제국의 다양한 모습을 담아냈고, 그의 작품은 미국 의회도서관에 의해 보존 및 복원되어 공개되었다.
  • 러시아 아방가르드 - 절대주의
    절대주의는 카지미르 말레비치가 시작한 추상 미술 운동으로, 기본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순수한 감각을 표현하고 예술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러시아 혁명 이후 소멸되었지만 유럽 추상미술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 아방가르드 - 나움 가보
    러시아 태생의 구성주의 예술가인 나움 가보는 형 앙투안 페브스너와 함께 구성주의 운동을 이끌며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공간, 시간, 움직임을 탐구하는 독창적인 추상 작품을 창작하여 여러 나라에서 활동하며 추상 미술 발전에 기여했다.
알렉산더 로드첸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5년 로드첸코
본명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로드첸코
출생일1891년 12월 5일
출생지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사망일1956년 12월 3일
사망지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국적소련
분야회화, 사진
사조구성주의
영향
수상

2. 생애와 경력

로드첸코는 나르콤프로스에서 일했으며, 1919~1920년에 결성된 라비스의 조직자 중 한 명이었다.[3] 그는 1920년대에 매우 추상적인 작품 활동을 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91-1914)

로드첸코는 1909년 아버지 사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나 카잔으로 이사했다.[1] 미술계에 노출된 적이 없었음에도 예술가가 되었으며, 예술 잡지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 1910년 카잔 미술학교에서 니콜라이 페친과 게오르기 메드베데프에게 수학했고, 그곳에서 나중에 결혼한 바르바라 스테파노바를 만났다.

1914년 이후 모스크바의 스트로가노프 미술학교에서 예술 훈련을 계속했으며, 1915년 카지미르 말레비치절대주의의 영향을 받아 첫 추상 드로잉을 만들었다. 이듬해 블라디미르 타틀린이 조직한 "상점" 전시에 참여했다.

로드첸코의 작품은 입체주의미래주의, 그리고 흰색 배경에 기하학적 형태를 배치한 말레비치의 절대주의적 구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로드첸코는 타틀린의 제자이자 조수였으며, 초기 작품을 특징짓는 구상에 대한 관심은 디자인 요소를 실험하면서 사라졌다. 그는 표현적인 붓질을 없애기 위해 원과 자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렸다.[2]

2. 2.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에 참여 (1915-1920)

알렉산더 로드첸코, "춤. 무대상 없는 구성", 1915년


로드첸코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나 카잔으로 이사했다.[1] 그는 미술계에 노출된 적이 없었음에도 예술가가 되었으며, 예술 잡지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 1910년, 로드첸코는 카잔 미술학교에서 니콜라이 페친과 게오르기 메드베데프에게 미술을 배웠고, 그곳에서 나중에 결혼한 바르바라 스테파노바를 만났다.

1914년 이후, 그는 모스크바의 스트로가노프 미술학교에서 예술 훈련을 계속했으며, 1915년 카지미르 말레비치절대주의의 영향을 받아 첫 추상 드로잉을 제작했다. 이듬해 그는 블라디미르 타틀린이 조직한 "상점" 전시에 참여했다.

로드첸코의 작품은 입체주의미래주의, 그리고 흰색 배경에 기하학적 형태를 배치한 말레비치의 절대주의적 구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로드첸코는 타틀린의 제자이자 조수였으며, 초기 작품을 특징짓는 구상에 대한 관심은 그가 디자인 요소를 실험하면서 사라졌다. 그는 표현적인 붓질을 없애기 위해 원과 자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렸다.[2]

2. 3. 정부 관직과 교육 활동 (1920-1930)

로드첸코는 1920년 볼셰비키 정부에 의해 박물관 국장 및 구매 기금 책임자로 임명되어 미술 학교와 박물관의 개편을 담당했다. 그는 모스크바 예술가 연합의 서기가 되었고, 교육 인민 위원회(나르콤프로스) 산하 미술 부서를 설립했으며, 예술 문화 연구소 설립을 도왔다.[4]

그는 바우하우스와 유사한 조직인 고등 기술 예술 스튜디오(VKhUTEMAS/VKhUTEIN)에서 1920년부터 1930년까지 "복잡한 경력"을 가지고 가르쳤다. 이 스튜디오는 1930년에 해산되었다.[4]

2. 4. 생산주의와 그래픽 디자인 (1921-1928)

1921년, 로드첸코는 알렉세이 간, 바르바라 스테파노바와 함께 예술을 일상생활에 통합하는 것을 추구하는 생산주의 그룹의 일원이 되었다.[5] 그는 포스터, 책, 영화의 그래픽 디자인에 집중하기 위해 회화를 포기했다. 그는 영화 제작자 지카 베르토프의 사상과 작업 방식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1922년에 그와 함께 집중적으로 작업했다.

독일 다다이스트포토몽타주에 영향을 받아, 로드첸코는 1923년에 발견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포토몽타주 실험을 시작했고, 1924년부터는 직접 사진을 촬영하기 시작했다.[5] 1923년에는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의 시 "이것에 관하여"의 삽화에 그의 첫 포토몽타주 작품이 실렸다. 1924년, 로드첸코는 그의 가장 유명한 포스터 중 하나인 렌기즈 출판사의 광고 포스터를 제작했다. 이 포스터에는 손을 입에 모으고 "книги по всем отраслям знания" (모든 지식 분야의 책)라고 외치는 젊은 여성이 모더니즘타이포그래피로 인쇄되어 있다.[6][7]

1923년부터 1928년까지 로드첸코는 구성주의 예술가들의 출판물인 LEF와 ''Novy LEF''의 디자인과 레이아웃 작업을 위해 마야코프스키와 긴밀하게 협력했으며, 이 과정에서 마야코프스키의 초상화를 여러 점 제작했다. 그의 사진 중 다수는 이러한 잡지 및 기타 잡지의 표지로 사용되었다. 그의 이미지는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제거하고, 역동적인 대각선 구성을 강조했으며, 공간에서 객체의 배치와 움직임에 주목했다. 이 시기에 그와 스테파노바는 모스크바의 모스셀프로 건물의 유명한 패널을 그렸다. 1925년에는 딸 바르바라 로드첸코가 태어났다.

2. 5. 비판과 검열 (1928-1935)

로드첸코는 1928년 10월 그룹에 합류했지만, 3년 후 "형식주의" 혐의로 제명되었다. 이 혐의는 1928년 소베츠코예 포토에 처음 제기되었다.[8]

1920년대 후반 소련에서 레프 트로츠키의 추방과 이오시프 스탈린의 부상과 함께 소련 예술이 따라야 할 형식도 변화했다. 1930년대에 접어들어 예술 활동을 규제하는 당의 지침이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선호하면서, 예술가이자 사진 작가는 국가가 지원하는 미술 평론가와 당으로부터 쏟아지는 비판에 직면했다. 당시 정치와 진화하는 예술 문화를 마찬가지로 잘 알고 있던 저명한 작가이자 미술 평론가인 오시프 브릭은 사진 작가의 연작인 ''미아스니츠카야 거리의 건물''과 ''푸시킨의 소나무''에 대해 "아름다울 수는 있지만 회화가 되고 미학이 될 수 있는 고립된 건물이나 나무를 묘사해서는 안 된다"는 혹독한 비판을 가했다.[9] 세르게이 트레티야코프는 알렉산드르 로드첸코의 양식화된 작품을 공격하며 "로드첸코는 사진이 직면한 모든 실용적인 목표를 탐구하는 대신, 오로지 미적인 기능에만 관심이 있다. 그는 사진의 활동을 단순히 새로운 원리에 기반한 취향 재교육으로 축소한다. 우리는 '새로운 미학', 즉 세상을 새로운 방식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을 찾고 있다"라고 말했다.[10]

1935년에는 소련 미술 거장 전시회가 열렸지만, 로드첸코는 이전의 ''형식주의'' 작품을 공개적으로 비난한다는 조건하에서만 전시회를 위한 작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자기 비난은 ''소베츠코예 포토''에 게재되어 상처에 소금을 뿌렸다. "나는 이제부터 주제에 대한 형식적인 해결책을 우선시하고 이념적인 해결책을 두 번째로 두는 것을 단호히 거부하고 싶다. 동시에 사진 언어에서 새로운 풍요로움을 탐구하여 사진 언어가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완전히 봉사하는 높은 정치적, 예술적 수준의 작품을 만들고 싶다."[11]

비난과 검열에도 불구하고 로드첸코는 그의 작품에서 순응과 반항 사이를 오갔으며, 1934년에 그의 가장 유명한 사진 중 하나인 ''라이카를 든 소녀''를 제작했는데, 이 사진은 예술가이자 사진 작가의 이전 작품과 유사한 스타일리시한 선택을 따랐다.

2. 6. 후기 활동과 사망 (1935-1956)

로드첸코는 1930년대 후반에 회화로 복귀했고, 1942년에 사진 촬영을 중단했다. 1940년대에는 추상 표현주의 작품을 제작했다. 그는 이 시기에도 정부를 위해 사진 전시회를 계속 조직했으며, 1956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3. 사진

로드첸코는 사진에서 구성주의적인 참신한 감각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다.[1]

특별한 기술이나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화면을 비스듬하게 하거나(강한 선을 화면에 도입하여 비스듬함을 강조), 인물상에서 극단적인 업, 급격한 각도로 올려다보거나 내려다보는 시선 등 극히 단순한 수법으로 사진 특유의 기능을 최대한 끌어낸 작품들을 남겼다.[1]

3. 1. 대표작

사진과 관련해서는 구성주의적인 참신한 감각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특별한 기술이나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화면을 비스듬하게 하거나(강한 선을 화면에 도입하여 비스듬함을 강조), 인물상에서 극단적인 업, 급격한 각도로 올려다보거나 내려다보는 시선 등 극히 단순한 수법으로 사진 특유의 기능을 최대한 끌어낸 작품들을 남겼다.

4. 회화

1921년, 로드첸코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5x5=25 전시회에서 단색화를 선보였다. 이는 러시아 혁명 시대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부르주아 규범과 이젤화의 종말을 의미하는 동시에 새로운 러시아의 삶과 문화를 여는 급진적인 행동으로 평가받았다.[12]

4. 1. 단색화 (1921)

1921년, 로드첸코는 최초의 진정한 단색화를 제작했으며, 이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5x5=25 전시회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러시아 혁명 시대의 예술가들에게 로드첸코의 급진적인 행동은 유토피아적인 가능성으로 가득했다. 그것은 부르주아 규범과 관행의 종말과 더불어 이젤화의 종말, 어쩌면 예술의 종말을 의미했다. 그것은 새로운 러시아의 삶, 새로운 생산 방식, 새로운 문화의 시작을 위한 길을 열었다. 로드첸코는 후에 "나는 회화를 논리적인 결론으로 축소하여 빨강, 파랑, 노랑 세 개의 캔버스를 전시했다. 나는 선언했다: 모든 것은 끝났다."라고 선언했다.[12]

5. 영향

20세기 그래픽 디자이너들의 많은 작업은 로드첸코의 초기 작업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미국의 개념 예술가 바바라 크루거는 로드첸코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

그의 릴리 브릭 초상화는 여러 음악 앨범의 커버 아트 등, 수많은 후속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그중에는 영향력 있는 네덜란드 펑크 밴드 The Ex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릴리 브릭 초상화 테마를 변형한 일련의 7인치 비닐 앨범을 발매했다. 마이크 앤 더 메카닉스 앨범 ''Word of Mouth''의 커버, 프란츠 퍼디난드 앨범 ''You Could Have It So Much Better''의 커버 등도 릴리 브릭 초상화에서 영감을 받았다. ''세계의 6분의 1'' 포스터는 프란츠 퍼디난드의 "Take Me Out" 커버의 기초가 되었다.

6. 사후 출판된 사진집


  • 《알렉산더 로드첸코》. 국립 영화 및 영상 센터(National Center of Cinematography and the moving image) 편집. 뉴욕: 판테온, 1987.
  • 《로드첸코 – 사진 – 1924 - 1954》. 알렉산더 라브렌티예프 편집. 영국: 쾨네만, 1995.
  • 《로드첸코》. 피터 맥길(Peter MacGill) 편집. 독일, 괴팅겐: 슈타이들, 2012.

참조

[1] 서적 Aleksandr Rodchenko Experiments for the Future: Diaries, Essays, Letters, and Other Writings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2005
[2] 문서 Rodchenko, Aleksandr Oxford Art Online
[3] 웹사이트 "Родченко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https://www.ikleiner[...] Художник Илья Клейнер >> Библиотека >> Великие художники XX века >> Бoгдaнoв П.С., Бoгдaнoвa Г.Б.
[4] 간행물 Alexander Rodchenko: The Simple and the Commonplace Artforum 1979
[5] 서적 Early Soviet Photographers Museum of Modern Art Oxford, Oxford 1982
[6] 뉴스 From kitchen slaves to industrial workers – the superwomen of Soviet ar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06-13
[7] 뉴스 Red and black and spread all over {{!}} The Japan Times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0-06-04
[8] 논문 Against the Camera, for the Photographic Archive Art Journal 1994
[9] 서적 The Soviet photograph, 1924-1937 http://worldcat.org/[...] The Yale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Soviet photograph, 1924-1937 http://worldcat.org/[...] The Yale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Rodchenko: The impact of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https://www.wsws.org[...] 2023-02-10
[12] 웹사이트 Drawing a blank: Russian constructivist makes late Tate debut https://www.independ[...] Independent.co.uk 2009-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