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몽타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토몽타주는 여러 사진을 결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만드는 기술이다. 19세기 중반 결합 인쇄를 이용한 초기 포토몽타주가 등장했으며, 1916년 존 하트필드와 게오르그 그로츠에 의해 "포토몽타주"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다다이스트와 구성주의 예술가들은 이 기법을 발전시켰으며, 정치적 선전과 예술 표현의 도구로 활용했다. 현대에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포토샵 등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작이 일반화되었다. 포토몽타주는 미학적 가치와 윤리적 문제, 저작권 침해 등 다양한 법적 문제를 야기하며, 표현의 자유와 초상권의 충돌을 보여준다. 한국에서는 아이돌 콜라주와 연꽃 콜라 등 다양한 형태의 포토몽타주가 존재하며, 철도 팬들 사이에서는 가상의 철도 차량 이미지를 만드는 문화도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진술 - 영상
영상은 이미지 제작의 역사, 종류, 기술적 측면, 사회문화적 의미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기록, 종교, 소통 등 다양한 역할을 해왔고, 양식, 기술, 사회문화적 맥락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된다. - 사진술 - 초점 심도
초점 심도는 이미지 센서 또는 필름 평면에서 허용 가능한 선명도를 유지하는 이미지 생성 영역의 범위로, 피사계 심도와 구별되며, 조리개 값, 초점 거리, 피사체 거리 등에 영향을 받고, 사진 촬영에서 피사계 심도에 비해 덜 중요하지만 소형 카메라나 영화 촬영에서는 고려해야 할 요소이며, 천문학에서는 파면 오차를 기준으로 다르게 정의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포토몽타주 |
---|
2. 역사
오스카 레일랜더와 헨리 피치 로빈슨 등 19세기 사진작가들은 회화와 연극에 도전하며 포토몽타주를 시작했다.[3] 1919년 러시아에서 구스타프 클루치스가, 독일 베를린에서는 다다 소속 조지 그로스, 라울 하우스만, 존 하트필드가 포토몽타주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1931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포토몽타주 전'은 바우하우스 예술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러시아에서는 볼셰비키 혁명 이후 구성주의 예술가들이 포토몽타주를 선전에 활용했다. 1923년 클루치스는 모스크바에 '포토몽타주 연구소'를 설립하여 정치 선전에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확립했다.
포토몽타주는 사회 비판, 정치 비판, 체제 비판, 선전, 사회 풍자, 패러디 등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광고에도 널리 쓰인다. 초기에는 의도적으로 오려 붙인 흔적을 남긴 작품들이 있었지만, 에어브러시 등을 사용하여 정교하게 합성한 작품들도 등장했다. 컴퓨터 보급 이후에는 실제 사진과 구별하기 어려운 수준의 포토몽타주 작품도 제작되고 있다.
2. 1. 19세기: 초기 포토몽타주
오스카 레일랜더의 "두 개의 삶의 방식"(1857)과 헨리 피치 로빈슨의 "사라져가는 모습"(1858)은 여러 장의 사진을 결합하여 만든 초기 포토몽타주의 대표적인 예시이다.[3] 이 작품들은 당시 유행하던 회화와 연극적인 타블로 비방에 도전하는 시도였다.
19세기 말, 캐나다의 윌리엄 노트먼은 대규모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포토몽타주 기법을 활용했다. 빅토리아 시대와 에드워드 시대에는 환상적인 포토몽타주 엽서가 인기를 끌었다.[4] 밤포스 & Co Ltd는 이 시기 대표적인 포토몽타주 엽서 제작 회사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인과 그들의 가족, 연인을 담은 포토몽타주 엽서가 유행하기도 했다.[5]

2. 2. 20세기: 다다이즘과 구성주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존 하트필드와 게오르그 그로츠는 포토몽타주를 활용하여 전쟁과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작품을 제작했다. 이들은 베를린 다다 클럽 (1916–1920)의 멤버였으며,[8] 독일 다다이스트들은 포토몽타주를 현대 미술의 중요한 형태로 발전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포토몽타주"라는 용어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인 1918년 또는 1919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6]하트필드는 베를린의 출판사 말리크-베르라크(Malik-Verlag)를 위해 책 표지에 포토몽타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였다.[9][10] 그는 포토몽타주를 사용하여 책의 앞면에서 뒷면까지 이야기를 전달하고, 타이포그래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했다.[11]
1930년부터 1938년까지, 하트필드는 파시즘과 제3제국에 저항하는 240개의 "나치 시대의 포토몽타주"[12][13]를 제작했다. 이 작품들은 빌리 뮌첸베르크가 발행한 AIZ 잡지의 표지에 실려 베를린 전역에 널리 배포되었다. 하트필드는 1933년 4월까지 베를린에 거주하다가 SS의 암살 위협을 피해 체코슬로바키아로 망명했다. 1938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반파시스트 예술 활동을 이어간 하트필드의 정치적 포토몽타주는 게슈타포의 수배 대상 5위에 오르기도 했다.
한나 회흐는 1918년부터 포토몽타주 작업을 시작했다. 그녀는 당시 포토몽타주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뜨개질 및 자수 패턴을 디자인하는 Ullstein Verlag에서 근무했다.[14] 회흐는 베를린 다다 그룹과 결별한 후에도 거의 평생 동안 포토몽타주 작업을 지속하며 여성의 정체성과 사회적 문제를 탐구했다.
러시아 구성주의 예술가들인 엘 리시츠키, 알렉산드르 로드첸코, 구스타프 클루치스와 발렌티나 쿨라기나 부부도 소련 정부의 선전 도구로 포토몽타주를 활용했다. 이들은 잡지 건설 중인 소련 등에 선구적인 포토몽타주 작품을 발표했다.
2. 3. 20세기 후반 ~ 현재: 디지털 시대의 포토몽타주
앨프레드 게샤이트(Alfred Gescheidt)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주로 광고 및 상업 미술 분야에서 활동하면서 포토몽타주 기법을 사용하여 풍자적인 포스터와 엽서를 제작했다.[19] 1960년대부터 제리 율스만(Jerry Uelsmann)은 여러 대의 확대기를 사용하여 훗날 포토샵의 도구 명칭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많은 기법을 활용했으며, 1985년에는 자신의 기법을 시연하고 설명하는 책을 출판했다.1995년, 어도비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러셀 브라운(Russel Brown)은 제리 율스만에게 포토샵을 시험해 보게 했으나, 율스만은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아내 매기 테일러(Maggie Taylor)는 포토샵을 좋아했고, 이를 사용하여 디지털 포토몽타주를 제작하기 시작하여 현대 장르의 창시자가 되었다.
컴퓨터가 보급된 이후에는, 실제로 촬영된 사진과 구별이 되지 않도록 처리된 정교한 포토몽타주 작품도 제작되고 있다.
3. 기법
전통적인 포토몽타주는 사진을 오려 붙이거나, O. G. 레이란더의 "조합 인쇄"(1857)처럼 여러 장의 네거티브를 한 장의 인화지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19세기에는 여러 이미지를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합성하고 그 결과를 사진으로 찍는 방식이 오프셋 인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20] 20세기에는 제록스 기술을 사용하여 복사기를 스캐닝 카메라처럼 활용, 평면 이미지와 3차원 물체를 복사하고 이를 실제 물체와 결합하는 방식이 활용되기도 했다.
어도비 포토샵, 페인트 샵 프로, 코렐 포토페인트, 픽셀메이터, 페인트닷넷, GIMP와 같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등장으로 디지털 방식의 포토몽타주 제작이 더 쉬워졌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디지털 변경을 통해 빠른 작업과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며, 오류를 "취소"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그러나 일부 아티스트들은 디지털 이미지 편집의 경계를 넓혀 전통 예술에 필적하는 시간 집약적인 구성을 만들기도 한다. 최근에는 페인팅, 연극, 삽화, 그래픽을 매끄러운 사진과 결합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추세이다.
4. 윤리적, 법적 문제
포토몽타주는 현실과 허구를 결합하기 때문에, 때로는 윤리적, 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뉴스 사진 조작은 대중을 오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여겨진다. 미국 사진기자 협회(NPPA)는 사진 작가에게 "시청자를 오도하거나 피사체를 잘못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를 조작하지 말 것"을 권고하는 윤리 강령을 발표했다.[21]
사진 조작은 저널리즘 분야에서 특히 많은 정치적, 윤리적 문제를 야기해왔다. 미국의 경우, 표현의 자유가 초상권보다 우선시되는 경향이 있지만, 한국에서는 쇼와 천황 콜라주 사건의 판례에서 볼 수 있듯이 초상권 침해를 엄격하게 규제하는 편이다.
포토몽타주 작품의 저작권 문제도 중요한 쟁점이다. 패러디 몽타주 사진 사건(1980년 3월 28일 최고 재판소 판결)은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판례이다.
최근에는 무료 사진 소재 사이트 팍타소에서 권리 관계에 문제가 없는 포토몽타주 작품들이 공개되면서, 이러한 작품들이 사회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23][24]
5. 한국에서의 포토몽타주
일본에서 포토몽타주 작품을 제작한 미술가(사진가)로는, 전전(戰前)에는 나카야마 간타, 코이시 키요시, 히라이 테루시치, 하나와 긴고, 사카타 미노루, 야마모토 칸스케, 타카하시 와타루, 오쿠보 코로쿠, 후루카와 나리토시, 에이큐, 나가타 잇슈 등이 있으며, 전후(戰後)에는 키무라 츠네히사(작품 예: 1979년 「도시는 상쾌한 아침을 맞이한다」 (이후 파이오니아의 광고에도 사용됨), 1980년 「치고이네르바이젠」), 카즈키 히로[22] 등이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포토몽타주를 체계적인 형태로 소개한 전시회는 아직 적다. 관련 있는 전시회는 다음과 같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of Selective Digital Photomontage to Motion Pictures
https://paedia.com/D[...]
[2]
서적
Undead Theories: Constructivism, Eclecticism And Research in Education
Sense Publishers
[3]
서적
The History of Photography: An Overview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2013-01-05
[4]
서적
Static Films and Moving Pictures: Montage in Avant-Garde Photography and Film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2011-10-01
[5]
서적
Histoires de famille: cartes postales et culture de guerre
Noesis
2000
[6]
서적
Laughter is a Devastating Weapon
https://books.google[...]
Harry N. Abrams
2015-10-01
[7]
웹사이트
George Grosz Quote On Photomontage Invention
https://web.archive.[...]
2017-01-09
[8]
웹사이트
Berlin Club Dada 1916-1920
http://www.johnheart[...]
2017-01-09
[9]
서적
John Heartfield and the Agitated Image: Photography, Persuasion, and the Rise of Avant-Garde Photomont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11-01
[10]
웹사이트
Malik-Verlag Photomontage Book Dust Jackets
http://www.johnheart[...]
2017-01-09
[11]
웹사이트
John Heartfield Photomontage Book Dust Jackets
http://www.johnheart[...]
2017-01-09
[12]
서적
Photomontages of the Nazi Period
https://books.google[...]
Universe Books
1997-05-01
[13]
웹사이트
John Heartfield Photomontages Of The Nazi Period
https://web.archive.[...]
2017-01-09
[14]
간행물
By Design: The Early Work of Hannah Höch in Context
Walker Art Center
[15]
서적
Harue Koga: David Bowie of the Early 20th Century Japanese Art Avant-garde
Kindle, e-book
[16]
서적
Cut & Paste. European Photomontage 1920–1945
https://books.google[...]
Gangemi Editore spa
2011-11-11
[17]
웹사이트
ART FOR A CHANGE - Posters of the Spanish Civil War
http://www.art-for-a[...]
2007-08-26
[18]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zonezero.com/[...]
zonezero.com
2007-08-26
[19]
서적
Truth Needs No Ally: Inside Photojournalis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1994
[20]
웹사이트
WITHIN (photo collages)
https://syg.ma/@rydk[...]
2021-01-08
[21]
웹사이트
NPPA Code of Ethics webpage
http://www.nppa.org/[...]
2006-12-12
[22]
웹사이트
幻想的な夏景色 ~フォトモンタージュの世界~ {{!}} 月刊「旅する大人のソニー」 {{!}} ソニー {{!}} ソニー
https://www.sony.jp/[...]
2018-04-20
[23]
뉴스
フォトモンタージュ {{!}} ぱくたそ-フリー素材・無料写真ダウンロード
https://www.pakutaso[...]
2018-04-20
[24]
뉴스
フォトモンタージュとは
https://www.pakutaso[...]
2018-04-22
[25]
뉴스
邪道ってなんだろう? #あたりまえポエム で人気の「フォトモンタージュ」カメラマン・カズキヒロさんインタビュー {{!}} ぱくたそ公式ブログ
https://www.pakutaso[...]
2018-04-19
[26]
문서
포토몽타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