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렐루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렐루야는 히브리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하나님께 드리는 찬양, 감사, 기쁨, 승리를 표현하는 최상급 표현이다. 초기 기독교인들이 번역하지 않고 사용했으며, 동방 정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 동방 루터교회 등 동방 기독교에서는 성찬 예배에서 사도 낭독 후 제창된다. 서방 기독교의 로마 예식에서는 기쁨을 나타내며 부활 시기에 주로 사용되지만, 사순 시기에는 제외된다. 한국 교회에서도 사용된다.

2. 역사

히브리어 단어 ''할렐루야''는 하나님께 드리는 찬양의 표현으로, 감사, 기쁨, 승리를 나타내는 최상급 표현이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이 단어를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보존했다.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는 오늘날까지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시리아어 개정판에서는 마론파가 사용하는 원형인 고대 그리스 성 야고보 전례에 나타난다. 성 마르코 전례에서는 "그 다음에는 '집중합시다', 사도, 그리고 할렐루야의 서문이 따른다."라는 지침을 찾을 수 있다. 여기서 "사도"는 바울 서신을 읽는 고대 동방의 일반적인 칭호이며, "할렐루야의 서문"은 합창단이 할렐루야를 부르기 전에 드리는 기도나 구절로 보인다. 이 환호는 의성어를 사용하여 고대 율동의 전통을 표현한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3. 동방 기독교에서의 사용

동방 정교회, 비잔틴 전례를 따르는 동방 가톨릭 교회, 동방 루터교 교회에서는 성찬 예배에서 사도(서간) 낭독 후 독서자가 알렐루야를 제창한다. 이때 독서자는 알렐루야를 어떤 8선법으로 제창할지 알리고, 성가대는 "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로 응답한다. 곡조와 독서자가 낭송하는 스치라(시편 구절)는 다양하다.

알렐루야는 사도 낭독에 앞서 제창되는 프로키메논과 짝을 이룬다. 프로키메논 수에 따라 알렐루야는 한 번 또는 두 번 제창될 수 있다.

3. 1. 비잔틴 전례

동방 정교회, 비잔틴 전례를 따르는 동방 가톨릭 교회와 동방 루터교 교회에서는 성찬 예배에서 사도(서간)를 낭독한 후, 독서자가 알렐루야를 어떤 8선법으로 제창할지 알린다. 성가대는 "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로 응답한다.[3] 곡조와 독서자가 낭송하는 스치라(시편 구절)는 다양하게 나타난다.[3]

알렐루야는 사도 낭독에 앞서 제창되는 프로키메논과 짝을 이룬다. 프로키메논의 수에 따라 알렐루야는 한 번 또는 두 번 제창될 수 있다(사도는 최대 세 번까지 낭독될 수 있지만, 프로키메논과 알렐루야는 최대 두 번까지만 제창될 수 있다).[3]

러시아/슬라브 전례에서는 프로키메논의 수에 따라 알렐루야가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제창된다(안티오키아/비잔틴 전례는 약간 다르다):[3]

첫 번째 방식
집사"참석합시다."
독창자"알렐루야, ____ 선법으로."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독창자알렐루야의 첫 번째 스티케론을 읊는다.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독창자알렐루야의 두 번째 스티케론을 읊는다.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두 번째 방식
부제"집중합시다."
독자"알렐루야 (____) 선법:" 즉시 첫 번째 알렐루야의 첫 번째 스티케론을 제창한다.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독자첫 번째 알렐루야의 두 번째 스티케론을 제창한다.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독자"(____) 선법:" 두 번째 알렐루야의 첫 번째 스티케론을 제창한다.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정교회에서는 서방 교회와 달리 사순절 기간에도 "알렐루야" 제창이 중단되지 않는다. 이는 절제된 기쁨을 특징으로 하는 정교회의 금식 접근 방식에 따른 것이다. 대사순절 평일과 성탄절 금식, 사도 금식, 성모 승천 금식 등 짧은 사순절 기간의 특정 날에는 평일에 성찬 예식 거행이 허용되지 않는다. 대신, 아침기도에서 "알렐루야"를 제창한다.[3] 아침기도에서의 "알렐루야" 제창은 사순절 예배의 특징이므로, 사순절 날을 "알렐루야의 날"이라고 부른다.[3]

아침기도에서의 "알렐루야"는 성경 봉독이나 프로키메나와 관련이 없으며, "주는 주님이시다..."를 대체한다. 이는 그 주의 선법으로 불리며, 동일한 선법으로 삼위일체 찬가가 이어진다(8주 선법 순환에 대한 설명은 옥토에코스 참조).[3]

"주는 주님이시다..."는 일반적으로 부제가 읊지만, "알렐루야의 날"에는 부제가 봉사하지 않으므로 사제가 읊는다. 사제는 이콘의 성상 앞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3]

아침기도 알렐루야
사제"알렐루야, ____ 선법: 어둠 속에서 나의 영혼이 새벽에 주님께 깨어나니, 주님의 계명은 땅 위의 빛이십니다."
합창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사제"땅에 사는 너희는 정의를 배우라."
합창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사제"열심은 배우지 못한 백성을 붙잡으리라."
합창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사제"주님, 그들에게 더 많은 악을 더하시고, 땅에서 영광스러운 자들에게 더 많은 악을 더하소서."
합창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는 장례식, 추모 예배(그리스어: ''Parastas'', 슬라브어: ''Panikhida'') 및 죽은 자의 토요일에 특별한 선율로 불린다. "주님은 하나님이시다..." 대신에 불리며, 죽은 자의 트로파리온이 뒤따른다.[3]

알렐루야는 부제(부제가 없을 경우 사제)가 제창한다.[3]

장례식/추모예배 알렐루야
부제"알렐루야, 제8선법: 주님, 당신께서 선택하시고 당신께 데려가신 자들은 복되도다."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부제"그들의 기억은 대대로 이어지리라."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부제"그들의 영혼은 좋은 것들 가운데 거하리라."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1년에 여러 번 기념되는 죽은 자의 토요일에는 저녁기도의 프로키메논 또한 알렐루야로 대체되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불린다.[3]

죽은 자의 토요일 알렐루야
부제"알렐루야, 제8선법."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부제"주님, 당신께서 선택하시고 당신께 데려가신 자들은 복되도다."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부제"그들의 기억은 대대로 이어지리라."
성가대"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복음 낭독은 다른 예배에도 지정되는데, 트레브니크에 나오는 내용이 그렇다. 이러한 복음 낭독 중 많은 부분이 알렐루야로 시작되며, 이는 신성한 전례에서 불리는 방식과 동일하지만, 때로는 스티케라(시편 구절)가 없을 수도 있다.[3]

성사(성례전)인 세례 동안에는 복음 전에 알렐루야 외에도 성가대가 사제가 예비신자 기름을 세례반에 부을 때 알렐루야를 부른다.[3]

4. 서방 기독교에서의 사용

성구와 함께 있는 복음 전 알렐루야의 예시


로마 예식에서 "알렐루야"라는 단어는 기쁨과 관련되며 특히 부활 시기에 선호된다. 이는 과월절에 불린 "할렐"(알렐루야 시편)과의 연관성 때문일 것이다.

"알렐루야"는 트로프로 자주 사용되었으며, 음악과 텍스트가 추가되었다. 일부 초기 시퀀스는 유빌루스에 음절 텍스트를 추가하여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며, 알렐루야 구절의 시작 단어에 따라 이름이 지정될 수 있다. 알렐루야는 또한 윈체스터 트로퍼에서와 같이 초기 오르가눔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4. 1. 로마 예식

로마 예식에서 "알렐루야"는 기쁨, 특히 부활절오순절 사이의 부활 시기와 관련된다.[12] 이 기간 동안 "알렐루야"는 기도와 관련된 성구와 응답, 시편의 안티폰에 추가되며, 부활 팔일 축제와 오순절에는 미사 종료 시 파견("Ite missa est")에도 추가된다.

사순 시기에는 로마 전례에서 "알렐루야"가 제외되며,[12] 이 기간에는 완곡하게 "A-word"라고 불리기도 한다.[13][14][15] 1970년 이전 형태의 로마 예식에서는 사순절 전의 사순절 준비 기간과 위령 미사에서도 제외된다. "알렐루야"는 매 시간의 시간 전례 시작 시에 영광송 다음에 오며, 현재 로마 예식에서는 사순 시기 동안 생략되지만, 1970년 이전 형태에서는 사순 시기와 사순절 준비 기간에 ''Laus tibi, Domine, rex aeternae gloriae''(영원한 영광의 왕이신 주님, 당신을 찬미합니다)라는 구절로 대체된다.

"알렐루야"는 복음 봉독 전에 선포될 주님의 말씀을 맞이하고 환영하는 성가로도 사용된다. 성가대나 선창자는 "알렐루야"를 노래하고, 회중은 이를 반복한다. 독서집이나 로마 그라두알레에서 가져온 성구를 노래한 후, 회중은 다시 "알렐루야"를 노래한다. 사순 시기에는 성구만 노래하거나, "알렐루야" 대신 ''그라두알레''의 다른 환호나 트랙트를 노래한다. 알렐루야와 그 성구는 모든 시기에 생략될 수 있다.[16][17][18]

''로마 그라두알레''의 복잡한 단선율 성가 설정은 주로 수도원과 신학교에서 사용된다.[17]그레고리오 성가는 선창자가 "알렐루야"를 부르면서 시작하고, 성가대는 이를 반복하며 마지막 음절에 유빌루스라고 하는 긴 멜리스마를 추가한다. 선창자는 성구의 주요 부분을 부르고, 성가대는 마지막 줄에 합류한다. 선창자는 다시 처음 알렐루야를 반복하고, 성가대는 유빌루스만 반복한다.

알렐루야는 트로프로 자주 사용되었으며, 초기 오르가눔을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알렐루야와 그 성구는 사순 시기 및 로마 예식 미사의 1970년 이전 형태에서는 사순절 준비 기간 동안 트랙트로 대체된다. 부활 시기에는 그라두알레가 알렐루야 성가로 대체되어 복음 봉독 전에 이러한 성가가 두 번 나오게 된다.

참조

[1] 서적 Companion to the United Methodist Hymnal Abingdon Press
[2] 서적 Holman Treasury of Key Bible Words: 200 Greek and 200 Hebrew Words Defined and Explained LifeWay Christian Resources
[3] 서적 Pocket Catholic Dictionary: Abridged Edition of [Modern Catholic Dictionary Crown Publishing Group 1985-09-04
[4] 서적 Unwearied Praises: Exploring Christian Faith Through Classic Hymns Clements Publishing Group
[5] 웹사이트 Why don't we use alleluias during Lent? http://download.elca[...]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America 2018-03-22
[6] 서적 Presbyterian Worship: A Guide for Clergy Presbyterian Publishing Corporation
[7] 서적 Weaving Prayer into the Tapestry of Life Thomas Nelson (publisher) 2013-06-27
[8] 서적 Building Bridges Between Spirit-filled Christians and Latter-day Saints (Mormons): A Translation Guide for Born Again Spirit-filled Christians (Charismatics / Pentecostals / Renewalists and Third Wavers) and Latter-day Saints eBookIt.com 2011
[9] 웹사이트 The Divine Liturgy of the Holy Apostle and Evangelist Mark http://www.liturgies[...]
[10] 서적 The Orthodox Church of Ethiopia: A Hi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6-11-28
[11] 서적 Milk and Honey: Essays on Ancient Israel and the Bible in Appreciation of the Judaic Studies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Eisenbrauns
[12] 웹사이트 Chapter II: The Structure of the Mass, Its Elements, And Its Parts http://www.usccb.org[...] usccb.org 2017-03-23
[13] 웹사이트 The A-Word {{!}} Dominicana https://www.dominica[...] 2018-04-30
[14] 웹사이트 MUSIC FOR LENT – Don't mention the 'A' word… – St Mary Magdalen Choir Brighton https://stmarymagdal[...]
[15] 웹사이트 Nun Talk {{!}} A Nun's Life Ministry https://anunslife.or[...]
[16] 문서 General Instruction of the Roman Missal http://www.liturgyof[...]
[17] 뉴스 LITURGY Q & A: The Alleluia Before the Gospel https://zenit.org/ar[...] ZENIT 2017-06-06
[18] 웹사이트 Jeff Ostrowski, "Gospel Acclamation During Lent" http://www.ccwatersh[...] 2017-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