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멜리스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멜리스마는 하나의 음절에 여러 음표를 붙여 노래하는 기법으로, 서양 음악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900년경 그레고리오 성가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오르가눔, 비잔틴 성가, 플랑드르 악파의 미사곡, 바로크 음악 등 다양한 시대와 장르에서 사용되었다. 1980년대 이후 휘트니 휴스턴, 머라이어 캐리 등 컨템포러리 R&B 가수들이 대중화시켰으며, 유대교 음악, 중동 음악, 아프리카 음악, 아프리카계 미국 음악 등 서양 음악 외 비서양 음악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일본어의 코부시, 한국의 판소리 시김새와 유사하며, 찬송가 "높은 데서 들리는 천사들의 노래"나 헨델의 메시아 등에서 멜리스마를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 용어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음악 용어 - 오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는 소스에서 스피커 또는 녹음 장치로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흐르는 신호이며, 대역폭, 레벨 등의 매개변수로 특징지어지고 다양한 형태로 전송된다.
멜리스마
개요
분야음악, 언어학
유형노래 기법
어원고대 그리스어 "μέλισμα" (멜리스마, 노래)
설명
정의하나의 음절에 여러 개의 음표를 붙여 노래하는 기법
특징장식적인 선율
가사의 의미 강조보다는 음색과 기교를 강조
관련 용어음절 창법(syllabic): 멜리스마와 반대로, 각 음절에 하나의 음표를 붙이는 창법
룰라드(roulade): 멜리스마와 유사한 장식적인 선율
활용
음악 장르그레고리오 성가
가스펠
팝 음악
R&B
사용 예시팝 음악에서 가창력을 돋보이게 하거나 즉흥 연주에 활용

2. 역사

멜리스마는 고대 그리스어로 "노래"를 의미하며, 고전 고대 문화에서 멜리스마 기법은 청취자에게 최면에 걸린 듯한 도취감을 선사하는 것으로 활용되었으며, 엘레우시스 비의와 같은 고대 비의나 예배에 유용하게 사용되었다.[5] 이러한 특징은 (무슬림의 경우 "종교 음악"이라는 개념이 없더라도) 힌두교이슬람교의 전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멜리스마"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그레고리오 성가에 사용되지만, 실제로는 어떤 장르의 음악에 사용해도 상관없다. 바로크 음악아리아 (오르페오it의 아리아")에서 가스펠에 이르기까지, 멜리스마적인 창법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민족 음악에서도 멜리스마가 사용되는 예가 있으며, 중동 음악, 요들, 일본 민요의 "에사시 오이와케" 등이 대표적이다.

2. 1. 서양 음악

900년그레고리오 성가에서 멜리스마가 악보에 처음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미사곡의 키리에, 알렐루야, 그라두알레 등의 악장에서 사용되었다.[5] 오르가눔의 대선율, 비잔틴 성가에서도 멜리스마가 사용되었다.[5] 15세기부터 16세기 전반까지 플랑드르 악파의 미사곡에서 멜리스마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5] 바로크 음악 시대에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오라토리오나 미사곡 등에서 기교적이고 장대한 멜리스마가 사용되었다.[5] 멜리스마를 사용한 특정 음형은 이탈리아 후기 르네상스 음악의 음화 기법이나 독일 바로크 음악의 피규어론과 결합하여 텍스트의 의미 내용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5] 바로크 창법, 오페라 등에서 멜리스마가 사용되었다.[5] 1980년대 이후 휘트니 휴스턴, 머라이어 캐리 등 컨템포러리 R&B 가수들이 멜리스마 창법을 대중화시켰다.[6][8][9][10]

2. 2. 비서양 음악

멜리스마는 서양 음악뿐만 아니라 비서양 음악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유대교 음악 전통에서 멜리스마는 토라의 창가, 예언서 낭송, 예배 등에서 사용된다.[5] 중동 음악, 아프리카 음악, 아프리카계 미국 음악에서도 멜리스마가 흔히 사용된다. 아프리카 음악의 영향으로 멜리스마는 블루스에 영향을 주었고, 서양 대중음악에도 널리 퍼지게 되었다.[11] 아일랜드 숀 노스 창법, 플라멩코에서도 멜리스마가 사용된다. 게일 음악의 멜리스마는 초기 애팔래치아 음악에 나타나며, 미국 컨트리 음악과 웨스턴 음악의 특징이 되었다. 요들, 일본 민요의 "에사시 오이와케" 등에서도 멜리스마가 사용된다.

3. 현대 대중음악에서의 멜리스마

멜리스마는 현대 대중음악, 특히 R&B, 소울, 가스펠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법이다. 데니즈 윌리엄스, 스티비 원더, 루더 밴드로스, 휘트니 휴스턴, 셀린 디온, 머라이어 캐리,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브랜디, 비욘세 등이 대표적인 멜리스마 창법 가수들이다.[6][7] 데니즈 윌리엄스는 "Let's Hear It for the Boy"로 1984년 5월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6] 휘트니 휴스턴의 "I Will Always Love You"는 1990년대에 이 기법을 대중화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6] 머라이어 캐리의 "Vision of Love"는 컨템포러리 R&B 가수들의 멜리스마 창법 사용 경향을 대중화시킨 곡으로 평가받는다.[8][9][10]

1980년대부터 팝 음악에서 멜리스마 창법이 점차 증가하여, 이후 20년간 가수의 기량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2008~2009년경부터는 케샤나 체릴 콜과 같이 덜 과시적인 스타일의 가수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멜리스마 창법의 유행이 다소 줄어들었다.[11]

한국 대중음악에서도 R&B, 소울, 발라드 장르를 중심으로 멜리스마 창법이 널리 사용되며, 이는 노래의 감정 표현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한다. 다만, 일부 가수들은 멜리스마 창법을 과도하게 사용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4. 코부시와의 유사점

일본어의 코부시는 멜리스마와 유사한 장식적 창법이다.[1] 코부시는 멜리스마와 달리 음높이 변화가 적고, 한 음절을 짧게 늘이는 경우가 많다.[1] 코부시는 시음에서 사용되는 "절조"와 매우 유사하다.[1]

5. 예시

찬송가 "높은 데서 들리는 천사들의 노래(Angels We Have Heard on High)" (영국에서는 "영광의 영역에서 온 천사들(Angels from the Realms of Glory)")가 일반적으로 불리는 프랑스 전통 캐럴 곡조는 기독교 찬송가 음악에서 가장 잘 알려진 멜리스마 시퀀스 중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후렴구에서 "Gloria"라는 단어의 "o"는 16개의 서로 다른 음표를 거쳐 두 번 반복된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메시아''는 멜리스마의 많은 예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중 합창 "우리를 위해 한 아기가 태어났네" (파트 I, 12번)의 발췌 구절이 그러하다. 소프라노와 알토 파트가 "태어났네"라는 단어에 대해 57개의 음표로 멜리스마를 사용한다.

참조

[1] 서적 Continuum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f the World: Performance and Production
[2] 뉴스 How 'American Idol' Uses (and Abuses) Melisma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07-01-11
[3] 서적 Music in the Western World Cengage Learning
[4] 서적 Modern Music and Musicians; Part Two: Encyclopedia University Society
[5] 서적 Jewish Music: Its Historical Development
[6] 웹사이트 Whitney Houston and the art of melisma https://www.bbc.co.u[...] 2012-02-15
[7] 웹사이트 "'Whoa, Nelly!' review" http://www.allmusic.[...] AllMusic
[8] 뉴스 "'Vision of Love' sets off melisma trend" https://www.mcarchiv[...] 2003-02-04
[9] 간행물 On Top: Mariah Carey's record-breaking career https://www.newyorke[...] 2006-04-03
[10] 간행물 100 Greatest Singers of All Time: #79. Mariah Carey https://www.rollings[...] 2008-11-27
[11] 뉴스 Trilling Songbirds Clip Their Wings https://www.nytimes.[...] 2010-12-26
[12] 문서 Shepherd, John (2003). ''Continuum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f the World: Performance and Production'', p. 565. {{ISBN2|9780826463227}}.
[13] 서적 Music in the Western World Cengage Learning
[14] 서적 Modern Music and Musicians; Part Two: Encyclopedia University Socie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