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광송은 기독교에서 삼위일체, 즉 성부, 성자, 성령에게 드리는 찬양의 표현이다. 영광송은 찬송가의 한 형태이며, 가톨릭 신심, 성찬 기도, 시간 전례, 묵주 기도 등 다양한 의식에서 사용된다. 영광송은 각 교파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대표적으로 '글로리아 파트리'와 '글로리아 인 엑스첼시스 데오'가 있다. 이 외에도 각 교파와 교단, 그리고 다양한 예배 형식에서 사용되는 영광송들이 존재한다. 또한, '영광송'에서 파생된 속어 'sockdolager'는 결정적인 한 방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찬가 - 어메이징 그레이스
어메이징 그레이스는 존 뉴턴이 작사하고 작곡가는 불명인 찬송가로, 죄에서 구원받은 감격, 과거 회한, 신의 사랑에 대한 감사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설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 기독교의 찬가 - 진노의 날
진노의 날은 최후의 심판 날에 대한 묘사, 인간의 나약함, 신에 대한 간구, 구원과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13세기 가톨릭교회 전례의 라틴어 시퀀스이며, 죽음과 공포의 주제로 예술 작품에 인용되었고, 전례 개혁 후에도 위령의 날과 대림절 기간에 사용되며 여러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무반주 일성부 성가로, 로마와 갈리아 성가의 통합을 거쳐 서방 기독교 세계의 표준 성가로 자리매김했으며, 교회 선법 체계화 및 네우마 기보법 발달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성모송
성모송은 가브리엘 대천사와 엘리사벳의 인사말에 기반하여 하느님 찬양과 성모 마리아에게 애원과 찬미를 드리는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기도로, 묵주기도의 기본이 되며 다양한 언어 번역본과 음악 작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영광송 |
---|
2. 삼위일체 영광송
기독교 전통에서 영광송은 일반적으로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를 기리는 노래이며, '송영'(頌榮)으로도 불린다. 성찬 기도, 시간 전례, 찬송가, 묵주 기도, 구일 기도 등 다양한 가톨릭 신심에서 사용된다.[5]
''Gloria Patri''는 라틴어 시작 문구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소송영"이라고도 불리며, 하나님을 찬양할 뿐만 아니라 삼위일체의 세 위격의 동등성에 대한 짧은 신앙 고백으로 여겨졌다. 로마 가톨릭, 구 가톨릭, 독립 가톨릭, 정교회, 루터교, 성공회, 장로교, 감리교,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회, 개혁 침례교, 연합 개신교 등 많은 기독교 전통에서 사용된다.[5]
코이네 그리스어 원문과 라틴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 Δόξα Πατρὶ καὶ Υἱῷ καὶ Ἁγίῳ Πνεύματι|독사 파트리 케 휘오 케 하기오 프네우마티el
- καὶ νῦν καὶ ἀεὶ καὶ εἰς τοὺς αἰῶνας τῶν αἰώνων. Ἀμήν.|케 닌 케 아에이 케 에이스 투스 에오나스 톤 에오논. 아멘.el
- Gloria Patri, et Filio, et Spiritui Sancto.|글로리아 파트리, 엣 필리오, 엣 스피리투이 상토.la
- Sicut erat in principio, et nunc, et semper, et in saecula saeculorum. Amen.|시쿳 에랏 인 프린치피오, 엣 눙크, 엣 셈페르, 엣 인 세쿨라 세쿨로룸. 아멘.la
이는 문자적으로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
:''영광 [있으라] 아버지께, 그리고 아들께, 그리고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그리고 영원한 시대에. 아멘.''
"In saecula saeculorum"은 "영원한 시대"로 번역되며, 셈어 관용구의 차용 번역으로 "영원히"를 의미한다. 제임스 1세의 공인 번역판 성경 에베소서 3:21과 이사야 45:17에서는 "세계 무궁무진하게"로 번역되기도 한다.
미국 가톨릭 주교 회의에서 승인한 시간 전례 버전, 정교회 영어 버전, 현대 성공회 버전 등 다양한 번역이 존재한다.
유다서의 마지막 두 구절(24절과 25절)은 영광송으로 여겨지며, 많은 개신교 신자들이 사용한다. 아침기도에서 정교회 예배는 축제일에는 대영광송을, 평일에는 소영광송을 지정하며, 둘 다 그리스도의 탄생 때 천사들의 복음 영광송(루카 2:14)을 포함한다.
일본에서는 "영광송"은 주로 개신교에서 부르는 명칭이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영창"(榮唱), 성공회에서는 "영창" 또는 "소영창", 정교회에서는 "영광송(찬가)"이라고 부른다.
2. 1. 글로리아 인 엑스첼시스 데오 (Gloria in excelsis Deo)
글로리아 인 엑스첼시스 데오(Gloria in excelsis Deo)는 '대영광송'이라고도 불리며, 천사들이 목자들에게 그리스도의 탄생을 알릴 때 불렀던 가사(루카복음 2:14)로 시작하는 찬송가이다. 아주 초기에 다른 구절들이 추가되어 영광송을 형성했다.2. 2. 글로리아 파트리 (Gloria Patri)
'''글로리아 파트리'''(''Gloria Patri'')는 '소영광송'이라고도 불리며, 성부, 성자, 성령께 영광을 돌리는 짧은 찬송가이다.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 장로교, 감리교 등 여러 교파에서 사용된다.[5]코이네 그리스어 원문과 라틴어 번역, 그리고 한국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 Δόξα Πατρὶ καὶ Υἱῷ καὶ Ἁγίῳ Πνεύματι|독사 파트리 케 휘오 케 하기오 프네우마티el
- καὶ νῦν καὶ ἀεὶ καὶ εἰς τοὺς αἰῶνας τῶν αἰώνων. Ἀμήν.|케 닌 케 아에이 케 에이스 투스 에오나스 톤 에오논. 아멘.el
- Gloria Patri, et Filio, et Spiritui Sancto.|글로리아 파트리, 엣 필리오, 엣 스피리투이 상토.la
- Sicut erat in principio, et nunc, et semper, et in saecula saeculorum. Amen.|시쿳 에랏 인 프린치피오, 엣 눙크, 엣 셈페르, 엣 인 세쿨라 세쿨로룸. 아멘.la
-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영광,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제임스 1세의 공인 번역판 성경 에베소서 3:21과 이사야 45:17에서는 "in saecula saeculorum"을 "세계 무궁무진하게"로 번역하기도 했다.
여러 영어 번역본이 존재하는데,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현대 성공회 공동 예배: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께 영광이 있기를; 처음과 같이 지금도 영원히 세계 무궁무진하게. 아멘.''
- 미국 가톨릭 주교 회의 시간 전례 버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께 영광이 있나이다. 처음과 같이, 지금도, 영원히 있으리이다. 아멘.''
- 동방 정교회 영어 버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께 영광이 있나이다, 지금도, 항상, 영원한 시대까지. 아멘.''
2. 2. 1. 가톨릭 교회의 영창
가톨릭 교회에서는 영광송을 '영창'이라고 부른다. 성무일도나 묵주 기도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도문으로, 주님의 기도, 성모송과 함께 자주 바쳐진다. 원래는 라틴어로 바쳐졌지만, 현대에는 각 나라의 언어로도 바쳐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오랫동안 문어체 일본어 번역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구어체 번역문이 공식적으로 사용된다.[5]현행 구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과거 문어체 번역은 다음과 같았다.
: 바라건대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영광이 있기를.
: 처음과 같이 지금도 항상 영원히, 아멘.
2. 2. 2. 성공회의 소영창
성공회에서는 소영창이라고 부르며, 이는 대영광송(글로리아)과 구별하기 위해서이다.[17]일본 성공회에서는 '소영창'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17]
현행 구어 번역과 구 문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18]
현행 구어 번역 | 구 문어 번역 |
---|---|
영광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께 |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께 영광 있으라. |
2. 2. 3. 정교회의 광영찬가
정교회에서는 이를 "'''광영찬가'''"라고 부른다. 대한 정교회에서는 "광영"(Δόξα|독사el, 슬라브어: Слава|슬라바ru), "지금도"(καὶ νῦν|케 닌el, 슬라브어: и ныне|이 니녜ru)로 지칭되는 것으로, 찬가 (트로파리)나 일련의 축문을 여러 번 부를 경우, 시편을 여러 번 낭독할 때, 지정된 부분에 "광영"과 "지금도"를 끼워 넣어 빈번하게 사용한다.[5];광영찬가
:광영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신께
:지금도, 언제나, 영원히. 아멘.
2. 2. 4. 한국 개신교의 영광송
한국 개신교에서는 찬송가 21장에 수록된 영광송이 널리 사용된다.[5] 가사는 다음과 같다.:아버지와 아들과 성령께,
:처음에도, 지금도, 이후에도 영광이 있을지어다.
2. 3. "Praise God, from whom all blessings flow"
"Praise God, from whom all blessings flow"(모든 축복이 흘러나오는 하나님을 찬양하라)로 시작하는 영광송은 개신교에서 헌금 시간에 자주 불리는 찬송이다. 이 가사는 1674년 토마스 켄[7]이 윈체스터 칼리지에서의 아침 및 저녁 예배를 위해 작곡한 두 찬송가, "내 영혼아, 해와 함께 깨어나라"[8]와 "이 밤, 나의 하나님, 당신께 영광을"의 마지막 연으로 쓰였다.[9]:''모든 축복이 흘러나오는 하나님을 찬양하라;''
:''여기 아래 모든 피조물들이여, 그를 찬양하라;''
:''위에 계신 그를 찬양하라, 하늘의 군대여;''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을 찬양하라. 아멘.''
이 마지막 연은, 본래의 찬송가에서 분리되어 "올드 100"[6] 등의 곡조로 불리며, 종종 주일 예배에서 구제금이나 헌금 봉헌을 표시한다. 인기 있는 하와이어 버전인 ''Hoʻonani i ka Makua mau''는 히람 빙엄 1세에 의해 번역되었으며 찬송가에 실려 있다.[10] 일본 교회에서는 "온 세상 만물들아, 공경하며..."로 시작하는 가사가 자주 사용되는데, 이는 토마스 켄이 쓴 찬송가의 마지막 송영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2. 3. 1. 다양한 교단의 번역
교단 | 번역 |
---|---|
코이네 그리스어 원문 | Δόξα Πατρὶ καὶ Υἱῷ καὶ Ἁγίῳ Πνεύματι|독사 파트리 케 휘오 케 하기오 프뉴마티el |
라틴어 번역 | Gloria Patri, et Filio, et Spiritui Sancto. Sicut erat in principio, et nunc, et semper, et in saecula saeculorum. Amen.la |
직역 | 영광 [있으라] 아버지께, 그리고 아들께, 그리고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그리고 영원한 시대에. 아멘. |
미국 가톨릭 주교 회의 승인 시간 전례 버전 |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께 영광이 있나이다. 처음과 같이, 지금도, 영원히 있으리이다. 아멘. |
정교회 영어 버전 |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께 영광이 있나이다, 지금도, 항상, 영원한 시대까지. 아멘. |
성공회 공동 예배 버전 |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께 영광이 있기를; 처음과 같이 지금도 영원히 세계 무궁무진하게. 아멘. |
잉글랜드 성공회 ":en:Common Worship" |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
가톨릭 ":en:Liturgy of the Hours" 미국 가톨릭 주교회의 |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
개신교 전통에서 널리 사용되는 또 다른 영광송은 "Praise God, from whom all blessings flow"(모든 축복이 흘러나오는 하나님을 찬양하라)로 시작한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모든 축복이 흘러나오는 하나님을 찬양하라;
:여기 아래 모든 피조물들이여, 그를 찬양하라;
:위에 계신 그를 찬양하라, 하늘의 군대여;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을 찬양하라. 아멘.
이 가사는 1674년 토마스 켄[7]이 윈체스터 칼리지에서의 예배를 위해 작곡한 찬송가의 마지막 연으로 쓰였다.[8][9]
일부 진보적인 교파에서는 성 중립 언어 등을 위해 영광송의 변형된 버전을 채택했다. 캐나다 성공회(''공통 찬양''), 캐나다 연합 교회(''보이스 유나이티드''), 미국 연합 그리스도 교회(''뉴 센추리 찬송가'')와 같은 일부 교파는 "하늘의 군대"를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언급으로 대체한다. 미국 연합 그리스도 교회 버전은 다음과 같다.
:모든 축복이 흘러나오는 하나님을 찬양하라;
:하나님을 찬양하라, 여기 아래 모든 피조물들아;
:모든 사랑이 행한 일을 위해 하나님을 찬양하라;
:창조주, 그리스도, 그리고 성령, 하나이시다.
미국 장로교회가 2014년에 채택한 버전은 다음과 같다.
:모든 축복이 흘러나오는 하나님을 찬양하라;
:하나님을 찬양하라, 여기 아래 모든 피조물들아;
:위에 계신 하나님을 찬양하라, 하늘의 군대여;
:삼위일체 하나님을 찬양하라, 우리가 경배하나이다
연합 감리교 찬송가(#621)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3]
"Be Present at Our Table, Lord"(주님, 우리 식탁에 함께 하소서)"는 종종 "올드 100"의 곡조로 식사 전 은혜로 불린다. 존 케닉의 찬송가, 1551년 제네바 시편에서 유래, 루이 부르주아의 작품:
:주님, 우리 식탁에 함께 하소서;
:여기서 그리고 어디서나 경배받으소서;
:당신의 피조물에게 복을 내리시고, 우리가
:주님과 함께 낙원에서 잔치하게 하소서.
2. 4. 성찬 영광송 (Eucharistic doxology)
가톨릭 미사에서 성찬 기도를 마치고 주님의 기도 전에 낭송되는 산문 형식의 영광송이다. 보통 주례 사제가 다른 공동 집전 사제들과 함께 노래한다.라틴어 본문과 한국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 Per ipsum, et cum ipso, et in ipso, est tibi Deo Patri omnipotenti in unitate Spiritus Sancti, omnis honor et gloria per omnia saecula saeculorum. Amen.la (1. 그를 통하여, 그와 함께, 그 안에서, 성령의 하나됨으로 전능하신 아버지 하느님께 모든 영광과 영예가 영원히 있나이다. 아멘. 2. 그를 통하여, 그와 함께, 그 안에서, 전능하신 아버지 하느님, 성령의 하나됨으로 모든 영광과 영예가 영원히 당신의 것이 되소서. 아멘.)
성공회의 공동 기도서 (1549)의 해당 구절은 다음과 같다.
: 그분으로, 그분과 함께, 성령의 하나됨으로, 모든 영광과 영예가 영원히 전능하신 아버지, 당신께 있나이다. 아멘.
2. 5. 주님의 기도의 영광송 (Lord's Prayer doxology)
주님의 기도 끝에 덧붙여지는 "나라이 임하옵시며,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형태의 영광송이다.[14] 이 영광송은 마태오 복음서 6장 13절의 비잔틴 텍스트를 대표하는 필사본에서는 발견되지만, 가톨릭 신자들이 가장 신뢰할 만하다고 여기는 필사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마태오 복음서의 원래 텍스트의 일부로 간주하지 않으며, 현대 번역본에서는 이를 포함하지 않고 각주에서만 언급하고 있다.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이 영광송은 하느님 아버지께 드리는 처음 세 가지 청원, 즉 그분의 이름의 영광, 그분의 통치의 도래, 그리고 그분의 구원 의지의 권능을 포함하는 기도로, 하늘의 전례에서처럼 경배와 감사의 기도로 선포된다.[14]
가톨릭교회에서는 이 영광송 부분을 "주님의 기도"의 일부로 간주하지 않으며, 미사 예식문 안에서 마지막에 "아멘"을 외치지 않는다. 다만, 주님의 기도에 이어 사제가 외치는 부분의 마지막에, 함께 다음의 송영을 외운다. (역시 "아멘"은 외치지 않는다.)[19]
- 가톨릭 구어 번역: 나라이며 권세와 영광이 영원히 당신의 것이옵
3. 기타 영광송
기독교 전통에서 영광송은 일반적으로 성부, 성자, 성령 삼위일체께 드리는 찬양을 의미한다. 영광송은 성찬 기도, 시간 전례, 찬송가, 묵주 기도, 구일 기도 등 다양한 가톨릭 신심에서 사용된다.
정교회 아침기도에서는 축일에 대영광송을, 평일에 소영광송을 드린다. 이 두 영광송 모두 그리스도의 탄생 때 천사들이 부른 복음 영광송(루카 2:14)을 포함한다. 이 영광송 구절은 로마 가톨릭 미사에서 낭송되는 ''Gloria in Excelsis''의 시작 구절이기도 하다.
3. 1. 유다서의 영광송
유다서의 마지막 두 구절(24절과 25절)은 영광송으로 여겨지며, 많은 개신교 신자들이 공 예배에서 사용한다.:"능히 너희를 보호하사 거침이 없게 하시고 너희로 하여금 자기 영광 앞에 흠이 없이 기쁨으로 서게 하실 이 곧 우리 구주 홀로 지혜로우신 하나님께 영광과 위엄과 권세와 능력이 영원무궁토록 있을지어다 아멘."(KJV)
3. 2. 오순절 교회의 영광송
아프리카계 미국 오순절교와 침례교 교회에서 인기 있는 영광송은 1980년대에 유명한 아프리카계 미국 복음 성가 가수이자 목사인 밀턴 비검 목사가 작사한 "찬양하라, 찬양하라"이다.[15]: 찬양하라, 찬양하라, 찬양하라, 찬양하라! 예수, 복되신 구세주, 찬양받기에 합당하시네.
: 해가 돋는 데서부터 해가 지는 데까지, 그는 합당하시네, 예수는 합당하시네, 찬양받기에 합당하시네.
: 영광! 영광! 모든 일에 그에게 영광을 돌리세.
: 예수, 복되신 구세주, 찬양받기에 합당하시네.
: 이는 하나님은 우리의 반석이시요, 구원의 소망이시며; 강한 구원자시라, 나는 그를 항상 신뢰하리라.
3. 3. 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Iglesia ni Cristo)의 영광송
필리핀의 기독교 교단인 Iglesia ni Cristo에서는 예배 시간에 축도와 폐회식 전에 영광송을 부른다.타갈로그어 | 공식 영어 텍스트 |
---|---|
Purihin natin ang Amá; | Praise God, our Father up above; |
Mabuhay sa pag-ibig ng Anák; | Proclaim the love of His beloved Son; |
Taglayín ang Espíritung Banál; | Receive the Holy Spirit's gift; |
Ang Dios ay lagì nating sambahín. | Forever worship our Almighty God. |
Amen" | Amen" |
3. 4.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의 영광송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에서 "영광송"은 일반적으로 커티스 W. 리스가 18세기 아이작 와츠가 시편 117편을 의역한 "온 세상 만물들아"를 개작한 것을 가리킨다.:"온 세상 만물들아
:희망과 믿음의 노래를 드높이 불러라; (또는, 믿음과 희망과 사랑을 함께 불러라)
:평화, 인류의 선의를 노래하라 (또는 아름다움, 진실, 선을 노래하라)
:모든 땅에서, 모든 언어로." (또는 모든 땅에서, 모든 언어로.)
많은 회중들이 영광송을 사용할 때 이 가사를 사용하고 올드 100th 곡조로 부르지만,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 찬송가 ''살아있는 전통을 노래하며''에는 회중이 선택할 수 있는 9개의 다른 가사와 3개의 곡조(올드 100th, 탈리스 캐논, 폰 히멜 호흐)가 수록되어 있다.
이 영광송은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 예배에서 기독교 삼위일체 영광송이 개신교 예배에 사용되는 것처럼 공동체의 찬양과 연결을 위한 짧은 노래로 사용된다.
4. 영광송에서 파생된 단어
"Sockdolager"는 영광송(doxology)에서 파생된 속어로, "결정적인 한 방"을 의미한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이 단어를 "공상적인" 조어라고 여기지만, 1893년 ''시카고 트리뷴''에 실린 이 단어의 기원에 대한 추측이 초기 증명 중 하나로 보고되었다.[16]
1893년 3월 ''애틀랜틱''의 한 작가는 한동안 유행했던 속어 "socdollager"의 기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Socdollager"는 "doxologer"를 전치한 것으로, "영광송"의 뉴잉글랜드식 표현이었다. 이것은 찬송가 끝에 사용되는 구절 귀속에 대한 청교도 용어였으며, 부르는 시편 끝의 "글로리아"와 같았다. 온 회중이 함께 노래하는 것이 교리적인 이유로 적절했기 때문에, 예배를 승리적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되었다. 그래서 "socdollager"는 결정적이고 압도적인 마무리, 즉 더 이상 아무것도 따라오지 않게 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답변은 불가능했다.[16]
참조
[1]
사전
doxology
http://www.wordnik.c[...]
[2]
어원사전
doxology
[3]
고전사전
δόξα
[4]
웹사이트
Doxology
http://www.newadvent[...]
[5]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Foreign Media Group
2006
[6]
웹사이트
The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Liturgical Glossary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Thomas Ken Biography
https://web.archive.[...]
2011-07-23
[8]
웹사이트
Praise God, from Whom All Blessings Flow
https://web.archive.[...]
2008-02-19
[9]
웹사이트
All praise to thee, my God, this night
https://web.archive.[...]
2008-02-19
[10]
웹사이트
Hoʻonani i ka Makua mau
https://hymnary.org/[...]
[11]
웹사이트
Harmonia Sacra
http://harmoniasacra[...]
[12]
학술지
606: When, why and how do Mennonites use the anthem?
https://themennonite[...]
Mennonite Church USA
2008-03-18
[13]
웹사이트
Hymns for the Use of the Society of United Christian Friends: with their constitution annexed page 132
https://hymnary.org/[...]
2023-06-29
[14]
웹사이트
The Final Doxology
https://www.vatican.[...]
Catholic Church
[15]
Youtube
Praise Him - Gospel Legends Volume 2
https://web.archive.[...]
2017-03-11
[16]
뉴스
(제목 없음)
Chicago Daily Tribune
1893-03-19
[17]
간행물
日本聖公会 祈祷書
日本聖公会
1991-06-20
[18]
서적
日本聖公会祈祷書
[19]
웹사이트
ミサ式次第
http://salveregina.d[...]
[20]
사전
doxology
http://www.wordnik.c[...]
[21]
웹사이트
Doxology
http://www.newadv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