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베르토 코르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베르토 코르다는 쿠바의 사진작가로, 본명은 알베르토 디아스 구티에레스이다. 1928년 아바나에서 태어나, 패션 사진 작가로 경력을 시작하여 쿠바 최고의 패션 사진 작가가 되었다. 쿠바 혁명 이후 피델 카스트로의 개인 사진가로 활동하며 체 게바라의 상징적인 이미지인 '게릴레로 에로이코'를 촬영했다. 1968년부터 수중 사진에 집중했으며, 2001년 파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여러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유족은 영화 '더 라즈베리 라이히'에서 '게릴레로 에로이코' 이미지를 사용한 제작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바의 공산주의자 - 피델 카스트로
    피델 카스트로는 쿠바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쿠바 혁명 이후 47년간 최고 지도자로 군림하며 사회주의 체제 구축과 미국과의 대립을 심화시키는 등 국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 쿠바의 공산주의자 - 체 게바라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남아메리카 여행 중 사회 불의를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심취하여 쿠바 혁명에 참여, 쿠바 해방 후 혁명 정부에서 활동하다 국제적인 혁명 투쟁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다 볼리비아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혁명가로서의 헌신과 반제국주의 정신을 상징한다.
  • 체 게바라 - 쿠바 혁명
    쿠바 혁명은 피델 카스트로가 이끄는 7월 26일 운동이 풀헨시오 바티스타의 독재 정권을 무너뜨린 사건으로, 부패와 억압, 경제적 불평등, 미국의 내정 간섭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어 사회주의 국가 건설과 쿠바-미국 관계 단절, 냉전 시대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피델 카스트로는 쿠바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쿠바 혁명 이후 47년간 최고 지도자로 군림하며 사회주의 체제 구축과 미국과의 대립을 심화시키는 등 국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알베르토 코르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베르토 코르다가 체 게바라를 촬영하는 모습 (오른쪽)
알베르토 코르다 (오른쪽)가 체 게바라 (가운데)와 그의 아내 아레이다 마르치를 촬영하고 있다.
본명알베르토 디아스 구티에레스
출생1928년 9월 14일
출생지쿠바 공화국 아바나
사망2001년 5월 25일
사망지프랑스 파리
직업사진가
대표작게릴레로 에로이코
서명Signature of Alberto Korda.jpg

2. 초기 생애 및 경력

알베르토 코르다는 1928년 쿠바 아바나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알베르토 디아스 구티에레스이다. 10대 후반부터 아버지의 코닥 35 카메라로 사진 촬영을 시작했고, 여러 직업을 거쳐 사진작가가 되었다. 1956년 루이스 피에르 비엘과 함께 "스튜디오 코르다"를 설립, 쿠바에서 인기 있는 패션 사진작가가 되었다.

1959년 쿠바 혁명 이후 피델 카스트로의 사진작가로 활동하며 쿠바 신정부 초기의 모습을 담았다. 1960년 『레볼시온』지의 사진 기자가 되었고, 같은 해 체 게바라를 촬영한 『영웅적 게릴라』는 게바라 사후 그의 초상으로 널리 알려져 사상과 패션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68년 카스트로의 사진 기자를 그만둔 후 쿠바의 자연, 특히 해중 사진을 중심으로 촬영했고, 쿠바 과학 아카데미 내 해중 사진과를 창설하기도 했다. 1980년대에는 다시 유행 사진가로 복귀했다. 2001년 파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 유해는 아바나의 콜론 묘지에 안장되었다. 2005년 그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Kordavison』이 제작되었다.

2. 1. 초기 생애

1928년 9월 14일 쿠바 아바나에서 알베르토 디아스 구티에레스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2] 철도 노동자의 아들이었던 코르다는 사진 보조로 일하기 전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그는 아버지의 코닥 35mm 카메라를 들고 여자친구의 사진을 찍으면서 처음으로 사진에 대한 경험을 쌓았다.[2] 이후 마리오 나란호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사진작가가 되었고, 헝가리 영화감독 졸탄 코르다에서 이름을 따 알베르토 코르다로 직업명을 정했다.

초기에 코르다는 연회, 세례식, 결혼식 등에서 사진을 찍으며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사진을 현상하여 기념품으로 판매했는데, 초기 작품은 품질이 좋지 않아 몇 달 후 흐릿해지고 누렇게 변색되곤 했다.[3] 1953년, 루이스 피어스와 함께 첫 번째 스튜디오를 열면서,[1] 코르다는 올바른 화학 약품 사용과 적절한 처리 시간을 통해 사진 변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코르다와 피어스는 패션에서 광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업을 했다.[1] 스튜디오 파트너가 주로 사업을 위한 촬영을 담당했고, 코르다는 이 돈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개발할 수 있었다.[4] 코르다는 인공 조명을 싫어하고 자연광만을 사용했으며, 완벽한 구도와 프레이밍을 추구하는 흑백 사진의 대가였다.[6] 그는 "나의 주요 목표는 여성을 만나는 것이었다"라고 고백할 정도로 여성 사진에 관심이 많았으며,[1] 그의 두 번째 부인 나탈리아(노르카) 메넨데스는 유명한 쿠바 패션 모델이었다.

2. 2. 스튜디오 코르다

코르다는 1953년 루이스 피어스라는 사진 작가와 함께 첫 번째 스튜디오를 열었다.[1] 처음에는 코르다와 피어스는 패션에서 광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일을 했다.[1]

그의 스튜디오 파트너는 사업 유지를 위해 대부분의 일을 촬영했다. 이러한 일들로 벌어들인 돈은 코르다가 전통적인 사진 스튜디오와는 다른 각도에서 이미지를 바라보는 독특한 스타일을 개발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 스타일은 스튜디오 코르다가 빠르게 인지도를 얻는 데 기여했다.[4] 초기에는 사진과 아름다운 여성을 좋아하는 두 가지를 추구할 수 있었기 때문에 패션에 가장 관심이 많았다.[1] 코르다는 쿠바 최고의 패션 사진 작가가 되었다.[5]

코르다는 인공 조명을 싫어했고, 이를 "현실의 희극"이라고 칭하며 스튜디오에서 자연광만을 사용했다. 그는 완벽한 구도와 프레이밍을 추구하는 흑백 사진의 대가였다.[6] 코르다는 상상력이 부족한 전통적인 쿠바 사진의 문화적 관점과 비교했을 때 자신의 스타일을 끌어올리는 데 사용한 독창적인 창의적 야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독특한 창의성은 코르다 스튜디오를 단순한 번창하는 사업 이상으로 만들었고, 예술 스튜디오가 되었다.[1]

3. 쿠바 혁명과 코르다

1959년 새로 설립된 신문은 사진가들에게 사진을 전시할 수 있는 가장 넓은 공간을 제공했으며, 코르다는 혁명 대의의 일부가 되었다. 코르다의 가장 잘 알려진 이미지 중 하나는 1959년 4월 피델 카스트로가 워싱턴 D.C.의 링컨 기념관을 방문한 사진이다. 카스트로의 여행은 코르다를 쿠바 전역, 해외 및 소련으로 데려갔다. 1963년 코르다가 찍은 피델과 니키타 흐루쇼프의 사진은 두 사람의 정치적 차이를 보여주었다.[1]

코르다의 작품에는 승리 후 아바나로 들어가는 카스트로 반군들의 사진과, 집회에서 사람들 속에서 밀짚 모자를 쓰고 가로등에 앉아있는 쿠바인을 보여주는 ''가로등의 돈키호테''라는 사진도 포함되어 있다.[2]

3. 1. 혁명의 전환점

쿠바 혁명은 코르다의 경력에 전환점이 되었다. 혁명가들의 성공으로 그의 경력 계획은 완전히 바뀌었다. 코르다는 "30세가 다가오면서 나는 경솔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는데, 쿠바 혁명이라는 특별한 사건이 내 삶을 변화시켰다. 이 시기에 나는 인형을 위해 나무 조각을 움켜쥐고 있는 어린 소녀의 사진을 찍었다. 나는 이러한 불평등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혁명에 내 일을 바치는 것이 가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1] 그는 혁명의 이상에 사로잡혀 지도자들의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1]

피델 카스트로와 코르다의 관계는 특별했다. 카스트로에게 코르다는 단순한 공식 사진가, 친구 또는 개인 사진가 이상이었다. 그들은 급여나 직책에 대해 논의한 적이 없었고, 상사와 노동자의 관계도 아니었다. 코르다는 매우 편안했으며 모든 것과 모든 사람에게 관심이 많았다. 그가 찍은 모든 사진은 혁명의 사건을 기록한 다큐멘터리가 아니라 혁명의 상징이었다.[1] 혁명 사진가로서 코르다는 항상 자신만의 사진 속도를 유지했다. 그는 언론이나 다른 어떤 요청에도 밀려나지 않았다. 혁명이 카스트로를 어디로 데려가든 코르다가 따라갔다.

코르다가 1960년 3월 5일 찍은 필름 롤, 여기서 그는 체 게바라의 유명한 ''게릴레로 에로이코'' 사진을 찍었다. 장 폴 사르트르시몬 드 보부아르피델 카스트로와 함께 사진에 찍혔다.


1959년 피델은 혁명군이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권의 군대를 공격하기 시작했던 외딴 산악 지역인 시에라 마에스트라로 돌아갔다. 코르다의 스타일은 피델이 원하는 샷을 얻기 위해 그가 이끄는 그룹의 맨 앞으로 이동하는 것이었다. 코르다가 집으로 돌아왔을 때 그의 딸은 그를 거의 알아보지 못했다. 그의 머리카락과 수염은 길었고 그는 몇 달 동안 샤워를 하지 않았다. 코르다는 신문을 위해 많은 사진을 찍었고 이 시리즈를 "피델, 시에라로 돌아가다"라고 불렀다.[1] 피델 카스트로는 항상 코르다의 사진을 좋아했고 그가 사진을 찍으려 할 때 결코 그를 막지 않았다. 그는 사진에서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정치적 결과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자유롭게 일했다.[1]

3. 2. 피델 카스트로의 사진가

피델 카스트로와 코르다의 관계는 단순한 사진가와 지도자의 관계를 넘어섰다. 코르다는 카스트로의 공식 사진가이자 친구였으며, 그들의 관계는 상하 관계가 아닌, 서로를 존중하는 동지적 관계였다.[1] 코르다는 혁명의 이상에 매료되어 지도자들의 사진을 찍기 시작했고, 혁명 사진가로서 자신만의 속도로 작업하며 언론이나 다른 요청에 휩쓸리지 않았다.[1]

쿠바 혁명은 코르다의 경력에 전환점이 되었다. 그는 "30세가 다가오면서 나는 경솔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는데, 쿠바 혁명이라는 특별한 사건이 내 삶을 변화시켰다... 나는 이러한 불평등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혁명에 내 일을 바치는 것이 가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라고 회고했다.[1]

카스트로의 여행은 코르다를 쿠바 전역, 해외, 소련으로 이끌었다. 1963년 코르다가 찍은 피델과 니키타 흐루쇼프의 사진은 두 사람의 정치적 차이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진이 되었다. 1959년 피델이 시에라 마에스트라로 돌아갔을 때, 코르다는 피델이 원하는 사진을 얻기 위해 그가 이끄는 그룹의 맨 앞으로 이동하는 열정을 보였다.[1] 피델 카스트로는 항상 코르다의 사진을 좋아했고, 코르다는 사진에서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정치적 결과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자유롭게 작업했다.[1]

혁명 이후 코르다는 10년 동안 피델 카스트로의 개인 사진가가 되어 그의 여행과 외국 인사와의 만남을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시위, 사탕수수 수확, 공장 장면 등 다양한 혁명의 현장을 사진으로 남겼다.[2] 코르다의 작품 중에는 뉴욕 동물원에서 호랑이를 경계하는 카스트로, 체 게바라와 골프를 치고 낚시를 하는 카스트로, 러시아에서 스키를 타고 사냥하는 카스트로, 어니스트 헤밍웨이와 함께 있는 카스트로 등 덜 알려진 사진들도 많다.[2]

3. 3. 《게릴레로 에로이코》

코르다는 쿠바 신문 《레볼루시온》의 사진가였으며, 1960년 3월 5일, 혁명과 반란의 세계적인 상징이 된 체 게바라의 상징적인 이미지 게릴레로 에로이코를 촬영했다. 그는 이미지에 대한 로열티를 전혀 받지 못했는데, 이는 피델 카스트로가 문학 및 예술 작품의 보호를 위한 베른 협약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0년, 그는 광고에 이미지를 사용한 스미노프(Lowe Lintas)를 고소했다. 그의 사진의 불법적인 사용에 대해 언급하면서, 이 예술가는 "체 게바라가 죽음을 맞이한 이상을 지지하는 사람으로서, 그의 기억과 사회 정의의 대의를 전파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이를 복제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지만, 알코올과 같은 제품을 홍보하거나 체의 명성을 훼손하는 목적으로 체의 이미지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단호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그의 법정 밖 합의금 50000USD는 쿠바 의료 시스템에 기부되었다. 그는 "체가 아직 살아 있었다면 같은 일을 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7] 그러나 그는 BBC 월드 서비스 기자에게 1999년 교회 출석을 장려하기 위해 교회 광고 네트워크가 사용한 이미지의 체 예수 각색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사실 코르다는 이탈리아 출판사인 지안자코모 펠트리넬리에게 사진을 무료로 제공했는데, 그는 《닥터 지바고 (소설)》를 출판했고 카스트로의 일기를 출판했다.[8]

1959년 1월 1일, 피델 카스트로가 이끄는 반정부군에 의해 쿠바 혁명이 달성되자, 코르다는 카스트로의 사진작가로 동행하며 쿠바 신정부 초기의 모습을 여러 장 촬영했다. 이듬해인 1960년에는 『레볼루시온』지의 사진 기자가 되었고, 같은 해 3월 5일에는 "라 쿠브르 호 폭파 사건" 추도 집회에서 체 게바라의 표정을 포착한 『게릴레로 에로이코』를 촬영했다.

4. 후기 생애 및 사망

1968년부터 1978년까지 알베르토 코르다는 수중 사진에 집중했으며, 1978년 일본 전시회가 그의 작품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 1999년 빔 벤더스의 영화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에 짧게 출연했지만, 크레딧에는 이름이 올라가지 않았다.[1]

코르다는 2001년 파리에서 자신의 작품 전시회를 열던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 콜론 묘지, 아바나에 묻혔으며,[1] 향년 72세였다.[5]

2006년 엑토르 크루즈 산도발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코르다비전"에 출연했으며, 이 영화는 2007년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 (AMPAS) 다큐멘터리 시리즈에 선정되었다.[1]

2016년 9월, 코르다가 체 게바라의 유명한 사진을 찍는 데 사용한 '라이카' 카메라는 온라인 경매 사이트 Catawiki를 통해 18100EUR에 낙찰되었다.[2]

5. 유산 및 평가

알베르토 코르다는 쿠바 혁명 이후 피델 카스트로의 사진작가로 활동하며 쿠바 신정부 초기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을 많이 남겼다. 특히 1960년에 촬영한 체 게바라의 사진 『영웅적 게릴라』는 체 게바라 사후 그의 상징이 되어 사상과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68년 카스트로의 사진 기자를 그만둔 후에는 쿠바의 자연, 특히 해중 사진을 중심으로 촬영했으며, 1980년대에는 다시 유행 사진작가로 복귀하기도 했다.

2001년 사망 이후 2005년에는 그를 그린 다큐멘터리 영화 『Kordavison』(감독: 헥토르 크루스 산도발)이 제작되었다.

코르다의 작품은 핀란드 헬싱키(1962) 개인전을 시작으로, 이탈리아 밀라노, 쿠바 아바나, 미국 시카고, 대한민국 서울 코엑스 등 세계 각지에서 전시되었다. 또한 쿠바 아바나 국립 미술관(1962), 몬트리올 '67 엑스포 쿠바관(1967) 등 다양한 그룹 전시회에도 참여했다.

Palma de Plataes(1959), ''레볼루시온'' 저널 올해의 최고 사진 기자(1960~1963), 이탈리아 제5회 국제 잠수함 사진상 Maurizio Sanait, 쿠바 문화부 국가 문화 훈장(1994) 등을 수상했다.

5. 1. 코르다 가족의 소송

2005년, 브루스 라브루스(Bruce Labruce)와 그의 제작자 위르겐 브뤼닝(Jürgen Brüning)은 라브루스의 영화 더 라즈베리 라이히(The Raspberry Reich)에서 체 게바라의 유명한 사진 "게릴레로 에로이코"를 사용한 것 때문에 코르다(Korda)의 유족으로부터 100만캐나다 달러의 소송을 당했다.[9]

2018년 인터뷰에서 캐나다 출신 영화 제작자는 이 소송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영화는 100개 이상의 영화제에서 상영되었고 컬트적인 인기를 얻어가고 있었는데, 영화 투어를 시작한 지 약 6개월쯤 되었을 때, 위르겐과 저는 코르다 유족으로부터 저작권 침해로 소송을 당했습니다. 소송은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저작권법을 가진 프랑스에서 제기되었지만, 60페이지에 달하는 법원 문서는 토론토에 있는 제 집 문앞까지 현지 보안관에 의해 전달되었으므로 상당히 압박감이 컸습니다. 저희는 유명한 프랑스 게이 변호사 엠마누엘 피에라(Emmanuel Pierrat)를 변호인으로 선임했지만, 기술적으로는 패소했습니다. 손해 배상액은 약 8000EUR로 줄었지만, 법원 비용을 부담해야 했기 때문에 결국 약 30000EUR를 지불해야 했습니다(영화 예산은 약 60000EUR였습니다!). 이로 인해 영화로 얻은 모든 수익이 사라졌습니다. '이 영화는 급진적인 세련됨에 대한 비판이자, 급진 좌파에 대한 비판이자 찬사이기도 하지만, 분명히 반자본주의적입니다. 그래서 체 게바라와 코르다에게 저작권 문제로 제동이 걸린 것은 아이러니했습니다.' 그들은 주로 저희가 체 게바라의 이미지를 "폄하"하고 "모독"했다고 주장했지만, 저는 사실 뜨거운 포르노 배우가 체 게바라 이미지를 확대한 것에 자위 행위를 하는 것을 전혀 폄하하려는 의도가 없었습니다. 오히려 오마주에 가까웠죠. 저는 세상의 다른 모든 사람들이 그 이미지에 자위 행위를 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냥 문자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혁명은 나의 남자친구"라는 영화의 슬로건은 온라인과 티셔츠, 배너에 널리 인용되기 시작했고, 이는 영화에서 비판하는 급진적인 세련됨을 깔끔하게 반영했습니다.

''Make Porn, Not War: An Interview With Bruce LaBruce''에서 발췌.[10]

5. 2. 주요 작품


  • ''나무 인형 소녀'' (1958)
  • ''피델의 아바나 입성'' (1959)
  • ''가로등의 돈키호테'' (1959)
  • ''워싱턴의 피델'' (1959)
  • ''게릴레로 에로이코'' (1960)
  • ''민병대원'' (1962)

5. 3. 전시회

알베르토 코르다의 작품 개인전은 1962년 핀란드 헬싱키, 1985년 이탈리아 밀라노의 갈레리아 H. 디아프라그마 캐논, 1986년 쿠바 아바나의 갈레리아 세르반도 카브레라, 2000년 미국 시카고의 로이 보이드 갤러리, 2011년 대한민국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다.

그의 작품 그룹 전시회는 1962년 쿠바 아바나의 국립 미술관, 1967년 몬트리올의 ''엑스포 67'' 쿠바관, 1980년 멕시코 멕시코시티의 멕시코 사진 협의회, 1980년 쿠바 아바나의 국제 예술 센터, 1983년 뉴욕의 웨스트베스 갤러리, 1999년 쿠바 아바나의 비주얼 아트 개발 센터, 2000년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C. 그리말디스 갤러리, 2000년 런던의 로열 내셔널 극장, 2002년 미국 플로리다주 포트로더데일의 미술관에서 열렸다.

5. 4. 수상

Palma de Plataes를 1959년에 수상했고, 1960년부터 1963년까지 아바나의 ''레볼루시온'' 저널에서 올해의 최고 사진 기자로 선정되었다. 이탈리아에서 제5회 국제 잠수함 사진상 Maurizio Sanait를 수상했으며, 1994년 쿠바 문화부에서 국가 문화 훈장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Che’s Iconic Photo https://www.smithson[...]
[2] 뉴스 The Man who gave Che to the World https://www.theguard[...] The Observer 2001-05-27
[3] 서적 Cuba by Korda Ocean Press 2006
[4] 서적 Korda A Revolutionary Lens Steidl Publishers 2008
[5] 간행물 The Way of Che: In a revolutionary act, photographer Alberto Korda claims copyright to his famous photo of a rebel legend People Weekly 2000-09-25
[6] 간행물 Alberto Korda Art Nexus 2009-03
[7] 뉴스 Che Guevara photographer dies http://news.bbc.co.u[...] 2001-05-26
[8] 웹사이트 Giangiacomo Feltrinelli: The millionaire revolutionary http://www.thefloren[...] 2024-09-22
[9] 웹사이트 Che’d http://brucelabruce.[...]
[10] 웹사이트 Make Porn, Not War: An Interview With Bruce LaBruce https://thequietus.c[...] 2018-11-10
[11] 웹사이트 La Niña de la Muñeca de Palo http://www.arthistor[...]
[12] 웹사이트 Entrada de Fidel a La Habana http://www.arthistor[...]
[13] 웹사이트 El Quijote de la farola http://www.arthistor[...]
[14] 웹사이트 Fidel in Washington http://www.arthistor[...]
[15] 웹사이트 Guerrillero Heroico http://www.arthistor[...]
[16] 웹사이트 Miliciana http://www.arthistor[...]
[17] 뉴스 Castro and Guevara Photos Sold in Gloucestershire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3-05
[18] 웹사이트 Seeing with the heart https://web.archive.[...] Frontline 2002-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