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마르크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트마르크 조약은 1629년 스웨덴과 폴란드가 체결한 휴전 조약이다. 이 조약으로 스웨덴은 리보니아를 계속 지배하고 다우가바 강 북쪽의 리보니아 대부분을 할양받았으며, 프로이센 공국 해안 도시를 유지했다. 스웨덴은 그단스크와 엘블롱크 등 폴란드 항구 및 프로이센 공국에서 6년 동안 해운 통행료의 일부를 받을 권리를 얻어 30년 전쟁 자금 조달에 사용했다. 이 조약은 스웨덴의 발트해 지배권을 강화하고 30년 전쟁 개입을 가능하게 했다. 1635년 스툼스도르프 조약으로 휴전이 종료되었으며, 폴란드에 유리한 조건으로 정전 조약이 체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알트마르크 조약 | |
---|---|
조약 정보 | |
이름 | 알트마르크 휴전 협정 |
종류 | 휴전 협정 |
서명일 | 1629년 9월 26일 (신력) / 1629년 9월 16일 (구력) |
서명 장소 | 스타리 타르크(알트마르크), 폴란드 |
교전국 | |
교전국 1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교전국 2 | 스웨덴 제국 |
관련 정보 | |
관련 분쟁 | 스웨덴-폴란드 전쟁 |
2. 배경
1629년 폴란드와 스웨덴 사이에 체결된 알트마르크 조약은 1635년의 스툼스도르프 조약으로 이어진다.
2. 1. 폴란드-스웨덴 전쟁 (1626-1629)
프로이센 지방의 알트마르크에서 열린 탓에, '''알트마르크 강화 조약'''이라고도 불리며, 8년에 걸친 양국의 전쟁을 사실상 종전하는 협정이 되었다.같은 해 푸츠크 전투에서 스웨덴군은 참패를 당했지만, 폴란드군 또한 스웨덴군을 몰아낼 여력은 없었고, 양국 간에 평화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여기서 스웨덴을 독일 30년 전쟁에 개입시키고 싶어 했던 프랑스 왕국이 조정에 나섰다.[1]
프랑스의 중재로 스웨덴에 유리한 휴전 조약이 1629년9월 26일 체결되었다.[1]
조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
내용 |
---|
스웨덴, 폴란드는 6년간의 휴전 기간을 설정한다. |
스웨덴은 리프란트(리보니아)를 획득한다. |
스웨덴은 메멜, 단치히 평원의 여러 도시의 징세권을 획득한다. (프로이센 선박 관세) |
스웨덴 수비병의 프로이센 북안 주둔. |
스웨덴은 동프로이센을 프로이센 공령에 반환한다. |
폴란드는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스웨덴 왕위를 용인한다. (실질적으로는 보류) |
휴전 조약으로 스웨덴은 리보니아를 계속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스웨덴은 프로이센 공국 대부분에서 철수했지만 해안 도시는 유지했다. 폴란드는 1625년 침략으로 스웨덴이 얻었던 다른 영토를 돌려받았다. 다우가바 강 북쪽의 리보니아 대부분은 스웨덴에 할양되었지만, 남동부 지역인 라트갈레는 폴란드 통치하에 남았다.[4] 스웨덴은 그단스크(단치히)와 엘블롱크 (엘빙)와 같은 폴란드 항구와 프로이센 공국에서 6년 동안 모든 해운 통행료의 3분의 2를 받을 권리를 얻었다. 해운 통행료는 30년 전쟁에 대한 스웨덴의 참여 자금을 조달했다.[4]
1635년, 알트마르크 조약의 휴전 조약은 스툼스도르프 조약으로 연장되었다. 스웨덴은 프로이센 항구를 포기했고, 폴란드는 리가를 포함한 리보니아 대부분을 할양했지만 라트갈레 지역은 유지했다.[7]
알트마르크 조약의 결과, 스웨덴은 리보니아를 계속 지배할 수 있었다. 스웨덴은 프로이센 공국 대부분에서 철수했지만 해안 도시는 유지했다. 폴란드는 1625년 침략으로 스웨덴이 얻었던 다른 영토를 돌려받았다. 다우가바 강 북쪽의 리보니아 대부분은 스웨덴에 할양되었지만(스웨덴령 리보니아), 남동부 지역인 라트갈레는 폴란드 통치하에 남았다.[4] 스웨덴은 그단스크(단치히)와 엘블롱크 (엘빙)와 같은 폴란드 항구와 프로이센 공국에서 6년 동안 모든 해운 통행료의 3분의 2를 받을 권리를 얻었다. 해운 통행료는 30년 전쟁에 대한 스웨덴의 참여 자금을 조달했다.[4]
이로 인해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발트해 제패는 거의 실현되었다. 또한 폴란드와의 휴전 덕분에 스웨덴은 본격적으로 30년 전쟁에 개입하게 되었다.[1]
3. 알트마르크 휴전 조약의 내용 (1629년)
이 조약은 스웨덴이 트르치아나에서 패배한 직후에 서명되었는데, 이로 인해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 국왕이 포로로 잡힐 뻔했다. 구스타브는 여러 번 부상을 입었으며 한 번은 그의 부하 중 한 명에 의해 구출되었다.[5]
폴란드의 지그문트 3세는 세임의 반대로 새로운 세금을 부과하지 못했고, 사기가 저하된 병사들은 반란을 일으키거나 스웨덴으로 넘어갔다. 여러 국가가 외교적으로 개입하여 결국 폴란드가 휴전에 동의하게 되었다.[6]
프랑스 왕국의 조정으로 1629년 9월 26일, 스웨덴에 유리한 휴전 조약이 체결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내용 스웨덴과 폴란드는 6년간의 휴전 기간을 설정한다. 스웨덴은 리프란트(리보니아)를 획득한다. 스웨덴은 메멜, 단치히 평원의 여러 도시의 징세권(프로이센 선박 관세)을 획득한다. 스웨덴 수비병은 프로이센 북안에 주둔한다. 스웨덴은 동프로이센을 프로이센 공령에 반환한다. 폴란드는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스웨덴 왕위를 용인한다. (실질적으로는 보류)
이로 인해 구스타브 2세 아돌프의 발트해 제패는 거의 실현되었다. 또한 폴란드와의 휴전 덕분에 스웨덴은 본격적으로 30년 전쟁에 개입하게 되었다.
4. 스툼스도르프 조약 (1635년)
30년 전쟁에서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를 잃은 스웨덴은 세력이 일시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에, 외교 협상은 폴란드에게 유리하게 진행되었다. 한편, 스웨덴이 점령하고 있던 리프란드 및 리가는, 이 강화 조약에서는 폴란드 측에 의한 영토 할양도 회복도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폴란드 의회에 의한 스웨덴을 가상 적국으로 하는 국왕의 군비 증강 계획이 파기된 것도 있어, 전투의 완전한 종식에 의해 이 지역은 사실상의 스웨덴령이 되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이 리프란드 및 리가의 스웨덴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대북방 전쟁 종결 후인 1660년이다.)[7]
스툼스도르프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내용 메멜, 단치히 평원의 제 도시의 스웨덴에 의한 징세권(프로이센 선박 관세) 철폐. 스웨덴 수비병의 프로이센 북해안에서의 철병. 스웨덴에 대해 폴란드는 침략적 행위를 하지 않는다.
5. 조약의 결과 및 영향
알트마르크 휴전 조약은 스웨덴이 야전 왕관 헤트만 스타니스와프 코니에츠폴스키와 신성 로마 제국 군대에 의해 트르치아나에서 패배한 직후에 서명되었으며, 이로 인해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 국왕이 포로로 잡힐 뻔했다. 구스타브는 여러 번 부상을 입었으며 한 번은 그의 부하 중 한 명에 의해 구출되었다.[5]
폴란드 의회(''세임'')는 한스 게오르그 폰 아르님-보이첸부르크 휘하에서 싸우는 제국군에게 새로운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고, 사기가 저하되면서 일부 병사들은 반란을 일으키거나 스웨덴으로 넘어갔다. 다른 여러 국가가 외교적으로 개입하여 결국 폴란드의 지그문트 3세가 휴전에 들어가도록 강요했다.[6]
1635년, 휴전 조약은 슈투름스도르프 조약에 의해 연장되었다. 스웨덴은 프로이센 항구를 포기했고, 폴란드는 리가를 포함한 리보니아 대부분을 할양했지만 라트갈레 지역은 유지했다.
휴전 조약의 가장 중요한 결과는 스웨덴이 발트해 북부 지역, 즉 다우가바까지의 지역, 리가를 포함한 지역의 지배자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는 것이다.[7]
1635년의 '''슈투름스도르프 조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30년 전쟁에서 구스타브 2세 아돌프를 잃은 스웨덴은 세력이 일시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에, 외교 협상은 폴란드에게 유리하게 진행되었다. 한편, 스웨덴이 점령하고 있던 리프란드 및 리가는, 이 강화 조약에서는 폴란드 측에 의한 영토 할양도 회복도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폴란드 의회에 의한 스웨덴을 가상 적국으로 하는 국왕의 군비 증강 계획이 파기된 것도 있어, 전투의 완전한 종식에 의해 이 지역은 사실상의 스웨덴령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ruce of Altmark, 12 September 1629
http://www.historyof[...]
historyofwar.org
2019-06-01
[2]
서적
The Thirty Years War
New York Review of Books
1938
[3]
서적
Muscovy and Sweden in the Thirty Years' War 1630-163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4]
웹사이트
Stilleståndet i Altmark 1629
http://www.smb.nu/sv[...]
svenskakrig/freder
1997
[5]
웹사이트
Hetman Stanisław Koniecpolski
http://www.polamjour[...]
Polish American Journal
2019-06-01
[6]
웹사이트
Hans Georg V A Boitzenburg
https://daten.digita[...]
Neue deutsche Biographie
2019-07-01
[7]
서적
1658: Tåget över bält
https://books.google[...]
Historiska 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