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암매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매과는 진달래목에 속하는 식물 과로, 주로 북아메리카와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과거에는 장미목, 층층나무목 등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때죽나무과에서 약 9300만 년 전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암매과는 초본 또는 관목으로, 방사대칭의 꽃을 가지며, 6개의 속(Diapensia, Berneuxia, Galax, Pyxidanthera, Schizocodon, Shortia)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6년 기재된 식물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1836년 기재된 식물 - 지칭개
    지칭개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이며, 엉겅퀴와 유사하나 잎에 가시가 없고 총포 조각에 뿔처럼 생긴 돌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고, 어린 잎은 식용이 가능하며 약재로도 사용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암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국화군
진달래목
이와우메과 (Diapensiaceae)
명명자Lindl. (1836)
모식속암매속 (Diapensia L.)
하위 분류
Berneuxia
Diapensia
Galax
Pyxidanthera
Schizocodon
Shortia
기타
관련 분류Diapensiaceae
위키종Diapensiaceae

2. 분류

다음은 2018년 진달래목의 계통 분류이다.[22][23][24] 암매과는 때죽나무군에 속하며, 노린재나무과, 때죽나무과와 가깝다.

진달래목style="text-align:left;" |



과거에는 장미목[14], 층층나무목[15]에 속하거나, 크론퀴스트 체계와 타흐타잔에 의해 독립된 목(이와우메목)으로 분류되기도 했다.[16] 최근 연구에서는 진달래목 계통군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며,[17] 약 9300만 년 전에 때죽나무과에서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18] 이 과는 북반구에서 기원한 것으로 생각된다.[19]

APG 식물 분류 체계에서는 진달래목에 속하며, 쪽풀과나 녹나무과에 가깝다고 본다. 크론퀴스트 체계에서는 비와모도키아강(亜綱)의 단형 목인 이와우메목에 속하며, 신에글러 분류 체계에서는 통꽃아강의 단형 목인 돌매화나무목으로 분류한다.

2. 1. 하위 분류


  • 암매속(Diapensia L.)
  • ''Berneuxia'' Decne.
  • ''Galax'' Sims
  • ''Pyxidanthera'' Michx.
  • ''Schizocodon'' Siebold & Zucc.
  • ''Shortia'' Torr. & A.Gray


6속을 인정하는 경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Berneuxia''
  • ''Diapensia'' 돌매화속: 돌매화
  • ''Galax''
  • ''Pyxidanthera''
  • ''Schizocodon'' 바위취속: 바위취, 히메바위취
  • ''Shortia'' 바위떡풀속: 바위떡풀, 섬바위떡풀

3. 계통 분류

다음은 진달래목의 계통 분류(2018년)이다.[22][23][24]

진달래목



최근 연구에서는 암매과를 "스티락스류"(암매과, 때죽나무과, 노린재나무과)에 속하는 진달래목 계통군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류했다.[17] 암매과는 때죽나무과에서 약 9300만 년 전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18] 이 과는 북반구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19]

4. 분포

암매과 식물은 주로 북아메리카동아시아에서 발견된다.[7]

분포[20]
베르네우시아속 (Berneuxia)티베트, 중국 남부, 미얀마
암매속 (Diapensia)주로 남아시아 산악 지대, 암매 (Diapensia lapponica)는 환북극 분포
은방울꽃속 (Galax)미국 동부
꼬마별꽃속 (Pyxidanthera)미국 동부
쇼르티아속 (Shortia)미국 동부, 중국, 타이완
분얼초속 (Schizocodon)일본



북반구의 고위도 지방에서 온대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고산 식물로 알려진 것이 많다.

5. 형태적 특징

암매과의 구성원은 대부분 초본 또는 관목이다. 은 방사대칭을 가지며, 심피이며, 대부분의 부분이 5개의 돌림으로 배열되어 있다. 씨방은 3개의 융합된 심피로 구성되어 있다.[3] 균근초본 또는 관목으로, 꽃은 중간 크기이며 꽃잎은 5장으로 다소 합착되어 있고 수술은 5개이다. 외생균근과 내생균근 균근 연관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암매과 속[5]
생활 형태잎 모양꽃차례 특징
Berneuxia다년생 식물선형 및 잎자루형뚜렷한 꽃자루
Diapensia방석 모양 관목선형 및 피침형에서 도피침형 및 잎자루 없음단독
Galax다년생 식물신장형에서 원형 및 잎자루형총상꽃차례
Pyxidanthera방석 모양 관목선형 및 피침형에서 도피침형 및 잎자루 없음단독
Shortia/Schizocodon다년생 식물신장형에서 원형 및 잎자루형단독 또는 총상꽃차례


참조

[1]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2]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14, July 2017 http://www.mobot.org[...] 2019-01-29
[3] 논문 Phylogeny of Diapensiaceae based on molecular data and morphology https://bioone.org/j[...]
[4] 논문 Thousands of RAD-seq Loci Fully Resolve the Phylogeny of the Highly Disjunct Arctic-Alpine Genus Diapensia (Diapensiaceae) 2015
[5] 논문 A new pyxie from North Carolina 1929
[6]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Shortia sensu lato (Diapensiaceae) based on multiple nuclear sequences 2015
[7] 논문 Diapensiaceae 2004
[8] 논문 Chromosomes of the Diapensiaceae: a cytological approach to a phylogenetic problem 1939
[9] 서적 A Gardener's Handbook of Plant Names: Their Meanings and Origins Dover Publications 1997-01
[10] 서적 The British Flower Garden, (series the Second) Forgotten Books 2018-01-06
[11] 서적 Handbuch zur Erkennung der nutzbarsten und am häufigsten vorkommenden Gewächse https://www.biodiver[...] Spenerschen Buchhandlung 1829–1833
[12] 논문 Evidence for range stasis during the latter Pleistocene for the Atlantic Coastal Plain endemic genus, Pyxidanthera Michaux 2010
[13] 논문 Biogeography and ecological niche evolution in Diapensiaceae inferred from phylogenetic analysis 2020
[14] 논문 Proposed new realignments in the angiosperms 1983
[15] 논문 General aspects of angiosperm evolution and macrosystematics 1983
[16] 서적 Diversity and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7
[17]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s and patterns of floral evolution in the Ericales. 2005
[18] 논문 Phylogeny, historical biogeography, and diversification of angiosperm order Ericales suggest ancient Neotropical and East Asian connections 2018
[19] 논문 rom the north into the Himalayan–Hengduan Mountains: fossil-calibrated phylogenetic and biogeographical inference in the arctic-alpine genus Diapensia (Diapensiaceae) 2016
[20] 논문 Studies of Floral Morphology in the Ericales VI. The Diapensiaceae 1963
[21] 문서 Lindley, John. An Introduction to the Natural System of Botany 233. 1836.
[22] 서적 Soltis, Douglas; Soltis, Pamela; Endress, Peter; Chase, Mark W.; Manchester, Steven; Judd, Walter; Majure, Lucas; Mavrodiev, Evgeny (2018).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Angiosperms (p. 262). University of Chicago Press. Kindle Edition. https://lccn.loc.gov[...]
[23] 저널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order ericales s.l.: Analyses of molecular data from five genes from the plastid and mitochondrial genomes Botanical Society of America
[24] 저널 Molecular phylogenetics and patterns of floral evolution in the Erical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Journa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