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암석의 순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석의 순환은 지구 표면에 존재하는 암석들이 생성, 변형, 소멸되는 과정을 말한다. 암석은 생성 원리에 따라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으로 분류되며, 마그마의 냉각, 침식과 퇴적, 열과 압력에 의한 변성 작용을 거치며 끊임없이 순환한다. 이러한 순환은 판 구조론, 풍화, 침식, 물의 작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완화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흡수원 증진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 농업 및 산업 정책, 탄소 흡수원 강화,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조치로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노력이다.
  •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 물의 순환
    물의 순환은 태양 에너지와 중력에 의해 지구 상의 물이 증발, 응결, 강수, 유출, 침투 과정을 거쳐 다양한 저수 영역 사이를 끊임없이 이동하는 현상으로, 기후 변화와 인간 활동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다.
  • 암석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암석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암석의 순환
암석 순환
암석 순환도
암석 순환도
유형지질학적 개념
설명암석 유형 간의 전환 과정
과정
주요 과정결정화
풍화 작용 및 침식
퇴적 작용 및 다짐 작용
변성 작용
용융
관련 주제
관련 주제화성암
퇴적암
변성암
판 구조론

2. 암석의 종류와 순환

지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암석(Rock)은 생성 원리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즉 퇴적암(sedimentary rock), 변성암(metamorphic rock), 화성암(igneous rock)으로 분류된다. 암석의 순환이란, 암권에서 일어나는 자연적인 과정으로, 모든 암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암석으로 변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암석 순환의 시작은 주로 마그마에서 비롯된다. 마그마가 식고 굳어지면 화성암이 만들어진다.[2] 이 화성암이 지표면에 노출되어 물이나 바람 등에 의해 풍화침식 작용을 받으면 잘게 부서져 퇴적물이 된다. 이 퇴적물이 쌓이고 압력을 받아 굳어지면(암석화) 퇴적암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암석(화성암, 퇴적암)이 지하 깊은 곳에서 높은 열과 압력을 받으면 성질이 변하여 변성암이 되기도 한다.

이렇게 생성된 퇴적암과 변성암 역시 암석 순환의 일부이다. 퇴적암이나 변성암이 더 깊은 곳으로 이동하여 높은 열을 받으면 녹아서 다시 마그마가 될 수 있고, 이 마그마가 식으면 새로운 화성암이 된다. 또한, 퇴적암이나 변성암이 지표에서 풍화침식을 받으면 퇴적물이 되어 퇴적암으로 변할 수도 있고, 높은 열과 압력을 받으면 다른 종류의 변성암으로 변할 수도 있다. 이처럼 지구상의 암석은 끊임없이 다른 형태로 변하며 순환한다.[2]

2. 1. 화성암

화성암(igneous rock)은 마그마가 식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이다.[2] 화성암은 마그마가 굳어진 깊이와 냉각 속도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달라지며, 마그마의 성질에 따라 암석의 색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지구 내부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천천히 식으면 입자가 굵은 심성암(예: 화강암)이 만들어지고, 지표면이나 화산 활동으로 인해 빠르게 식으면 입자가 작은 분출암(예: 현무암, 흑요석)이 된다.[2]

2. 1. 1. 화성암의 변화

화성암은 깊은 곳에서 큰 열과 압력을 받으면 입자들이 고체 상태로 재배열되어 변성암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물과 바람 등에 의해 침식되면 잘게 쪼개져 퇴적물이 되고, 이 퇴적물이 압축되고 굳어져 퇴적암이 되기도 한다.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 등 모든 종류의 암석은 지구 표면 깊숙이 들어가면 높은 온도로 인해 마그마로 녹을 수 있다.[2] 이 마그마가 다시 식어서 굳어지면 화성암이 된다. 마그마가 지구 내부 깊은 곳에서 천천히 식으면 입자가 굵은 심성암(예: 화강암)이 만들어지고, 화산 활동으로 지표면이나 지구 대기에 노출된 곳에서 빠르게 식으면 입자가 작은 분출암(예: 현무암)이 된다.[2] 때로는 너무 빨리 식어 결정이 형성되지 못하고 흑요석과 같은 자연적인 유리가 만들어지기도 한다.[2]

2. 2. 퇴적암

암석의 한 종류인 퇴적암(sedimentary rockeng)은 기존의 화성암, 변성암 또는 다른 퇴적암이 풍화침식 작용을 받아 생긴 조각이나 용해된 물질들이 운반되어 쌓인 후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이다. 퇴적암은 암석의 순환 과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지표에 노출된 화성암이나 변성암풍화침식을 받아 퇴적물이 되고, 이 퇴적물이 쌓여 퇴적암이 될 수 있다. 반대로 퇴적암 역시 지하 깊은 곳으로 이동하여 높은 열이나 압력을 받으면 변성암으로 변하거나, 더 깊은 곳에서 녹아 마그마가 된 후 식어 화성암으로 변할 수 있다.

2. 2. 1. 퇴적암의 변화

퇴적암이 깊은 곳으로 들어가 열만 받게 되면 접촉변성작용을 거치고, 열과 압력을 모두 받게 되면 광역변성작용을 거쳐 변성암으로 변한다.

대기에 노출된 암석은 불안정하여 풍화침식 과정을 겪는다. 이 과정에서 원래의 암석은 더 작은 조각으로 부서지고, 용해된 물질은 운반된다. 이렇게 조각난 물질이 쌓이고 다른 물질에 의해 묻히면서 퇴적암이 형성된다. 개별 모래 알갱이는 그것이 유래한 암석의 특성을 지니지만, 이러한 알갱이들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은 퇴적암으로 분류된다.

퇴적암은 형성 과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쇄설성 퇴적암: 매몰된 작은 암석 조각들이 암석화 작용을 거쳐 형성된다. 이는 침식 등으로 인해 기존 암석이 부서진 조각이나 식물 잔해와 같은 유기 물질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 생물 기원 퇴적암: 살아있는 생물이 만든 물질(예: 조개껍데기, 산호)이 쌓이고 암석화되어 형성된다. 화석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 화학적 침전 퇴적암: 광물이 녹아있는 용액에서 증발 등의 화학적 작용으로 인해 광물이 침전되고, 이것이 굳어져 형성된다.


생물 기원암과 화학적 침전암은 다른 모든 종류의 암석에서 용해된 화학 물질로부터 광물이 침전되어 만들어진다.

2. 3. 변성암

기존의 퇴적암이나 화성암이 높은 열이나 압력을 받아 원래의 성질을 잃고 새로운 암석으로 변한 것을 변성암이라고 한다. 암석이 고온과 고압에 노출되면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를 겪어 변성암이 만들어진다.

변성 작용은 주로 두 가지 방식으로 일어난다. 뜨거운 마그마가 주변 암석과 접촉하여 높은 열만으로 변성시키는 접촉 변성 작용과, 넓은 지역에 걸쳐 높은 열과 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광역 변성 작용이 있다. 광역 변성 작용은 주로 조산대와 관련이 깊으며, 종종 엽리라는 줄무늬 구조를 만든다. 접촉 변성 작용은 마그마의 열이나 여기서 나온 뜨거운 유체(변질 작용)가 모암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변성암 역시 암석의 순환 과정의 일부로, 침식을 받아 퇴적암의 재료가 되거나 녹아서 마그마가 된 후 식어 화성암으로 변할 수 있다. 모든 종류의 암석은 변성 작용을 통해 변성암이 될 수 있다.

2. 3. 1. 변성암의 변화

변성암은 기존의 퇴적암이나 화성암이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변해서 만들어지는 암석이다. 높은 열과 압력에 노출된 암석은 원래의 성질을 잃고 새로운 종류의 암석, 즉 변성암으로 변할 수 있다.

변성 작용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광역 변성 작용''': 넓은 지역에 걸쳐 대규모 암석 덩어리가 높은 열과 압력을 동시에 받을 때 일어난다. 주로 조산대에서 산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관련이 깊다. 광역 변성 작용을 받은 암석은 종종 엽리라고 불리는 줄무늬 구조를 보이는데, 이는 광물의 종류와 색깔에 따라 띠 모양으로 나타난다.
  • '''접촉 변성 작용''': 뜨거운 마그마가 주변 암석과 접촉하면서 높은 열만으로 암석을 변화시키는 작용이다. 마그마의 열이나 마그마에서 나온 뜨거운 용액(변질 작용)이 주변의 모암을 변화시키고 재결정화시킨다.


어떤 종류의 암석이든 변성 작용을 통해 변성암으로 바뀔 수 있다. 또한, 변성암도 다시 다른 종류의 암석으로 변할 수 있다. 변성암이 침식을 받아 퇴적물이 되면 퇴적암이 되고, 다시 깊은 땅속으로 들어가 높은 열에 녹아 마그마가 되었다가 식으면 화성암이 된다.

3. 암석 순환의 동인

판 구조론은 암석 순환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원동력으로 여겨진다. 1967년 J. 터조 윌슨은 해양 분지가 반복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과정을 설명하며 '윌슨 주기'라는 개념을 제시했는데, 이는 판 구조론이 어떻게 암석 순환을 일으키는지 이해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판의 생성, 이동, 소멸 과정에서 암석은 끊임없이 다른 형태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대양저 발산 경계에서는 새로운 마그마가 분출하여 화성암이 만들어지고, 섭입대에서는 기존 암석이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변성암으로 변하거나 녹아 다시 마그마가 되기도 한다. 또한, 대륙 충돌 과정에서는 거대한 조산 운동과 함께 광역 변성 작용이 일어나 기존 암석들이 변성암으로 바뀐다.[6][7]

지구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물 또한 암석 순환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물은 지표면에서 풍화와 침식을 통해 암석을 분해하고 운반하여 퇴적암 형성의 기초를 마련한다. 더 나아가 물은 지각 내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뜨거운 물은 해저 암석과 반응하여 변성 작용을 일으키고(사문암화 작용 등),[12] 섭입대에서는 암석의 용융점을 낮추어 마그마 생성을 촉진한다. 이 과정에서 이산화 탄소와 같은 휘발성 물질도 함께 작용하며, 이는 암석 순환이 탄소 순환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13]

3. 1. 판 구조론

1967년 J. 터조 윌슨은 네이처지에 해양 분지의 반복적인 열림과 닫힘, 특히 현재의 대서양 지역에 초점을 맞춘 논문을 발표했다. 이 개념은 판 구조론 혁명의 일부로, '윌슨 주기'로 알려지게 되었다. 윌슨 주기는 판 구조론이 암석 순환의 원동력으로 인식되면서 암석 순환에 대한 현대적 이해에 큰 영향을 미쳤다.

판 구조론은 암석 순환의 주요 과정을 설명하는 틀을 제공한다. 대양저 발산 경계에서는 새로운 마그마가 생성되어 암석 순환의 화성암 단계를 시작하며, 생성된 해양 지각은 확장 중심에서 멀어진다. 이 지각은 결국 섭입대에서 맨틀로 다시 들어가며, 증가하는 압력과 온도로 인해 변성 작용을 겪는다. 섭입 과정에서 물과 같은 휘발성 물질이 방출되어 상부의 암석을 녹이고, 이는 화산 활동으로 이어져 새로운 화성암을 지표나 지각 내에 형성한다. 또한, 섭입된 판의 일부가 대륙 가장자리로 밀려 올라오는 오브덕션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윌슨 주기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대륙들이 서로 충돌한다.[6] 밀도가 낮은 대륙 지각은 서로 섭입되기 어려워 충돌 시 엄청난 압축력을 받으며 변형된다.[7] 이 과정에서 기존의 암석들은 광역 변성 작용을 겪고, 거대한 산맥 형성이 일어난다.

판 구조론에 따른 암석 순환은 지구 물질의 분화를 촉진하는 진화적인 과정이다. 마그마 생성 과정은 규산(실리카)이 풍부하고 휘발성 성분을 많이 포함한 물질을 선호하며,[9] 이렇게 생성된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물질은 지각에 남아 맨틀로 잘 섭입되지 않는다.[10] 따라서 판 구조론적 과정은 맨틀과 지각 사이의 점진적인 물질 분리를 유도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륙 지각의 규모를 성장시키는 데 기여한다.[11]

3. 1. 1. 해령에서의 화성암 생성

대양저 발산 경계에서는 맨틀이 상승하고 얕은 깊이에서 녹아 새로운 마그마가 생성된다.[2] 이때 생성된 현무암질 마그마는 암석 순환에서 화성암이 만들어지는 첫 단계에 해당한다.[2] 해령 양쪽의 판이 서로 멀어지면서, 새로 생성된 암석도 해령에서 점차 멀어진다.[2] 이때 뜨거운 해수가 암석의 틈을 통해 순환하며 상호작용하고, 이는 새로 만들어진 암석에서 역변성 작용이 시작되는 계기가 된다.[2]

3. 1. 2. 섭입대에서의 변성암 및 화성암 생성

새로운 현무암해양 지각은 생성된 확장 능선에서 멀어져 결국 섭입대와 만나게 된다. 이 지각이 맨틀 속으로 다시 끌려 들어가면서, 증가하는 압력과 온도 조건은 암석의 광물 조성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변성 작용은 암석을 에클로자이트라는 새로운 종류의 변성암으로 바꾼다.

현무암질 지각과 함께 포함된 일부 퇴적물이 더 깊이 끌려 들어가면, 과 다른 휘발성 물질들이 빠져나와 섭입대 위에 있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암석 쐐기 부분으로 상승한다. 이 암석 쐐기는 낮은 압력과 높은 온도 조건을 가지며, 여기에 휘발성 물질이 더해지면서 암석이 녹아 마그마가 생성된다. 생성된 마그마는 주변 암석보다 가볍기 때문에(부력) 위쪽의 암석을 뚫고 상승하여 열도나 대륙 연변에서 화산 활동을 일으킨다. 이러한 화산 활동은 열도나 대륙 가장자리에서 멀어질수록, 즉 더 깊은 곳에서 유래하고 더 많이 분화된 마그마일수록 규산(실리카) 함량이 높은 용암을 분출하는 경향을 보인다.

때로는 변성된 해양 지각 슬래브의 일부가 맨틀로 완전히 가라앉지 않고, 대륙 가장자리 위로 밀려 올라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오브덕션이라고 한다. 이렇게 지표로 드러난 맨틀의 페리도타이트 덩어리와 변성된 에클로자이트는 사문암 복합체 형태로 발견될 수 있다.

새롭게 분출된 화산 물질은 기후 조건에 따라 빠르게 침식된다. 침식된 퇴적물열도 양쪽의 분지에 쌓인다. 이 퇴적물이 계속 쌓여 더 깊이 묻히게 되면, 압력을 받아 단단하게 굳어지는 암석화 작용을 거쳐 퇴적암이 만들어진다.

3. 1. 3. 대륙 충돌대에서의 변성암 생성

고온과 고압에 노출된 암석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변화하여 변성암이라는 다른 암석으로 바뀔 수 있다. 변성 작용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광역 변성 작용은 넓은 지역에 걸쳐 대규모 암석 덩어리에 영향을 미치며, 주로 조산대 내에서 산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관련이 깊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암석은 종종 엽리라고 불리는 뚜렷한 광물 띠를 보인다. 둘째, 접촉 변성 작용은 뜨거운 마그마가 주변의 모암과 접촉할 때 발생한다. 마그마의 강한 열이나 마그마에서 나온 유체가 주변 암석에 화학 물질을 추가하면서(변질 작용) 암석이 변하고 재결정화된다. 기존의 어떤 종류의 암석이든 변성 작용을 통해 새로운 변성암으로 변할 수 있다.

특히 대륙 충돌대에서는 광역 변성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윌슨 주기에서 두 개의 대륙 또는 작은 땅덩어리가 수렴 경계에서 만나면,[6] 밀도가 낮은 대륙 지각 덩어리들은 서로 아래로 파고들기 어렵다(섭입 불가). 대신, 두 덩어리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엄청난 압축력은 암석을 변형시키고 성질을 바꾼다.[7] 이 과정에서 이어지는 조산 운동, 즉 산맥이 형성되는 과정의 내부에서 광역 변성 작용이 발생한다. 두 대륙 덩어리가 서로 밀어붙이며 압축되고, 휘어지고(습곡), 끊어지면서(단층) 산맥을 형성하는 동안, 그 지역에 있던 기존의 모든 화성암, 화산암, 퇴적암, 심지어 이전에 만들어졌던 변성암까지도 새로운 변성 작용을 겪게 된다.

3. 2. 풍화, 침식 및 퇴적 작용

대기에 노출된 암석은 불안정하여 풍화침식 과정을 겪는다. 풍화와 침식은 원래의 암석을 더 작은 조각으로 부수고 용해된 물질을 운반한다. 이렇게 잘게 부서진 물질(퇴적물)은 특정 장소에 쌓여 퇴적되고, 그 위에 다른 물질이 계속 쌓이면서 매몰된다. 각각의 모래 알갱이는 원래 암석의 성질을 유지하지만, 이러한 알갱이들이 뭉쳐져 굳어지면 퇴적암이라는 새로운 암석이 된다.

퇴적암은 형성 과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쇄설성 퇴적암''': 다른 암석(종류 무관)이 부서진 작은 조각이나 식물 잔해 같은 유기물이 쌓이고 암석화되어 만들어진다. 침식 작용 등이 주요 원인이다.
  • '''생물 기원 퇴적암''': 살아있는 생물이 만들거나 (화석) 남긴 물질이 쌓이고 암석화되어 만들어진다. 다른 암석에서 녹아 나온 화학 물질이 생물 활동을 통해 광물로 침전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 '''화학적 침전 퇴적암''': 광물이 녹아 있는 물이 증발하면서 화학적으로 침전된 물질이 굳어져 만들어진다. 이 광물들도 다른 종류의 암석에서 용해된 것들이다.


대륙 충돌로 인해 높이 솟아오른 산맥은 만들어지자마자 빠르게 침식 작용을 받는다.[8] 이 침식 작용은 산을 깎아내리며, 깎여나간 물질들은 엄청난 양의 퇴적물이 되어 근처의 바다 가장자리나 얕은 바다, 또는 육지의 퇴적 분지에 쌓인다. 이 퇴적물 더미가 점점 깊이 묻히면서 압력을 받아 단단하게 굳어지면 퇴적암이 된다. 즉, 산을 이루던 변성암, 화성암, 퇴적암 조각들이 모두 새로운 퇴적암의 재료가 되는 것이다.

지구에 풍부한 물은 암석 순환, 특히 풍화, 침식, 퇴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풍화와 침식 촉진''': 강수, 산성 토양수, 지하수 등 다양한 형태의 물은 암석과 광물을 효과적으로 녹인다. 특히 지표면이나 대기 환경에서 불안정한 화성암, 변성암 및 바다에서 만들어진 퇴적암이 물에 의해 잘 용해된다.
  • '''물질 운반''': 물은 암석에서 녹아 나온 이온이나 풍화 작용으로 생긴 암석 조각들을 운반한다. 특히 강물은 엄청난 양의 퇴적물을 바다나 호수 같은 내륙 분지로 실어 나른다. 이렇게 운반되어 쌓인 퇴적물은 다시 암석으로 변환된다.
  • '''변성 작용 관여''': 뜨거워진 바닷물이 암석의 틈새로 스며들면서 해저 화산암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변성 작용에 관여하기도 한다. 사문암화 작용이 대표적인 예이며, 이는 화산암이 변해가는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12]
  • '''마그마 생성 도움''': 섭입대에서는 물과 기타 휘발성 물질(이산화 탄소 등)이 기존 암석의 용융점을 낮춰 마그마 생성을 돕는다. 하강하는 해양판 위의 퇴적물에 포함된 석회암 등에서 나온 물과 이산화탄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암석 순환이 탄소 순환과도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13]

3. 3. 물의 역할

지구에 물이 풍부하게 존재하는 것은 암석 순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명확한 역할은 물에 의한 풍화 작용과 침식 과정이다. 강수, 산성 토양수, 지하수 형태의 물은 광물암석, 특히 지표면과 대기 조건에서 불안정한 화성암변성암, 해양 퇴적암을 녹이는 데 효과적이다. 물은 이렇게 녹은 이온과 풍화 작용으로 부서진 암석 조각들을 운반한다. 흐르는 물, 특히 은 많은 양의 퇴적물바다나 내륙 분지로 옮긴다. 이렇게 쌓이고 묻힌 퇴적물은 다시 암석으로 변한다.

물의 또 다른 역할은 변성 작용 과정에서 나타난다. 때때로 뜨거워진 바닷물이 암석의 틈새를 통해 흐르면서 해저의 새로운 화산암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과정 중 하나인 사문암화 작용은 화산암이 파괴되는 중요한 과정이다.[12]

섭입대 위쪽에서는 기존 지각 암석이 녹는 과정에서 물과 다른 휘발성 물질의 역할이 중요하다. 물과 함께, 아래로 내려가는 슬래브 위쪽 퇴적물 속 석회암에 풍부한 이산화 탄소와 같은 탄소 화합물도 암석을 녹이는 데 기여한다. 이는 암석 순환이 탄소 순환과도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13]

4. 암석 순환과 관련된 부차적인 변화

후성적 변화는 암석이 형성된 후 낮은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겪는 이차적인 변화 과정을 의미한다.[3] 이러한 변화는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특정 암석이나 광물 그룹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지만, 하나의 암석에서 여러 종류의 후성적 변화가 동시에 진행되기도 한다.[3]

주요 후성적 변화는 다음과 같다.[3]


  • 규화작용: 광물이 결정질 또는 숨은 결정질 규소로 대체되는 현상.
  • 고령토화작용: 장석이 고령토 등으로 분해되는 현상.
  • 사문암화작용: 감람석이 사문석으로 변화하는 현상.
  • 우랄라이트화작용: 이차적인 각섬석휘석을 대체하는 현상.
  • 녹니석화작용: 휘석, 흑운모 또는 각섬석이 녹니석으로 변하는 현상.
  • 녹렴석화작용: 흑운모, 각섬석, 휘석 또는 사장석에서 녹렴석이 생성되는 현상.

4. 1. 규화 작용

후성적 변화는 저온 및 저압에서 발생하는 이차적인 과정으로, 암석이나 암석을 형성하는 광물에 다양한 변화를 일으킨다.[3] 규화작용은 이러한 후성적 변화 중 하나로, 기존의 광물이 결정질 또는 숨은 결정질 형태의 규소로 대체되는 현상을 말한다.[3] 이 과정은 유문암과 같은 장석질 암석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지만, 사문암 등 다른 종류의 암석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3]

4. 2. 고령토화 작용

고령토화작용은 화성암에서 가장 흔한 광물인 장석이 고령토(석영 및 기타 점토 광물)로 분해되는 현상이다. 이는 화강암섬록암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3]

4. 3. 사문암화 작용

사문암화 작용은 암석이 만들어진 후 낮은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겪는 후성적 변화의 한 종류이다. 이 작용은 주로 감람석이 사문석으로 변하는 과정을 말하며, 이때 자철석이 함께 생성된다. 사문암화 작용은 페리도타이트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며, 대부분의 염기성암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3]

4. 4. 우랄라이트화 작용

우랄라이트화작용은 이차적인 각섬석휘석을 대체하는 현상이다.[3]

4. 5. 녹니석화 작용

휘석, 흑운모, 또는 각섬석이 녹니석으로 변하는 후성적 변화(저온 및 저압에서 발생하는 이차적 과정)의 일종으로, 많은 반려암, 섬록암, 녹색편암과 같은 암석에서 관찰된다.[3]

4. 6. 녹렴석화 작용

녹렴석화작용은 암석이 형성된 후 저온 및 저압 환경에서 겪는 후성적 변화의 일종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 암석에 포함된 흑운모, 각섬석, 휘석 또는 사장석과 같은 광물들이 녹렴석으로 변성된다. 이러한 변화는 주로 반려암, 섬록암, 녹색편암과 같은 특정 암석 그룹에서 흔히 관찰된다.[3]

참조

[1] 웹사이트 The Rock Cycle https://education.na[...] Education National Geographic 2023-05-08
[2] 서적 Igneous Rocks: A Classification and Glossary of Te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1
[3] 서적 Petrology
[4] 서적 Petrogenesis of Metamorphic Rock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23-05-08
[5] 웹사이트 Sedimentary Rocks https://education.na[...] Education National Geographic 2023-05-08
[6] 논문 Hot Spots and Continental Break-up: Implications for Collisional Orogeny https://pubs.geoscie[...] 2023-05-08
[7] 논문 Plate Tectonics, the Wilson Cycle, and Mantle Plumes: Geodynamics from the Top 2011-05-30
[8] 논문 Glacial erosion promotes high mountains on thin crust https://www.scienced[...] 2023-05-08
[9] 논문 Magma Genesis, Plate Tectonics, and Chemical Differentiation of the Earth https://core.ac.uk/d[...] 2023-05-08
[10] 서적 Subsea and Deepwater Oil and Gas Science and Technology https://www.scienced[...]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2023-05-08
[11] 논문 Rheological Transitions During Partial Melting and Crystallization with Application to Felsic Magma Segregation and Transfer 1996
[12] 서적 Investigating Seafloors and Oceans: From Mud Volcanoes to Giant Squid Elsevier 2017
[13] 웹사이트 The Slow Carbon Cycle https://earthobserva[...] 2011-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