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드레마리 앙페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드레마리 앙페르는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이다. 전자기학 연구에 기여하여, 전류와 자기 현상의 관계를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리옹에서 태어나 과학 아카데미 회원,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업적으로는 앙페르 회로 법칙 발견, 전자기학 용어 사용, 전자기 현상에 대한 실험 및 수학적 이론 제시 등이 있다. 앙페르의 업적을 기려, 전류의 단위인 암페어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다양한 시설과 기술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5년 출생 - 찰스 램
영국의 수필가이자 시인인 찰스 램은 누이 메리 램과 함께 쓴 《셰익스피어 이야기》와 《엘리아 수필》로 유명하며, 낭만주의 시대 주요 문인들과 교류하고 독특한 문체를 발전시켜 영국 수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75년 출생 -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활동한 영국의 낭만주의 화가이자 판화가로, 대기와 빛의 효과를 추구하는 독창적인 화풍을 발전시켜 인상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산업혁명, 영국의 해상력, 자연의 힘을 모티브로 한 걸작들을 남겼다. - 에콜 폴리테크니크 동문 - 조르주 소렐
조르주 소렐은 프랑스의 사상가로,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며 신화와 직접 행동을 통한 자본주의 전복을 주장했고, 파시즘과 볼셰비즘에 양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아나코생디칼리즘과 파시즘에 영향을 미쳤다. - 에콜 폴리테크니크 동문 - 알프레드 드레퓌스
알프레드 드레퓌스는 독일 군사 기밀 판매 혐의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나 재심을 통해 무죄 판결을 받고 복권된 프랑스 육군 장교이다. - 1836년 사망 - 정약용
정약용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실학 사상 집대성, 과학 기술 분야 업적, 500여 권의 저술을 통한 사회 개혁 주장 등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에 선정되었다. - 1836년 사망 - 윌리엄 고드윈
윌리엄 고드윈은 영국의 정치 철학자, 소설가, 저널리스트로서 무정부주의와 공리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대표작 『정치적 정의에 관한 탐구』를 통해 근대 무정부주의 사상의 초석을 놓았고, 이성과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며 정부와 강제적 권력을 비판했으며, 소설 『캘럽 윌리엄스』로 사회 제도와 권력의 부조리를 고발했고, 작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남편이자 메리 셸리의 아버지이다.
앙드레마리 앙페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앙드레마리 앙페르 |
로마자 표기 | André-Marie Ampère |
출생일 | 1775년 1월 20일 |
출생지 | 리옹, 프랑스 왕국 |
사망일 | 1836년 6월 10일 |
사망지 | 마르세유, 프랑스 7월 왕정 |
국적 | 프랑스 |
서명 | André-Marie Ampère signature.svg |
학문 분야 | |
분야 | 물리학 수학 |
소속 기관 | 에콜 폴리테크니크 콜레주 드 프랑스 |
업적 | |
주요 업적 | 플루오린 발견 앙페르 회로 법칙 앙페르 힘 법칙 앙페르 고리 모델 앙페르 오른손 법칙 몽주-앙페르 방정식 아보가드로-앙페르 가설 바늘 전신 솔레노이드 |
수상 |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1827년) |
기여한 분야 | 전자기학 |
기타 | |
영향 | 전자기학 |
관련 항목 | 앙페르 |
언어 표기 | 영어: 프랑스어: |
2. 생애
리옹에서 태어난 앙페르는 고등학교 교사로 일하다 1814년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824년 콜레주 드 프랑스(프랑스의 고등 교육 기관) 교수가 되었다.[9][10] 전자기 유도 현상과 전기역학 연구에 크게 공헌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비범한 재능을 보였으나, 프랑스 혁명 시기에 아버지가 처형당하는 아픔을 겪었다. 1796년 쥘리 카롱과 만나 1799년 결혼, 1800년 아들 장 자크 앙페르를 낳았으나, 1803년 아내가 사망했다.[7][16] 1806년 잔느 프랑수아즈 포토와 재혼하여 딸 알비느 앙페르를 낳았다.
수학, 화학, 외국어 등을 가르치는 가정교사로 일하다 1801년 부르의 리세 제롬 라랑드(Lycée Jérôme Lalande)에서 물리학과 화학 교사를, 1804년 리옹 대학교(Université de Lyon) 수학 교수를 역임했다.
1806년 파리로 이주한 후,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가정교사, 수학 교수를 역임했고, 파리 대학교에서 철학과 천문학 강의를 맡았다. 1824년 파리 고등사범학교 실험 물리학 교수직에 선출되었다.
장 밥티스트 조제프 푸리에의 권유로 리옹 대학교(Université de Lyon)에서 일자리를 얻었고, 에콜 폴리테크니크(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강사직과 수학교수를 맡았다. 확률론 및 편미분 방정식 해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 첫 저서인 『도박에 관한 수학적 이론 고찰』을 통해 확률 계산을 했다.
마르세유에서 사망하여 파리의 몽마르트 묘지에 묻혔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앙드레마리 앙페르는 1775년 1월 20일 프랑스 리옹에서 부유한 사업가 장 자크 앙페르와 잔느 앙투아네트 드쥐티에르-사르세 앙페르 사이에서 태어났다.[6] 그는 프랑스 계몽주의 절정기에 리옹 근처 폴렘유오몽도르(Poleymieux-au-Mont-d'Or)에 있는 가족 소유지에서 유년 시절과 청소년기를 보냈다.[6]앙페르의 아버지 장 자크 앙페르는 장 자크 루소의 교육 철학을 존경하여, 그의 저서 ''에밀''에 나타난 교육 이론에 따라 앙페르에게 가정에서 스스로 공부하도록 하였다. 루소는 정규 교육 대신 "자연으로부터의 직접적인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앙페르의 아버지는 이러한 생각을 받아들여 아들이 잘 갖춰진 서재 안에서 자기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했다. 앙페르는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뷔퐁 백작의 ''자연 일반 및 특수사''와 드니 디드로와 장 르 롱 달랑베르의 ''백과전서'' 등을 읽으며 스스로 공부했다. 또한, 라틴어를 독학하여 레온하르트 오일러와 다니엘 베르누이의 저작을 읽고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7]
어릴 적부터 지식욕이 강했던 앙페르는 숫자조차 모르는 나이에 조약돌과 말린 강낭콩, 비스킷 조각을 이용해 복잡한 덧셈을 풀었다고 전해진다.[16] 아버지는 처음에 라틴어를 가르쳤지만, 앙페르의 수학적 재능을 알아채고는 라틴어 교육을 중단했다. 그러나 앙페르는 레온하르트 오일러와 다니엘 베르누이의 연구를 배우기 위해 스스로 라틴어 학습을 다시 시작했다. 14세에 디드로와 달랑베르의 『백과전서』 20권을 독파했으며,[16] 18세에는 당대 수학 지식을 대부분 습득했다고 한다. 앙페르는 역사, 탐험기, 시, 철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으며 폭넓은 지식을 쌓았다.
2. 2. 프랑스 혁명과 가족의 시련
앙페르는 프랑스 혁명 시기에 청년기를 보냈다. 그의 아버지는 혁명 정부에 의해 공직에 임명되어 리옹 근교의 작은 마을에서 지방 판사(''juge de paix'')가 되었다.[8] 그러나 1792년 자코뱅 세력이 혁명 정부를 장악하자, 아버지 장 자크 앙페르는 이에 저항했고, 1793년 11월 24일 자코뱅의 대숙청의 일환으로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8] 이 사건은 앙페르에게 큰 충격을 주어 1년 이상 무기력하게 지냈다. 그러나 앙페르는 식물학 논문 초고를 접하면서 학문에 대한 흥미를 되찾았고, 이후 고전 시인 연구와 시 창작으로 관심을 넓혀갔다.2. 3. 결혼과 가정생활
1796년에 앙페르는 쥘리 카롱을 만났고, 1799년에 결혼했다.[7] 1800년에 아들 장 자크 앙페르를 낳았다.[7] (장 자크 앙페르는 훗날 저명한 언어학자가 되었다.)[7] 1803년 7월, 아내 쥘리가 사망했다.[16] 1806년에 잔느 프랑수아즈 포토와 재혼하여 딸 알비느 앙페르를 낳았다.2. 4. 교육 및 연구 활동
리옹에서 고등학교 교사 생활을 하다가 1814년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824년 콜레주 드 프랑스(프랑스의 고등 교육 기관)의 교수가 되었다.[9][10] 1803년 7월 아내가 사망한 후, 앙페르는 파리로 이주하여 1804년 새로 설립된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가정교사로 일했다. 정식 자격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1809년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수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1828년까지 이 학교에서 교수직을 유지했으며, 1819년과 1820년에는 각각 파리 대학교에서 철학과 천문학 강의를 맡았다. 1824년에는 권위 있는 파리 고등사범학교의 실험 물리학 교수직에 선출되었다. 1814년 앙페르는 개혁된 국가 과학 아카데미가 속하게 될 ''앙스티튀 앵페리알''(Institut Impérial)의 수학자 학급에 초청받았다.장 밥티스트 조제프 푸리에의 권유로 앙페르는 리옹 대학교의 일자리를 받아들였다. 이듬해(1805년)에는 파리의 에콜 폴리테크니크(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도 강사직을 맡게 되었고, 1809년에는 수학 교수가 되었다. 거기서 확률론 및 편미분 방정식의 해법에 대해 연구했다.
이 무렵, 첫 저서인 『도박에 관한 수학적 이론 고찰』에서 확률 계산을 했다. 1813년, 과학 아카데미에 입회했다.
앙페르는 아카데미에 선출되기까지 수년 동안 수학과 철학에서 화학과 천문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과학적 연구에 참여하여 논문을 작성하고 여러 주제를 다루었다. 당시 주요 과학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일반적인 일이었다. 앙페르는 "열여덟 살에 첫영성체, 안투안 레오나르 토마의 "데카르트 찬사" 읽기, 그리고 바스티유 감옥 습격이라는 세 가지 인생의 정점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아내가 사망한 날 그는 시편에서 두 구절과 "자비로우신 주 하나님, 제가 세상에서 사랑할 수 있도록 허락하신 분들과 하늘에서 저를 하나로 만들어 주소서"라는 기도를 적었다. 곤경에 처했을 때 그는 성경과 교부의 글을 읽으며 위안을 삼았다.[11]
앙페르의 명성은 전기와 자기의 관계를 명확히 한 것에 기인하며, 그것이 전자기학의 기초가 되었다. 앙페르 자신은 그것을 전기역학이라고 불렀다. 1820년 9월 11일, H. C. 외르스테드가 전류가 흐르는 전선 근처에서 나침반이 움직이는 것을 발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거기서 자기와 전기의 관계를 연구하여, 나침반이 움직이는 방향이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주일 후인 9월 18일, 앙페르는 그 현상을 포함한 유사한 현상에 대한 보다 완전한 해석을 포함한 논문을 아카데미에 제출했다.
2. 5. 만년과 죽음
앙페르는 마르세유에서 사망하여 파리의 몽마르트 묘지에 매장되었다. 그의 친절함과 순수함으로 가득 찬 성격은 저서 ''Journal et correspondence'' (Paris, 1872)에 잘 나타나 있다.사후에 출판된 저서로는 ''Essai sur la philosophie des sciences, ou exposition analytique d'une classification naturelle de toutes les connaissances humaines''(과학 철학에 관한 에세이 또는 인류의 지식의 자연 분류에 대한 분석적 해석)가 있다.
3. 과학적 업적
리옹에서 태어난 앙드레마리 앙페르는 고등학교 교사로 일하다가 1814년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824년에는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가 되었다. 앙페르는 여러 학문 분야에 업적을 남겼는데, 특히 전자기 유도 현상과 전기역학 연구에 크게 공헌했다. 그는 자석에 얼굴을 향하고 발에서 머리 쪽으로 전류가 흐를 때 자석의 N극(북극)이 왼손 쪽으로 움직인다는 '앙페르 회로 법칙'을 발견했다.[12]
수학 분야에서도 뛰어난 재능을 보인 앙페르는 물리 법칙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고, 미분방정식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는 등 독자적인 수학 연구도 수행했다.
앙페르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3. 1. 전자기학
1820년 9월, 앙페르는 친구 프랑수아 아라고가 덴마크 물리학자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의 발견을 시연하는 것을 보았다. 외르스테드는 전류가 흐르는 전선 근처에서 나침반 바늘이 움직이는 현상을 발견했다.[12] 앙페르는 이 소식을 듣고 자기와 전기의 관계를 연구하기 시작하여, 일주일 후인 9월 18일 이 현상에 대한 더 완전한 해석을 담은 논문을 아카데미에 제출했다.앙페르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나침반 바늘이 움직이는 방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도선과 같은 방향으로 사람이 몸을 기울여 발에서 머리 쪽으로 전류가 흐른다고 가정하면, 나침반의 북극이 그 사람의 왼쪽으로 움직인다는 법칙을 발견했다. 이는 '앙페르 회로 법칙'으로 불린다.[12] 또한, 앙페르는 오른나사의 법칙(오른손 법칙)도 발견했다. 이는 오른손 엄지를 세우고 주먹을 쥐었을 때,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 방향이 자기장(자속)의 방향이라면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이 전류의 방향과 일치한다는 법칙이다.
나아가 앙페르는 전류의 세기와 자기장의 세기 사이의 관계를 설명했다. 그는 두 개의 도선을 평행하게 놓고 전류를 흘리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도선이 서로 끌어당기거나 밀어낸다는 실험을 선보였다. 이러한 발견들은 전자기학의 기초를 세웠고, 19세기 물리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앙페르는 자기 현상이 분자 수준의 전류로 설명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분자 전류 이론) 그는 수많은 미세한 전기를 띤 입자가 도선을 흐른다고 보았다. 이 이론은 당시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60년 후 전자가 발견되면서 주목받았다.
1827년, 앙페르는 전자기학과 자기학에 관한 저서 《전자기 현상에 대한 실험에 의해 하나로 결론지어지는 이론에 대한 메모》를 출판했다.[16] 그는 전기, 전류, 전압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16] 자신의 새로운 과학 분야를 "전기역학"이라고 불렀다. 이 책은 해당 분야의 창립 논문으로 여겨진다.
3. 2. 수학 및 기타 연구
앙페르는 수학 분야에서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물리 법칙을 수학적으로 공식화하는 동시에 독자적인 수학 연구도 진행하여, 미분방정식에 관한 논문 등을 남겼다.4. 유산 및 영향
앙드레마리 앙페르는 전자기 유도 현상과 전자기학 연구에 크게 공헌하였으며, 앙페르 회로 법칙을 발견했다.[14] 수학 분야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겨 미분방정식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14] 1881년 국제전기박람회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려 전기 측정 표준 단위 중 하나로 암페어를 확립했다.[14]
4. 1. 과학적 유산
앙페르는 전자기 유도 현상과 전기역학 연구에 공헌하였다. 자석에 얼굴을 향하여 발에서 머리로 전류를 통하면 자석의 N극(북극)은 그 사람의 왼손 쪽으로 움직인다는 '앙페르 회로 법칙'을 발견하였다.[14]수학 분야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여 물리 법칙을 수학적으로 정식화함과 동시에 독자적인 수학 연구도 진행하여, 미분방정식에 관한 논문 등을 남겼다.[14]
1881년 국제전기박람회에서 체결된 국제 협약은 앙페르의 현대 전기 과학 발전에 대한 공헌을 인정하여 전기 측정의 표준 단위 중 하나로 암페어를 확립했다. 쿨롱, 볼타, 옴, 와트, 패럿과 함께 앙페르의 동시대 인물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앙페르의 이름은 에펠탑에 새겨진 72개의 이름 중 하나이다.[14]
앙페르의 이름을 딴 거리, 광장, 학교, 리옹 지하철 역, 그래픽 처리 장치 마이크로아키텍처, 달의 산, 노르웨이의 전기 페리 등이 있다.[14]
4. 2. 사회적 영향
에펠탑에 새겨진 72개의 이름 중 하나이다.[14] 앙페르의 이름을 딴 거리와 광장, 학교, 리옹 지하철 역, 그래픽 처리 장치 마이크로아키텍처, 달의 산, 노르웨이의 전기 페리 등이 있다.[14]1881년 국제전기박람회에서 체결된 국제 협약은 앙페르의 현대 전기 과학 발전에 대한 공헌을 인정하여 전기 측정 표준 단위 중 하나로 암페어를 확립했다. 샤를-오귀스탱 드 쿨롱(프랑스), 알레산드로 볼타(이탈리아), 게오르크 옴(독일), 제임스 와트(스코틀랜드), 마이클 패러데이(영국) 등 앙페르 동시대 인물들의 이름도 함께 표준 단위로 지정되었다.
참조
[1]
서적
Ampère
http://dictionary.re[...]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
서적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3]
서적
Essai sur la Philosophie des Sciences
https://archive.org/[...]
Chez Bachelier
[4]
서적
A History of European Thought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Blackwood, London
[5]
서적
Theoretical Kinematics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6]
웹사이트
Andre-Marie Ampere
http://www.ieeeghn.o[...]
IEEE
2011-07-21
[7]
백과사전
Ampère, André Marie
[8]
웹사이트
Biography of Andre Marie Ampere
http://simplyknowled[...]
2019-09-03
[9]
일반텍스트
[10]
서적
To Light such a Cand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2007-12-29
[12]
웹사이트
Library and Archive Catalogue
http://www2.royalsoc[...]
Royal Society
2012-03-13
[13]
서적
Index biographique des membres et associés de l'Académie royale de Belgique (1769–2005)
[14]
뉴스
Batterifergen har måttet stå over avganger. Nå er løsningen klar
http://www.tu.no/art[...]
2016-11-19
[15]
웹사이트
電気を学ぶ マリー・アンドレ・アンペール
https://econews.jp/s[...]
エコーニュースウェブマガジン
2020-10-07
[16]
서적
ラルース 図説 世界史人物百科
原書房
[17]
웹사이트
Ampere; Andre-Marie (1775 - 1836)
2012-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