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프레드 드레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프레드 드레퓌스는 1859년 알자스 뮐루즈에서 태어난 프랑스 육군 장교로, 독일 군사 기밀을 판매한 혐의로 기소된 드레퓌스 사건의 중심 인물이다. 그는 에콜 폴리테크니크를 졸업하고 군 경력을 쌓아 소령까지 진급했으나, 1894년 간첩 혐의로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드레퓌스 사건은 프랑스 사회를 분열시켰고, 재심과 무죄 판결을 거쳐 1906년 복권되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중령으로 전역했으며, 1935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장교 - 조르주 피카르
    조르주 피카르는 드레퓌스 사건 당시 알프레드 드레퓌스의 무죄를 입증하려 노력한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후에 명예를 회복하고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 프랑스의 반역죄 기결수 - 필리프 페탱
    필리프 페탱은 제1차 세계 대전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시 프랑스 정권 수반으로서 나치 독일과 협력한 행위로 인해 반역죄로 기소되어 유배지에서 사망한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프랑스의 반역죄 기결수 - 샤를 모라스
    샤를 모라스는 프랑스의 정치 이론가이자 작가로, 반근대주의와 민족주의 사상을 주창하며 액시옹 프랑세즈를 통해 오를레앙 왕조 부활, 반유대주의, 대독 강경 노선을 선전하다가 비시 정권에 협력하여 옥중에서 사망했다.
  • 악마섬 - 앙리 샤리에르
    앙리 샤리에르는 '빠삐용'으로 알려진 프랑스 출신 탈옥수 및 작가로, 살인 혐의로 프랑스령 기아나 유형지에 수감된 후 탈옥하여 베네수엘라에 정착, 자전 소설 《빠삐용》을 발표하며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 악마섬 - 클레망 뒤발
    클레망 뒤발은 프랑스의 아나키스트로, 절도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되어 악마섬에서 종신 강제 노동형을 살았고, 탈출 후 뉴욕으로 망명하여 회고록을 출판했다.
알프레드 드레퓌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드레퓌스 {{circa|1894}}
드레퓌스
이름알프레드 드레퓌스
출생일1859년 10월 9일
사망일1935년 7월 12일
출생지뮐루즈, 프랑스 제2제국
사망지파리, 프랑스 제3공화국
안장지몽파르나스 묘지, 파리
국적프랑스
자녀피에르 드레퓌스, 잔 드레퓌스 레비
어머니자네트 리브만
아버지라파엘 드레퓌스
로마자 표기alpeuredeu deurepyuseu
교육
모교, 에콜 쉬페리외르 드 게르
군사 경력
소속프랑스 제3공화국
군종프랑스 육군 포병
복무 기간1880년–1918년
최종 계급[[파일:French Army (sleeves) OF-4.svg|20px]] 중령
소속 부대제31 포병 연대
제1 기병 사단
주요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전투베르됭 전투
제2차 앤 전투
기타
서명

2. 어린 시절과 가족

1859년 알자스 뮐루즈에서 아홉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난 드레퓌스는 어린 시절을 풍요롭게 보냈다.[20][21] 그의 아버지는 방직 공장을 운영하는 성공한 사업가였으며, 가족은 뮐루즈 사회에서 편안한 삶을 누렸다.[2] 그는 뮐루즈의 뤼 뒤 소바주, 뤼 드 라 씬에 있는 저택에서 살았다.

어머니가 출산 후 병을 앓아 누이 앙리에트가 어머니 역할을 대신했다.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발발 후, 알자스-로렌이 독일에 합병되자 가족은 스위스 바젤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고등학교를 다녔다. 이후 가족은 파리로 이주했다.

1891년 4월 18일, 드레퓌스는 뤼시 아다마르와 결혼하여 아들 피에르와 딸 장느를 두었다.[2] 결혼 3일 후, 고등 육군 대학 입학 허가를 받았다. 2년 후, 수석에서 9등으로 졸업하고 육군 사령부 부속 장교로 임명되었으나, 유일한 유대인 장교였다. 1893년 12월 13일, 아버지 라파엘이 사망했다.

1892년 시험에서 드레퓌스는 불합격 처리되었는데, 이는 보른퐁 장군이 "유대인은 바라지 않는다"는 이유로 성적을 조작했기 때문이었다. 보른퐁은 다른 유대인 장교 피카르 중위에게도 같은 조작을 했다. 두 사람은 교장에게 항의했지만,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이 항의는 훗날 드레퓌스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드레퓌스는 애국심이 강했지만, 거만하고 비타협적인 성격으로 동료들과 관계가 원만하지 않았다. 군 사령부 보고서에서는 그를 "불완전한 장교. 매우 지적이고 유능하지만, 잘난 체하고 남들과 어울리려 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2]

3. 군 경력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으로 인해 가족이 삶의 터전을 잃는 모습을 어린 시절 목격한 드레퓌스는 군인의 길을 선택하게 되었다. 1877년 10월, 파리에 있는 엘리트 군사학교인 에콜 폴리테크니크에 입학하여 군사 훈련과 과학 교육을 받았다. 1880년 졸업 후 프랑스 육군 소위로 임관되었다. 1880년부터 1882년까지 퐁텐블로의 포병학교에서 포병 장교로서 전문적인 훈련을 받았다. 졸업 후 르망 주둔 31포병연대에 배속되었고, 이후 파리 제1기병사단에 배속된 기병포병대에 전속되어 1885년 중위로 진급했다. 1889년에는 국영 무기고인 부르주 시설의 국장 보좌관이 되었고 대위로 진급했다.[2]

1891년 드레퓌스는 루시 외제니 아다마르와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 같은 해 육군참모대학에 입학 허가를 받았으며, 2년 후 수석 9등으로 졸업하여 프랑스 육군 참모본부의 연수생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당시 유일한 유대인 장교였다. 그러나 1892년 육군참모대학 입학 시험에서 보네퐁 장군은 "유대인은 원치 않는다"며 드레퓌스에게 낮은 점수를 주기도 했다.[3]

이후 드레퓌스 사건으로 고초를 겪었으나, 1906년 누명을 벗고 복권되면서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고 소령으로 진급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하여 1918년 중령으로 전역했다.[2]

3. 1. 군사 계급

드레퓌스는 1880년 프랑스 육군 소위로 임관되었다. 1880년부터 1882년까지 퐁텐블로의 포병학교에서 포병 장교 훈련을 받았으며, 1885년 중위로 진급했다. 1889년에는 부르주 시설의 국장 보좌관이 되면서 대위로 진급했다.[2]

1891년, 드레퓌스는 육군참모대학에 입학하여 2년 후 수석 9등으로 명예 졸업장을 받고 프랑스 육군 참모본부의 연수생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1892년 육군참모대학 입학 시험에서 보네퐁 장군은 "유대인은 원치 않는다"며 드레퓌스에게 낮은 점수를 주기도 했다.[3]

이후 드레퓌스는 누명을 벗고 복권되어 1906년에 소령으로 진급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 후 1918년 최종계급 중령으로 전역했다.[2]

프랑스 육군에서의 드레퓌스의 계급 변동은 다음과 같다.

학생소위중위대위소령중령
--
1878년 10월 1일[15]1880년 10월 4일1882년 11월 1일1889년 9월 12일1906년 7월 13일1918년 9월 26일


4. 드레퓌스 사건

알프레드 드레퓌스가 1894년 반역죄로 체포되어 1906년 무죄 판결을 받기까지의 일련의 사건을 드레퓌스 사건이라고 한다. 이 사건은 프랑스 사회를 크게 뒤흔들었으며, 단순한 간첩 사건을 넘어 정치, 사회, 사상, 문화 전반에 걸쳐 깊은 영향을 남겼다.

드레퓌스는 1895년 군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프랑스령 기아나의 악마의 섬으로 유배되었다. 그러나 진범이 따로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고, 에밀 졸라의 '나는 고발한다' 발표 등으로 재심 여론이 높아졌다. 1899년 재심이 열렸지만, 드레퓌스는 다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후 여론에 밀려 대통령 특사로 석방되었고, 1906년 2차 재심에서 최종적으로 무죄가 확정되어 복권되었다. 드레퓌스는 군에 복귀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했다.

드레퓌스 사건은 프랑스 제3공화국 최대의 위기로 평가받으며, 프랑스 정치를 민주적인 방향으로 재편하고, 사상과 문학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22]

4. 1. 진실을 위한 투쟁

드레퓌스는 포병 대위로서 참모 본부에 근무하던 중, 1894년 독일에 군사 기밀서류를 팔아넘긴 혐의로 체포되어 종신형을 받았다. 재심의 가부를 둘러싸고 당시 프랑스 사회는 양대 파벌이 생겼는데, 드레퓌스 파에는 인도주의, 자유주의, 공화주의적인 정치가와 지식 계급이 합세하고, 반대파에는 군국주의, 국수주의, 반유대주의, 국가주의, 가톨릭 교회 등의 보수 세력이 합세하여 심각한 정치적·사회적 문제로 발전하였다.[22]

1898년 악마의 섬(Devil's Island)에 수감된 알프레드 드뢰퓌스


1899년 ''배니티 페어''를 위해 장 바티스트 귈이 그린 드뢰퓌스


1894년, 프랑스 육군 방첩부는 파리 주재 독일 군사 참관인 막시밀리안 폰 슈바르츠코펜에게 새로운 포병 부품에 관한 정보가 고위급 스파이에 의해 넘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렸다. 혐의는 곧 드뢰퓌스에게로 향했고, 그는 1894년 10월 15일 반역죄로 체포되었다. 1895년 1월 5일, 드뢰퓌스는 비밀 군사 재판에서 공개적으로 군 계급을 박탈당했으며, 프랑스령 기아나의 악마의 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당시 프랑스 군대 관습에 따라 드뢰퓌스는 군복에서 계급 휘장, 단추, 견장을 잘라내고 칼을 부러뜨리는 의식이 침묵한 군인들의 대열 앞 육군사관학교(École Militaire) 마당에서 치러졌다. 많은 군중이 난간 뒤에서 욕설을 퍼부었다. 드뢰퓌스는 "나는 무죄임을 맹세합니다. 저는 군대에서 복무할 가치가 있습니다. 프랑스 만세! 군대 만세!"라고 외쳤다.[3]

1896년 8월, 새로운 프랑스 군사 정보부장인 중령 조르주 피카르는 진짜 배신자가 소령 페르디낭 발생 에스테르하지임을 나타내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상관에게 보고했다. 피카르는 1896년 11월 튀니지 수스(Sousse)에 주둔한 티라유르 연대 지휘관으로 전보되면서 침묵을 강요당했다. 군의 은폐와 드뢰퓌스의 무죄 가능성에 대한 보고가 언론에 유출되자, 반유대주의와 프랑스의 정체성을 둘러싼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에스테르하지는 비밀 군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고 몰래 영국으로 도망쳐 콧수염을 깎았다. ''옵저버''와 ''선데이 타임스''의 편집장인 레이첼 비어는 그를 두 번 인터뷰했다. 그는 드뢰퓌스를 함정에 빠뜨리려고 산데르의 명령으로 국경 수표를 작성했다고 자백했다. 그녀는 1898년 9월 인터뷰 내용을 기사로 작성했고,[5] 그의 자백을 보도하고 프랑스 군대의 반유대주의를 비난하며 드뢰퓌스의 재판을 요구하는 사설을 썼다.[6]

프랑스에서는 에밀 졸라[7] 등 저명한 예술가와 지식인을 포함한 드뢰퓌스 지지자들의 열렬한 운동이 있었고, 그 결과 1899년에 두 번째 재판을 받았지만, 무죄 증거에도 불구하고 다시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러나 여론 때문에 드뢰퓌스는 1899년 에밀 루베 대통령으로부터 사면을 제의받고 받아들였으며 석방되었다. 드뢰퓌스가 사면을 거부했다면 악마의 섬으로 돌아가야 했을 것이고, 그는 더 이상 감정적으로 감당할 수 없었을 것이다. 드뢰퓌스는 공식적으로 프랑스의 배신자로 남았고, 석방 후 "공화국 정부는 나에게 자유를 되돌려주었다. 명예 없이는 아무것도 아니다."[2]라고 말했다. 그는 1906년 7월까지 2년 동안 여동생 중 한 명과 함께 카르팡트라와 나중에는 콜로니에서 가택 연금 상태로 살았다.

1906년 7월 12일, 드뢰퓌스는 군사 위원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무죄 선고를 받았다. 무죄 선고 다음 날, 그는 소령(Chef d'Escadron)으로 진급하여 군에 복귀했다. 일주일 후, 그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고,[8] 이후 뱅센에서 포병 부대를 지휘했다. 1906년 10월 15일, 그는 생드니의 또 다른 포병 부대를 지휘하게 되었다.

4. 2. 재심과 복권

드레퓌스는 1899년 여론에 의해 에밀 루베 대통령으로부터 사면을 제의받고 받아들여 석방되었다. 이는 군의 실수를 덮기 위한 타협책이었다. 드레퓌스가 사면을 거부했다면 악마의 섬으로 돌아가야 했을 것이고, 그는 더 이상 감정적으로 감당할 수 없었을 것이다. 드레퓌스는 공식적으로 프랑스의 배신자로 남았고, 석방 후 "공화국 정부는 나에게 자유를 되돌려주었다. 명예 없이는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2] 그는 1906년 7월까지 2년 동안 여동생 중 한 명과 함께 카르팡트라콜로니에서 가택 연금 상태로 살았다.

1906년 7월 12일, 드레퓌스는 군사 위원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무죄 선고를 받았다. 무죄 선고 다음 날, 그는 소령(Chef d'Escadron)으로 진급하여 군에 복귀했다. 일주일 후, 그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고,[8] 이후 뱅센에서 포병 부대를 지휘했다. 1906년 10월 15일, 그는 생드니의 또 다른 포병 부대를 지휘하게 되었다.

4. 3. 사회적 영향

드레퓌스 사건은 프랑스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재심을 요구하는 드레퓌스파에는 인도주의, 자유주의, 공화주의를 지지하는 정치인과 지식인들이 참여했다. 반면, 반(反) 드레퓌스파에는 군국주의, 국수주의, 반유대주의, 국가주의를 옹호하는 보수 세력과 카톨릭 교회 등이 결집했다.[22]

1898년 에밀 졸라가 〈나는 고발한다〉라는 공개장을 발표하면서 재심 여론이 높아졌고, 결국 재심이 이루어졌지만 드레퓌스는 다시 유죄 판결을 받았다(1899년). 그러나 여론에 밀려 대통령 특사로 석방되었고, 1906년 2차 재심에서 무죄가 확정되어 복권되었다.[22]

제3공화정 최대의 위기로 평가받는 드레퓌스 사건은 프랑스 정치를 민주적인 방향으로 재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사상과 문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22]

2021년 10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파리 근교 메당에 드레퓌스 사건 박물관을 개관하면서, 드레퓌스가 겪은 불의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프랑스 극우 세력이 드레퓌스의 무죄를 부정하려는 시도에 대한 경고로 해석된다. 1994년에는 한 육군 대령이 드레퓌스의 유죄를 암시하는 글을 발표하여 파면되었고, 극우 정치인 장마리 르펜은 드레퓌스의 무죄 판결이 판례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또한, 마크롱 대통령의 정적인 에릭 제무르는 드레퓌스 사건의 진실이 불분명하며, 그의 무죄가 명백하지 않다고 주장했다.[12]

5. 만년과 죽음

1918년 중령으로 전역했고, 1935년에 지병으로 별세했다. 사망 이후 그는 파리의 몽파르나스 묘지에 묻혔다.[9]

1908년 6월 4일, 에밀 졸라의 유해를 파리 팡테옹으로 이장하는 의식에 참석하던 드레퓌스는 극우 언론인 Louis Grégori|루이 그레고리프랑스어에게 저격당해 팔에 총상을 입었다. 그레고리는 드레퓌스를 살해할 의도가 없었고 단지 스치듯이 다치게 하려 했다는 변호를 파리 법원이 받아들이면서 무죄를 선고받았다.[9]

1937년, 드레퓌스의 아들 피에르는 1899년부터 1906년까지 아버지가 주고받았던 서신을 바탕으로 그의 회고록을 출판했다. ''Souvenirs et Correspondance''라는 제목의 이 회고록은 베티 모건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10]

드레퓌스는 1899년 마키즈 마리-루이즈 아르코나티-비스콘티와 서신을 주고받기 시작했고, 석방 후에는 그녀의 목요일 정치 살롱에 참석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그녀가 1923년 사망할 때까지 서신을 계속 주고받았다.[11]

드레퓌스는 악마섬에서의 옥살이로 건강이 악화되었다. 그는 1907년 10월, 48세의 나이로 군에서 퇴역했다. 예비역 장교로서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포병 소령으로 군에 복귀했다. 전쟁 기간 내내 복무한 드레퓌스는 중령으로 진급했다.

당시 50대 중반이었던 드레퓌스는 주로 서부 전선 후방에서 근무했는데, 그중 일부는 포병 보급대장으로서였다. 그러나 그는 1917년 베르됭 전투와 쉬맹 데 담 전투에서 최전선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그는 1918년 11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13]

드레퓌스의 아들 피에르도 전쟁 내내 포병 장교로 복무하며 크루아 드 게르 훈장을 받았다.

알프레드 드레이푸스의 묘


드레퓌스는 1935년 7월 12일 파리에서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이틀 후, 그의 장례 행렬은 콩코르드 광장을 지나 바스티유의 날 국경일을 위해 집결한 군대의 대열을 통과했다. 그는 파리의 몽파르나스 묘지에 안장되었다.

부러진 칼을 든 드레이푸스의 동상은 노트르담데샹 지하철역 출구에 있는 라스파이 대로 116-118번지에 위치해 있다. 복제 동상은 파리의 유대인 예술 및 역사 박물관 안뜰에 있다.

6. 유산

알프레드 드레퓌스는 1935년 지병으로 별세하여 파리의 몽파르나스 묘지에 안장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중령으로 전역하였다.[12]

2021년 10월,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은 파리 북서 교외 메당에 드레퓌스 사건을 기리는 박물관을 개관하면서, 드레퓌스가 겪었던 굴욕과 불의를 잊거나 악화시키거나 반복하지 말자고 강조했다.[12] 이는 프랑스 극우 세력이 드레퓌스의 무죄를 의심하려는 시도에 대한 언급이었다. 1994년 한 육군 대령은 드레퓌스가 유죄라는 암시가 담긴 기사를 발표하여 파면되었고, 극우 정치인 장-마리 르펜의 변호사는 드레퓌스의 무죄 판결이 모든 판례에 반한다고 주장했다. 마크롱의 정치적 라이벌인 에릭 젬무르는 2021년 드레퓌스 사건의 진실이 명확하지 않다고 반복적으로 주장했다.[12]

드레퓌스의 손주들은 3천 점이 넘는 자료를 유대인 예술사 박물관에 기증했는데, 여기에는 개인 편지, 재판 사진, 법률 문서, 드레퓌스가 수감 생활 중에 쓴 글, 가족 사진, 그리고 반역의 상징으로 뜯겨 나간 그의 장교 계급장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박물관은 2006년 드레퓌스 사건 전용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했다.[14]

미국의 배우 리처드 드레이퍼스는 드레이퍼스의 친척이라고 주장하지만[18], 다른 의견도 있다.[19]

6. 1. 훈장

계급장을 돌려받고 소령으로 승진했으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16][17]

훈장 리본훈장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기사장 – 1906년 7월 21일[16]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오피시에 – 1919년 1월 21일[17]
1914-1918 전쟁 훈장
1914-1918 전쟁 기념 훈장


참조

[1] 웹사이트 Birth certificate of Dreyfus, Alfred http://www2.culture.[...] Government of the French Republic 2019-07-24
[2] 웹사이트 Alfred Dreyfus https://web.archive.[...] Yeshiva University Museum 2023-02-13
[3] 서적 The Dreyfus Affair Bloomsbury Publishing Plc 2012
[4] 웹사이트 Dreyfus Affair Court-Martial (1894) https://www.famous-t[...] 2023-08-07
[5] 뉴스 Light Upon the Dreyfus Case. Major Esterhazy in London. The Observer 1898-09-18
[6] 뉴스 Rachel Beer, editor of the Observer 1891–1901 https://www.theguard[...] 2018-03-02
[7] 웹사이트 Summary of Emile Zola's J'Accuse, and its Repercussions. Dreyfus Letter to Zola's Widow, 1910 https://web.archive.[...] Shapell Manuscript Foundation 2017-01-29
[8] 웹사이트 Minutes of the induction of Dreyfus into the Legion of Honour, French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http://www.dreyfus.c[...]
[9] 서적 Crime and Punishment in Contemporary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0] 서적 Souvenirs Et Correspondance. Dreyfus: His Life and Letters. https://gallica.bnf.[...] 1937
[11] 저널 The French Are Not Men https://www.lrb.co.u[...] 2017-09-17
[12] 뉴스 Rise of far right puts Dreyfus affair into spotlight in French election race https://www.theguard[...] 2021-10-30
[13] 웹사이트 Biography of Alfred Dreyfus and General Chronology http://www.dreyfus.c[...] French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14] 웹사이트 Affaire Dreyfus, Paris, France, | Musée d'art et d'histoire du Judaïsme https://www.mahj.org[...] 2017-05-29
[15] 웹사이트 Service records of Dreyfus, Alfred http://www2.culture.[...] Government of the French Republic 2019-07-24
[16] 웹사이트 Legion of honour certificate (Knight) of Dreyfus, Alfred http://www2.culture.[...] Government of the French Republic 2019-07-24
[17] 웹사이트 Legion of honour certificate (Officer) of Dreyfus, Alfred http://www2.culture.[...] Government of the French Republic 2019-07-24
[18] 뉴스 Washington Post 1978-01-22
[19] 뉴스 New York Times 2006-10-24
[20] 서적 내 목은 매우 짧으니 조심해서 자르게 한겨레신문사 2000-03-28
[21] 서적 거꾸로 읽는 세계사 푸른나무 2003-08-18
[22]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