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애드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드혹은 특정 문제 해결, 임시적인 상황 대처, 또는 즉흥적인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거버넌스에서는 특정 문제 해결을 위해 임시로 구성되는 조직을 지칭하며, 외교에서는 특별 사절 임명을, 군사에서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임시 부대 편성을 의미한다. 또한, 애드혹 위원회는 특정 이슈 해결 후 해체되는 임시 위원회를, 애드혹 네트워크는 계획 없이 형성되는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정보 과학에서는 사용자가 쉽게 쿼리를 생성하도록 돕는 기능을, 과학 및 철학에서는 이론의 변칙성을 설명하기 위해 추가되는 임시 가설을 의미한다. 애드호크라시는 관료제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유연한 조직 관리 방식을, 스타일 가이드에서는 이탤릭체 사용 여부에 대한 논쟁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학 용어 - 원질
    원질은 물질의 기본 요소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자연과학, 입자물리학, 철학에서 사용되며, 윌리엄 프라우트가 처음 제안했고 현대 입자물리학에서는 쿼크와 렙톤, 철학에서는 아르케, 프라크리티, 법, 오행, 이기, 도 등과 관련된다.
  • 철학 용어 - 종말론
    종말론은 죽음, 심판, 인류와 우주의 궁극적 운명을 다루는 신학 및 철학 분야로,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서 독특한 종말관을 제시하며, 종교적 경전 해석, 과학기술 발전, 역사의 법칙성 논의 등과 연관되어 복잡한 해석을 갖는다.
  • 라틴어 낱말 - 데우스 엑스 마키나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극적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갑작스럽게 등장하는 외부적 요소를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유래하여 현대 문학 및 미디어에서도 사용되는 문학적 장치이다.
  • 라틴어 낱말 - 파르티잔
    파르티잔은 정치적 목적을 가진 비정규군이나 민간인으로, 점령군이나 정부군에 저항하거나 특정 정치 세력을 옹호하며 게릴라전, 사보타주 등의 활동을 벌이는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애드혹

2. 애드혹의 여러 분야

애드혹은 다양한 분야에서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 거버넌스: 국가나 지방 정부는 현재 체계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특정 문제나 여러 영역에 걸친 문제를 다루기 위해 임시 조직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국 등 영연방 국가에서는 특정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왕립 위원회를 설립한다.[6] 한국에서도 국회나 지방의회에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 외교: 정부는 외교관을 특사로 임명할 수 있는데, 이들은 임시로 임명되는 경우가 많다.
  • 군사: 군대에서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즉각 대응하기 위해 서로 다른 부대 간 협력이 필요할 때, 또는 포위 등의 이유로 규모가 줄어든 부대의 잔여 병력으로 애드혹 부대를 편성한다.[1]
    오타와에서 열병하는 의장대. 의장대는 캐나다군의 임시 부대이다.
  • 위원회: 애드혹 위원회는 특정 이슈를 다루기 위해 임시로 만들어지며, 해당 이슈가 해결되면 해산된다. WTO 설립 전 가트(GATT)는 애드혹 위원회였다.[1]
  • 네트워크: 애드혹 네트워킹은 일반적으로 계획 없이 네트워크 요소들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기지국이나 고정망 없이 각 단말이 라우터 역할을 하며 멀티 홉 통신을 수행한다.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ANET)는 휴대용 단말로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한 형태이다.
  • 애드혹 모드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LAN 클라이언트들이 액세스 포인트 없이 직접 통신하는 방식으로,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보다 전파 효율이 좋다.
  • 애드혹 (Xcode): iOS 및 iPadOS용 테스트 앱 배포 방법 중 하나로, App Store를 거치지 않고 최대 100대의 기기까지 앱을 배포할 수 있다.
  • 쿼리 (정보 과학): 애드혹 쿼리를 사용하면 사용자 지정 쿼리를 쉽게 생성할 수 있다. GUI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지식 없이도 쿼리를 수행할 수 있지만, 성능 문제를 고려하여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활용하기도 한다.
  • 가설 (과학, 철학): 과학과 철학에서 애드혹은 수정되지 않은 이론에서 예상하지 못한 변칙성을 설명하기 위해 추가되는 가설을 의미한다. 동종 요법과 같은 사이비 과학에서 자주 나타나며,[5] 반증가능성을 감소시켜 과학적 지위를 잃게 만들 수 있다.

2. 1. 거버넌스

국가 및 지방 정부에서 애드혹 조직은 현재의 거버넌스 구조로는 쉽게 처리할 수 없는 특정 문제를 다루거나 여러 거버넌스 영역에 걸쳐 있는 다면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국 및 기타 영연방 국가에서는 의회의 지시에 따라 특정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임시 왕립 위원회가 설립될 수 있다.[6] 한국에서도 국회나 지방의회에서 특정 현안에 대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2. 2. 외교

외교에서 외교관은 정부에 의해 특별 사절로 임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절의 직위가 차기 정부에 의해 유지되지 않거나 관련 사안이 진행되는 동안에만 존재할 가능성 때문에 임시로 임명되는 외교관도 있다.

2. 3. 군사

군대에서 애드혹 부대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즉각적인 행동을 위해 서로 다른 부대 간의 협력이 갑자기 필요할 때, 또는 포위되거나 기타 이유로 규모가 줄어든 이전 부대의 잔여 병력으로 구성된다.[1]

2. 4. 위원회

애드혹 위원회는 특별한 이슈를 다루기 위해 임시로 만들어지는 위원회이다. 이 위원회는 해당 이슈가 해결되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정상적인 절차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임시로 해결하기 위해 활용된다. 예를 들어 WTO가 설립되기 전 가트(GATT)는 애드혹 위원회였다.[1]

임시 위원회는 특정 목적을 위해 설치되어 문제가 해결된 후 해산된다는 점에서 애드혹 위원회와 유사하다. GATT는 시작 단계에서 임시 위원회에 의해 관리되었으나, 이후 WTO로 관리 주체가 이관되면서 해당 위원회는 해산되었다.[2]

2. 5. 네트워크

애드혹 네트워킹은 일반적으로 계획이 거의 또는 전혀 필요하지 않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 네트워크 요소 시스템을 의미한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피어 투 피어 모드" 또는 "독립 모드"라고도 불리는 애드혹 모드는, 무선 LAN 클라이언트들이 액세스 포인트 없이 직접 통신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비해 전파 사용 효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프린터 등의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여 일시적으로 접속하는 경우도 애드혹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작동한다.

기존의 휴대 전화와 같은 이동체 통신에서는 기지국과 고정망 같은 기반 설비가 필요하지만,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이러한 고정 네트워크 없이 각 단말이 자율적으로 라우팅을 수행하여 멀티 홉 통신을 한다. 즉, 각 단말이 라우터나 L3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한 환경에 단말을 배치하기만 하면 즉석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ANET)는 랩톱이나 휴대 전화처럼 휴대 가능한 단말로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한 가지 형태이다.

2. 5. 1.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기존의 이동체 통신(휴대 전화 등)에서는 기지국, 그리고 그것들을 연결하는 고정망 등의 기반 설비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고정 네트워크는 불필요하며, 각 단말 자체가 자율적으로 라우팅을 수행한다(다시 말해, 각 단말이 라우터나 L3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멀티 홉 통신을 수행한다.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ANET)에서는 랩톱 PC나 휴대 전화 등, 휴대 가능한 단말로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2. 5. 2. 애드혹 모드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관련 용어. "피어 투 피어 모드" 또는 "독립 모드"라고도 한다. 무선 LAN 클라이언트끼리 액세스 포인트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신을 한다.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비해 전파 사용 효율이 좋다.

2. 5. 3. 애드혹 (Xcode)

iOS 및 iPadOS용 테스트 앱 배포 방법의 일종이다. App Store를 거치지 않고 최대 100대의 기기까지 앱을 배포할 수 있으며, 기기의 UDID를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에 등록해야 한다.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또는 앱 서명에 사용된 인증서가 무효화되면 앱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2. 6. 쿼리 (정보 과학)

정보 과학 분야의 용어이다. 애드혹 쿼리를 사용하면, 사용자 지정 쿼리를 쉽게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원리나 SQL문을 깊이 이해하지 못해도 GUI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쿼리가 많이 사용되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전체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직접 "생(生)"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생" 데이터베이스를 정기적으로 복제한 것을 대상으로 쿼리를 생성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복제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2. 7. 가설 (과학, 철학)

과학철학에서 임시적인(ad hoc)이란, 수정되지 않은 형태의 이론에서 예상하지 못한 변칙성을 설명하기 위해 그 이론에 부가적인 가설을 덧붙이는 것을 의미한다. 임시 가설은 수정되지 않은 형태의 이론에서 예상하지 못한 변칙성을 보완한다.

과학자들은 이론을 유지하기 위해 자주, 뒷받침되지 않는 조정을 사용하는 과학적 회의론에 종종 회의적이다. 임시 가설은 동종 요법과 같은 사이비 과학의 특징인 경우가 많다.[5] 애드혹 가설(Ad hoc hypothesis)이란, 어떤 이론반증되었을 때, 그 반증을 부정하기 위해 그 이론에 나중에 덧붙여지는 보조 가설을 말한다.

반증주의의 입장에서 보면, 반증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애드혹 가설은 인정되지 않는다. 즉, 애드혹 가설은 종종 해당 가설의 반증 가능성을 빼앗아, 결과적으로 가설 자체의 과학적 지위를 없애버린다고 간주된다.

3. 애드호크라시 (조직 관리)

애드호크라시(adhocracy)는 "ad hoc + cracy" 구조의 조어이다. 1970년대 앨빈 토플러에 의해 널리 알려졌으며, 현재는 조직 관리론이나 경영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념이다. 이는 bureaucracy(관료제)의 경직되고 비효율적인 조직과 대비된다. 헨리 민츠버그는 애드호크라시가 통상적인 관료적 제도, 지휘 계통을 벗어나 기회를 민첩하게 포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를 낸다고 했다. 또한 관료제(bureaucracy)는 구시대의 것이고 애드호크라시가 미래의 것이라고도 한다.

4. 스타일

스타일 가이드에서는 '애드혹(ad hoc)'과 같은 라틴어 구절을 이탤릭체로 표기해야 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현재 추세는 이탤릭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2] 예를 들어, ''시카고 스타일 매뉴얼''(The Chicago Manual of Style)은 '애드혹(ad hoc)'을 포함하여 ''웹스터 사전''(Webster's Dictionary)에 등재된 친숙한 라틴어 구절은 이탤릭체로 표기하지 않도록 권장한다.[3][4]

참조

[1] 서적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Idioms, 2nd Edition
[2] 간행물 Latin phrases in scientific writing: italics or not https://www.editage.[...] editage Insights 2014-01-14
[3] 뉴스 Italics https://www.economis[...] 2016-01-06
[4] 웹사이트 When to italicize foreign words and phrases http://grammarpartyb[...] Grammarpartyblog.com 2012-02-23
[5] 간행물 Ad hoc hypothesis http://skepdic.com/a[...] John Wiley & Sons 2012-02-23
[6] 웹사이트 Royal commissions http://news.bbc.co.u[...] BBC 2008-10-27
[7] IT용어사전 アドホックとは - 意味をわかりやすく - IT用語辞典 e-Words https://e-words.jp/w[...] (株)インセプト 2020-07-04
[8] 서적 과학적 설명의 여러 측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