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약밤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밤나무는 한국, 중국, 타이완, 베트남이 원산지인 낙엽수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수천 년 동안 재배되어 왔다. 높이 15~20m까지 자라며 잎은 피침형,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열매는 견과로 작고 단맛이 많다. 약밤나무는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을 선호하며, 밤나무혹병에 대한 저항성이 다른 밤나무 종에 비해 강하다. 열매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톈진 감밤과 같은 요리에 활용된다.

2. 분포

한국, 중국, 타이완, 베트남이 원산지이다.[15] 한반도에서는 중부 이북의 산기슭과 마을 부근에 분포한다.[14]

중국 밤나무는 수천 년 동안 동아시아에서 재배되었으며 정확한 원산지를 특정하기는 어렵다. 안후이성, 푸젠성, 간쑤성,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저우성, 허베이성, 허난성, 후베이성, 후난성, 장쑤성, 장시성, 랴오닝성, 내몽골 자치구, 칭하이성, 산시성, 산둥성, 산시성, 쓰촨성, 티베트 자치구, 윈난성, 저장성과 타이완, 한국에도 분포한다. 해발고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해수면 근처에서,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최고 2800m까지 자란다.[2][3]

한반도에서는 북부의 함경도에서 재배되며, 중국산보다 비교적 작아 조선 밤이라고 칭한다.

일본에서는 고치현이나 기후현에서 품종 개량된 것이 재배되고 있다.

3. 특징

높이 15~20m, 지름 70cm로 자라는 낙엽수이다.[14] 햇가지는 녹갈색이고 털이 드문드문 있거나 빽빽하게 나있다.[16] 나무껍질은 세로로 깊게 갈라지지만, 밤나무에 비해 갈라짐이 작고 얇다.[16] 넓은 수관을 형성한다. 겨울눈은 광란형(넓은 달걀꼴)이며 털이 있다.[16]

은 어긋나기하고, 곁가지에서는 2줄로 난다.[14] 잎 모양은 피침형(바소꼴), 광피침형(넓은 바소꼴) 또는 난상 피침형(달걀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는 10cm~20cm 정도이다.[14] 잎끝은 첨두(뾰족끝)이며 잎밑은 심장저(심장꼴밑), 원저(둥근밑) 또는 광예저(넓은 뾰족밑)이다.[16] 잎 가장자리에는 치아상(이 모양) 톱니가 있는데, 톱니 끝이 침처럼 뾰족하다.[16] 밤나무에 비하여 잎의 톱니가 길다.[16] 잎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는 털이 없거나 흰색의 성모(별털)가 빽빽하게 나있다.[16] 가지 끝의 잎은 대개 털이 있고 선점이 없다.[16]

꽃은 암수한그루이다.[14] 수꽃은 햇가지 밑의 잎겨드랑이에서 곧추 자라고, 잎보다 짧다.[16] 화피(꽃덮이)는 6개로 갈라지고, 긴 수술은 10개 정도이다.[14] 수꽃이삭은 15cm가량 되며, 미상화서(꼬리모양꽃차례)로 꽃이 2~3송이씩 모여 달린다.[14] 암꽃은 꽃차례 기부에서 보통 3개씩 한군데에 모여 달리고 총포로 싸여 있다.[16] 암술대는 길고 좌(座)는 좁으며 내피(속껍질)가 잘 벗겨진다.[16]

열매인 약밤은 견과이며, 알이 작고 속껍질이 잘 벗겨지며 단맛이 많다.[17] 9~10월에 익는다.[16] 열매 모양은 난상 원형(달걀 모양 원형) 또는 광란형(넓은 달걀꼴)이며, 너비는 2cm~3cm이고 윗부분에 잔털이 있다.[16] 밤송이는 길이 1.5cm로, 황색 가시가 있으며, 복모(누운털)가 빽빽히 나있고 깍정이 내면에 견모(비단털)가 있다.[16]

4. 생태

약밤나무는 토심이 깊고 비옥한 산록이나 배수가 잘되는 곳을 선호하는 양수이다. 내조성과 내건성은 약하지만 대기오염에는 비교적 강하다. 밤나무 혹병에 내충성이 약한 편이나, 다른 밤나무 종에 비해 저항성이 강한 편이다.[5] 다른 밤나무 종(일본 밤나무, 미국 밤나무, 유럽 밤나무 등)과 쉽게 교잡하여 잡종을 형성한다.[4]

중국 밤나무는 껍질 진균 질병인 밤나무 혹병(''Cryphonectria parasitica'', 이전 명칭 ''Endothia parasitica'')과 오랫동안 공존하며 진화해 왔으며, 혹병에 매우 성공적으로 저항하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 이는 다른 밤나무 종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비록 면역은 아니지만, 감염되더라도 일반적으로 경미한 피해만 입는다.[5] 그러나 중국 밤나무는 혹병 저항성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개체는 매우 취약한 반면, 다른 개체는 질병에 본질적으로 면역이다.[5] 일본 밤나무 또한 혹병에 비교적 강하며, 유럽 밤나무는 다소 덜하다.

1890년대에 중국 밤나무와 일본 밤나무는 키가 큰 미국 밤나무에 비해 작고 빽빽한 크기를 이용하여 과수원 나무로 활용할 목적으로 미국으로 수입되었다. 불행히도 결과는 재앙으로, 수입된 아시아 종은 ''C. dentata''가 저항력이 전혀 없었던 혹병을 유발했다. 이 질병은 1904년 브롱스 동물원의 한 나무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빠르게 통제 불능 상태로 퍼져나가 미국 밤나무를 황폐화시켰다. 30년 이내에 원산지에서는 사실상 사라졌다. 북미에서는 미국 밤나무의 다양한 바람직한 특성(예: 더 큰 키, 더 큰 견과의 단맛)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중국 밤나무의 혹병 저항성을 분리하고 유지하기 위해 중국 밤나무와 미국 밤나무를 교배하는 적극적인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6]

견과는 야생 동물에게 중요한 식량원이 된다.

5. 재배

과수로 재배할 때는 접붙이기를 하며, 목재 생산을 위해 재배할 때는 씨를 뿌려 심는다.[16]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재배되며, 함경도에서 재배되는 것은 중국산보다 비교적 작아 조선 밤이라고 불린다. 일본에서는 고치현, 기후현 등에서 품종 개량된 약밤이 재배되고 있다.

5. 1. 주요 품종 (일본)


  • 텟세이구리(哲西栗)는 오카야마현 니미시 텟세이초에서 1934년에 고베에서 톈진밤을 들여와 일본밤에 접목하는 등 토지에 맞게 개량한 품종이다. 톈진밤보다 열매가 3배 크고 단맛이 강하다.
  • 오카야마 1호는 비교적 큰 품종으로 시나구리 중에서는 많이 열리는 편이다. 과육은 선명하고 짙은 황색이어서 일본밤과 쉽게 구별된다.[10]
  • 오카야마 3호는 오카야마 1호보다 작고 톈진밤과 비슷하거나 약간 작다. 과육은 짙은 황색이며, 밤밥 등 밤 형태를 살린 요리에 알맞다.[10]

6. 이용

약밤나무의 열매는 식용이 가능하며, 주로 구워 먹거나 밤밥, 밤과자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중국에서는 톈진 감밤(天津甘栗)이라는 이름으로 유명한데, 이는 뜨겁게 달군 작은 돌에 설탕을 뿌려 볶은 것이다. 중국에서는 서기 13세기경부터 맥아당에 밤을 섞어 모래와 함께 가마에서 굽는 '탕차오리쯔(糖炒栗子)'가 있었으며, 이는 현재의 감밤과 원리적으로 거의 같다. 송나라 때 수도 카이펑에는 명물로 알려진 구운 밤 가게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널리 유행했다.[11] 중국 대륙산 밤이나 구운 밤은 중국 내에서는 베이징이 명산지로 알려져 있지만, 톈진 항이 전통적인 해외 수출 거점이었기 때문에, 톈진 밤 또는 톈진 감밤, 감밤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에 수입되고 있다. 그러나 톈진 시 이외 지역에서도 수입되기 때문에, 이러한 수입품을 중국 밤이라고 부른다. 중국에서는 '톈진 감밤'이라고 하지 않고, '탕차오리쯔(糖炒栗子)', '차오리쯔(炒栗子)'라고 부르며, 베이징 명물이다. 대만에서는 '톈진 탕차오리쯔(天津糖炒栗子)' 등, '톈진'의 이름을 붙여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다.[12]

한반도에서는 북부 함경도에서 약밤나무가 재배되며, 중국산보다 비교적 작은 크기의 열매를 맺어 조선 밤이라고 칭한다. 일본에서는 고치현이나 기후현에서 품종 개량된 약밤나무가 재배되고 있다.

일본 밤나무와 마찬가지로 병해충에 강하며, 유럽이나 아메리카 대륙에서 동지(同地) 원산의 밤과 교배하여 병해충에 강한 밤을 만들기도 한다.

시나구리를 사용한 톈진 감밤

6. 1. 영양 성분 (구운 약밤, 100g당)

구운 약밤 (100g) 당 영양 성분[11]
영양소함량
열량1000kJ (약 239kcal)
탄수화물52.36 g
단백질4.48 g
지방1.19 g
비타민 C38.4 mg
칼륨477 mg
칼슘19 mg
구리0.387 mg
철분1.50 mg
마그네슘90 mg
102 mg
나트륨4 mg
망간1.708 mg
아연0.93 mg
티아민(비타민 B1)0.150 mg
리보플라빈(비타민 B2)0.090 mg
니아신(비타민 B3)1.500 mg
판토텐산(비타민 B5)0.592 mg
비타민 B60.437 mg
엽산(비타민 B9)72 ug
비타민 B120.00 ug
비타민 A0 ug (5 IU)


참조

[1] iucn Castanea mollissima 2019
[2] eFloras
[3] 웹사이트 Castanea mollissima http://tai2.ntu.edu.[...] 2009-07-20
[4] 간행물 An Improved Genetic Map for Castanea mollissima/Castanea dentata and its Relationship to the Genetic Map of Castanea sativa http://www.actahort.[...] 2005
[5] 웹사이트 FAQ http://www.empireche[...] Empire Chestnut Company 2016-01-13
[6] 웹사이트 Chestnut blight http://www.fao.org/d[...] FAO
[7] 웹사이트 Economic forest trees http://www.biodiv.go[...] 2009-07-20
[8] 웹사이트 Economic forest trees http://www.biodiv.go[...] 2009-07-20
[9] 간행물 Castanea mollissima: Chinese chestnut http://edis.ifas.ufl[...] Environmental Horticulture Department, Florida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 University of Florida 2006-12
[10] 웹사이트 加熱するだけで渋皮ごとむける! 高糖度な甘栗向け品種 岡山1号&岡山3号(『現代農業』2020年2月号) https://www.ruralnet[...] 2021-10-22
[11] 서적 中国に学ぶ 中公文庫BIBLIO
[12] 뉴스 中国人女性とのデートで、「中華食べに行こうよ」がNGな理由 https://www.itmedia.[...]
[13] 웹인용 Castanea mollissima Blume http://www.theplantl[...] 2012-03-23
[14] 백과사전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계통과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 식물 > 너도밤나무과(참나무과) > 약밤나무 https://ko.wikisourc[...]
[15] 웹인용 Castanea mollissima Blume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8-07-05
[16] 웹인용 약밤나무 Castanea bungeana Blume http://www.nature.go[...] 국립수목원 2019-02-14
[17] 백과사전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재배와 관찰 > 식물의 이용 > 원예식물 > 과수 > 밤나무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