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민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 민제는 남조 양나라의 황족으로, 양 무제의 형인 장사왕 소의의 아들이자 원제의 종형이다. 동위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가 북제의 지원을 받아 양나라 황제로 즉위했으나, 진패선에게 폐위되어 건안공으로 강등되었다. 이후 진패선에 의해 북제로 보내지려던 중 사망했으며, 사후 영가왕 소장에 의해 민황제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 (남조)의 태부 - 진패선
진패선은 남조 양나라의 장군으로 후경의 난을 평정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진나라를 건국한 초대 황제이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국가 기틀을 다지고 북제의 침공을 막아내는 등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다. - 556년 사망 - 우문태
우문태는 중국 남북조 시대 서위의 실권자이자 북주의 추존 황제로, 하발악 사후 세력을 흡수하여 서위의 실력자가 되었고 효무제 독살 후 문제 옹립, 부병제 확립, 균전제 부활 등 내정 개혁을 통해 북주 건국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사후 태조 문황제로 추존되었다. - 556년 사망 - 교황 비질리오
교황 비질리오는 6세기 로마 교황으로, 테오도라 황후의 지원으로 교황이 되었으나 삼장서 논쟁으로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갈등을 겪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머무르다 귀환 중 사망했다. - 양 (남조)의 사도 - 진패선
진패선은 남조 양나라의 장군으로 후경의 난을 평정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진나라를 건국한 초대 황제이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국가 기틀을 다지고 북제의 침공을 막아내는 등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다. - 양 (남조)의 사도 - 양 원제
양 원제는 남조 양나라의 황족으로, 형주 자사를 거쳐 후경의 난 이후 황위에 올랐으나, 서위의 침공으로 피살되었으며, 그의 치세는 외교적 실책과 미신 의존으로 국가를 쇠퇴하게 했다고 평가받는다.
양 민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민제 소연명 |
다른 이름 | 량 민제 (梁閔帝) |
휘 | 소연명 (蕭淵明) |
자 | 정통 (靖通) |
시호 | 민황제 (閔皇帝) |
묘호 | 숙종 (肅宗) |
생년 | 미상 |
몰년 | 556년 6월 2일 |
아버지 | 소의 |
즉위 및 통치 | |
즉위 | 555년 7월 1일 |
퇴위 | 555년 10월 29일 |
재위 기간 | 555년 7월 1일 – 555년 10월 29일 |
시대 구분 | 서량 |
연호 | 천성 (天成) : 555년 |
섭정 | 선제 |
선대 황제 | 원제 |
후대 황제 | 경제 |
가족 관계 | |
자녀 | 소장 소우 소도 소둔 |
2. 생애
양민제(蕭淵明)는 무제의 형인 장사왕(長沙王) 소의(蕭懿)의 다섯째 아들이자, 선대 황제 원제의 종형이다. 양나라 건국 후 정양후(貞陽侯)에 봉해졌으나, 후경이 동위에서 양나라로 항복해 오자, 무제는 후경과 소연명에게 군대를 이끌고 동위를 공격하게 했다. 그러나 소연명은 "임기응변"을 외치며 싸우지 않고 아군의 약탈을 방치했으며, 후경의 경고를 무시하고 적의 유인에 빠져 동위의 포로가 되었다.[1]
이후 후경의 난으로 양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서위의 지원을 받은 소찰에게 원제가 살해되자, 원제의 측근 왕승변과 진패선은 소방지를 옹립하려 했다. 그러나 북제는 억류하고 있던 소연명을 황제로 추대하고 군대를 지원하여 양나라로 보냈다. 병력에 밀린 왕승변은 소연명을 황제로 맞이했지만, 진패선은 이에 반대하며 대립했고, 결국 왕승변은 진패선에게 살해당했다.
북제군이 귀환하자 권력을 잡은 진패선은 소연명을 폐위하고 소방지를 황위에 올렸다. 폐위된 소연명은 건안공(建安公)에 봉해졌으나, 이후 진패선이 소연명을 북제로 돌려보내기 전 병사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생활
양민제(蕭淵明)는 무제의 형인 장사왕(長沙王) 소의(蕭懿)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정확한 출생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아버지 소의가 500년에 사망했으므로 501년 이후에는 태어날 수 없었다. 삼촌인 무제가 양나라를 건국한 뒤 정양후(貞陽侯)에 봉해졌다.547년, 양민제는 예주(豫州) 자사로 있었다. 백성들은 그의 통치에 감명받아 석비를 세웠으나, 후에 석공들이 양민제와 관련되어 돈을 받았다는 사실이 밝혀져, 백성들을 부추겨 자신을 칭찬하는 석비를 만들었다는 의혹을 받았다.
같은 해, 동위의 장군 후경이 황하와 회하 사이의 13개 주를 가지고 양나라에 항복했다. 무제는 후경을 돕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고, 양민제는 조카 소회리(蕭會理)를 보좌하게 되었다. 그러나 소회리가 겁이 많고 오만하여 장군들을 만나려 하지 않자, 무제는 소회리 대신 양민제에게 지휘권을 맡겼다.[1]
양나라 군은 쉬저우의 팽성(彭城)으로 진격했고, 양민제는 한산(寒山)에 진을 치고 사수(泗水)에 댐을 건설했다. 그러나 댐 완공 후, 양민제는 공격을 망설였고, 휘하 장군들은 약탈을 일삼았다. 양민제는 자신의 직속 부대 외에는 그들을 막을 수 없었다.[2]
547년 말, 모용소종이 이끄는 동위군이 도착하자, 양민제는 술에 취해 적군이 자리를 잡도록 내버려 두었다. 전투에서 양군은 초반에는 성공했지만, 모용의 반격으로 붕괴되었고, 양민제는 포로로 잡혔다.[3] 다만, 지역 주민들은 그가 약탈을 거부한 것에 감명받아 "의로운 왕"(義王)이라는 별칭을 붙였다.[4] 그는 동위의 수도 예성(鄴城)으로 끌려갔다가, 산시성 타이위안의 진양(晉陽)으로 보내졌다. 동위의 실권자 고징은 양나라와의 협상 카드로 활용하기 위해 그를 존경으로 대했다.[5]
2. 2. 후경의 난과 동위 투항
후경이 동위에서 양나라로 항복해 오자, 무제는 후경과 소연명에게 군대를 이끌고 동위를 공격하게 했다. 그러나 양나라군은 패배했고 소연명은 동위의 포로가 되었다. 소연명은 살해되지 않고 작위를 받으며 동위에 억류되었다.[1]이후 후경의 난으로 양나라는 혼란에 빠졌고, 난을 평정한 원제도 서위의 지원을 받은 소찰에게 살해되었다. 이에 원제의 신하인 왕승변과 진패선은 소방지를 옹립하려 했다. 그러나 동위를 멸망시킨 북제는 서위에 대항하기 위해 억류되어 있던 소연명을 군대와 함께 보내 즉위시켜 후방을 튼튼히 하고자 하였다. 북제의 군세에 밀린 왕승변은 소연명을 즉위시켰으나, 진패선은 이에 반대하며 대립했다. 결국 진패선은 소방지를 황태자로 세우는 조건으로 소연명을 즉위시키는 데 찬성했다.[1]
소연명이 즉위하자 북제 군대는 돌아갔고, 진패선은 이 틈을 타 왕승변을 공격해 죽이고 그 일당까지 모두 제거하였다. 이어서 소연명을 폐위하고 소방지를 즉위시켰다.[1]
2. 3. 북제의 지원과 양나라 황제 즉위
후경의 난으로 양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서위의 지원을 받은 소찰에게 원제가 살해되자, 원제의 신하 왕승변과 진패선은 소방지를 옹립하려 했다. 그러나 동위를 멸망시킨 북제는 서위에 대항하기 위해 억류되어 있던 소연명을 군대와 함께 보내 즉위시켜 후방을 튼튼히 하고자 하였다.[2] 북제의 군세에 밀린 왕승변은 소연명을 황제로 즉위시키나, 이에 반대하는 진패선과 대립하기 시작했다.[2] 그러나 북제와 왕승변의 군대에 밀리기 시작한 진패선은 결국 소방지를 황태자로 세우는 조건으로 소연명을 즉위시키는데 찬성했다.[2]소연명이 즉위하자 북제의 군대는 되돌아갔는데, 이 틈을 노린 진패선은 왕승변을 공격해 죽이고 그 일당까지 모두 제거하였다.[2]
2. 4. 진패선에 의한 폐위와 최후
후경의 난 이후 양나라는 혼란에 빠졌고, 왕승변과 진패선은 소방지를 옹립하려 했다. 그러나 북제는 서위에 대항하기 위해 억류되어 있던 소연명을 군대와 함께 보내 즉위시키려 했다. 북제의 군세에 밀린 왕승변은 소연명을 즉위시키나, 이에 반대한 진패선과 대립했다. 결국 진패선은 소방지를 황태자로 세우는 조건으로 소연명을 즉위시키는데 찬성했다.[1]소연명이 즉위하자 북제 군대는 돌아갔고, 진패선은 이 틈을 타 왕승변을 공격해 죽이고 그 일당까지 모두 제거했다. 이어서 소연명을 폐하고 소방지를 즉위시켰다. 폐위된 소연명은 건안공(建安公)에 봉해졌다. 이후 진패선은 소연명을 북제로 쫓아내려 하지만, 그 전에 소연명이 병사하였다.[1]
경제는 공식적으로 소연명을 재상으로 임명하고 건안공 작위를 내렸지만, 소연명이 실제로 많은 권력을 행사했다는 증거는 없다.[2]
556년 여름, 북제 장수들은 소연명을 평화 협상을 위해 자신들의 진영으로 초청했고, 진패선은 소연명을 북제 진영으로 보냈다. 그러나 어떤 협상이 시작되기도 전에 소연명은 등에 심각한 감염으로 사망했다.[2]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자녀 | 샤오 장 |
자녀 | 샤오 위 |
자녀 | 샤오 다오 |
자녀 | 샤오 둔 (가오탕 왕) |
4. 연호
참조
[1]
간행물
紹泰元年五月
[2]
간행물
紹泰元年九月
[3]
간행물
太平元年五月
[4]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5]
서적
Nan Shi, Bei Qi Shu
[6]
서적
Zizhi Tongjian
unknown
[7]
문서
소장이 올린 묘호이다.
[8]
문서
소장이 올린 시호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