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패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패선은 503년 양나라 시대에 태어나,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수완으로 남조의 혼란을 수습하고 진나라를 건국한 인물이다. 그는 후경의 난을 평정하고 북제의 침입을 막아냈으며, 불교를 장려했다. 그러나 왕승변을 살해하고 황제를 폐위시키는 등 권력 장악 과정에서 비윤리적인 행위를 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진나라는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극복하고 수나라의 통일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으며, 진패선의 군사적, 정치적 행보는 후대 역사가들에게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 (남조)의 태부 - 양 민제
    양 민제는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황제로, 북제의 옹립으로 잠시 황위에 올랐으나 진패선에 의해 폐위된 후 병사하여 그의 재위 기간은 혼란스러운 양나라 정치 상황과 북제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 양 (남조)의 사공 - 소륜
    소륜은 양나라 무제의 아들로, 총명하고 문장에 능했으나 기행과 불법을 저질러 파면과 복직을 반복했으며, 후경의 난을 진압하려다 실패하고 서위의 공격으로 사망하여 소릉장무왕으로 추증되었다.
  • 양 (남조)의 상서령 - 심약
    심약은 남조 시대 송, 제, 양나라를 섬긴 문인이자 관료로서, 강남 호족 출신으로 경릉팔우의 일원이었으며, 궁체시의 선구자이자 사성팔병설을 주창하여 영명체와 근체시 발전에 기여했고, 양나라 건국 공신이자 역사서 편찬자이다.
진패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진 무제
진 고조 무황제 진패선
진패선(陳覇先)
흥국(興國)
소자법생(法生)
묘호고조(高祖)
시호무황제(武皇帝)
출생503년
사망559년 8월 9일 (55 - 56세)
능묘만안릉(萬安陵, 현재의 장닝 구, 난징)
통치
연호영정(永定)
재위 기간557년 11월 16일 – 559년 8월 9일
왕조
왕조진나라
가계
부친경황제(景皇帝) 진문찬(陳文讚)
모친경문황후(景文皇后) 동씨(童氏)
배우자무소황후(武昭皇后) 전씨(錢氏), 무선황후(武宣皇后) 장요아(章要兒)
자녀진창, 영시공주, 쾌계목공주, 옥화공주
기타
추존경황제(景皇帝)

2. 생애

진패선은 503년 양나라 무제 천감 2년에 진문찬과 동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영천군 출신으로 서진영가의 난을 피해 강남으로 이주했으며, 동진 때 시행된 토단에 따라 장성 사람이 되었다.

진패선은 키가 7척 5촌이었으며, 어릴 때부터 원대한 꿈을 품고 모략에 뛰어났다. 영웅의 기백이 있었으며, 역사책과 병서를 탐독하고 무예에 능했으며, 사리에 밝고 과단성이 있어서 칭찬을 많이 받았다. 출신이 미천하여 시골 이장으로 있다가 수도 건강으로 가서 기름창고 책임자가 되었다. 대동 연간에 소영의 인정을 받아 그가 광주자사가 되자 중직병참군(中直兵參軍)이 되어 참모가 되었다.

548년 후경이 반란을 일으켜 549년 건강을 점령하고 무제와 그의 아들 태자 소강을 인질로 삼았다. 진패선은 원경중의 배신을 알리고 인근 장군들의 군대를 모아 공격했다. 원경중이 자결하자, 진패선은 당시 정주 자사였던 소보를 환영하여 광주를 접수하게 했다. 549년 겨울, 진패선은 군대를 이끌고 후경과의 전투에 참여하기 위해 출정하여 무제의 아들 상동왕 소역에게 지원과 충성을 약속했다.

이후 1년 동안 진패선은 장시성을 통해 북쪽으로 진격하여 후경에게 충성하는 군벌 및 장군들과 싸웠으며, 주요 전투는 이천사와의 전투였다. 551년 봄, 이천사를 사로잡아 죽이고 소역에게 강주(江州) 자사로 임명되었다. 551년 가을, 왕승변과 순양에서 만났다. 552년 남량에 맹세를 하고 건강으로 진격, 후경은 소강을 죽이고 한나라 황제로 즉위했다. 진패선은 건강 포위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후경을 격파하여 도주하게 만들었다. 이후 후경은 부하들에게 살해되었다. 소역은 진패선을 창성현 후작으로 봉하고, 왕승변은 진패선에게 경구를 맡겼다. 이후 2년 동안 진패선은 북제와의 국경 전투에 참여했다.

554년, 서위가 강릉을 공격하자 원제는 왕승변을 소환하고 진패선을 건강의 책임자로 임명했다. 그러나 서위는 이미 강릉을 점령하고 원제를 살해한 후, 그의 조카 소차를 황제로 옹립했다. 왕승변과 진패선은 서량 선제를 인정하지 않고, 555년 봄, 원제의 아들 소방지를 건강으로 맞이하여 황제로 옹립하려 했다.

이때 북제 문선제는 소원명을 양나라 황제로 세우려 했다. 왕승변은 처음에는 거부했지만, 북제군에게 패배한 후 소원명을 황제로 받아들였다. 555년 여름, 소원명이 즉위하고 소방지는 태자가 되었다. 그러나 진패선은 이에 불만을 품고, 555년 가을 왕승변을 기습 공격하여 살해하고 황실 정부를 장악, 소원명을 폐위시키고 소방지를 황제로 옹립했다(양 경제).

진패선은 즉시 왕승변의 잔당과 북제의 지원을 받는 세력의 저항에 직면했다. 후안도를 보내 이들을 격퇴하고, 북제군이 점령한 석두를 포위했다. 556년 봄, 두간이 생포되거나 항복하면서 수도 지역은 대부분 진패선의 통제하에 들어갔다. 한편, 북제는 소원명을 진영으로 초대했으나, 협상 전에 소원명이 사망했다. 556년 여름, 북제군이 다시 건강으로 내려왔지만, 진패선은 그들을 격파하고 많은 북제 장군들을 처형했다.

그 후 진패선은 진왕으로 진급하는 등 칭호와 관직을 높여갔다. 557년, 진패선은 경제에게 양위를 강요하여 진나라를 건국하고 무황제가 되었다. 그는 경제를 강음왕으로 책봉하고, 부모를 황제와 황후로 추존했다.

진 무제는 북주에 아들 진창과 조카 진욱을 돌려보내 달라고 요청했으나, 북주는 그렇게 하겠다는 답변만 줄 뿐 실제로 돌려보내주지는 않았다. 그는 용병에 뛰어나 형세가 위급하자 과감하게 부대를 일부 이동하여 적군의 수송로를 차단했고, 많은 전투에서도 훌륭한 전술을 구사하여 북제군을 패퇴시켰다. 또한 검소하게 생활하여 황제가 된 후에도 몇 안 되는 반찬으로 식사를 했고, 후궁들도 황금이나 비취 같은 사치품을 갖지 못했다. 559년 6월, 재위 3년 만에 57세의 나이로 건강 선기전에서 숨을 거뒀으며, 8월에 만안릉(萬安陵)에 안장되었다.

진 무제 사후, 그의 조카 진천(진 문제)이 뒤를 이었다. 진 무제의 무덤 만안릉은 589년 수나라의 침공 때 왕승변의 아들 왕반에 의해 파헤쳐지고 시신이 훼손되는 수모를 겪었다. 이는 왕승변에 대한 복수였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진패선은 503년 양나라 무제 천감 2년에 진문찬(陳文讚)과 동씨(童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영천군 출신으로 서진영가의 난을 피해 강남으로 이주했다.[4] 동진 때 시행된 토단에 따라 장성 사람이 되었다.[4]

진패선은 키가 7척 5촌이었으며,[3] 어릴 때부터 원대한 꿈을 품고 모략에 뛰어났다.[1] 영웅의 기백이 있었으며,[1] 역사책과 병서를 탐독하고 무예에 능했다.[1] 사리에 밝고 과단성이 있어서 칭찬을 많이 받았다.[1]

진패선은 출신이 미천하여 시골 이장으로 있다가 수도 건강으로 가서 기름창고 책임자가 되었다.[1] 대동 연간에 소영의 인정을 받아[2] 그가 광주자사가 되자 중직병참군(中直兵參軍)이 되어 참모가 되었다.[2]

2. 2. 군사 경력과 후경의 난 진압

548년 후경이 반란을 일으켜 549년 건강을 점령하고 무제와 그의 아들 태자 소강을 인질로 삼았다.[7] 진패선은 원경중의 배신을 알리고 인근 장군들의 군대를 모아 공격했다. 원경중이 자결하자, 진패선은 당시 정주 자사였던 소보를 환영하여 광주를 접수하게 했다. 549년 겨울, 진패선은 군대를 이끌고 후경과의 전투에 참여하기 위해 출정하여 무제의 아들 상동왕 소역에게 지원과 충성을 약속했다.[8]

이후 1년 동안 진패선은 장시성을 통해 북쪽으로 진격하여 후경에게 충성하는 군벌 및 장군들과 싸웠으며, 주요 전투는 이천사와의 전투였다. 551년 봄, 이천사를 사로잡아 죽이고 소역에게 강주(江州) 자사로 임명되었다. 551년 가을, 왕승변과 순양에서 만났다. 552년 남량에 맹세를 하고 건강으로 진격, 후경은 소강을 죽이고 한나라 황제로 즉위했다. 진패선은 건강 포위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후경을 격파하여 도주하게 만들었다. 이후 후경은 부하들에게 살해되었다. 소역은 진패선을 창성현 후작으로 봉하고, 왕승변은 진패선에게 경구를 맡겼다. 이후 2년 동안 진패선은 북제와의 국경 전투에 참여했다.[9]

남조 양의 군인으로서 547년 교주에서 반란을 일으킨 이분을 토벌하여 두각을 나타냈다. 후경의 난 때 왕승변과 협력하여 552년 이를 토벌하고 정북장군에 임명되었다.

2. 3. 권력 장악과 진나라 건국

554년, 서위가 강릉을 공격하자 원제는 왕승변을 소환하고 진패선을 건강의 책임자로 임명했다. 그러나 서위는 이미 강릉을 점령하고 원제를 살해한 후, 그의 조카 소차를 황제로 옹립했다. 왕승변과 진패선은 서량 선제를 인정하지 않고, 555년 봄, 원제의 아들 소방지를 건강으로 맞이하여 황제로 옹립하려 했다.[3]

이때 북제 문선제는 소원명을 양나라 황제로 세우려 했다. 왕승변은 처음에는 거부했지만, 북제군에게 패배한 후 소원명을 황제로 받아들였다. 555년 여름, 소원명이 즉위하고 소방지는 태자가 되었다. 그러나 진패선은 이에 불만을 품고, 555년 가을 왕승변을 기습 공격하여 살해하고 황실 정부를 장악, 소원명을 폐위시키고 소방지를 황제로 옹립했다(양 경제).[3]

진패선은 즉시 왕승변의 잔당과 북제의 지원을 받는 세력의 저항에 직면했다. 진패선은 후안도를 보내 이들을 격퇴하고, 북제군이 점령한 석두를 포위했다. 556년 봄, 두간이 생포되거나 항복하면서 수도 지역은 대부분 진패선의 통제하에 들어갔다. 한편, 북제는 소원명을 진영으로 초대했으나, 협상 전에 소원명이 사망했다. 556년 여름, 북제군이 다시 건강으로 내려왔지만, 진패선은 그들을 격파하고 많은 북제 장군들을 처형했다.[3]

그 후 진패선은 진왕으로 진급하는 등 칭호와 관직을 높여갔다. 557년, 진패선은 경제에게 양위를 강요하여 진나라를 건국하고 무황제가 되었다. 그는 경제를 강음왕으로 책봉하고, 부모를 황제와 황후로 추존했다.[3]

2. 4. 재위 기간과 죽음

진 무제는 북주에 아들 진창과 조카 진욱을 돌려보내 달라고 요청했으나, 북주는 그렇게 하겠다는 답변만 줄 뿐 실제로 돌려보내주지는 않았다.[3] 진 무제는 용병에 뛰어나 형세가 위급하자 과감하게 부대를 일부 이동하여 적군의 수송로를 차단했다. 또 많은 전투에서도 훌륭한 전술을 구사하여 북제군을 패퇴시켰다. 생활도 검소해서 황제가 된 후에도 몇 안 되는 반찬으로 식사를 했고, 후궁들도 황금이나 비취 같은 사치품을 갖지 못했다. 559년 6월, 재위 3년 만에 57세의 나이로 건강 선기전에서 숨을 거뒀으며,[5] 8월에 만안릉(萬安陵)에 안장되었다.

2. 5. 사후

진 무제 사후, 그의 조카 진천(진 문제)이 뒤를 이었다. 진 무제의 무덤 만안릉은 589년 수나라의 침공 때 왕승변의 아들 왕반에 의해 파헤쳐지고 시신이 훼손되는 수모를 겪었다. 이는 왕승변에 대한 복수였다.[16]

3. 만춘국과의 전쟁

541년, 교주(현재의 베트남 북부)에서 리 본이 반란을 일으키자 진패선은 이를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17] 544년, 리본이 황제를 칭하고 만춘국을 세우자, 진패선은 양표(楊瞟)와 함께 만춘국을 공격하여 리본을 격파하고 게릴라전을 벌이게 했다.[17] 548년, 리본이 부하들에게 살해된 후, 그의 동생 리 천 바오가 애주(愛州, 현재의 베트남 타인호아 성)를 공격하자 진패선은 리천보를 격파했다.[17]

4. 가족 관계

진패선은 503년, 양나라를 건국한 양 무제 시기에 진문찬과 동씨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한나라 시대의 현령이자 유교 학자였던 진식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왔다고 전해진다. 진패선의 조상들은 서진남조에서 중요한 인물로 활동했으며, 할아버지 진도거(陳道巨)도 그중 한 명이었다.[1]

진패선은 어릴 때부터 야망이 컸으며, 자라면서 병법과 전투 기술을 익혔다. 그는 오흥군 출신의 전중방(錢仲方)의 딸과 처음 결혼했지만, 그녀는 일찍 세상을 떠났다. 이후 장요아 황후와 재혼하여 아들 진창을 낳았다. 진창 이전에 다섯 아들이 있었으나, 진극을 포함한 이들은 모두 요절했고, 그들의 어머니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10][11][13][14][15]

4. 1. 부모


  • '''부친''' : 태조(太祖) 경황제(景皇帝) 진문찬
  • '''모친''' : 경문황후(景文皇后) 동씨[1]

4. 2. 형제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별칭비고
1시흥군왕(始興郡王)소열(昭烈)진도담? ~ 548년경문황후 동씨[7] [8]
2남강군왕(南康郡王)충장(忠壮)진휴선? ~ 549년경문황후 동씨[9]


4. 3. 황후

봉호시호이름(성씨)별칭재위년도생몰년도국구(장인/장모)능묘비고
부인(夫人)무소황후(武昭皇后)전씨(錢氏)(추존)전중방(錢仲方)가릉(嘉陵)[10]
황후(皇后)무선황후(武宣皇后)장요아(章要兒)[11]557년 ~ 559년506년 ~ 570년장경명(章景明)
안길현군(安吉縣君)
소씨(蘇氏)
만안릉(萬安陵)[12]


4. 4. 황자

순번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1황태자(皇太子)효회(孝懐)진극(陳克)무소황후 전씨[13]요절함.
2예장왕(豫章王)헌(獻)진립(陳立)요절함.
3장사왕(長沙王)사(思)진권(陳権)요절함.
4형양왕(衡陽王)헌(獻)진창(陳昌)537년 ~ 560년무선황후 장요아(章要兒)[14] [15]


  • 정실: 전씨(증 소황후)
  • * 장남: 효회태자 진극
  • 황후: 장요아 (선황후)
  • * 넷째 아들: 형양헌왕 진창
  • 생모 불상의 자녀
  • * 차남: 예장헌왕 진립
  • * 셋째 아들: 장사사왕 진권

4. 5. 황녀

순번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부마별칭비고
1영세공주전장
2회계목공주심군리[16]


4. 6. 양자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비고
1임천군왕(臨川郡王)진천(陳蒨)522년 ~ 566년제2대 황제 문제(文帝)
2안성군왕(安成郡王)진욱(陳頊)530년 ~ 582년제4대 황제 효선제(孝宣帝) [17]


5. 평가 및 의의

진패선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전략으로 후경의 난을 평정하고, 북제의 침입을 막아내어 남조의 혼란을 수습하고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검소하고 청렴한 생활 태도로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으며, 불교를 장려하고 보호하여 불교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3][4][5]

그러나 왕승변을 살해하고 양나라 황제를 폐위시키는 등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비윤리적인 행위를 저질렀다는 비판을 받는다.[3] 재위 기간 동안 잦은 반란과 내전으로 인해 국력을 소모시켰다.[3]

진패선은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극복하고 진나라를 건국하여, 이후 수나라의 통일 기반을 마련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했다. 그의 군사적 업적과 정치적 행보는 후대 역사가들에게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3][4][5]

5. 1. 긍정적 평가

진 무제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전략으로 후경의 난을 평정하고, 북제의 침입을 막아내어 남조의 혼란을 수습하고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검소하고 청렴한 생활 태도로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다. 불교를 장려하고 보호하여 불교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3][4][5]

5. 2. 부정적 평가

陳霸先중국어은 왕승변을 살해하고 양나라 황제를 폐위시키는 등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비윤리적인 행위를 저질렀다는 비판을 받는다.[3] 재위 기간 동안 잦은 반란과 내전으로 인해 국력을 소모시켰다.[3] 왕승변의 잔당들의 반격에 시달렸다는 기록이 있다.[3]

5. 3. 역사적 의의

진 무제는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극복하고 진나라를 건국하여, 이후 수나라의 통일 기반을 마련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했다. 그의 군사적 업적과 정치적 행보는 후대 역사가들에게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3][4][5]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진 무제는 사회 통합과 지역 균형 발전을 추구한 지도자로 평가될 수 있다. 그의 정책과 리더십은 현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진보적 관점에서, 진 무제가 진압한 후경의 난은 보수 기득권 세력의 부패와 무능을 보여주는 사건이며, 이는 진 무제가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는 데 명분을 제공했다.

참조

[1] 간행물 Zizhi Tongjian
[2] 간행물 Book of Chen
[3] 서적 Ancient and Early Medieval Chinese Literature (vol.3 & 4): A Reference Guide, Part Three & Four BRILL 2014
[4] 간행물 Book of Chen
[5] 간행물 Book of Chen
[6] 역사서 南史
[7] 문서 장성소열공(長城昭烈公)
[8] 문서 진 문제와 진 효선제의 아버지.
[9] 문서 무강현공(武康縣公)
[10] 문서 진나라 건국 후에 황후로 추존됨.
[11] 문서 장성공부인(長城公夫人)/황태후(皇太后)/자훈태후(慈訓太后)/태황태후(太皇太后)
[12] 문서 본성은 뉴씨(鈕氏).
[13] 문서 공세자(公世子)
[14] 문서 장성국세자(長城國世子)
[15] 문서 무제 사망 시 서위에 포로로 잡혀 황위 계승 하지 못함.
[16] 문서 후주황후 심무화(沈婺華)의 생모.
[17] 문서 시흥군왕(始興郡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