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문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문태는 선비족 출신으로 북위 말 육진의 난에 참여한 후 하발악에게 귀순하여 두각을 나타냈다. 534년 북위가 동서로 분열되자 효무제를 옹립하여 서위를 건국하고 승상이 되었다. 그는 군사 제도 개혁을 통해 부병제의 근간을 마련하고, 동위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했다. 24군제를 창시하고, 선비족 고유 문화를 복원하려 노력했으며, 내정 면에서는 농업 진흥과 균전제를 부활시켰다. 556년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북주가 건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주의 추존황제 - 우문굉
    우문굉은 북위 말 혼란기에 위가고를 처단하고 무천진을 장악하는 등 활약한 우문도의 아들이자 우문태의 아버지로, 충절 논란에도 불구하고 용맹과 결단력을 인정받는 인물이다.
  • 북위의 부마 - 소종 (양나라)
    소종은 양 무제의 아들로, 북위로 망명하여 소찬으로 이름을 바꾸고 북제의 종묘에 제사를 지냈으며, 조낙주의 반란으로 사망 후 양나라에서 장례되었다.
  • 556년 사망 - 양 민제
    양 민제는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황제로, 북제의 옹립으로 잠시 황위에 올랐으나 진패선에 의해 폐위된 후 병사하여 그의 재위 기간은 혼란스러운 양나라 정치 상황과 북제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 556년 사망 - 교황 비질리오
    교황 비질리오는 6세기 로마 교황으로, 테오도라 황후의 지원으로 교황이 되었으나 삼장서 논쟁으로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갈등을 겪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머무르다 귀환 중 사망했다.
우문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우문태
이름우문태 (宇文泰)
묘호태조 (太祖)
시호문황제 (文皇帝)
작위
추존 작위북주 황제
작위 종류추존
주왕추존
안정군공재위 시작: 535년 2월 19일
재위 종료: 556년 11월 21일
즉위 날짜: 서위 대통(大統) 원년 음력 1월 2일 (535년 2월 19일)
약양군공재위 시작: 534년 8월 21일
재위 종료: 535년 2월 19일
즉위 날짜: 북위 영희(永熙) 3년 음력 7월 27일 (534년 8월 21일)
생애
출생505년
사망556년 11월 21일 (50-51세)
가족 관계
아버지우문굉 (宇文肱), 덕황제 (德皇帝)
어머니명덕황후 (明德皇后) 왕씨 (王氏)
배우자문황후 원씨 (文皇后 元氏)
문선황후 질노씨 (文宣皇后 叱奴氏)
자녀우문육 (宇文毓) (명제)
우문진 (宇文震)
우문각 (宇文覺) (효민제)
우문옹 (宇文邕) (무제)
우문현 (宇文賢)
우문지 (宇文贄)
우문조 (宇文招)
우문건 (宇文儉)
우문춘 (宇文純)
우문승 (宇文盛)
우문달 (宇文達)
우문통 (宇文通)
우문유 (宇文 ইউ)
우문씨 (宇文氏)
양양공주 (襄陽公主)
의안공주 (宜安公主)
순양공주 (順陽公主)
평원공주 (平原公主)
영복공주 (永富公主)
희화공주 (郗和公主)
의귀공주 (義歸公主)
의도공주 (義杜公主)
덕광공주 (德廣公主)
기타 정보
섭정문제 (文帝)
폐제 (廢帝)
공제 (恭帝)
능호성릉 (成陵)

2. 생애

우문태는 선비족 출신으로, 북위의 군사 기지였던 무천진(현재의 내몽고 자치구)에서 태어났다. 그는 육진의 난에 참가했다가 하발악에게 귀순하여 두각을 나타냈고, 하발악 사후 그의 기반을 바탕으로 관중 지방에서 세력을 키웠다.

535년 우문태는 효무제를 독살하고 원보거를 옹립하여 황제로 세웠다. 이로써 서위가 건국되었으나, 실권은 모두 우문태에게 있었다.[1]

541년, 수초의 제안에 따라 우문태는 문제에게 부정부패와 낭비를 줄이고 경제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6가지 통치 원칙을 담은 칙서를 발포하도록 했다.[2]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청심사''(清心思): 관료들에게 마음을 깨끗이 하고 욕심을 부리지 않도록 명령.
  • ''돈교화''(敦教化): 도덕 교육 체제 수립.
  • ''진지리''(盡地利): 농업 장려 및 토지 효용 극대화.
  • ''탁현량''(擢賢良): 가문 배경에 관계없이 유능한 인물 등용 및 승진.
  • ''휼옥송''(恤獄訟): 고문 금지, 죄인 처벌보다 무고한 사람을 풀어주는 것이 낫다는 원칙 수립.
  • ''균부역''(均賦役): 세금과 노동 부담의 공정성 확보, 권력층의 면세 특권 방지.


545년, 우문태는 유연의 봉신인 돌궐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보고, 우호 관계 수립을 위해 사신 안노반타(安諾槃陀)를 돌궐에 보내 그 수장 아사나 토문을 맞이하도록 했다.[2]

556년 가을, 우문태는 북부 지방 순시 중 병에 걸려 조카 우문호를 불러 국정과 아들들을 위탁하고 사망했다. 그의 직위는 아들 우문각이 이었고, 우문호가 국정을 장악했다. 우문호의 지도 아래 우문각은 곧 공제에게서 왕위를 빼앗아 서위 왕조를 끝내고 북주를 건국했다.[3]

2. 1. 초기 생애와 북위 내전

505년 대군 무천진(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 시 우촨현)에서 태어났다. 북위 말년 육진의 난 당시 아버지 우문굉과 함께 선우수례를 따라 거병했다. 선우수례가 이주영에게 진압되자, 이주영의 부장인 하발악을 따랐다.

530년, 북위 효장제에 의해 이주영이 살해되고, 이주 씨의 실권은 점차 축소되어 멸망했다.[1] 그 결과 고환승상 지위에 올랐지만, 북위 효무제는 하발악을 기용하여 고환을 견제했다.[1] 하발악이 관서대행대가 되자, 좌승 · 태부사마를 맡아 군정 의결에 참여했다.[1]

534년, 하발악은 고환과 내통한 후모진열에게 암살당했다.[1] 우문태는 주변의 추대로 하발악의 후계자로서 무천진의 총수가 되어 후모진열을 토벌하여 패주하게 만들었다.[1] 이후 효무제에게 상소하여 고환의 전횡을 제거하고 황실을 보필할 것을 맹세했고, 효무제는 조칙으로 우문태를 대도독, 옹주 자사, 상서령에 임명했다(고환은 같은 해 동위를 건국했다).[1]

2. 2. 서위의 실권 장악과 통치

우문태는 534년 북위 효무제가 고환을 제거하려는 음모가 실패한 후 장안으로 도망쳐 우문태의 보호를 받으면서 서위의 실권을 장악했다. 이로 인해 북위는 동위와 서위로 분열되었고, 우문태는 서위의 승상으로 승진했다.

우문태는 새롭게 24군제를 창시했는데, 이는 군 조직을 주국 → 대장군 → 개부(開府)의 계열로 내려오게 하고 그 정점에 우문태가 있도록 한 제도였다. 이 제도는 훗날 부병제의 근간이 되었다.

서위는 우문태가 실권을 장악하여 황제는 꼭두각시였지만, 우문태의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동위를 여러 차례 압도하는 전과를 올렸다.

553년에는 남조 양나라후경의 난으로 혼란한 틈을 타 촉을 빼앗아 영토를 확장했고, 강릉을 함락해 양 원제를 살해하고 소찰을 세워 후량을 건국하게 함으로써 남조에 타격을 주었다.

내정 면에서는 이필, 독고신 등 선비 북인을 군에서 발탁하고, 소작 등 한인 유학자를 임용하여 농업 진흥에 힘썼으며, 균전제를 부활시켜 조세의 안정적 수입을 도모했다. 또한 공문서 서식을 정하고 재정 문서 서식을 확립했으며, 호적에 근거한 과역 제도가 있었다. 뒤에는 육조조서에 따라 지방 관료의 윤리 규정을 정하기도 했다.[4]

군사 면에서는 부병제를 확립하여 병사 확보를 용이하게 했다. 이 제도는 수나라당나라에도 계승되었다. 형식상으로는 선비의 팔부제를 남겼지만, 실제로는 군을 12군으로 재편하여 팔주국에게 통솔하게 하고 부병제를 창립하여 군사력 증강에 힘썼다. 동시에 북위 효문제가 장려한 선비의 한화 제도를 중지하고, 선비 고유의 문화로 되돌리기 위해 선비 귀족의 성씨를 복성시키는 정책을 의욕적으로 추진했다.[4]

덕치를 통치의 기초로 삼고 법치를 보조로 하는 원칙을 추구했으며, 유학을 숭상하고 한인 유학자 왕포와 종름 등을 후대했다. 후에 주례에 따라 관제 개혁을 실시하고 북주의 육관제를 실시했다. 국호를 '주'라고 명명한 것처럼 고대 주나라의 제도를 북주의 제도로서 적극적으로 장려했다.[4]

서위 집정 20여 년 동안 부병제 등 후일 북주의 기초를 다졌다.[4]

2. 3. 북주 건국의 기반 마련

우문태는 선비족 출신으로, 북위의 군사 기지였던 무천진(현재의 내몽고 자치구)에서 태어났다. 그는 육진의 난에 참가했다가 하발악에게 귀순하여 두각을 나타냈고, 하발악 사후 그의 기반을 바탕으로 관중 지방에서 세력을 키웠다.

534년, 북위 효무제는 고환을 제거하려다 실패하고 관중의 장안으로 도망쳐 우문태의 보호를 받았다. 이로 인해 북위는 동서로 분열되었는데, 고환은 업에서 효정제를 옹립하여 동위를 세웠고, 우문태는 문제를 옹립하여 서위를 세우고 승상이 되었다.

우문태는 24군제를 창시했는데, 이는 군 조직을 주국 → 대장군 → 개부(開府) 순으로 내려오게 하고 그 정점에 우문태 자신이 있는 제도였다. 이 제도는 훗날 부병제의 기반이 되었다.

서위는 우문태가 실권을 장악하여 황제는 꼭두각시였지만, 우문태의 뛰어난 군사적 능력 덕분에 국력이 약했음에도 동위를 여러 차례 압도하는 전과를 올렸다.

553년, 우문태는 후경의 난으로 혼란에 빠진 남조 양나라를 공격하여 촉을 빼앗아 영토를 넓혔다. 또한 강릉을 함락하고 양 원제를 살해한 뒤 소찰을 세워 후량을 건국하게 하여 남조에 타격을 주었다.

우문태 사후, 승상직을 물려받은 우문각은 556년 공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북주를 건국했다.

3. 가족 관계

우문태는 13남 12녀를 두었으며, 정실 원황후 원씨와 선황후 질노씨, 요씨, 달보간씨, 권씨, 우육혼씨, 왕씨, 장여필 등 여러 부인을 두었다. 자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배우자


  • 정실: 문황후 원씨 (文皇后 河南元氏|원씨중국어; ? ~ 551년)[3]
  • 측실: 선황후 질노씨 (宣皇后 叱奴氏|질노씨중국어; ? ~ 574년)[5], 부인 요씨, 달보간씨, 권씨, 우육혼씨, 왕씨, 장여필

3. 2. 자녀

우문태는 13남 12녀를 두었다.

'''아들'''

순서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별칭비고
1영도군공(寧都郡公)우문육534년 ~ 560년부인 요씨북주 제2대 황제 명제.[8]
2송국공(宋國公)헌(獻)우문진? ~ 550년[9]
3주국공(周國公)우문각542년 ~ 557년문황후 원씨북주 초대 황제 효민제.[10][11]
4노국공(魯國公)우문옹543년 ~ 578년문선황후 질노씨북주 제3대 황제 무제.[12]
5제왕(齊王)양(煬)우문헌545년 ~ 578년희 달보간 씨[13]
6위왕(衛王)랄(剌)우문직? ~ 574년문선황후 질노씨[14]
7조왕(趙王)참(僭)우문초? ~ 580년희 왕씨[15]
8초왕(譙王)효(孝)우문검551년 ~ 578년부인 권백녀[16]
9진왕(陳王)혹(惑)우문순? ~ 580년[17]
10월왕(越王)야(野)우문성554년 ~ 580년[18]
11대왕(代王)비(奰)우문달? ~ 580년희 장여필[19]
12기왕(冀王)강(康)우문통555년 ~ 571년오륙혼 현옥[20]
13등왕(滕王)문(聞)우문요556년 ~ 581년[21]



'''딸'''

우문태의 딸
이름배우자비고
왕씨원흠첫째 딸, 554년 사망
양양장공주두의다섯째 딸,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으며, 그중 딸 두씨는 이연과 혼인
의안공주이휘
순양공주양찬550년 출생, 591년 사망
평원공주우익슬하에 아들 셋을 두었다.
영부공주사웅
서하공주유창597년 사망
의귀공주이기531년 출생, 561년 사망, 슬하에 아들 하나를 두었다.
의도공주양예531년 출생, 595년 사망
덕광공주조영국557년 사망
공주허바위
공주약간봉


3. 2. 1. 아들

순서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별칭비고
1영도군공(寧都郡公)우문육534년 ~ 560년부인 요씨북주 제2대 황제 명제.[8]
2송국공(宋國公)헌(獻)우문진? ~ 550년[9]
3주국공(周國公)우문각542년 ~ 557년문황후 원씨북주 초대 황제 효민제.[10][11]
4노국공(魯國公)우문옹543년 ~ 578년문선황후 질노씨북주 제3대 황제 무제.[12]
5제왕(齊王)양(煬)우문헌545년 ~ 578년희 달보간 씨[13]
6위왕(衛王)랄(剌)우문직? ~ 574년문선황후 질노씨[14]
7조왕(趙王)참(僭)우문초? ~ 580년희 왕씨[15]
8초왕(譙王)효(孝)우문검551년 ~ 578년부인 권백녀[16]
9진왕(陳王)혹(惑)우문순? ~ 580년[17]
10월왕(越王)야(野)우문성554년 ~ 580년[18]
11대왕(代王)비(奰)우문달? ~ 580년희 장여필[19]
12기왕(冀王)강(康)우문통555년 ~ 571년오륙혼 현옥[20]
13등왕(滕王)문(聞)우문요556년 ~ 581년[21]


3. 2. 2. 딸

우문태의 딸
이름배우자비고
왕씨원흠첫째 딸, 554년 사망
양양장공주두의다섯째 딸, 아들 둘과 딸 둘을 두었으며, 그중 딸 두씨는 이연과 혼인
의안공주이휘
순양공주양찬550년 출생, 591년 사망
평원공주우익아들 셋을 두었다.
영부공주사웅
서하공주유창597년 사망
의귀공주이기531년 출생, 561년 사망, 아들 하나를 두었다.
의도공주양예531년 출생, 595년 사망
덕광공주조영국557년 사망
공주허바위
공주약간봉


참조

[1] 서적 Emperor Wen's biography in ''Bei Shi''
[2] 서적 According to Yuwen Tai's biography in ''Book of Zhou''
[3] 문서 평원공주(平原公主)/풍익공주(馮翊公主)
[4] 문서 북위 효무제(孝武帝)의 누이. 장환(張歡) 사후 재가함. 북주 명제의 칭제 후 황후로 추존됨.
[5] 문서 황태후(皇太后)
[6] 문서 사후 후 황후로 추존됨.
[7] 문서 본성은 최씨(崔氏).
[8] 문서 천왕(天王)
[9] 문서 무읍군공(武邑郡公)
[10] 문서 약양군공(略陽郡公)/천왕(天王)
[11] 문서 생전에 황제 대신 천왕(天王)으로 칭함. 명제 칭제 후 효민제로 추존됨.
[12] 문서 보성군공(輔城郡公)
[13] 문서 부성현공(涪城縣公)/제국공(齊國公)
[14] 문서 진군공(秦郡公)/위국공(衛國公)
[15] 문서 정평군공(正平郡公)/조국공(趙國公)/조평왕(趙平王)
[16] 문서 초국공(誰國公)
[17] 문서 진국공(陳國公)
[18] 문서 월국공(越國公)
[19] 문서 대국공(代國公)
[20] 문서 기국공(冀國公)
[21] 문서 등국공(滕國公)
[22] 문서 우문황후(宇文皇后)
[23] 문서 팽국부인(彭國夫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