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순 흡착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순 흡착음은 두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자음의 일종으로, 입술을 오므린 후 공기를 빨아들여 입술을 떼면서 소리를 낸다.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ʘ로 표기하며, 1979년 IPA의 공식적인 일부가 되었다. 양순 흡착음은 남아프리카의 투어족 언어, 크와족 언어, 그리고 호주의 다민어 등에서 나타나며, 특히 코이산어족의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사용된다. 영어에서는 음소로 존재하지 않지만, 미메시스에서 나타난다.
입술을 꽉 오므리고, 구강 내의 공기를 빨아들이며 입술을 떼면 발음할 수 있다.
양순 흡착음(ʘ) 기호는 음성 기호의 음소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며, 1979년 국제 음성 기호의 공식적인 일부가 되었지만, 그보다 적어도 50년 전부터 존재해 왔다. 이 기호는 유니코드에 LATIN LETTER BILABIAL CLICK영어로 인코딩되어 있다.[5]
2. 조음 방법
2. 1. 조음 위치
앞쪽 조음 위치는 순음으로, 입술로 조음한다는 의미이다. 파열은 소음이 있는 파찰음과 유사한 소리이다. 양순 조음, 즉 두 입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때때로 이 소리는 흡착음이 파열될 때 순치음 단계를 거쳐 더욱 소리가 커질 수 있다.[3] 다른 경우에는 아래 입술이 위쪽 치아와 윗입술 모두에 닿은 상태로 시작될 수 있다.[4]
조음 위치는 아랫입술과 윗입술에 의한 양순음이다.
2. 2. 조음 방식
입술을 꽉 오므리고, 구강 내의 공기를 빨아들이며 입술을 떼면 발음할 수 있다. 양순 흡착음은 때때로 키스 소리와 비슷하다고 잘못 묘사되기도 한다. 그러나 키스의 뾰족한 입술과는 다르다. 대신 입술은 압축되어 있으며, 키스 소리보다는 입술을 치는 소리와 더 비슷하다.
양순 흡착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흡착음은 원리상, 반드시 연구개 또는 구개수에서의 폐쇄를 수반하는 이중 조음이 된다. 흡착음을 가진 언어를 기술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타이(tie)는 생략된다.[10]
2. 3. 구강 및 비강
입술을 꽉 오므리고, 구강 내의 공기를 빨아들이며 입술을 떼면 발음할 수 있다. 양순 흡착음은 때때로 키스 소리와 비슷하다고 잘못 묘사되기도 한다. 그러나 키스의 뾰족한 입술과는 다르다. 대신 입술은 압축되어 있으며, 키스 소리보다는 입술을 치는 소리와 더 비슷하다.3. 기호
위첨자 IPA 버전은 MODIFIER LETTER BILABIAL CLICK영어이다.[5]
유니코드에 인코딩된 원형 점으로 구성된 유사한 문자소는 다음과 같다.
4. 언어별 예시
영어에는 순음 흡착음(또는 어떠한 흡착 자음)이 음소로 존재하지 않지만, 평범한 양순 흡착음은 미메시스에서 나타나며, 아이들이 물고기를 흉내 내기 위해 사용하는 입술을 쩝쩝거리는 소리이다.
양순 흡착음은 남아프리카의 투어족 언어와 크와족 언어, 그리고 호주 의례 언어인 다민어에서만 나타난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
ǂʼAmkoe (ǂHoan) | ʘoaund | '둘' | |
다민어 | mǃimis | '채소' | |
Taa (ǃXóõ) | ʘàaund | '아이' | |
Nǁng (Nǀuu) | ʘũuund | '아들' |
5종류의 흡착음 중에서도 양순 흡착음을 언어음으로 가진 언어는 매우 드물며, 코이산어족 중 남방의 츠어족에 속하는 보츠와나의 ǃXóõ (콩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ǀXam (캄어, 현재는 사어) 등에 한정된다. 이들 언어는 5종류의 흡착음을 모두 가진다.[11]
5. 기원
양순 흡착음은 역사적으로 다른 조음 위치의 순음화에서 기원했을 수 있다. 스타로스틴(2003년)[7]은 ǂ’Amkoe의 '하나'와 '둘'을 뜻하는 단어 ʘ̃ũ|/ʘ̃ũ/xaa와 ʘoa|/ʘoa/xaa가 양순 흡착음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코이산어에는 이 숫자 단어에 어떤 종류의 양순 자음도 없다고 언급했다. 스타로스틴(2007년)[8]과 샌즈는 원시 Kxʼa어에서 일련의 순음화된 흡착음을 재구성했는데, 이것이 ǂ’Amkoe에서 양순 흡착음이 되었다고 지적한다. 하드자어에서 '키스'를 뜻하는 단어 ǀ̃ua|/ǀ̃ua/hts는 인사할 때 의성어 ǀ̃ʷa|/ǀ̃ʷa/hts 또는 ʘ̃ʷa|/ʘ̃ʷa/hts가 된다.[9]
참조
[1]
서적
Speech and language assessment for the bilingual handicapped
College-Hill Press
1984
[2]
간행물
Damin and Lardil Phonotactics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Open Research Repository
[3]
문서
1996
[4]
문서
The Sounds of Nǀuu
2007
[5]
웹사이트
L2/20-252R: Unicode request for IPA modifier-letters (a), pulmonic
https://www.unicode.[...]
2020-11-08
[6]
웹사이트
SIL PUA 6.1c
http://scripts.sil.o[...]
SIL International
2013-01-21
[7]
간행물
A lexicostatistical approach towards reconstructing Proto-Khoisan
http://starling.rine[...]
2003
[8]
문서
'Лабиальные кликсы в койсанских языках' ('On labial clicks')
2007
[9]
문서
A Hadza Lexicon
2013
[10]
문서
2001
[11]
문서
1996
[12]
문서
1996
[13]
서적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