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음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음화는 세계 언어에서 가장 널리 나타나는 이차 조음 현상으로, 자음이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북서캅카스어족, 애사배스칸어족, 샐리시어족 등 여러 언어에서 음소적으로 대립되며, 인도유럽조어에서도 재구축되었다. 순음화는 연구개 자음과 구개수 자음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며, 치경 자음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슬로베니아어와 같이 순음화가 모든 음소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위첨자 w (ʷ)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순음화된 자음의 목록은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접근음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운 동화 - 움라우트
    움라우트는 모음이 다른 모음의 영향을 받아 발음이 변하는 현상으로, 게르만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명사의 단수와 복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다양한 언어에서 모음 변이의 형태로 나타난다.
  • 음운 동화 - 비음화
    비음화는 음성학에서 구강 통로가 막히고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소리를 내는 현상으로, 비음은 비모음과 비음 자음으로 나뉘며, 한국어에서는 자음 동화 현상과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이 대표적이다.
  • 음성학 - 음성 인식
    음성 인식은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로, 인공지능과 심층 학습의 발전으로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지만 보안 문제가 남아있다.
  • 음성학 - 음성 합성
    음성 합성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TTS)로, 기계 장치에서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발전해왔으며 통계적 모델과 심층 학습 기반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기술적 과제도 안고 있다.
순음화
음성학적 특징
정의일부 언어에서 소리의 이차 조음 특징
설명조음 시 입술을 둥글게 만드는 현상
입술의 모양 변화를 통해 음향적 효과를 생성
종류
순음화 (Labialization)입술을 둥글게 하는 일반적인 조음
설순음화 (Labio-velarization with protrusion)입술을 앞으로 내밀면서 연구개음화하는 조음
음성 기호
순음화◌ᵝ
설순음음화 (입술 내밈)◌ʷ
조음 방법
설명다른 조음 위치와 함께 나타나는 이차 조음
자음과 모음 모두에서 발생 가능
예시
한국어'쉬', '줘' 등에서 입술의 둥근 모양 관찰 가능
기타 언어IPA 표기: /dʷ/ 등
다양한 언어에서 순음화된 자음과 모음 존재
참고 사항
관련 용어원순성 (Roundedness): 모음의 입술 모양
설순음음화 (Labio-velarization): 입술과 연구개를 동시에 사용하는 조음
내부 원순성 (Internal rounding): 입술 안쪽을 둥글게 함
구개음화 (Sulcalization): 혀의 홈을 좁힘

2. 발생

순음화는 세계 언어에서 가장 널리 나타나는 이차 조음 현상이다. 이는 북서캅카스어족(예: 아디게어), 애사배스칸어족, 그리고 샐리시어족 언어 가족 등에서 음소적으로 대립된다. 이러한 대립은 인도유럽조어, 즉 인도유럽어족의 공통 조상에서도 재구축되었으며, 라틴어와 일부 로망스어에서도 남아있다. 쿠시어족과 에티오피아 셈어족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미국 영어는 /r, ʃ, ʒ, tʃ, dʒ/를 다양한 정도로 순음화한다.

아른테어와 음바어를 포함한 몇몇 언어들은 거의 모든 자음에 대해 대립적인 순음화 형태를 가지고 있다.

클랄람어와 같은 많은 샐리시어족 언어에서, 연구개 자음은 순음화된 형태로만 나타난다(일부 차용어에 나타나는 /k/ 제외). 그러나 구개수 자음은 순음화되고 둥글지 않은 형태로 풍부하게 나타난다.

3. 유형

Ruhlen|1976영어의 조사에 따르면, 706개의 언어 목록 중 순음화는 연구개 (42%) 및 구개수 (15%) 음소에서 가장 자주 발생했으며, 치경 및 치경 음소에서는 가장 드물게 나타났다. 비 등쪽 자음의 경우, 순음화에는 연구개음화가 포함될 수도 있다. 순음화는 입술 둥글림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음은 순음화로 설명되거나 전형적인 순음화의 이음 실현으로 밝혀진 조음들이다.


  • 순치 마찰음, 압하스어에서 발견됨[1]
  • 완전한 양순 폐쇄, , 압하스어와 우비흐어에서 발견됨[1]
  • 눈에 띄는 입술 둥글림(돌출) 없이 "순음화"( , , 및 ), 이로쿼이어족 언어에서 발견됨. 이것들은 압축될 수 있다.
  • 연구개음화가 없는 둥글림, 쇼나어압하스어의 브지브 방언에서 발견됨.


동부 아렌테어는 모든 조음 위치조음 방법에서 순음화를 가지며, 이는 역사적으로 인접한 둥근 모음에서 유래한다. 북서 코카서스어족 언어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마셜어는 순음 자음과 설단 파열음을 제외한 모든 조음 위치에서 부차 조음으로서의 음소적 순음화를 가진다.

북미에서는 여러 어족의 언어에서 입술의 참여 없이 순음화된 소리(그리고 둥근 소리)가 나타난다. 틸라무크어에서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3. 1. 전순음화

Labialization영어에 의해 조사된 706개의 언어 목록 중 순음화는 연구개 (42%) 및 구개수 (15%) 음소에서 가장 자주 발생했으며, 치경 및 치경 음소에서 가장 드물게 발생했다. 비 등쪽 자음의 경우 순음화에는 연구개음화가 포함될 수도 있다. 순음화는 입술 둥글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다음 조음은 순음화로 설명되거나 전형적인 순음화의 이음 실현으로 밝혀졌다.

  • 순치 마찰음, 압하스어에서 발견됨[1]
  • 완전한 양순 폐쇄, , 압하스어와 우비흐어에서 발견됨[1]
  • 눈에 띄는 입술 둥글림(돌출) 없이 "순음화"( , , 및 ), 이로쿼이어족 언어에서 발견됨. 이것들은 압축될 수 있다.
  • 연구개음화가 없는 둥글림, 쇼나어압하스어의 브지브 방언에서 발견됨.


동부 아렌테어는 모든 조음 위치조음 방법에서 순음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역사적으로 인접한 둥근 모음에서 유래하며, 북서 코카서스어족 언어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마셜어는 순음 자음과 설단 파열음을 제외한 모든 조음 위치에서 부차 조음으로서의 음소적 순음화도 가지고 있다.

북미에서는 여러 어족의 언어에서 입술의 참여 없이 순음화된 소리(그리고 둥근 소리)가 난다. 예시를 보려면 틸라무크어를 참조하십시오.

슬로베니아어에서는 소리가 순음화될 수 있다. 게다가, 이 변화는 음소적이며 모든 음소는 순음화된 짝을 갖는다(모든 변이음이 짝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stati|스타티sl '서다' 와 vstati|우스타티sl '일어나다' 를 비교해 보라. 그러나 순음화 부분은 일반적으로 순음화된 소리와 같은 음소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고, 환경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의 변이음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vzeti|우제티sl '가지다' 과 povzeti|포우제티sl '요약하다' 가 있다.[2] 자세한 내용은 슬로베니아어 음운론을 참조하라.

4. 표기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연구개 자음의 순음화는 위첨자 w 수정자 w (유니코드 U+02B7)로 표시되며, kw와 같이 사용된다. (다른 곳에서는 이 분음 부호가 일반적으로 동시 순음화 및 연구개음화를 나타낸다.) 더 나아가 둥글림의 정도가 더 크거나 작은 것을 나타내는 분음 부호(ɔ̹, ɔ̜)가 있다.[3] 이는 일반적으로 모음에 사용되지만 자음에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타바스칸어족 후파어에서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이 세 가지 정도의 순음화를 구분하며, /x/, /x̹/, /xʷ/ 또는 /x/, /x̜ʷ/, /xʷ/로 표기된다.

IPA 확장에는 둥글림의 정도를 나타내는 두 개의 추가 기호가 있다: 펼침(ɹ͍)과 열린 둥글림(ʒꟹ) (영어와 같이). 또한 순치화된 소리를 위한 기호(tᶹ)가 있다.[4]

정확성을 원하는 경우, 압하스어우비흐어의 발음은 적절한 마찰음 또는 떨림 소리를 분음 부호로 올려서 표기할 수 있다: tᵛ, tᵝ, tʙ, tᵖ.

단순한 순음화의 경우, Ladefoged영어와 Maddieson영어은 오래된 IPA 기호( ̫)를 부활시켰으며,[5] 이는 ɡ와 같이 하강부가 있는 문자 위에 배치된다. 그러나 그들의 주요 예시는 쇼나어 sv와 zv인데, 이는 /s̫/와 /z̫/로 표기하지만, 실제로는 반드시 순음화될 필요는 없는 휘파람 소리 자음으로 보인다.[6] 또 다른 가능성은 영어 'soon' /s̹/과 /sʷ/ 'swoon'의 순음화를 구별하는 둥글림에 대한 IPA 분음 부호를 사용하는 것이다.[7] 영어 /ʃ/의 열린 둥글림 또한 연구개음화되지 않는다.

5. 동화

순음화는 특정 유형의 동화 현상을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 현상에서 특정 소리는 인접한 순음의 영향으로 순음화된다. 예를 들어 는 의 환경에서 가 될 수 있으며, 는 또는 의 환경에서 가 될 수 있다.

북서캅카스어족뿐만 아니라 일부 호주 원주민 언어에서는 둥글림이 모음에서 자음으로 이동하여 광범위한 순음화 자음을 생성하고, 경우에 따라 두 개의 음소 모음만 남게 되었다. 이는 예를 들어 우비흐어와 동부 아렌테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순음 모음은 보통 여전히 남아 있지만, 이제 순음화된 자음 옆에 있는 이음으로만 존재한다.

6. 순음화된 자음 목록

순음화된 자음 목록
유형음소IPA사용 언어
파열음평음돌출된 무성 양순 파열음[pʷ]차하어, 파하어
돌출된 유성 양순 파열음[bʷ]차하어, 파하어, 마요어, 야키어
labzd 무성 치경 파열음[tʷ]아르치어, 압하스어, 라오어, 파하어, 우비흐어
labzd 유성 치경 파열음[dʷ]아르치어, 압하스어, 우비흐어
labzd 무성 연구개 파열음[kʷ]아바자어, 압하스어, 아디게어, 할코멜렘어, 카바르딘어, 타오스어, 치페와이어, 하자어, 그위친어, 링깃어, 아칸어, 네즈 퍼스어, 아르치어, 광둥어, 와리', 차하어, 달로어, 하우사어, 이가라어, 이보어, 라오어, 라틴어, 나와틀어, 나와트어, 오키나와어, 오세트어, 파하어, 포르투갈어, 타이어, 티그리냐어, 히우어, 우비흐어, 베어레이크 슬레이비어, 브르타뉴어, 고트어
labzd 유성 연구개 파열음[ɡʷ]아바자어, 압하스어, 아디게어, 아칸어, 아르치어, 차하어, 달로어, 하우사어, 오키나와어, 오웨키알라어, 오세트어, 하자어, 이가라어, 이보어, 그위친어, 카바르딘어, 파하어, 포르투갈어, 티그리냐어, 우비흐어, 브르타뉴어, 요루바어, 고트어
labzd 무성 구개수 파열음[qʷ]아바자어, 압하스어, 아디게어, 카바르딘어, 오세트어, 파하어, 링깃어, 네즈 퍼스어, 우비흐어
labzd 구개음화된 무성 구개수 파열음[qˤʷ]아르치어, 우비흐어
labzd 유성 구개수 파열음[ɢʷ]오웨키알라어, 콰콰카어, 차쿠르어
labzd 성문 파열음[ʔʷ]아디게어, 카바르딘어, 라오어, 링깃어
labzd 비음화된 유성 양순 파열음[ᵐbʷ]타맘보어
순음-연구개음돌출된 무성 순치-연구개 파열음[k͡pʷ]도리그어, 모트라프어
돌출된 비음화된 유성 순치-연구개 파열음[ᵑɡ͡bʷ]볼로우어
파찰음마찰음labzd 무성 치경 파찰음[t͡sʷ]아디게어, 아르치어, 레즈기어, 차쿠르어
labzd 유성 치경 파찰음[d͡zʷ]아디게어, 달로어
labzd 무성 권설 파찰음[t͡ʃʷ]아르치어, 아바자어, 아디게어, 파하어, 아굴어, 독일어
labzd 유성 권설 파찰음[d͡ʒʷ]아바자어, 아굴어, 차쿠르어, 독일어
labzd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t͡ɕʷ]압하스어, 아칸어, 우비흐어
labzd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d͡ʑʷ]압하스어, 아칸어, 우비흐어
비마찰음labzd 무성 연구개 파찰음[k͡xʷ]나바호어
labzd 무성 구개수 파찰음[q͡χʷ]카바르딘어, 릴루엣어
측면 파찰음labzd 무성 연구개 측면 파찰음[k͡ʟ̝̊ʷ]아르치어
마찰음마찰음labzd 무성 치경 마찰음[sʷ]아르치어, 라오어, 레즈기어
labzd 유성 치경 마찰음[zʷ]아르치어, 차쿠르어, 레즈기어
labzd 무성 권설 마찰음[ʃʷ]아르치어, 아바자어, 압하스어, 아디게어, 파하어, 아굴어, 우비흐어
labzd 유성 권설 마찰음[ʒʷ]아르치어, 아바자어, 압하스어, 아디게어, 아굴어, 우비흐어
labzd 무성 설단 마찰음[ʂʷ]즈제두그 아디게 방언
labzd 유성 설단 마찰음[ʐʷ]즈제두그 아디게 방언
labzd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ɕʷ]압하스어, 우비흐어
labzd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ʑʷ]압하스어, 우비흐어
비마찰음돌출된 무성 양순 마찰음[ɸʷ]오키나와어
돌출된 유성 양순 마찰음[βʷ]타맘보어
labzd 무성 순치 마찰음[fʷ]하자어, 차하어
labzd 유성 순치 마찰음[vʷ]
labzd 무성 치 마찰음[θʷ]파하어
labzd 유성 치 마찰음[ðʷ]파하어
labzd 무성 경구개 마찰음[çʷ]아칸어
labzd 무성 연구개 마찰음[xʷ]아바자어, 아디게어, 아베스타어, 차하어, 할코멜렘어, 카바르딘어, 오웨키알라어, 타오스어, 나바호어, 티그리냐어, 릴루엣어, 링깃어
labzd 유성 연구개 마찰음[ɣʷ]아바자어, 나바호어, 릴루엣어, 그위친어, 아마도 인도유럽조어
labzd 무성 구개수 마찰음[χʷ]압하스어, 아디게어, 아르치어, 할코멜렘어, 카바르딘어, 릴루엣어, 링깃어, 와리', 치페와이어, 오웨키알라어, 오세트어, 우비흐어
labzd 구개음화된 무성 구개수 마찰음[χˤʷ]압하스어, 아르치어, 우비흐어
labzd 유성 구개수 마찰음[ʁʷ]압하스어, 아디게어, 치페와이어, 카바르딘어, 우비흐어
labzd 구개음화된 유성 구개수 마찰음[ʁˤʷ]아르치어, 우비흐어
labzd 무성 인두 마찰음[ħʷ]아바자어, 압하스어
labzd 유성 인두 마찰음[ʕʷ]아바자어, 릴루엣어
의사 마찰음labzd 무성 성문 마찰음[hʷ]아칸어, 링깃어, 차쿠르어
측면 마찰음labzd 무성 치경 측면 마찰음[ɬʷ]달로어
labzd 무성 연구개 측면 마찰음[ʟ̝̊ʷ]아르치어
비음돌출된 양순 비음[mʷ]아디게어, 차하어, 파하어, 타맘보어
labzd 구개 비음[ɲʷ]아칸어
labzd 연구개 비음[ŋʷ]아칸어, 아베스타어, 라오어, 히우어, 이가라어
돌출된 순음-연구개 비음[ŋ͡mʷ]도리그어, 모트라프어
접근음labzd 치경 측면 접근음[lʷ]라오어
labzd 순치 접근음[ʋʷ]러시아어[8]
구개 접근음[ɥ] [jʷ]압하스어, 아칸어, 프랑스어, 중국어 (만다린), 파하어
순음-연구개 접근음 (유성)[ɰᵝ]일본어
돌출된 순음-연구개 접근음 (유성)[ɰʷ]널리 사용됨; 위에서 언급된 모든 언어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아랍어, 영어, 한국어, 베트남어
무성 순음-연구개 접근음[ʍ]영어의 특정 방언, 고트어
비음 순음-연구개 접근음[w̃]폴란드어, 포르투갈어
labzd 후치경 접근음[ɹ̠ʷ]많은 영어 방언
방출음돌출된 양순 방출음[pʷʼ]아디게어
labzd 치경 방출음[tʷʼ]압하스어, 아디게어, 우비흐어
labzd 연구개 방출음[kʷʼ]아바자어, 압하스어, 아디게어, 아르치어, 베어레이크 슬레이비어, 치페와이어, 할코멜렘어, 카바르딘어, 오세트어, 링깃어, 우비흐어
labzd 권설 방출 마찰음[ʃʷʼ]아디게어
labzd 구개수 방출음[qʷʼ]아바자어, 압하스어, 아르치어, 할코멜렘어, 하쿠치 아디게 방언, 링깃어, 우비흐어
labzd 구개음화된 구개수 방출음[qˤʷʼ]아르치어, 우비흐어
labzd 치경 방출 파찰음[t͡sʷʼ]아르치어, 크바르시어
labzd 치경 측면 방출 파찰음[t͡ɬʷʼ]크바르시어
labzd 권설 방출 파찰음[t͡ʃʷʼ]아바자어, 아르치어, 크바르시어
labzd 치경구개 방출 파찰음[t͡ɕʷʼ]압하스어, 우비흐어
labzd 설단 방출 파찰음[ʈ͡ʂʷʼ]아디게어에서 이음
labzd 연구개 측면 방출 파찰음[k͡ʟ̝̊ʷʼ]아르치어
labzd 연구개 방출 마찰음[xʷʼ]링깃어
labzd 구개수 방출 마찰음[χʷʼ]링깃어


참조

[1] 서적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Annual Reviews Incorporated
[2] 간행물 Novejše besedje s stališča fonologije Primer slovenščine
[3] 문서
[4] 서적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A Guide to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문서
[6] 웹사이트 http://www.cefala.or[...] 2008-05-16
[7] 문서 Phonetic Notation
[8] 문서
[9] 학술지 調音位置における階層性についての類型論的研究 1992-09-01
[10] 서적 A Dictionary of Phonetics and Phonology Routledge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