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썬은 중화민국의 군벌, 군인, 정치인으로, 사천 육군 속성학당을 졸업하고 중국 동맹회에 가입하여 군인의 길을 걸었다. 군벌 시대에 사천군에서 세력을 키웠으며, 국민혁명군에 합류하여 중일 전쟁에 참전했다. 중화민국 정부에서 구이저우성 주석, 충칭 시장 등을 역임했고, 1949년 타이완으로 이동하여 스포츠계에서 활동했다. 그는 12명의 부인과 36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93세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 북양정부 시대 인물 - 장쉐량
장쉐량은 만주 군벌 장작림의 아들이자 동북군 지휘관으로서 만주사변 당시 부저항 정책과 시안 사건 주도를 통해 국공합작을 이끌어낸 인물이며, 그의 삶과 행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중화민국 북양정부 시대 인물 - 펑궈장
펑궈장은 청나라 군대에서 시작하여 위안스카이 밑에서 경력을 쌓고 신해혁명 진압에 기여, 직례총독을 거쳐 위안스카이 사후 부총통 및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역임했으나, 군벌 간 권력 다툼과 정치적 혼란 속에 퇴임 후 사망한 중국 북양군벌의 지휘관이자 정치인이다. - 중화민국의 장군 - 장쉰
장쉰은 청나라 말기 및 중화민국 초기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청나라 복벽을 시도했으나 실패 후 은퇴하여 사업가로 활동했다. - 중화민국의 장군 - 장쉐량
장쉐량은 만주 군벌 장작림의 아들이자 동북군 지휘관으로서 만주사변 당시 부저항 정책과 시안 사건 주도를 통해 국공합작을 이끌어낸 인물이며, 그의 삶과 행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쓰촨성 출신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쓰촨성 출신 - 진수 (서진)
촉한과 서진에서 벼슬을 지낸 진수는 환관의 핍박을 받기도 했으나 장화의 추천으로 등용되어 《삼국지》를 편찬, 위나라를 정통으로 하는 역사관을 확립한 역사가이다.
| 양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양썬 (楊森) |
| 출생 | 1884년 2월 20일 |
| 출생지 | 청나라 쓰촨성 광안시 |
| 사망 | 1977년 5월 15일 |
| 사망지 | 타이베이시, 대만 |
| 닉네임 | 알려진 바 없음 |
| 경력 | |
| 소속 | 청나라 중화민국 |
| 복무 기간 | 1904년–1977년 |
| 최종 계급 | 대장 |
| 주요 지휘 | 쓰촨성 성장 쓰촨성 군정 장관 제20군 군단장 제27군 집단군 사령관 제6 전구 부사령관 제9 전구 부사령관 구이저우성 정부 주석 |
| 참전 | 신해혁명 북벌 중원대전 중일 전쟁 국공내전 |
| 훈장 | 청천백일훈장 |
| 기타 활동 | 정치가 |
| 가족 관계 | |
| 친척 | 양한슈 (楊漢秀, 조카딸, 1913-1949) |
| 자녀 | 양한례 (楊漢烈, 아들, 1917-1987) |
| 로마자 표기 | |
| 중국어 병음 | Yáng Sēn |
| 관련 링크 | |
| 위키데이터 항목 | Q706259 |
2. 초기 생애 및 군벌 시대
1923년 (민국 12년) 8월, 우페이푸로부터 중앙 육군 제16사 사단장에 임명되었고, 9월에는 육군 중장이 되었다. 1924년 (민국 13년) 3월, 육군 상장으로 승진하고, 5월에는 쓰촨 독리에 임명되어 청두에 주둔하며 쓰촨군 내에서 최대 세력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류샹 등 다른 쓰촨군 지휘관들의 반감을 샀다.
1925년 (민국 14년) 7월, 양썬은 우페이푸의 지원을 받아 쓰촨 통일을 위한 전투를 시작했다. 그러나 류샹 등 다른 쓰촨군 지휘관들이 반(反) 양썬 연합을 결성하고, 구이저우 군의 위안쭈밍에게 공격받았다. 다음 달, 양썬은 참패하여 쓰촨에서 쫓겨났고, 한때 우페이푸에게 의지했다. 그러나 류샹과 위안쭈밍 사이에 대립이 발생했기 때문에, 양썬은 류샹과 화해하여 쓰촨에 복귀하고 위안쭈밍을 쓰촨에서 몰아냈다. 1926년 (민국 15년) 5월, 우페이푸로부터 쓰촨성장에 임명되었다. 9월에는 완셴 사건에서 영국군과 교전했다.[4]
2. 1. 초기 생애
양썬은 처음에는 학문을 공부하여 순경부 연합 중학당에서 배웠다. 그러나 군인의 길을 지망하여 1904년(광서제 30년)에 쓰촨 육군 속성학당에 입학했다. 1906년(광서 32년)에 중국 동맹회에 가입했다. 1908년(광서 34년)에 속성학당을 졸업하고, 쓰촨의 신군인 제17진에 가입했다.중화민국 성립 후에도 쓰촨군에 있었지만, 제2차 혁명 당시 혁명파에 속했기 때문에 滇軍(윈난군)에 붙잡혀 그대로 滇軍에 가입했다. 1915년(중화민국 4년) 12월, 호국 전쟁(제3차 혁명)이 발발하자, 차이 어 휘하의 제2 梯団을 이끄는 자오 유신을 따라 쓰촨으로 돌아갔다.
그 후에도 양썬은 잠시 滇軍에 속해 있었다. 그러나 1920년 (민국 9년) 3월, "쓰촨인에 의한 쓰촨 통치"라는 슬로건에 공명하여 滇軍으로부터 이탈을 선언하고, 쓰촨군에 복귀했다. 그 후에는 滇軍 소탕 등에서 활약했다. 1921년 (민국 10년) 2월, 쓰촨군 제2군 군장으로 승진하여 충칭에 주둔했다.[1]
2. 2. 군벌 시대 활동
양썬은 학문을 공부하여 순경부 연합 중학당에서 배웠으나, 군인의 길을 선택하여 1904년 사천 육군 속성학당에 입학했다. 1906년 중국 동맹회에 가입했고, 1908년 졸업 후 사천 신군 제17진에 들어갔다.중화민국 성립 후에도 사천군에 있었으나, 제2차 혁명 때 혁명파에 속했다가 滇軍(운남군)에 붙잡혀 滇軍에 가입했다. 1915년 호국 전쟁 (제3차 혁명)이 발발하자, 차이 어 휘하의 자오 유신을 따라 사천으로 돌아갔다.
1920년 "사천인에 의한 사천 통치" 슬로건에 공명하여 滇軍에서 이탈, 사천군에 복귀했다. 1921년 사천군 제2군 군장으로 승진하여 충칭에 주둔했다.
1923년 우페이푸로부터 중앙 육군 제16사 사단장 및 육군 중장에 임명되었다. 1924년 육군 상장으로 승진, 사천 독리에 임명되어 청두에 주둔하며 사천군 내 최대 세력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류샹 등 다른 사천군 지휘관들의 반감을 샀다.
1925년 우페이푸의 지원을 받아 사천 통일 전투를 시작했으나, 류샹 등 다른 사천군 지휘관들과 구이저우 군의 위안쭈밍에게 공격받아 패배, 사천에서 쫓겨났다. 이후 류샹과 화해하여 사천에 복귀, 위안쭈밍을 몰아냈다. 1926년 우페이푸로부터 사천성장에 임명되었고, 9월에는 완셴 사건에서 영국군과 교전했다[4]。
3. 국민혁명군 시절

양썬은 1924년부터 쓰촨성 성 정부 주석 및 군사 지휘관을 역임했다. 1926년에는 완셴 사건에서 영국 순찰선과 교전하기도 했다.[1] 이후 국민혁명군에 합류하여 제20군 군단장, 제27집단군 사령관, 제6전구 및 제9전구 부사령관 등을 역임하며 중일 전쟁에 참전했다.
3. 1. 국민혁명군 합류 및 초기 활동
楊森|양썬중국어은 1926년 10월, 중국 국민당의 세력 신장을 목격한 후 국민혁명군에 가입하여 제20군 군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928년 1월에 우페이푸를 비호한 죄로 면직되는 등 순탄하지 못한 경력을 보냈다.그럼에도 양썬은 국민정부에서 경력을 쌓아 1936년 2월에는 육군 중장이 되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국민혁명군 제6군단 군단장으로 상하이 방면에서 군사 활동을 전개했다. 1938년 1월, 제27집단군 총사령이 되었고, 1939년 10월에는 제9전구 부사령관도 겸임했다.
3. 2. 중일 전쟁 참전
1936년 육군 중장이 되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국민혁명군 제6군단 군단장으로 상하이 방면에서 군사 활동을 전개했다.[1] 1938년 1월, 제27집단군 총사령이 되었다.[1] 1939년 10월에는 제9전구 부사령관도 겸임했다.[1]3. 3. 종전 후 활동
1945년 1월, 양썬은 구이저우성 정부 주석에 임명되었다.[1] 1948년 7월에는 충칭 시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1949년 6월에는 서남 군정 장관 공서 부장관을 겸임했다. 같은 해 12월, 서남부에서 국민당군이 무너지자 타이완으로 피신했다.[1] 이후 총통부 국책 고문, 전국 체육 협진회 이사장, 올림픽 운동 위원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1]양썬은 스포츠 애호가로도 알려져 있는데, 중화민국의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1968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중화민국 타이완 국기를 들고 입장하기도 했다.[1] 또한 등산 애호가로서 타이완 등산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
1977년 5월 15일, 타이베이시에서 94세(만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4. 타이완 이주 후
1949년 국민당의 본토 탈출 시기에 중화민국 타이완으로 이동했다.[1] 이후, 총통부 국책 고문, 전국 체육 협진회 이사장, 올림픽 운동 위원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1950년대에는 열렬한 스포츠 애호가로서 중화민국의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1968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중화민국 타이완 국기를 들고 입장했다.[1] 또한, 유명한 등산가이자 타이완 등산 협회 회장이었다.[1] 그는 12명의 부인과 약 36명의 자녀를 두었다.[1]
1977년 5월 15일, 타이베이에서 94세(만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5. 도교 및 개인 생활
양썬 장군은 도교의 스승 이청운을 개인적으로 알고 그의 제자가 되어 생애 말년까지 그의 가르침을 실천했다.[1]
1927년에 그는 이청운을 쓰촨성 만현에 있는 자신의 저택으로 초대했다. 스승이 사망한 후 양 장군은 "250세의 행운아에 대한 사실적인 기록"이라는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거기에는 이청운의 외모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그는 시력이 좋고 발걸음이 활발하다. 이씨는 약 2.13m이고 손톱이 매우 길며 혈색이 좋다."
태극권의 스승 T. T. 량은 양 장군에게서 "팔단금 기공"의 수련법을 배웠다. 그의 제자 스튜어트 알브 올슨은 2002년에 양 장군의 보고서를 참고하여 "도교 불멸자의 기공 가르침: 이청운 스승의 여덟 가지 필수 운동"이라는 책을 저술했다.
1950년대에 양썬은 열렬한 스포츠 애호가였으며, 중화민국의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이자 1968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중화민국 타이완 국기를 들고 입장했다. 그는 유명한 등산가이자 타이완 등산 협회 회장이기도 했다. 그는 12명의 부인과 약 36명의 자녀를 두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404-页面不存在
http://news.ifeng.co[...]
[2]
서적
民国人物大辞典 増訂版
[3]
서적
民国人物大辞典 増訂版
[4]
문서
日本外交文書デジタルアーカイブ 大正15年(1926年)第2冊下巻
https://www.mofa.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