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태극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태극권은 명나라 말 청나라 초에 기원한 중국 무술로, 도교 철학을 바탕으로 신체의 유연성을 강조하며 건강 증진과 자기 방어를 목표로 한다. 진왕정의 진가권에서 시작되어 장삼봉 창시 설화도 있으며, 진식, 양식, 오식, 무식, 손식 등 다양한 유파로 발전했다. 24식 태극권과 같은 간화태극권은 대중적인 건강 체조로 보급되었으며, 2020년에는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태극권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무술 및 건강 수련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극권 - 쿵후 선생
    이안 감독의 1991년 작품인 쿵후 선생은 태극권 고수가 미국 이민 후 겪는 가족과의 문화 차이, 세대 갈등, 노년의 독립을 다룬 영화로, 전통적 가족 가치관과 현대 사회 변화 속 가족의 의미를 되짚고 고령화 사회 노인의 독립적 삶과 사회 기여 문제를 다룬다.
  • 태극권 - 태극권 (영화)
    원화평 감독이 연출하고 이연걸이 제작 및 주연을 맡은 1993년 홍콩 액션 영화인 태극권은 장군보가 태극권을 창시하게 되는 이야기를 다룬다.
  • 중국의 무술 - 중국 무술
    중국 무술은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에 따라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다양한 격투 시스템과 무기술을 아우르는 용어로, 쿵푸와 우슈로도 알려져 있으며 소림사, 도교 철학, 여러 유파를 거쳐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스포츠, 대중문화, 건강 증진 수단으로 세계에 보급되어 우슈라는 스포츠로도 발전했다.
  • 중국의 무술 - 절권도
    절권도는 이소룡이 창시한 무술로, 다양한 무술의 요소를 융합하여 '무법으로써 유법을 삼고, 무한으로써 유한을 삼는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변화와 발전을 지향하며, 이소룡 사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기원별 무술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기원별 무술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태극권
개요
태극 상징
태극 상징
양징푸
양징푸(c. 1931)가 양식 태극권 독자 형식의 단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정보
명칭태극권
다른 이름어원 참조
집중도교
수련 강도형태:
국가중국
창시자진왕정 또는 장삼봉
형성도인
올림픽시범 종목
한자 정보
한자 (정체)太極拳
한자 (간체)太极拳
태극 권
로마자 표기 (병음)Tàijíquán
로마자 표기 (웨이드-자일스)T'ai4-chi2 ch'üan2
로마자 표기 (BPMF)ㄊㄞˋ ㄐㄧˊ ㄑㄩㄢˊ
로마자 표기 (LMZ)Tha-ciq jioe
로마자 표기 (광둥어)Taai3 gik6 kyun4
로마자 표기 (예일)Taai-gihk kyùhn
로마자 표기 (POJ)Thài-ke̍k kûn
로마자 표기 (TL)Thài-ki̍k kûn

2. 역사

태극권의 역사는 명나라청나라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명나라 무관 출신 진왕정(陳王廷)이 고향 진가구(陳家溝)에서 창시했다는 설이 정설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에는 진가권(陳家拳)으로 불리며 진씨 가문 내에서만 비밀리에 전수되었다. 한편, 전설적인 도교 인물 장삼봉이 창시했다는 설도 존재하지만 역사적 근거는 부족하다. 고대 중국 무술은 구전으로 전승되고 기술을 비밀에 부치는 경향이 있어 초기 역사가 불명확한 부분이 많다.

청나라 때 진씨 14대조 진장흥(陳長興)이 양로선(楊露禪)에게 진가권을 전수하면서 외부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양로선은 진가권과 자신이 익힌 다른 무술, 음양오행설 등을 결합해 새로운 권법을 창시하고 베이징에서 가르치며 큰 명성을 얻었다. 이 시기부터 무술 이론서인 왕종악의 『태극권론』 등 태극 철학과의 연관성이 강조되면서 '태극권'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양로선의 태극권이 널리 퍼지자 진가구에서도 기존 진가권에 부드러움을 더한 진식 태극권을 발전시켜 공개했다. 이후 태극권은 진식과 양식을 필두로 오식, 손식, 무식 등 여러 문파로 나뉘어 발전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정부는 태극권의 건강 효과에 주목하여 대중 보급을 위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했다. 1956년 양식 태극권을 기반으로 간략화한 24식 태극권(간화태극권)을 제정했고[63], 이후에도 다양한 표준 투로(套路, 정해진 동작 순서)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표준 태극권은 건강 체조 및 스포츠로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태극권은 2020년 중국의 신청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41]

2. 1. 기원과 초기 발전

태극권의 역사는 명나라청나라 초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명나라의 무관(武官) 출신인 진왕정(陳王廷, 1580–1660)이 명나라가 쇠퇴하자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인 허난성 진가구(陳家溝)로 돌아와 창시했다는 설이 정설로 알려져 있다. 그는 전장에서 익힌 무예와 진씨 가문에 전수되던 기예에 음양오행설, 도인(導引), 토납술(吐納術) 등을 연구하여 이론과 실제를 보충하여 새로운 권법을 만들었다고 한다.[35] 초기에는 이 권법을 진가권(陳家拳) 등으로 불렀으며, 몇 가지 초식(招式)만 있었고 외부인에게는 전수를 엄격히 금지하여 진씨 일족 내에서만 이어졌다. 후일 진씨 14대조 진장흥(陳長興) 대에 이르러 양로선(楊露禪, 1799–1872)에게 진가권을 공개적으로 전수하게 되었다.[36] 현대의 주요 태극권 유파인 양(楊)식, 손(孫)식, 오(吳)식, 오/호(武/郝)식 등 네 가지 스타일 모두 1800년대 초 진가구에서 가르침을 받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36] 특히 대중적인 양식 태극권의 창시자인 양로선은 베이징에서 가르치기 시작하기 전 18년 동안 진씨 가문에게서 수련을 받았는데, 이는 그의 태극권이 진식 태극권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을 시사한다.

태극권의 초기 개척자로 알려진 진왕정의 조각상


그러나 진왕정 창시설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일각에서는 이 설이 진씨 태극권을 널리 알리고 사업화하려는 진씨 가문의 주장일 뿐이라고 보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근대 진씨 태극권의 한 갈래인 홍균생(洪均生)의 홍파태극권 시연에서는 진씨 태극권의 특징으로 알려진 절도 있고 힘 있는 동작이 잘 드러나지 않아, 현대에 알려진 진씨 태극권이 태극권의 원형이 아닐 수도 있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태극권이 전설적인 도사 장삼봉(張三丰)에 의해 창안되었다는 설도 제기된다.

역사적으로 태극권 관련 저술 대부분은 내가권(內家拳)으로서 (氣)의 운용을 깊이 있게 다루며, 소주천(小周天), 대맥(帶脈), 단전(丹田) 단련 등 단학(丹學)과 관련된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태극권 고수들이 단전 내 기운의 움직임을 언급하는 것을 보면, 태극권이 기를 축적하고 단련하며 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련법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진씨 가문 창시설의 설득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일부 전통주의자들은 태극권이 고대 도교유교 사상에 뿌리를 둔 순수한 중국 무술이며, 12세기 도교 승려인 장삼봉이 만들었다고 주장한다.[16] 하지만 장삼봉은 다른 여러 전설에도 등장하는 신선과 같은 인물로, 그가 태극권을 창시했다는 주장은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며 전설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6][33] 현대 역사가들은 장삼봉과 무술의 연관성을 언급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 17세기 학자 황종희(黃宗羲, 1610–1695)가 쓴 "왕정남묘지명"(王征南墓誌銘, 1669)이라는 점을 지적한다.[34][16] 이 자료 외에 장삼봉과 태극권을 연결 짓는 다른 주장은 19세기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34][16] 송나라(960–1279) 시대의 기록이나 명나라(1368–1644) 시대의 역사서, 장삼봉에 대한 전기 등 어디에도 그가 무술과 관련이 있다는 언급은 없다.[16] 황종희의 아들 황백가(黃百家)가 저술한 「내가권법」(內家拳法)[60]에 기록된 권법의 내용과 태극권, 그리고 명나라 장수 기효광(戚繼光)의 병서 ''기효신서''(紀效新書)에 나오는 권경(拳經)과의 관계를 비교 연구하는 시도도 있다.[61]

무술사 연구가 당호(唐豪)는 진가구의 태극권이 인근 소림사에서 수련되던 '태조장권'(太祖長拳)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 쉬전(徐震)의 견해를 발전시켜, 기효광의 ''기효신서''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책에는 '태조장권'을 포함한 여러 무술 스타일에 대한 논의가 담겨 있다.[37][38]

태극권의 초기 형성은 도교불교 사찰, 예를 들어 후베이성의 무당산(武當山), 허난성소림사(少林寺) 및 천년사(千年寺)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3] 특히 허난성의 천년사와 인근 마을인 진가구, 탕가구(唐家溝), 왕바오촌(王堡村), 자오바오진(趙堡鎭) 등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무술에 대한 공통된 관심을 공유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삼교(三敎)의 요소가 혼합된 사원인 천년사에서 공부했다.[33] 이들 마을에서 나온 17세기 문서들은 태극권 수련에 대한 가장 오래된 자료 중 일부를 제공한다.[33]

'태극권'(太極拳)이라는 명칭 자체의 어원은 구어 사용 기록 부족으로 다소 불확실하다. 19세기 중반 이전에는 외부인들이 이 무술을 주로 '잔권'(沾拳|잔취안중국어, "접촉 권법"), '장권'(長拳|창취안중국어, "긴 권법"),[8] '면권'(綿拳, "솜처럼 부드러운 권법") 또는 '화권'(化拳, "변화시키는 권법"), '십삼세'(十三式|십삼세중국어, "13가지 기술") 등으로 불렀다.[8]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이 무술은 태극(太極) 철학과 연관되기 시작했다.[34] 이러한 연관성은 오(호)식 태극권 창시자들의 저작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으며, 이들은 아마도 반(半)전설적인 인물 왕종악(王宗岳)에게 귀속되는 태극권 고전(太極拳 Classics)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이다. 이 고전은 "태극(太極)은 무극(無極)에서 생겨나 음양(陰陽)의 어머니이다."(太極者. 無極而生. 陰陽之母也.중국어)라는 문구로 시작한다.[9] 그러나 오(호)식 창시자들은 자신들의 무술을 홍보할 재정적 필요가 없었기에, 그들의 저작과 "태극권 고전"은 오랫동안 널리 퍼지지 않았다. '태극'과 이 무술 사이의 관계가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언급된 것은 청나라 학자이자 관리였던 옹동화(翁同龢)가 양로선의 태극권 시연을 보고 쓴 시(詩)에서였다.[10][11][12][13] 옹동화가 새로운 연관성을 만든 것인지, 아니면 '태극권'이라는 이름이 이미 사용되고 있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양씨 가문이 '태극'이라는 이름을 채택했다는 문헌상의 증거는 양로선의 아들 양반후(楊班侯)가 1875년에 완성했거나, 20세기 초 그의 제자 중 한 명 이상이 완성한 문헌에서 처음 나타난다.[14][12] 이후 20세기 초, 양징푸(楊澄甫)의 제자들과 손록당(孫祿堂)이 그들의 출판물에서 '태극권'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태극권 고전의 제목에도 이 용어가 포함되었다. 나중에 1929년에 사망한 진씨 가문의 진흠(陳鑫)의 저서에도 이 명칭이 등장한다.[10][15]

가장 흔한 영어 표기인 "tai chi"는 이 무술의 중국어 이름(太極拳|태극권중국어)을 표기하는 표준 로마자 표기법이 아니다. 원래 중국어 이름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사용하여 "t'ai chi ch'üan"으로 영어에 소개되었다. 그러나 영어 사용자들은 이를 "tai chi"로 줄여 부르면서 발음 구별 부호(기식 부호 등)를 생략했다. 20세기 후반부터 중국에서 중국어 병음이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채택되면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대체했고,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된다. 병음 표기로 태극권은 tàijíquán이다.[5][6] 영어권에서는 태극권을 때때로 "그림자 복싱(shadow boxin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7]

한자웨이드-자일스 표기법중국어 병음의미
太極t'ai chitàijí태극, 음양의 우주론적 관계
ch'üanquán주먹, 또는 권법



고대 중국 무술은 구전으로 전승되는 경우가 많았고, 서적으로 명확히 기록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현대와 달리 과거에는 무술이 개인이나 집단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었기 때문에, 인명과 관련된 기술은 비밀에 부쳐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태극권을 포함한 여러 무술의 초기 역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불명확한 부분이 많다.

2. 2. 발전과 분파

태극권의 초기 역사는 구전 전승과 비밀 유지 경향으로 인해 명확하지 않다. 고대 중국 무술은 개인이나 집단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었기에, 기술을 비밀에 부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60]

전설에 따르면 원나라 시대 장삼봉이 소림사 수련 후 무당산에 들어가 도교의 음양오행 사상과 토납법이라 불리는 호흡법을 결합해 창시했다고 하나, 이는 전설의 영역에 속한다. 소림권 등 외가권과 달리 태극권은 형의권, 팔괘장과 함께 내가권(무당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고증학의 시조 황종희는 왕정남묘지명에서 북송 시대 장삼봉이 내가권법을 창시했다고 기록했으며, 그의 아들 황백가가 「내가권법」[60]에 그 내용을 상세히 기술했다. 이 내가권법과 태극권, 그리고 기효신서 권경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61]

한편, 무술사 연구가 당호는 명나라 말기 허난성 원현 창양촌(현 진가구(陳家溝|Chénjiāgōu중국어))으로 이주한 진씨 가문에서 대대로 전승되던 무술(진가권(陳家拳|Chénjiāquán중국어))을 바탕으로, 진씨 9세손 진왕정이 여러 무술의 요소를 결합하여 명말청초 시기에 창시했다는 설을 제시했다.[62] 이 진가권은 오랫동안 진씨 가문 내에서만 비밀리에 전수되어 외부인은 배울 수 없었다.

청나라 말기, 젊은 시절 진가구의 약방 점원으로 일하던 양로선은 진씨 가문의 무술을 접할 기회를 얻어 진씨 14세손 진장흥에게 진가권을 배우게 되었다. 이후 양로선은 자신이 배운 진가권에 양씨 가문의 무술, 소림권, 음양오행설, 도인·토납술 등을 접목하고 연구하여 새로운 권법을 창시했다. 그는 베이징에서 이 권법을 가르치며 '천하제일'이라는 명성을 얻을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보였고, 당시 무림 고수들을 차례로 꺾으며 대적할 자가 없다는 평을 들었다.

이후 무술에 관심이 많던 무씨 삼형제(무징청, 무하청, 무여청)가 그에게 가르침을 청했고, 청나라 관리였던 무여청의 추천으로 양로선은 황실 귀족들에게 자신의 권법을 가르치게 되었다. 초기에는 '천하무적권' 등으로 불리다가 점차 '태극권'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태극권'이라는 명칭의 정확한 어원은 불분명하나, 19세기 중반 왕종악의 『태극권론』 등 태극 철학과의 연관성 속에서 정립된 것으로 보인다.[34] 왕종악의 태극권론은 "太極者. 無極而生. 陰陽之母也.|태극자. 무극이생. 음양지모야.중국어"라는 문구로 시작한다.[9] 학자 옹동화가 양로선의 시연을 묘사한 시[10][11][12][13] 역시 태극권이라는 명칭이 공식화되는 데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양씨 가문이 '태극'이라는 이름을 채택했다는 최초의 문헌적 증거는 양로선의 아들 양반후가 1875년경 작성했거나, 20세기 초 그의 제자들이 완성한 문건에서 나타난다.[14][12] 20세기 초반 양징푸의 제자들과 손록당 등이 출판물을 통해 '태극권'이라는 용어를 널리 사용하면서 보편화되었다.[10][15]

그 이전에는 외부인들이 이 무술을 '점권'(沾拳|zhānquán중국어, 접촉 권법), '장권'(長拳|chángquán중국어), '면권'(軟/棉/化拳|ruǎn/mián/huà quán중국어, 부드러운/솜/중화 권법), 또는 '십삼세'(十三式|shísānshì중국어, 13가지 기술) 등으로 불렀다.[8]

가장 흔한 영어 표기인 "tai chi"는 이 무술의 중국어 이름(太極拳|태극권중국어)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적은 "''t'ai chi ch'üan''"(타이치취안)을 영어 사용자들이 축약하고 발음 구별 부호를 생략한 것이다. 현재 중국 대륙의 공식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인 한어 병음으로는 ''tàijíquán''으로 표기한다.[5][6] 영어권에서는 태극권을 "그림자 복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7]

한자웨이드-자일스 표기법중국어 병음의미
태극(太極)t'ai chitàijí태극, 음양의 우주론적 관계
권(拳)ch'üanquán권(拳), 또는 권법



양로선의 태극권이 널리 퍼지자, 진가권의 본거지인 진가구의 명인들도 자극을 받아 기존 진가권의 원리에 양로선 태극권의 부드러움을 접목하여 '진식태극권'(陳式太極拳|Chénshì Tàijíquán중국어)을 발전시켰다. 진씨 17대손인 진발과(陳發科|Chén Fākē중국어)가 베이징에서 부드러움 속에 강맹함이 숨어있는 진식태극권을 선보이자 많은 무림 인사들이 크게 놀라며 그 존재를 알게 되었다고 한다. 이로써 태극권은 크게 진식(陳式|Chénshì중국어)과 양식(楊式|Yángshì중국어)으로 나뉘어 전수되기 시작했다.

이후 수많은 명인들이 배출되어 태극권을 더욱 발전시키고 개량하면서 오늘날에는 진식, 양식 외에도 오식(吳式|Wúshì중국어), 손식(孫式|Sūnshì중국어), 무식(武式|Wǔshì중국어), 동악식(東岳式|Dōngyuèshì중국어) 등 여러 문파가 형성되었다.

태극권의 건강 증진 효과는 일찍부터 알려졌으나, 전통적인 수련 방식은 일반인이 배우기 어려웠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국가체육운동위원회는 태극권의 건강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보급형 투로(套路, 권법의 정해진 동작 순서) 개발에 착수했다. 저명한 무술가들에게 명하여 양식태극권을 바탕으로 동작을 간략화하여 1956년 '간화태극권'(簡化太極拳|Jiǎnhuà Tàijíquán중국어), 즉 '24식 태극권'을 제정했다.[63] 이는 국가가 제정한 투로라는 의미에서 '제정권'(制定拳|Zhìdìngquán중국어)의 시초가 되었다.

간화태극권은 일종의 건강 체조로서 전 세계에 널리 보급되었으며, 이후 경기화를 위한 새로운 투로들이 편찬되면서 스포츠로서의 측면도 강화되었다. 그 한편으로 무술적인 측면에서 제정권을 재해석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일본에서는 양명시가 1970년에 간화태극권을 소개했으며, 1972년 중일 국교 정상화 이후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태극권의 존재가 점차 알려지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의 보급 정책과 일본인들의 관심이 맞물려 건강 체조로서의 제정권이 널리 퍼져나갔다. 특히 격렬한 움직임 없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련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고령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2. 3. 근대화와 표준화

태극권은 예로부터 건강 효과가 알려져 있었지만, 익히기 쉽지 않아 모든 사람이 배우기는 어려웠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9년에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체육운동위원회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새로운 태극권을 만들기로 했다. 전통 태극권의 건강 증진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였다.[63]

이를 위해 저명한 무술가들에게 부드러운 동작을 가진 양식태극권을 바탕으로 동작을 간략화한 새로운 틀을 만들도록 지시했다. 그 결과 1956년간화태극권(24식 태극권)이 제정되었으며[63], 이는 국가가 공식적으로 제정한 '제정권'의 시작이었다. 중국 정부는 1957년부터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이 간화태극권을 보급하기 시작하였다.[78]

이렇게 보급된 제정권은 일종의 건강 체조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나갔으며[79][80][81][82], 현대인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적인 심신 단련 운동으로 평가받고 있다.[79][80][81][82] 또한 태극권의 경기화가 진행되어 그룹 공연이나 경기 대회가 활발히 열리게 되었고, 새로운 틀의 편찬도 이루어졌다. 현대의 태극권은 느리고 부드러운 동작과 편안한 호흡을 통해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안정과 자기 효능감, 인지 기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83][84] 최근에는 운동 경기로서의 측면과 더불어, 무술적인 측면에서 제정권을 재해석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3. 철학적 배경

중국 철학, 특히 도교 철학과 유교는 태극권의 개념적 배경을 이룬다.[16] 초기 태극권 문헌에는 ''주역'', ''대학'', ''서경'', ''사기'', ''장자''와 같은 중국 고전과 주희, 주돈이, 맹자 등 사상가들의 인용이 포함되어 있다.[16]

주돈이의 ''태극도''는 ''태극''의 우주론을 보여준다.


초기 태극권 자료는 ''태극'' 우주론에 기반한다. 이는 도교유교 중국 철학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 음양(
)의 단일한 근원을 의미한다.[17][16] 태극권은 또한 중국의 신체 이론, 특히 도교의 ''내단''(내부 연금술)에서 말하는 ''기''(생명 에너지)와 세 개의 ''단전'' 개념을 따른다. 정만청은 태극권의 도교적 배경을 강조하며, 태극권 수련이 노자의 '기를 모으고 부드러움을 기른다'는 가르침과 일치하여 순수한 양의 단계에 이르게 한다고 설명했다.[16]

이러한 배경에서 태극권은 ''기''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 "내부"(''내가'') 무술로 간주된다.[16] 중국에서 태극권은 중국 무술의 ''무당'' 계열, 즉 내력을 사용하는 무술로 분류된다.[18][19] ''무당''이라는 명칭이 무당산에서 유래했음을 시사하기도 하지만, 주로 ''내가''의 기술과 이론을 소림 계열 또는 ''외가''(경직된 외형적 스타일)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16]

태극권은 부드러움이 경직됨을 이긴다는 도교적 이상, ''무위''(함이 없는 행위), 그리고 상대에게 굴복함으로써 힘을 조절하는 무술 기술을 채택하며, 영적 수양에 대한 도교적 관점을 유지한다.[16] 노자는 ''도덕경''에서 "부드럽고 유연한 것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고 하여 이러한 원리의 바탕을 제시했다.[20]

태극권 수련의 길은 긴장을 풀고, 내면에 주의를 기울이며, 마음과 몸, 호흡을 늦추어 자연스러움을 개발하는 것이다.[16] 이를 통해 수련자는 긴장을 완화하고, 습관적인 반응에서 벗어나며, 생각을 내려놓고 ''기''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여 ''''와 조화를 이루게 된다. 이는 일종의 움직이는 명상으로, 자신을 비우고 무심(''무심'')과 자발성(''자연'')을 경험하도록 이끈다.[16]

태극권 철학의 핵심은 ''음''(부드러움)과 ''양''(단단함)의 상호작용을 활용하는 것이다. 두 힘이 동일하게 맞설 때는 움직임이 없지만, 한쪽이 양보할 때 비로소 움직임이 발생한다. 따라서 태극권의 기본 원리는 힘에 힘으로 직접 맞서는 것(경직성 대 경직성)을 피하는 것이다.[20] 반대로, 유리한 지점을 확보했을 때는 단단함을 사용하여 상대를 제압할 수도 있다. 전통적으로 태극권은 부드러움과 단단함을 모두 사용하며, 음이 양의 근원이 되듯 부드러운 힘을 통해 강한 힘을 발휘한다.

전통적인 문파들은 수련자가 ''무덕''(무술의 덕목)을 갖추어, 약자를 보호하고 상대에게 자비를 베풀어야 함을 강조한다. 전통적인 수련자들은 건강 증진과 무술 단련이라는 두 측면이 태극권의 ''음''과 ''양''을 이룬다고 본다. 각 가문(문파)들은 수련생의 수련 목적과 관계없이 무술적 맥락 안에서 가르침을 전수한다.[50]

2020년 12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부간 위원회 제15차 회의에서 태극권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21]

4. 주요 유파

; 진가태극권 (陳家太極拳)

: 허난성 진가구(陳家溝)의 진씨(陳氏) 일족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온 태극권으로, 모든 태극권의 원류이다. 유연하고 완만한 동작과 함께, 찬사경(纏絲勁, 나선형의 원리에 따른 힘의 운용법)을 통해 전신의 힘을 통일적으로 운용하여 발휘하는 호쾌한 진각(震脚)이나 발경(發勁)이 특징이다. 겉으로 보이는 동작이 비교적 큰 대가식(大架式)과 작은 소가식(小架式) 두 가지 스타일이 주류이며, 대가식에서는 신가식(新架式)이, 신가식에서는 자오바오가식(趙堡架式)이 파생되었다.

: 일반적으로 널리 퍼진 것은 20세기에 진씨 17세손 진발과(陳發科)가 베이징에서 대가 계통을 가르치면서부터이다.

:: 홀뢰가식 (忽雷架式)

:: 진씨 15세손 진청핑(陳淸萍)의 제자인 리징옌(李景炎)이 창시한 유파이다. 완급 변화가 격렬하고 날카로운 동작을 특징으로 한다. 진가 계열의 한 파이지만, 별도의 문파로 취급되기도 한다.

; 양식태극권 (楊式太極拳)

: 진씨 14세손 진장싱(陳長興)의 제자인 양로선(楊露禪)이 창시하여, 19세기 베이징에서 널리 가르쳤다. 이후 양로선의 아들 양건후(楊健侯), 손자 양징푸(楊澄甫)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개량이 이루어졌다. 현재는 양징푸가 개발한 대가식(大架式)의 투로(套路)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대가식의 동작은 시원스럽고 부드러우며, 발경 시 겉으로 격렬한 동작을 하지 않는 점이 진가태극권과의 주요 차이점이다.

: 양식태극권의 이론서로는 양건후의 형 양반후(楊班侯)가 기록한 『태극권구결(太極拳九訣)』과 양징푸가 기록한 『태극권체용전서(太極拳體用全書)』(태극권 사용법에 대한 내용으로, '태극권 노보 삼십이해' 등을 포함) 등이 있다. 중국 정부에서 제정한 간화태극권(簡化太極拳, 제정권)의 기초가 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 오씨 오식태극권 (吳式太極拳)

: 양로선에게 배웠으나 그의 지시로 아들 양반후의 제자가 된 오전우(吳全佑)[71]와, 그의 아들 오감천(吳鑑泉)에 의해 창시되었다. 궁보(弓步) 자세에서 몸을 앞으로 기울이는 전경(前傾) 자세를 취하는 것이 다른 유파와의 차이점이다.[72] 소가식(小架式)의 동작은 긴밀하고 짜임새 있다. 가볍고 민첩하며 원활함이 모든 자세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독특한 풍격을 지닌다.[73] 다양한 투로가 전해지며, 특히 사정추수(四正推手)에서 파생된 십삼식(十三式) 등 추수(推手) 기술이 발달했다.[74] 계통에 따라 보폭이나 자세의 높낮이에 차이가 크다. 오감천이 상하이의 정무체육회에서 가르쳤기 때문에, 중국 본토뿐만 아니라 홍콩을 중심으로 화교 사회에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

; 무씨 무식태극권 (武式太極拳)

: 양로선의 친구인 무우샹(武禹襄)이 양로선에게 진가태극권을 배운 후, 진청핑에게 다시 제자로 들어가 본격적으로 수련하고 독자적인 이론을 더하여 창시했다. 저명한 전승자인 하위전(郝爲眞)의 성을 따서 하식태극권(郝式太極拳)이라고도 불린다. 친족에게만 전수하는 등 보수적인 자세를 유지하여 전승자가 매우 적다. 태극권이라는 명칭의 유래가 되었다고 전해지는 『태극권론(太極拳論)』(또는 태극권보(太極拳譜))은 무우샹의 형 무추잉(武秋瀛)이 발견했다고 전해진다.

; 손씨 손식태극권 (孫式太極拳)

: 손록당(孫祿堂)에 의해 창시되었다. 형의권의 보법(步法), 팔괘장의 신법(身法), 무식태극권의 수법(手法)을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개합(開合) 동작으로 각 자세를 연결하고, 빠른 활보(活步)로 방향을 전환하기 때문에 개합활보태극권(開合活步太極拳)이라고도 불린다.

위 5개의 태극권 유파는 "5대 태극권"이라고 불린다.

; 화식태극권 (和式太極拳)

: 화조원(和兆元)이 진청핑에게 배워 창시했다. 진가태극권과 달리 발경 시 격렬한 동작을 수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오랫동안 진가태극권의 한 분파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독립된 전통 태극권 유파로 인정받고 있다.

; 정자태극권 (鄭子太極拳)

: 양징푸의 제자 정만청(鄭曼靑)이 양식태극권을 정리하여 37개의 자세로 간추린 것이다. 양식 본가로부터 독자성을 완전히 인정받지 못한 점과, 양식보다 더욱 작고 부드러운 동작을 특징으로 하여 별개의 유파로 취급된다. 투로 37식, 양식태극검, 추수, 내공(內功, 기공)으로 구성된다. 학습 내용이 간결하여 간이태극권(簡易太極拳)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양식태극권의 입문용 투로로 가르쳐지기도 한다.

: 정만청이 미국 뉴욕으로 이주하여 현지에서 태극권을 가르쳤기 때문에, 주로 서양인들 사이에서 널리 보급되었다. 명칭이 정식(鄭式)이 아닌 정자(鄭子)인 것은 정만청 스스로 문파를 세우지 않았기 때문이다.

; 종합태극권 (綜合太極拳)

: 중앙국술관 부관장을 지낸 진반령(陳泮嶺)이 창시했다. 양식태극권을 중심으로 진가·오식·무식 태극권을 도입하고, 형의권팔괘장의 기술까지 더하여 99개의 자세로 구성했다. 쌍변태극권(雙邊太極拳), 구십구식태극권(九十九式太極拳), 또는 일본에서는 정종태극권(正宗太極拳)이라고도 불린다.

5. 수련 방법

무술이자 전투술로서 계승되어 온 태극권은 전통권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통권을 바탕으로 경기, 공연, 건강 증진 등을 목적으로 간략화하거나 재구성한 제정권도 존재한다.

전통적인 수련은 일반적으로 기본공에서 시작하여 투로, 추수, 산수 순서로 진행되며, 이를 통해 각 문파의 태극권의 기법을 익힌다. 추수 연습은 투로의 정확성을 높이고 상대방과의 교감 능력을 키우며 무술로서의 이해도를 심화시킨다.[64][65] 추수와 투로는 태극권 수련의 핵심적인 두 축으로 여겨진다.[66]

태극권의 투로는 건강 증진 효과로도 잘 알려져 있어, 무술보다는 건강 체조로 인식되는 경우도 많다. 제정권은 이러한 건강법이나 경기용으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으며, 전통권과는 차이가 있다. 무술 태극권이라는 명칭으로 알려진 경기는 국제적으로 우슈(Wushu)라고 불리며, 태극권, 장권, 남권 등을 포함하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겨루는 스포츠이다. 우슈 경기에 사용되는 것은 주로 제정권이며, 전통권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다.

5. 1. 기본 수련

전통적으로 태극권의 기초 수련은 특정 단독 형태 또는 루틴(투로)을 배우고 연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16] 여기에는 곧은 척추, 복식 호흡 및 자연스러운 동작 범위를 강조하는 일련의 동작을 배우는 것이 포함된다. 태극권은 외부의 힘에 대한 적절한 변화를 아는 것뿐만 아니라, 반대되는 힘으로 맞서기보다는 공격에 굴복하고 방향을 바꾸는 것에 의존한다.[22] 신체 단련 또한 효과적인 자기 방어를 위한 중요한 단계로 간주된다.

태극권 동작은 특히 새와 표범을 포함한 동물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전해진다.[23]

다음과 같은 다양한 단독 수련 방법도 존재한다:[16]

  • 좌선 명상: 마음을 비우고 집중하며 침착하게 하여 소주천을 여는 데 도움을 준다.
  • 입선 명상(참장)으로 양기를 높인다.
  • 기공으로 기를 움직인다.
  • 지압 마사지를 통해 기의 통로에 대한 인식을 발달시킨다.
  • 중의학은 일부 전통 학교에서 고급 수련생들에게 가르친다.[24]


기(qi)의 존재에 대한 과학적 증거는 없으며,[25] 지압[26][27][28] 또는 중의학[29][30]의 효과를 보여주는 증거 역시 위약 효과 이상의 것은 없다.

추가 훈련에는 추수(推手, 밀기 손 훈련), 산수(散手, 타격 기술), 자유 스파링, 그래플링 훈련 및 무기 훈련이 포함된다.[16]

이 무술의 기본적인 훈련 개념은 태극권 고수들이 고대 중국어로 작성한 수십 개의 고전 텍스트, 즉 "태극권 경전"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 텍스트에서 신체 움직임의 생리학적 및 운동학적 측면은 골반을 중심, 팔과 다리를 바퀴의 살로 비유하여 골반의 원형 운동과 회전에 의해 특징지어진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호흡은 근육의 긴장이 아닌 깊은 이완 상태에서 신체 움직임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31]

태극권은 검, 도, 과 같은 맨손 동작 세트와 무기 형식을 모두 갖춘 완벽한 무술 시스템으로, 음양의 역동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태극권은 느린 동작으로 특징지어지지만, 많은 스타일(가장 인기 있는 세 가지 스타일인 양가, 오가, 진가 포함)에는 이차적으로 더 빠른 속도의 형식이 있다. 일부 전통 학교에서는 다양한 형식의 동작(투로)의 무술 응용을 가르친다.

진가구의 그림, 진가 태극권에 따른 ''투로''를 묘사함


투로(套路, 개인 "형식")는 혼자 또는 그룹으로 함께 연습하는 안무된 동작 세트이다. 태극권은 종종 투로 연습에서 느린 동작으로 특징지어지며, 그 이유 중 하나는 신체 인식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혼자 하는 루틴을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연습하면 자세를 재훈련하고, 학생의 몸 전체의 순환을 촉진하며, 유연성을 유지하고, 학생들에게 형식에 내포된 무술 시퀀스를 익숙하게 할 수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서서 수행되는 개인 형식은 앉아서 연습하도록 조정되기도 했다.[32]

도교 수련자들이 수련하고 있다


1956년, 중국 정부는 중국 체육 위원회(CSC)를 후원하여 네 명의 무술 사범들을 모아 양가 수련법을 24 동작으로 축약했다.[39] 이는 고전적인 88~108 동작의 단독 수련법보다 훨씬 배우기 쉬운 루틴을 만들고자 하는 의도에서, 우슈 토너먼트를 위한 태극권을 표준화하려는 시도였다.

1950년대의 또 다른 형태는 양가(Yang), 오가(Wu), 손가(Sun), 진가(Chen), 부가(Fu) 스타일을 혼합한 '97 동작 종합 태극권'이다.

1976년에는 전통적인 형태의 기억력, 균형 감각, 협응력을 요구하지 않는 약간 더 긴 시연 형태를 개발했다. 이는 멘 후이 펑(Men Hui Feng)이 이끄는 세 명의 우슈 코치들이 만든 '48식 종합'이 되었다. 종합 형태는 오리지널 진가(Chen), 양가(Yang), 오가(Wu), 손가(Sun) 스타일의 고전적인 형태를 단순화하고 결합했다. 다른 경쟁 형태는 6분 이내에 완료하도록 설계되었다.

1980년대 후반, CSC는 네 가지 주요 스타일과 종합 형태에 대한 더 많은 경쟁 형태를 표준화했다. 이 다섯 세트의 형태는 서로 다른 팀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나중에 중국의 우슈 코치 위원회에서 승인되었다. 이 형태들은 그들의 스타일에 따라 명명되었다. '진가식 국가 경쟁 형태'는 '56식'이다. 종합 형태는 '42식' 또는 간단히 '경쟁 형태'이다.

1990년 제11회 아시안 게임에서, 우슈는 태극권을 대표하는 '42식'과 함께 처음으로 경쟁 종목으로 포함되었다. 국제 우슈 연맹(IWUF)은 우슈올림픽 종목으로 포함시키기 위해 신청했다.[40]

태극권은 2020년 중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41]

5. 2. 무기 수련



태극권에는 무기를 사용하는 연습도 존재한다. 무기 훈련 및 펜싱 응용에는 다음과 같은 무기들이 사용된다.

  • 검(劍): 양날의 곧은 검으로, 태극검으로 수련한다.
  • 도(刀): 더 무겁고 굽은 칼로, 때로는 대도(大刀)라고도 불린다.
  • 철선: 접는 부채로, 산(扇)이라고도 하며 태극산으로 수련한다.
  • 곤(棍): 길이 2m의 나무 막대기로, 태극곤으로 수련한다.
  • 창(槍): 길이 2m의 창 또는 길이 4m의 랜스이다.


더 이국적인 무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큰 대도(大刀)와 포도(撲刀) 검
  • (戟), 즉 할버드(halberd)
  • 지팡이
  • 승표(繩鏢), 즉 밧줄 다트
  • 삼절곤
  • 풍화륜
  • 올가미
  • 채찍, 쇠사슬 채찍 및 강철 채찍

6. 건강 효과 및 의학적 활용



베이징 천단에서 야외 수련


양식 태극권을 하는 중국 여성


태극권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배울 수 있는 대중적인 권법으로, 특히 양생 효과가 뛰어나다는 인식이 있어 많은 사람이 수련한다. 이러한 효과는 의학적으로도 일부 검증되었으며, 이로 인해 관절염 환자를 위해 높은 동작을 줄이거나 노인을 위해 발경 동작을 간소화하는 등 특정 집단을 위한 개량된 형태가 개발되기도 했다.[16] 1950년대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개량 및 보급 노력으로 태극권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전통적으로 수련자들은 건강과 무술의 두 측면을 태극권의 ''음''과 ''양''으로 여긴다.[50]

태극권의 건강 훈련은 주로 신체와 정신의 스트레스 완화에 초점을 맞춘다. 21세기에 들어서는 병원, 진료소, 지역사회 센터, 노인 센터 등에서 순수하게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태극권 강좌가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노인을 위한 저강도 훈련 방식이 널리 알려졌다.[51] 이처럼 건강과 장수에 좋다고 여겨져, 격투기나 호신술보다는 건강법으로 배우는 사람이 많다. 중국 등지에서는 아침 공원에 모여 태극권을 연습하는 시민들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으며, 일본 후쿠시마현 기타카타시처럼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태극권을 장려하는 사례도 있다.[68]

태극권이 특정 질병이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 연구가 존재하지만, 연구 설계나 방법의 일관성이 부족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평가가 있다.[52] 미국 국립 보건원(NIH)은 2022년 분석을 통해 태극권 관련 연구 증거의 질이 전반적으로 낮지만, 삶의 질에는 약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 내렸다.[58] 2015년 호주 보건부의 검토에서도 제한된 수의 인구 집단에서 특정 결과에 대해 약간의 건강상 이점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낮은 품질의 증거가 있다고 평가했다.[54]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여러 연구 및 검토에서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들이 보고되었다.

  • 낙상 예방: 2017년의 체계적 검토에서는 노인의 낙상 위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5] 2011년의 포괄적인 개요 연구에서도 노인의 낙상 예방에 긍정적인 결과가 발견되었다.[53]
  • 정신 건강 및 삶의 질: 2011년 연구 개요에서는 노인의 전반적인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다.[53] 2020년의 13개 연구 검토에서는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만성 질환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우울증 증상 완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했다.[57]
  • 만성 질환 관리: 2015년 체계적 검토에 따르면, 만성 폐쇄성 폐 질환, 심부전, 골관절염과 같은 만성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부작용 없이 태극권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능적 운동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56] 하버드 대학교의 연구에서는 골관절염 통증 완화에 수술 대신 태극권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70]
  • 인지 기능 향상: 건강한 성인의 주의력, 학습, 기억, 지각 등 폭넓은 사고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7]
  • 기타 건강 지표: 미국에서는 2007년 조사 당시 약 230만 명의 성인이 건강 유지를 위해 태극권을 수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립 보완 및 통합 건강 센터(NCCIH)의 연구에서는 태극권 수련자의 혈압이 낮아지는 결과가 다수 보고되었다.[69]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파킨슨병 재단이나 호주 당뇨병 협회와 같은 일부 기관에서는 태극권을 권장하기도 한다.[53] 그러나 전반적으로 태극권의 의학적 효과에 대한 의학적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53][54]

한편, 태극권 수련과 관련하여 언급되는 (氣)의 개념이나 기공, 지압, 중의학 등의 효과에 대해서는 과학적 증거가 없거나[25] 위약 효과 이상의 효과를 입증하는 증거가 부족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26][27][28][29][30]

7. 현대의 태극권

태극권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어 대중화된 권법이다. 특히 양생 효과가 뛰어나 의학적으로도 그 효과가 검증되어 많은 사람들이 수련하고 있다. 관절염 환자를 위해 높은 자세의 동작을 줄이고, 노인을 위해 발경 동작을 간소화하는 등 현대인의 신체 조건에 맞게 개량되었다. 1950년대 들어 중국 정부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태극권을 개량하여 보급했는데, 이는 태극권의 명성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진식 태극권은 외가권과 유사한 면이 가장 많이 남아있는 유파로 평가받으며, '포추'와 같은 투로는 소림권과 같은 외가권만큼 격렬한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현대에 널리 알려진 느린 동작의 태극권은 1950년대 중국 정부와 국가체육운동위원회가 대중 보급을 위해 부드러운 동작 위주의 양식 태극권을 기반으로 개선한 간화태극권에서 비롯되었다. 1957년부터 국민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78] 이 간화태극권은 전 세계적으로 현대인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적인 심신 단련 운동으로 자리 잡았다.[79][80][81][82] 태극권 수련 시 다양한 신체 동작을 통해 느리고 부드럽게 체중을 이동하고 편안하게 호흡하는 과정은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자기 효능감 및 인지 기능 향상 등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3][84]

가장 흔한 영어 표기인 "tai chi"는 표준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이 아니다. 이 명칭은 원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따라 "''t'ai chi ch'üan''"으로 표기되었으나, 영어권 사용자들이 이를 "''t'ai chi''"로 줄여 사용하면서 정착되었다. 20세기 후반 중국에서 중국어 병음이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채택되면서, 태극권은 tàijíquánzho으로 표기하는 것이 표준이 되었다.[5][6] 영어권에서는 태극권을 "그림자 복싱(shadow boxin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7]

한자웨이드-자일스 표기법중국어 병음의미
太極|타이지zhot'ai chitàijí태극, 음양의 우주론적 관계
拳|취안zhoch'üanquán권(拳), 또는 권법



태극권이라는 이름의 정확한 어원은 기록 부족으로 불확실하다. 19세기 중반 이전에는 외부인들이 이 무술을 주로 '접촉 권법'이라는 의미의 沾拳|잔취안zho, '긴 권법'이라는 의미의 長拳|창취안zho(여기서 '장(長)'은 '지속적인'의 의미이며, 다른 무술인 장권과는 구별된다), '부드러운 권법'이라는 의미의 면권(綿拳, 軟/棉/化拳|롼/몐/화취안zho), 또는 '13가지 기술'이라는 의미의 十三式|스싼스zho 등으로 불렀다.[8]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이 무술은 태극 철학과 연관되기 시작했다.[34] 이러한 연관성은 오(호)식 태극권 창시자들의 저작물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은 전설적인 인물 왕종악이 썼다고 전해지는 태극권 고전(太極拳古典)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다. 태극권 고전은 "太極者. 無極而生. 陰陽之母也.|태극자. 무극이생. 음양지모야.zho"(태극은 무극에서 나와 음양의 어머니이다)라는 문구로 시작한다.[9] 하지만 오(호)식 창시자들은 자신들의 무술을 널리 알릴 경제적 여력이 부족했기에, '태극권 고전'에 대한 그들의 기여는 오랫동안 널리 퍼지지 않았다. '태극'과 이 무술 사이의 연관성이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드러난 것은 학자 옹동화가 양로선의 태극권 시연을 보고 쓴 시(詩)에서였다.[10][11][12][13] 옹동화가 새로운 연관성을 만든 것인지, 아니면 '태극권'이라는 이름이 이미 사용되고 있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양씨 가문이 '태극'이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했다는 기록은 양로선의 아들 양반후가 1875년에 완성했거나, 20세기 초 그의 제자 중 한 명이 완성한 문헌에서 처음 나타난다.[14][12] 20세기 초반, 양징푸의 제자들과 손록당은 자신들의 저술에서 '태극권'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태극권 고전의 제목에도 이 용어를 포함시켰다. 이후 1929년에 사망한 진씨 가문의 진흠의 저서에도 이 용어가 등장한다.[10][15]

1956년, 중국 정부는 국가체육운동위원회(CSC)를 통해 네 명의 우슈 사범을 모아 양식 태극권을 기반으로 24식 태극권을 만들었다.[39] 이는 기존의 88~108 동작으로 구성된 투로보다 훨씬 배우기 쉬운 투로(套路)를 만들어 대중에게 보급하고, 우슈 대회를 위한 표준화된 태극권 형식을 마련하려는 목적이었다.

1950년대에는 양(Yang), 오(Wu), 손(Sun), 진(Chen), 부(Fu) 스타일을 혼합한 "97 동작 종합 태극권"도 만들어졌다.

1976년에는 전통적인 투로만큼 기억력, 균형 감각, 협응력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조금 더 긴 시연 형태를 개발했는데, 이는 门惠丰|먼후이펑zho이 이끄는 세 명의 우슈 지도자들이 만든 "48식 종합 태극권"이다. 이 종합 투로는 기존의 진(Chen), 양(Yang), 오(Wu), 손(Sun) 스타일의 고전적인 형태를 단순화하고 결합한 것이다. 이외에도 6분 이내에 완료하도록 설계된 다른 경기용 투로들도 개발되었다.

1980년대 후반, 국가체육운동위원회는 4대 주요 스타일(진, 양, 오, 손)과 종합 형태에 기반한 추가적인 경기용 투로들을 표준화했다. 이 다섯 세트의 투로는 각기 다른 팀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이후 중국 우슈 지도자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이 투로들은 각 스타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는데, 예를 들어 "진식 국가 경쟁 투로"는 "56식"으로 알려져 있다. 종합 형태는 "42식" 또는 간단히 "경쟁 투로"라고 불린다.

1990년 제11회 아시안 게임에서 우슈가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을 때, 태극권 종목에서는 "42식 투로"가 대표적으로 시연되었다. 국제 우슈 연맹(IWUF)은 우슈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40]

태극권은 2020년 중국에 의해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41]

무술로서 태극권은 공격보다는 방어를 강조하며, 부드러움으로 강함을 제압하는 원리를 중시한다. 격투 상황에서 태극권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은 수련생의 무술 이해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여겨진다. 이는 주로 다른 수련생들과의 대련을 통해 증명된다. 수련자들은 다른 문파나 무술 스타일의 수련생들과 추수(推手, 밀기)나 산수(散手) 시합을 통해 자신의 기량을 시험한다.

8. 한국의 태극권

(해당 섹션 제목 '한국의 태극권'에 부합하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아,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Combat Techniques of Taiji, Xingyi, and Bagua: Principles and Practices of Internal Martial Arts
[2] 웹사이트 Slow and Steady: The Health Benefits of Tai Chi https://health.cleve[...] Cleveland Clinic 2023-09-05
[3] 서적 The Shaolin Monastery: History, Religion, and the Chinese Martial Arts
[4] 웹사이트 Tai Chi now on Unesco's intangible heritage list https://www.scmp.com[...] 2023-07-17
[5] 웹사이트 Tai Chi? T'ai Chi? or Taiji? https://dochenstylet[...] 2022
[6] 뉴스 Zhou Youguang, Who Made Writing Chinese as Simple as ABC, Dies at 111 https://www.nytimes.[...] 2017-01-14
[7] 간행물 Is There Such a Thing as Chinese Philosophy Arguments of an Implicit Debate https://lirias.kuleu[...] 2001
[8] 웹사이트 Thirteen Postures of Taijiquan http://www.egreenway[...] 2021
[9] 문서 Taijiquan Jing
[10] 서적 Davis 2004, p. 38-40
[11] 서적 Wile 1996, p. 20
[12] 서적 Li Jianqing, p. 37-38
[13] 서적 Yang Chengfu Style Taijiquan 广西民族出版社 (Guangxi Minzu Publishing) 1993
[14] 문서 Yang Banhou 1875
[15] 문서 Sun Lutang 1921
[16] 잡지 Taijiquan and Daoism: From Religion to Martial Art and Martial Art to Religion http://blackmoonharb[...] Via Media Publishing 2007
[17] 서적 Cheng-Tzu's Thirteen Treatises on T'ai Chi Ch'uan North Atlantic Books
[18] 서적 Xing Yi Quan Xue Unique Publications
[19] 웹사이트 Internal power in Taijiquan http://www.ctnd.de/w[...] CTND 2010
[20] 서적 Tao Te Ching 249
[21] 웹사이트 Decision of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15.COM 8.b.21 https://ich.unesco.o[...] UNESCO 2020
[22] 서적 The Complete Book of Tai Chi Chuan: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Principles Element Books Ltd 1996
[23] 서적 The Heart of the Dragon Houghton Mifflin
[24] 서적 Wu Family T'ai Chi Ch'uan (吳家太極拳) Chien-ch'uan T'ai-chi Ch'uan Association
[25] 웹사이트 Your Body's Alleged Energy Fields
[26] 잡지 Continuous PC6 wristband acupressure for relief of nausea and vomiting associated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 partially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2003-06
[27] 잡지 Acupuncture is theatrical placebo 2013-06
[28] 서적 Evidence-based Non-pharmacological Therapies for Palliative Cancer Car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29] 잡지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main premis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20-05
[30] 잡지 Hard to swallow 2007-07
[31] 서적 The Taijiquan Classics
[32] 서적 Tai Chi in a Chair https://www.healingt[...] Fair Winds Press 2001
[33] 간행물 Fighting Words: Four New Document Finds Reignite Old Debates in Taijiquan Historiography
[34] 잡지 Ignorance, Legend and Taijiquan http://www.nardis.co[...]
[35] 서적 Old frame Chen family Taijiquan North Atlantic Books : Distributed to the book trade by Publishers Group West
[36] 서적 T'ai-chi Touchstones: Yang Family Secret Transmissions Sweet Ch'i Press
[37] 웹사이트 Origins and Development of Taijiquan http://www.chinafrom[...] 2016-08-20
[38] 웹사이트 Taijiquan – Brief Analysis of Chen Family Boxing Manuals http://www.chinafrom[...] 2016-08-20
[39] 서적 Martial Arts Politics Explained
[40] 웹사이트 Wushu likely to be a "specially-set" sport at Olympics http://en.olympic.cn[...] Chinese Olympic Committee 2007-04-13
[41] 웹사이트 Taijiquan https://ich.unesco.o[...] UNESCO Culture Sector 2021-03-06
[42] 웹사이트 This Arcadia tai chi master teaches people how to stretch, fight with ‘kinetic’ style https://www.pasadena[...] 2024-11-09
[43] 서적 Tai Chi Chuan Memorial Edition 1994 1985
[44] 서적 Ting: The Caldron, Chinese Art and Identity in San Francisco Glide Urban Center
[45] 뉴스 Sophia Delza Glassgold, 92, Dancer and Teacher https://www.nytimes.[...] 2017-02-18
[46] 웹사이트 Inventory of the Sophia Delza Papers, 1908–1996 https://www.nypl.org[...] Jerome Robbins Dance Division, New York Public Library for the Performing Arts 2014-12-24
[47] 서적 There Are No Secrets: Professor Cheng Man Ch'ing and His Tai Chi Chuan https://books.google[...] North Atlantic Books
[48] 뉴스 Marshalling praise for art of Tai Chi https://www.thestar.[...] 2008-02-11
[49] 뉴스 Pytt Geddes (obituary) https://web.archive.[...] 2020-01-16
[50] 간행물 T'AI CHI Wayfarer Publications 1997-06
[51] 간행물 Pivot – Qi Insight Graphics Publishers 2002-09
[52] 간행물 Evidence base of clinical studies on Tai Chi: a bibliometric analysis 2015
[53] 간행물 Systematic reviews of t'ai chi: An overview
[54] 웹사이트 Review of the Australian Government Rebate on Natural Therapies for Private Health Insurance https://web.archive.[...] Australian Government – Department of Health 2015-12-12
[54] 웹사이트 Australian review finds no benefit to 17 natural therapies https://www.scienceb[...] 2015-11-19
[55] 간행물 Tai Chi for Risk of Falls. A Meta-analysis. 2017-09
[56] 간행물 The effect of Tai Chi on four chronic conditions – cancer, osteoarthritis, heart failure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http://bjsm.bmj.com/[...] 2015-10-09
[57] 간행물 Effectiveness of tai chi on quality of life, depressive symptoms and physical func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lsevier 2020
[58] 웹사이트 Tai Chi: What You Need To Know https://www.nccih.ni[...]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10-12
[59] 서적 観戦必携/すぐわかる スポーツ用語辞典 中山俊介 1998-01-20
[60] 서적 昭代叢書・内家拳法 上海古籍出版社
[61] 논문 養生武術の形成過程に関する研究 : 民間武術から太極拳への変遷を中心に https://hdl.handle.n[...]
[61] 서적 少林武当考 太極拳与内家拳 内家拳 山西科学技術
[61] 서적 中国武術史 : 先史時代から十九世紀中期まで 技藝社
[61] 서적 中国武術史大観 福昌堂
[62] 서적 少林武当考 太極拳与内家拳 内家拳 山西科学技術
[63] 웹사이트 競賽套路的由來 http://www.wutaiji.o[...] 2019-06-03
[64] 문서 達人・劉慶洲老師が基礎から教える太極推手入門のp3より抜粋
[65] 문서 推手鍛錬秘訣 第1巻(DVD)の導入部より抜粋
[66] 문서 達人・劉慶洲老師が基礎から教える太極推手入門 p2より引用
[67] 웹사이트 Try Tai Chi for better balance and thinking skills https://www.health.h[...] 2021-02-21
[68] 웹사이트 日本武術太極拳連盟 http://www.jwtf.or.j[...]
[69] 웹사이트 統合医療情報発信サイト http://www.ejim.ncgg[...]
[70] 웹사이트 Tai chi may be as good as physical therapy for arthritis-related knee pain - Harvard Health Blog - Harvard Health Publishing https://www.health.h[...]
[71] 서적 正宗吳式太極拳
[72] 서적 正宗吳式太極拳
[73] 서적 正宗吳式太極拳
[74] 서적 正宗吳式太極拳
[75] 서적 簡化24式太極拳で骨の髄まで練り上げる技法
[76] 웹사이트 キングダム特別動画にキョウカイ役で出演。山本千尋が語る撮影当時と女優の今|エンタメ https://sportiva.shu[...] 集英社のスポーツ総合雑誌 スポルティーバ 公式サイト web Sportiva 2020-12-16
[77] 웹사이트 中國香港吳式太極拳總會-競賽套路的由來 http://www.wutaiji.o[...]
[78] 웹사이트 中國香港吳式太極拳總會-競賽套路的由來 http://www.wutaiji.o[...]
[79] 뉴스 [타이치이-태극권] 노약자도 '거뜬' 운동효과 '그만' http://www.koreadail[...] 중앙일보 2018-12-25
[80] 웹사이트 ‘건강 100세’ 지름길, 10분 태극권 운동 http://health.chosun[...] 헬스조선
[81] 웹사이트 Adoption of a Tai Chi Intervention, Tai Ji Quan: Moving for Better Balance, for Fall Prevention by Rural Faith-Based Organizations, 2013–2014 https://www.cdc.gov/[...]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82] 웹사이트 https://www.cdc.gov/[...]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83] 논문 태극권이 파킨슨병 환자의 우울,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http://citeseerx.ist[...]
[84] 논문 태극권 프로그램이 파킨슨병 환자의 하지근력, 관절의 유연성, 균형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https://j.kafn.or.kr[...] 2018-12-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