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광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자 광학은 빛의 양자화된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로, 빛을 광자로 간주하여 빛과 물질의 상호 작용을 탐구한다. 19세기 말 흑체 복사 연구와 광전 효과 발견을 통해 양자 광학의 토대가 마련되었으며, 레이저 과학의 발달과 함께 중요한 연구 분야로 자리 잡았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양자 얽힘, 양자 텔레포테이션, 양자 정보 이론 등이 있으며, 광자 공학 분야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분야의 연구는 여러 차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오늘날에도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양자광학 |
---|
2. 역사
1899년 막스 플랑크가 개별 에너지 단위로 방출되는 빛의 가설 하에 흑체 복사 스펙트럼을 정확하게 모델링하고,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광전 효과를 설명하면서 빛의 양자화 개념이 등장했다. 닐스 보어는 양자화된 빛 방출 가설이 원자의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 이론과 일치함을 보였다. 이러한 발견은 양자역학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8]
1950년대와 60년대에 조지 수다르샨, 로이 글라우버, 레오나드 만델 등은 전자기장에 양자론을 적용하여 빛의 통계와 감지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이들은 빛을 완전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고전 전자기학을 넘어서는 코히런트 상태와 같은 새로운 개념이 필요함을 보였다. 1977년에는 H. 제프 킴블 등이 단일 원자가 한 번에 하나의 광자를 방출하는 현상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여 빛이 광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했다.[8]
Q 스위칭과 모드 동기 기술로 초단 펄스 레이저가 개발되면서 초고속 현상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는 라만 분광과 같은 고체 연구, 물질에 대한 빛의 역학적 힘 연구에 응용되었고, 광학 트랩과 광 핀셋을 이용한 원자 구름 제어, 도플러 냉각을 통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연구로 이어졌다.[8]
양자 얽힘, 양자 텔레포테이션, 양자 논리 게이트 등의 발견은 양자 정보 이론 발전에 기여했다. 현대 양자 광학은 매개 변수 하향 변환, 매개 변수 발진, 아토초 빛 펄스, 단일 원자 조작,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응용, 결맞는 완전 흡수체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일부는 광자학으로 분류되기도 한다.[8]
양자 광학 연구는 여러 차례 노벨상을 수상했다.
연도 | 수상자 | 업적 |
---|---|---|
2012년 | 세르주 아로슈, 데이비드 와인랜드 | 개별 양자계에 대한 계측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획기적인 실험적 기법[9] |
2005년 | 테오도르 헨슈, 존 홀, 로이 글라우버 | 광 결맞음의 양자 이론에 대한 공헌[10] |
2001년 | 볼프강 케테르레, 에릭 코넬, 칼 와이먼 | 묽은 알칼리 원자 기체에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을 구현하고 응축체의 성질에 대한 초기 기초 연구[11] |
1997년 | 스티븐 추, 클로드 코헨-타누지,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 | 레이저 냉각을 이용한 원자 포획 방법 개발[12] |
2. 1. 양자 광학의 태동
막스 플랑크는 1899년에 빛이 에너지의 이산 단위로 방출된다는 가설 하에 흑체 복사 스펙트럼을 정확하게 모델링하여 양자 광학의 태동에 기여했다.[1]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광전 효과를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하여 빛의 양자화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했고, 이 업적으로 192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 닐스 보어는 광학 방사선의 양자화 가설이 원자의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에 대한 자신의 이론, 특히 수소에서 방전 가스 방전 램프의 스펙트럼과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2. 2. 양자역학의 발전과 양자전자공학
빛과 물질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는 양자 역학의 발전에 매우 중요했다. 1960년대에 물질-빛 상호 작용을 다루는 양자 역학의 하위 분야는 빛보다는 물질에 대한 연구로 간주되어 원자 물리학과 양자 전자 공학으로 불렸다. 레이저 과학(레이저의 원리, 설계 및 응용에 대한 연구)의 발전은 중요한 분야가 되었으며, 레이저의 원리를 뒷받침하는 양자 역학은 빛의 특성에 더 중점을 두고 연구되었다.[7]2. 3. 양자 광학의 발전
레이저 과학이 좋은 이론적 토대를 필요로 했고, 곧 이러한 연구가 매우 유익했기 때문에 양자 광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폴 디랙의 양자장론 연구에 이어, 존 R. 클라우더, 조지 수다르샨, 로이 글라우버, 레너드 만델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양자 이론을 전자기장에 적용하여 광검출과 빛의 통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이해를 얻었다(결맞음도 참조). 이를 통해 결맞은 상태가 레이저 빛, 열적 빛, 특이한 압착 상태 등을 해결하는 개념으로 도입되었으며, 빛은 고전적인 그림에서 파동을 설명하는 전자기장만으로는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77년 H. 제프 킴블 등은 한 번에 하나의 광자를 방출하는 단일 원자를 시연하여 빛이 광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추가적인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시했다. 이후 압착된 빛과 같이 고전적인 상태와 특성이 다른 알려지지 않은 빛의 양자 상태가 발견되었다.2. 4. 초고속 프로세스 연구와 응용
Q 스위칭 및 모드 잠금 기술로 생성된 짧고 초단 레이저 펄스의 개발은 초고속 프로세스로 알려진 현상에 대한 연구의 길을 열었다.[1] 라만 분광법과 같은 고체 물리학 연구에 응용되었고, 물질에 대한 빛의 기계적 힘이 연구되었다. 이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광학 트랩 또는 광학 핀셋에 있는 원자 구름이나 심지어 작은 생물학적 샘플을 공중 부양시키고 위치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도플러 냉각 및 시지프스 냉각과 함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기술이었다.2. 5. 양자 정보 과학으로의 확장
양자 얽힘의 증명, 양자 텔레포테이션, 양자 논리 게이트와 같은 주목할 만한 결과들이 있다.[1] 양자 논리 게이트는 양자 정보 이론에서 매우 큰 관심을 받고 있는데, 이 이론은 부분적으로 양자 광학에서, 부분적으로는 이론 컴퓨터 과학에서 등장했다.[1]2. 6. 현대 양자 광학 연구 분야
매개 변수 하향 변환, 매개 변수 진동, 더 짧은(아토초) 빛 펄스, 양자 정보를 위한 양자 광학의 사용, 단일 원자의 조작,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및 그 응용과 조작 방법(하위 분야는 종종 원자 광학이라고 함), 결맞는 완벽 흡수체 등은 오늘날 양자 광학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는 분야이다.[1] 이러한 주제들은 특히 공학 및 기술 혁신에 적용될 때 현대 광자 공학이라는 용어로도 불린다.2. 7. 양자 광학과 광자 공학
오늘날 양자 광학 연구자들의 관심 분야는 매개 변수 하향 변환, 매개 변수 진동, 더 짧은(아토초) 빛 펄스, 양자 정보를 위한 양자 광학의 사용, 단일 원자의 조작,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그 응용, 그리고 그것들을 조작하는 방법(하위 분야는 종종 원자 광학이라고 함), 결맞는 완벽 흡수체 등이 있다. 양자 광학이라는 용어로 분류되는 주제, 특히 엔지니어링 및 기술 혁신에 적용되는 주제는 종종 현대 용어인 광자 공학으로 통칭된다.[1]3. 개념
양자역학에 따르면 빛은 전자기파일 뿐만 아니라 진공에서 빛의 속도인 ''c''로 이동하는 광자라고 하는 입자의 흐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입자는 고전적인 당구공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유한한 영역에 퍼져 있는 파동 함수로 설명되는 양자역학적 입자로 간주해야 한다.
각 입자는 ''hf''와 같은 하나의 에너지 양자를 전달하며, 여기서 ''h''는 플랑크 상수이고 ''f''는 빛의 주파수이다. 단일 광자가 소유한 에너지는 광자를 방출한 원자(또는 다른 시스템)의 이산 에너지 준위 간의 전이에 정확히 해당한다. 광자의 물질 흡수는 그 반대 과정이다. 자발 방출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설명은 또한 유도 방출의 존재를 예측했으며, 이는 레이저의 기초가 되는 원리이다. 그러나 수년 후 메이저(및 레이저)의 실제 발명은 개체수 반전을 생성하는 방법에 의존했다.
통계 역학의 사용은 양자 광학의 개념에 기본적인 것이다. 빛은 광자의 생성 및 소멸을 위한 장 연산자, 즉 양자 전기역학의 언어로 설명된다.
자주 접하는 빛장의 상태는 1960년에 E.C. 조지 수다르샨에 의해 소개된 코히어런트 상태이다. 이 상태는 레이저 임계값보다 훨씬 높은 단일 주파수 레이저의 출력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푸아송 분포 광자 수 통계를 나타낸다. 특정 비선형 광학적 상호 작용을 통해 코히어런트 상태는 압착 연산자를 적용하여 초 푸아송 또는 푸아송 미만 광자 통계를 나타낼 수 있는 압착 코히어런트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빛을 압착광이라고 한다. 다른 중요한 양자 측면은 다른 빔 간의 광자 통계의 상관 관계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자발적 매개 변수 하향 변환은 소위 '쌍둥이 빔'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상적으로) 한 빔의 각 광자는 다른 빔의 광자와 연관된다.
원자는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따라 빛의 흡수 또는 방출에 의해 구동되는 에너지 고유 상태 간의 전이를 통해 이산 공간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가진 양자 역학적 발진기로 간주된다.
고체 물질의 경우 고체 물리학의 에너지 띠 모델을 사용한다. 이는 실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체 장치에 의해 빛이 어떻게 감지되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4. 양자전자공학
양자전자공학에서 전자의 양자 호핑 유도 수송은 탄도 및 확산 수송보다 더 중요해진다. 벨 연구소의 대니얼 로드(Daniel Rode)의 로드 모델과 MIT의 슈양탕과 밀드레드 드레셀하우스의 탕-드레셀하우스 이론에 따르면, 양자 수송의 메커니즘은 전자당 운반되는 엔트로피의 최대값을 관찰함으로써 열전력 측정을 통해 여전히 감지할 수 있다.[7]
5. 노벨 물리학상
- 2012년: 세르주 아로슈, 데이비드 와인랜드 "개별 양자계에 대한 계측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획기적인 실험적 기법에 대한 업적"[9]
- 2005년: 테오도르 헨슈, 존 홀, 로이 글라우버[10]
- 2001년: 볼프강 케테르레, 에릭 코넬, 칼 와이먼[11]
- 1997년: 스티븐 추, 클로드 코헨-타누지,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12]
참조
[1]
서적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inform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
뉴스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22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23-06-09
[3]
뉴스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2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2-10-09
[4]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5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15-10-14
[5]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1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15-10-14
[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97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15-10-14
[7]
서적
Quantenelektronik
Deutscher Verlag der Wissenschaften
[8]
서적
Quantum computation and quantum inform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9]
뉴스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2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2-10-09
[10]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5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15-10-14
[1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1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15-10-14
[1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97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15-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