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양재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양재천은 과천시 관악산에서 시작하여 탄천으로 흘러드는 총 길이 15.6km의 하천으로, 과거에는 공수천, 학탄 등으로 불렸다. 1970년대 초 수로 변경 공사로 탄천의 지류가 되었으며, 구룡산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현재는 생태 복원 사업을 통해 자연형 하천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공원으로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양재천은 과천시, 서초구, 강남구를 지나며, 주변에는 자전거 도로, 산책로, 시민 편의 시설 등이 마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천시의 지리 - 관악산
    관악산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있는 높이 629m의 산으로, 험준한 봉우리와 기암절벽, 깊은 계곡으로 유명하며 효령대군과 관련된 연주대와 연주암이 있고,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풍수지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방송 송신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과천시의 지리 - 남태령
    남태령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경기도 과천시를 연결하는 고개로, 조선 시대에는 한양에서 삼남 지방으로 가는 주요 길목이었으며 정조가 이름을 하사했고 소설 《춘향전》에도 등장한다.
  • 서울 강남구의 지리 - 구룡산 (서울)
    구룡산은 서울 서초구와 강남구에 걸쳐 있으며 아홉 마리 용의 전설에서 유래되었고, 과거 영녕릉이 있었으며 현재 국가정보원이 인접해 있고, 물박달나무 군락지 등 지형적 특징과 다양한 등산로를 갖춘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 서울 강남구의 지리 - 반포천
    반포천 유역분리터널은 서울시가 강남역 일대 침수 문제 해결을 위해 2021년 12월까지 시공하기로 한 배수 시설로, 교대역 부근 빗물을 강남역을 거치지 않고 고속버스터미널 부근으로 연결하여 반포천 상류 통수 능력을 보강하고 강남대로 배수구역 경계를 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서울 서초구의 지리 - 남태령
    남태령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경기도 과천시를 연결하는 고개로, 조선 시대에는 한양에서 삼남 지방으로 가는 주요 길목이었으며 정조가 이름을 하사했고 소설 《춘향전》에도 등장한다.
  • 서울 서초구의 지리 - 우면산
    우면산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와 경기도 과천시에 걸쳐 있으며, 소가 누워 있는 모습과 닮아 우면산으로 불리고, 과거 관악산과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분리되었으며, 2011년 산사태가 발생한 바 있다.
양재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양재천
한자 표기良才川
로마자 표기Yangjaecheon
지리 정보
발원지경기도과천시
하구탄천서울특별시강남구)
유로과천시
서울특별시강남구
길이18.5 km
수계 정보
수계한강
기타 정보
미래유산 지정서울미래유산
관련 정보강남구청
이미지
양재천의 모습
양재천의 모습
양재천의 모습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울특별시)|강남구]] 도곡동)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의 양재천 모습
과천중앙공원 주변의 양재천
과천중앙공원 주변의 양재천

2. 명칭

옛 이름으로는 '''공수천'''(公需川 또는 公須川)이 있으며, 김정호대동여지도에도 기재된 명칭인 '''학탄'''(鶴灘, 학여울)이 있다.[6]

3. 역사

강남 개발 이전에는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미도아파트 부근에 포구(浦口)가 있었으나, 현재는 개포동(開浦洞)이라는 지역 명칭으로만 남아있다.[6] 개포동은 개발 전 양재천의 영향으로 갯벌이었으나, 개간을 통해 사람이 살 수 있게 되면서 열 개·물가 포, 개포동이 되었다.[6]

1970년대 이전에는 한강으로 직접 흘러들었으나, 1970년대 초 수로변경공사를 통해 송파강을 메우고 송파강 일부 구간이 탄천에 속하게 되면서 탄천의 지류가 되었다.[6]

전설에 따르면, 열 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것을 본 임신한 여성이 놀라 소리를 지르자 한 마리가 떨어져 죽고 아홉 마리만 하늘로 올라갔는데, 죽은 용이 있던 자리가 양재천(良才川)이 되고 아홉 마리가 승천한 자리가 구룡산이 되었다고 한다.[4]

4. 양재천의 유래 및 설화

조선시대 양재동에는 한양과 삼남 지방을 이어주는 역참(驛站)으로 양재역(良才驛)이 있었는데, 『한국지명총람』에는 “쓸 만한 인재들이 모여 살아 양재동(良才洞)이라 했다.”고 한다.[5] 양재천은 양재동을 관류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옛 이름을 살펴보면 『동국여지승람』에는 공수천(公需川), 『대동여지도』에서 상류는 공수천(公須川), 하류는 학탄(鶴灘, 학여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5]

양재천은 구룡산과 관련된 설화를 가지고 있다. 구룡산에는 원래 용 10마리가 살고 있었는데 이들이 하늘로 승천하다가 그 중 한 마리가 임신한 여자를 보고 놀라서 양재천에 떨어져 죽고 나머지 9마리만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여 산 이름이 구룡산이 되었다 한다.[5] 구룡산(九龍山)에는 아홉 개의 골짜기, 아홉 개의 봉우리, 아홉 개의 우물이 있다. '구룡(九龍)'이라는 이름은 '아홉 마리의 용'에서 유래했다. 구룡산의 최고봉은 국수봉(國守峰)으로, '나라를 보호하는 산봉우리'라는 뜻이다. 전설에 따르면, 원래 이 산에는 열 개의 골짜기가 있었고, 각 골짜기마다 한 마리의 용이 살았다. 용들은 하늘로 승천해야 했지만, 한 마리가 늦어 사람에게 발각되었고, 결국 승천하지 못했다. 선행의 규칙에 따라, 그 용은 사람들이 마시고 농사짓는 데 사용하는 시냇물이 되어야 했다. 이 시냇물 덕분에 사람들은 더 부유하고 행복해졌고, 이 때문에 이 시냇물은 나중에 양재천이라 불리게 되었다. Yangjaeko-latn는 한자(漢字)로 쓰여진 단어이며, '많은 재능 있는 사람들'로 번역된다.

5. 생태

양재천에는 식물 174종, 조류 42종, 어류 20종, 포유류 6종, 양서·파충류 6종이 서식하고 있다. 양재천 생태공원은 생태계 복원을 목표로 하천변 사면을 복원하여 휴식 및 산책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하천의 자연 상태를 되살렸다. 콘크리트 호안을 제거하고, 거석, 나무, 풀 등 자연 소재를 이용하여 재구축하였다. 식생 호안은 홍수로부터 보호하고, 그늘을 만들어 수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양재천은 어류와 조류의 서식지를 제공하여 수생태계의 먹이사슬 유지를 돕는다. 아울러, 물과 오염물질을 침전 및 흡수하여 부영양화를 완화시킨다.

6. 양재천의 개발

양재천은 원래 한강의 첫 번째 지류였으나, 인공적인 하천이었기 때문에 탄천 유역으로 흘러들어갔다. 1970년대 개포동 지역의 토지 정리 사업으로 양재천이 심각하게 오염되었고, 이후 인구 급증으로 오염은 더욱 악화되었다.

양재천의 생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도시 하천으로는 처음으로 자연형 하천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양안의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식생 호안, 정수 시설, 자전거 도로, 생태 체험 센터를 조성하여 수질을 2급수 이상으로 개선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양재천은 2005년 환경부로부터 우수한 생태 복원 하천으로 선정되었다.

7. 지리

양재천은 과천시 관악산에서 시작되어 과천 시가지를 지나 막계천과 합류하고, 서초구에서 여의천과 합류한다. 막계천과 여의천은 청계산에서 발원하는 작은 하천이다. 강남구를 통과하여 탄천으로 흘러드는 양재천의 총 길이는 15.6km이다. 과천시는 8.4km, 서초구는 3.7km, 강남구는 3.5km를 관리하며, 양재천의 폭은 6~13m이다.

하구를 향해 가면 서초구의 양재시민의숲을 지나는데, 이곳은 지역 주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얼마 동안은 주변에 낮은 건물들이 보이다가 수km를 진행하면 왼쪽에 고층 아파트 몇 채가 보인다. 이 부근은 서울교통공사 3호선·KORAIL 분당선 도곡역 부근이며, 이후에는 오른쪽으로 달리는 분당선 구룡역·개포동역·대모산입구역(지하 구간)을 따라 흐른다. 이곳은 자연도 많고 길도 잘 정비되어 있으며, 대모산입구역 부근을 지나면, 이후부터 하구까지 다소 높은 아파트들이 보인다.

8. 시설

매헌시민의숲을 중심으로 녹지와 시민들을 위한 휴식 공간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천변을 따라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도 마련되어 있다. 영동 5교 등의 다리 북측 밑에는 무료자동펌프가 설치되어 자전거의 사용에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양재천의 발원지인 과천에서부터 시작된 자전거도로는 서울시 서초구와 강남구를 지나, 탄천의 자전거도로와 합류하게 된다. 탄천의 자전거 도로 북쪽으로는 한강의 자전거도로와 합류하며, 남쪽으로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지역까지 연결되어 있다.

과천시에서 서초구 영동 1교까지는 자전거도로가 산책로와 붙어있지만 이후 영동 1교부터 탄천까지는 자전거도로와 산책로가 분리되어 있다.

서울 강남구에서는 영동 2교와 3교 사이에 수질 정화 시설을 운영하여 양재천 수질을 3급수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영동 4교와 5교 사이에 도시 학생들을 위해 벼 농사장을 운영 중에 있다. 휴농기간에는 얼음 썰매장으로도 운영하고 있다. 여름철 양재천 물을 끌어와 천변에 물놀이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영동 3교 부근, 영동 4~5교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화장실은 간이화장실로는 벼농사장 부근 영동 5교 북쪽 교각 부근에 위치하며, 영동 2~3교 사이 적십자 혈액원, 영동 3~4교 사이 타워펠리스, 영동 4교 부근 개포5공원에 화장실 이용이 가능하다.

장애인 편의를 위해 각 다리 부근 경사로로 진입이 가능하며, 영동 6교 부근 장애인 리프트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양재천을 이용할 수 있다.

; 다리

관악교, 관문교, 별양교, 부림1교, 부림2교, 과천교, 양재천교, 주암교, 우면교, 영동1교, 영동2교, 영동3교, 영동4교, 영동5교, 영동6교, 대치교 등이 양재천을 지난다.

; 기타 시설

매헌시민의숲을 중심으로 녹지와 시민들을 위한 휴식 공간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천변을 따라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도 마련되어 있다. 영동 5교 등의 다리 북측 밑에는 무료자동펌프가 설치되어 자전거의 사용에 도움을 주고 있다.

양재천의 발원지인 과천에서부터 시작된 자전거도로는 서울시 서초구와 강남구를 지나, 탄천의 자전거도로와 합류하게 된다. 탄천의 자전거 도로 북쪽으로는 한강의 자전거도로와 합류하며, 남쪽으로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지역까지 연결되어 있다. 과천시에서 서초구 영동 1교까지는 자전거도로가 산책로와 붙어있지만 이후 영동 1교부터 탄천까지는 자전거도로와 산책로가 분리되어 있다.

횡단하는 다리는 관악교, 관문교, 별양교, 부림1교, 부림2교, 과천교, 양재천교, 주암교, 우면교, 양재천교(경부고속도로), 여의천 합류지 영동 1교, 영동 2교, 영동 3교, 영동 4교, 영동 5교, 대치교 등이 있다. 서울 강남구에서는 영동 2교와 3교 사이에 수질 정화 시설을 운영하여 양재천 수질을 3급수로 유지하고 있다.

영동 4교와 5교 사이에는 도시 학생들을 위해 벼 농사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휴농기간에는 얼음 썰매장으로도 운영하고 있다. 여름철 양재천 물을 끌어와 천변에 물놀이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영동 3교 부근, 영동 4~5교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곡역 근처에도 수영장이 있다. 화장실은 간이화장실로는 벼농사장 부근 영동 5교 북쪽 교각 부근에 위치하며, 영동 2~3교 사이 적십자 혈액원, 영동 3~4교 사이 타워펠리스, 영동 4교 부근 개포5공원에 화장실 이용이 가능하다.

장애인 편의를 위해 각 다리 부근 경사로로 진입이 가능하며, 영동 6교 부근 장애인 리프트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양재천을 이용할 수 있다.

8. 1. 다리

관악교, 관문교, 별양교, 부림1교, 부림2교, 과천교, 양재천교, 주암교, 우면교, 영동1교, 영동2교, 영동3교, 영동4교, 영동5교, 영동6교, 대치교 등이 양재천을 지난다.

8. 2. 기타 시설

매헌시민의숲을 중심으로 녹지와 시민들을 위한 휴식 공간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천변을 따라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도 마련되어 있다. 영동 5교 등의 다리 북측 밑에는 무료자동펌프가 설치되어 자전거의 사용에 도움을 주고 있다.

양재천의 발원지인 과천에서부터 시작된 자전거도로는 서울시 서초구와 강남구를 지나, 탄천의 자전거도로와 합류하게 된다. 탄천의 자전거 도로 북쪽으로는 한강의 자전거도로와 합류하며, 남쪽으로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지역까지 연결되어 있다. 과천시에서 서초구 영동 1교까지는 자전거도로가 산책로와 붙어있지만 이후 영동 1교부터 탄천까지는 자전거도로와 산책로가 분리되어 있다.

횡단하는 다리는 관악교, 관문교, 별양교, 부림1교, 부림2교, 과천교, 양재천교, 주암교, 우면교, 양재천교(경부고속도로), 여의천 합류지 영동 1교, 영동 2교, 영동 3교, 영동 4교, 영동 5교, 대치교 등이 있다. 서울 강남구에서는 영동 2교와 3교 사이에 수질 정화 시설을 운영하여 양재천 수질을 3급수로 유지하고 있다. 이 정수 시설은 자갈 접촉 산화 방식을 사용하여 하루 32,000m³의 물을 정화할 수 있다.

영동 4교와 5교 사이에는 도시 학생들을 위해 벼 농사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휴농기간에는 얼음 썰매장으로도 운영하고 있다. 여름철 양재천 물을 끌어와 천변에 물놀이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영동 3교 부근, 영동 4~5교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곡역 근처에도 수영장이 있다. 화장실은 간이화장실로는 벼농사장 부근 영동 5교 북쪽 교각 부근에 위치하며, 영동 2~3교 사이 적십자 혈액원, 영동 3~4교 사이 타워펠리스, 영동 4교 부근 개포5공원에 화장실 이용이 가능하다.

장애인 편의를 위해 각 다리 부근 경사로로 진입이 가능하며, 영동 6교 부근 장애인 리프트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양재천을 이용할 수 있다.

9. 경관



과천시에서 발원한 양재천은 서초구의 양재시민의숲을 지나며 지역 주민들의 휴식처로 이용된다. 초기에는 낮은 건물들이 보이다가, 서울교통공사 3호선·KORAIL 분당선 도곡역 부근에서 고층 아파트들이 나타난다. 이후 분당선 구룡역, 개포동역, 대모산입구역을 따라 흐르며, 잘 정비된 자연과 길을 갖추고 있다. 대모산입구역을 지나 하구까지는 다소 높은 아파트들이 이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미래유산 찾아보기 상세보기 - 미래유산 둘러보기 https://futureherita[...] 2022-01-09
[2] 웹사이트 강남구청 분야별정보 > 공원/체육 > 양재천 > 양재천안내 > 양재천 소개 및 안내 http://www1.gangnam.[...]
[3] 서적 한국하천일람 2014 http://www.river.go.[...] 국토교통부 2019-08-11
[4] 백과사전 구룡산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5] 웹사이트 서초구 분야별정보 - 양재천의 유래 및 설화 http://www.seocho.go[...] 2016-01-08
[6] 뉴스 [길,숲,섬]자연 생태계 되살린 생명의 하천, 서울 양재천 산책로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3-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