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두아르 르루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두아르 르루아는 1870년 파리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이다. 그는 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앙리 베르그송의 영향을 받아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르루아는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베르그송의 뒤를 이었고, 프랑스 학사원 회원이 되었다. 그는 수학의 기초에 대한 합의주의를 지지하며, 종교적 교리 영역에서 추상적인 추론을 거부하고 본능적인 믿음을 옹호했다. 그의 사상은 근대주의로 비판받아 금서 목록에 오르기도 했다. 르루아는 과학적 진리를 상대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비판을 받았으며, 베르그송에게 신비주의 연구를 격려했다. 주요 저서로는 '과학과 철학', '새로운 철학: 앙리 베르그송' 등이 있다. 르루아는 1954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리 베르그손 - 열린 사회
열린 사회는 인도주의, 평등주의, 언론 및 정치적 자유를 전제로 개인의 의사 결정이 존중받고 비판적 사고와 지식의 개방성을 중요시하며 문화·종교 다원주의를 포용하는 사회를 의미하지만, 자본주의적 세계화와 연관되어 신제국주의를 심화시킨다는 비판도 있다. - 20세기 프랑스 철학자 - 폴 비릴리오
프랑스 철학자이자 도시 계획가인 폴 비릴리오는 '드로몰로지' 개념을 통해 기술, 전쟁, 도시 공간을 분석하고 생 베르나데트 교회 설계에 참여했으며, 그의 사상은 여러 학자에게 영향을 주었으나 과학 용어 오용에 대한 비판도 받았다. - 20세기 프랑스 철학자 - 에밀 시오랑
에밀 시오랑은 루마니아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이자 수필가로, 염세주의적이고 비관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자살, 인간 소외, 역사, 문명 비판 등을 다룬 경구와 에세이를 썼다. - 파리 출신 작가 - 질 들뢰즈
질 들뢰즈는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철학자로,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 등의 사상을 재해석하고 차이, 반복, 탈영토화 등의 개념을 통해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미쳤으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 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현대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 파리 출신 작가 - 시몬 드 보부아르
프랑스의 작가이자 철학자, 여성주의 운동가인 시몬 드 보부아르는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여성의 주체성과 자유를 강조했으며, 《제2의 성》에서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구절로 여성 억압의 근원을 분석했다.
에두아르 르루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에두아르 르루아 |
원어 이름 | Édouard Le Roy |
출생 | 1870년 6월 18일 |
출생지 | 파리 |
사망 | 1954년 11월 10일 (향년 84세) |
사망지 | 파리 |
국적 | 프랑스 |
학문 분야 | |
분야 | 철학, 수학 |
학교 |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
지도 교수 | 모리스 블롱델 |
경력 | |
직업 | 철학자, 수학자 |
소속 | 콜레주 드 프랑스 |
수상 | |
수상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멤버 | 프랑스 학술원 |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앙리 베르그송 모리스 블롱델 |
주요 저서 | |
주요 저서 | "새로운 철학"(Une philosophie nouvelle: Henri Bergson) (1912) "과학과 철학"(Science et Philosophie) (1915) "사고의 문제"(Le Problème de l'âme) (1929) "인간적 기원"(L'Origine humaine) (1931) "철학적 요구"(Essai sur les exigences de l'idéalisme) (1925) "합리성의 시도"(Essai sur la rationalité) (1928) "직관적 사고"(La Pensée intuitive) (1929-1930) "진화적 창조"(La Création évolutive) (1935) "철학적 문제"(Philosophie et foi) (1942) "경계의 철학"(La Fin du monde) (1948) "베르그송의 철학"(Bergson et le problème de Dieu) (1949) |
2. 생애
에두아르 르루아는 1870년 6월 18일 파리에서 태어났다.[2] 1892년 고등사범학교(École Normale Supérieure)에 입학하여 1895년 수학 아그레가시옹(agrégation)을 받았다.[1] 1898년 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여러 고등학교에서 가르쳤고, 1909년에는 파리에 있는 생 루이 고등학교(Lycée Saint-Louis)의 수학 교수가 되었다.[1]
이후 르루아는 철학과 형이상학에 관심을 갖고 앙리 베르그송의 영향을 받아 그의 제자가 되었다.[1] 콜레주 드 프랑스(Collège de France)(1922)에서 베르그송의 뒤를 이었고, 1945년에는 프랑스 학사원(Académie française)의 회원이 되었다.[1] 1919년 르 루아는 도덕 및 정치 과학 아카데미(Académie des Sciences morales et politiques)의 회원으로도 선출되었다.[1]
르루아는 앙리 푸앵카레와 피에르 뒤엠과 함께 수학의 기초에 대한 합의주의(conventionalism)적 주장을 지지했다.[2] 그는 열렬한 가톨릭교 신자였지만, 이러한 합의주의 이론을 계시된 진리에도 적용하여 종교적 교리 영역에서 추상적인 추론과 사변적인 신학을 거부하고 본능적인 믿음, 마음, 감정을 선호했다.[2] 그의 합의주의는 근대주의로 비난받아 성좌에 의해 금서 목록(Index Librorum Prohibitorum)에 오르게 되었다.[2]
그의 과학론은 과학적 진리를 상대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과학자들과 당시 공화주의 진영으로부터 비합리주의, 반지성주의등의 비판을 받았다.[2]
그는 베르그송에게 신비주의 연구로 전환하도록 격려했으며, 그의 사상은 베르그송의 영향을 유지하면서 도덕과 종교에 관한 고찰과 동시대의 과학(상대성 이론, 양자역학)과의 관계를 지속했다.
1954년 11월 10일 사망했다.[2]
3. 사상
3. 1. 과학 철학
3. 1. 1. 합의주의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2. 종교 철학
3. 2. 1. 베르그송과의 관계
요약(summary)이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summary`에 내용을 채워주세요.
4. 비판
5. 영향
6. 작품
에두아르 르루아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Théorie du potentiel newtonien : leçons professées à la Sorbonne pendant le premier semestre (1894-1895)'' (1896)
- ''Sur l'intégration des équations de chaleur'' (1898)
- ''Sur les séries divergentes et les fonctions définies par un développement de Taylor (1899)''
- ''Science et Philosophie'' (1899)
- ''Dogme et Critique'' (1907)
- ''A New Philosophy: Henri Bergson'' (''Une philosophie nouvelle : Henri Bergson'', 1912)
- ''What Is a Dogma?'' (1918)
- ''Qu'est-ce-que la Science ?: réponse à 앙드레 메츠'' (1926)
- ''L'Exigence idéaliste et le fait de l'évolution'' (1927)
- ''Les Origines humaines et l'évolution de l'intelligence'' (1928)
- ''La Pensée Intuitive. Le problème de Dieu'' (1929)
- ''Introduction à l'étude du problème religieux'' (1944)
- ''Discours de réception'' (1946)
- ''Essai d'une philosophie première'' (1956)
- ''Bergson et Bergsonisme'' (1947)
- ''Essai d'une philosophie première : l'exigence idéaliste et l'exigence morale'', 2 vol., posthumous (1956-1958)
한국어로 번역된 제목은 다음과 같다.
- ''뉴턴 포텐셜 이론: 1학기 동안 소르본에서 강의한 내용 (1894-1895)'' (1896)
- ''열 방정식의 적분에 관하여'' (1898)
- ''발산 급수와 테일러 전개로 정의된 함수에 관하여 (1899)''
- ''과학과 철학'' (1899)
- ''교리와 비판'' (1907)
- ''새로운 철학: 앙리 베르그송'' (''새로운 철학: 앙리 베르그송'', 1912)
- ''교리란 무엇인가?'' (1918)
- ''과학이란 무엇인가?: 앙드레 메츠에 대한 답변'' (1926)
- ''이상주의적 요구와 진화의 사실'' (1927)
- ''인간의 기원과 지능의 진화'' (1928)
- ''직관적 사고. 신의 문제'' (1929)
- ''종교 문제 연구 입문'' (1944)
- ''수용 연설'' (1946)
- ''제1철학 시론'' (1956)
- ''베르그송과 베르그송주의'' (1947)
- ''제1철학 시론: 이상주의적 요구와 도덕적 요구'', 2권, 사후 출판 (1956-1958)
참조
[1]
뉴스
The Banning of Bergson
https://archive.org/[...]
The Independent
1914-07-20
[2]
서적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religion : Eastern and Western thought
Humanities Press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