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른스트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른스트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는 1598년 빈에서 태어난 추기경이자 프라하 대주교였다. 그는 1622년 프라하 대교구장으로 임명되었으며, 1626년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하라흐는 보헤미아에서 반종교 개혁을 추진하며 가톨릭 신앙을 강화하려 노력했으나, 프로테스탄트의 반발에 직면하기도 했다. 프라하 전투에서 스웨덴군에 체포되었으나 석방되었고, 이후 합스부르크 왕가의 대관식을 여러 번 집전했다. 1667년 사망하여 빈의 가족 묘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추기경 - 크리스토프 쇤보른
오스트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이자 신학자인 크리스토프 쇤보른은 빈 대교구장 겸 추기경으로, 쇤보른 가문 출신이며, 사제 서품 후 교의신학 교수 등을 역임하고 빈 대교구장으로 임명되어 가톨릭교회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오스트리아의 추기경 - 안톤 요제프 그루샤
안톤 요제프 그루샤는 카레의 명의 주교, 빈 대교구 보좌 주교를 거쳐 빈 대교구장으로 승진하고 산타 마리아 데즐리 안젤리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으로 서임되었으며, 교황 비오 10세 선출 콘클라베에 참석 후 1911년에 선종했다. - 1667년 사망 - 교황 알렉산데르 7세
알렉산데르 7세는 1655년부터 1667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로마 도시 계획과 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중국 전통 의례를 허용했으며 얀센주의를 비판하며 금서 목록을 발행했다. - 1667년 사망 - 프란체스코 보로미니
스위스 출신 이탈리아 바로크 건축가 프란체스코 보로미니는 로마에서 혁신적인 디자인과 기하학적 구성의 건축물들을 남겼으나, 잔 로렌초 베르니니와의 경쟁과 격정적인 성격으로 자살했다.
에른스트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 | |
---|---|
기본 정보 | |
본명 | 에른스트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 |
독일어 이름 | Ernst Adalbert von Harrach |
체코어 이름 | Arnošt Vojtěch hrabě z Harrachu |
출생일 | 1598년 11월 4일 |
출생지 | , , 빈 |
사망일 | 1667년 10월 25일 |
사망지 | , , 빈 |
교회 경력 | |
대교구 | 프라하 |
착좌 | 1626년 1월 19일 |
이임 | 1667년 10월 25일 |
추기경 임명 | 1644년 |
추가 정보 | |
부모 | 아버지: 카를 폰 하라흐 |
2. 어린 시절
에른스트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는 1598년 11월 4일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에서 카를 폰 하라흐 백작과 마리아 엘리자베트 폰 슈라텐바흐의 아들로 태어났다.[1] 니콜라우스 발터에게 교육을 받았으며, 이후 보르게세 가문과 바르베리니 가문을 포함한 이탈리아 귀족 가문과의 연줄 덕분에[1] 1616년 테오토니코 대학에 입학했다.
에른스트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는 1622년 프라하 대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24세로 대주교가 되기에는 이른 나이였으나, 1623년 시스티나 경당에서 주교 서품 및 대교구장 착좌식을 거행하였다.[7]
1621년, 22세의 나이로 사제 서품을 받았다.[2] 교황 그레고리오 15세의 시종, 비서를 맡았다.
3. 성직 경력
1626년 교황 우르바노 8세에 의해 추기경에 서임되었고, 1632년 산타 마리아 데즐리 안젤리 에 데이 마르티리 성당 사제급 추기경, 1644년 산타 프라세데 성당 사제급 추기경에 임명되었다. 1663년 프라하 대교구장에 이어 트렌토 교구장 주교를 겸임하게 되었다.[7]
3. 1. 보헤미아의 종교 개혁
하라흐는 임지인 보헤미아에서 가톨릭 교회의 유능하고 정력적인 대표자로서, 반종교 개혁을 추진했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황제나 대공들과는 달리, 프로테스탄트 신도들을 배제하는 정책을 취하지 않고, 프로테스탄트를 재교육하여 가톨릭 신앙으로 회귀시키는 노선을 채택했다. 하라흐 시대에 보헤미아의 성직자 수와 신자 수는 모두 증가했다. 1631년에 프라하에 대주교좌 신학교를 설립하여 성직자 양성에 힘썼고, 1655년에 라이트메리츠 교구(Bistum Leitmeritz), 1664년에 쾨니히그레츠 교구(Bistum Königgrätz)를 각각 대주교 관할 구역 내에 설치했다. 동시에 많은 교회와 사제관을 건설하게 했다. 성직자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하라흐는 마이센에서 프란체스코회, 피아리스트회, 미니미회 등 많은 수도회를 보헤미아에 유치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프로테스탄트의 반항은 수그러들지 않았기 때문에, 하라흐는 때때로 황제의 군대 등 세속의 군사력에 의존하여 개혁을 추진해야 했다. 하라흐는 초기의 노선을 바꾸어, 강제적인 보헤미아의 재가톨릭화에 협력하게 되었다.
3. 2. 합스부르크 왕가와의 관계
1626년 보헤미아 왕국의 수석주교가 된 에른스트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 추기경은 다음 해인 1627년 오스트리아의 페르디난트 2세 황제의 아내인 엘레오노라 곤자가에게 왕관을 수여하였다.[7] 1637년 페르디난트 3세 황제의 추밀고문관으로 등용되었으며, 황제의 첫 번째 아내로 스페인의 마리아 안나를 맞이하게끔 하였다.[7] 이후 보헤미아, 실레시아, 폴란드의 붉은 별과 십자 기사단 단장 및 프라하 대학교 총장으로 임명되었다.[7]
프라하 전투에서 스웨덴군이 승리하여 프라하를 점령했을 때,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는 자신의 궁전에 있다가 사로잡혔으며 재산을 약탈당했다.[7] 그는 쥘 마자랭 추기경의 중재로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에게 자신의 손실에 대해 복수를 하지 않겠다는 서신과 함께 15,000 에쿠스의 보석금을 내고 풀려났다.[7]
풀려난 후,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는 궁정에서 교황과 교회의 대표자가 되었다.[7] 1646년 교황의 뜻을 받들어 로마왕 페르디난드 4세의 대관식을 집전하였으며, 1655년에는 보헤미아의 왕과 왕비인 레오폴드와 엘레오노라 곤자가의 대관식을 집전하였다.[7] 1656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의 레오폴트 1세의 대관식을 집전하였다.[7] 1648년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는 스페인의 펠리페 4세 국왕과 페르디난트 3세 황제의 딸인 오스트리아의 마리안나의 결혼을 축복하였다.[7]
3. 3. 프라하 점령과 석방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는 프라하 전투에서 스웨덴군이 승리하여 프라하를 점령했을 때 자신의 궁전에 있다가 사로잡혔으며, 많은 재산을 약탈당했다. 그는 결국 쥘 마자랭 추기경의 중재로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에게 자신의 손실에 대해 복수를 하지 않겠다는 서신과 함께 15,000 에큐의 보석금을 내고 풀려났다.[7]
4. 죽음
교황 클레멘스 9세는 1667년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를 산 로렌초 인 루치나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에 임명하였다.[1]
콘클라베를 마치고 돌아온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는 1667년 10월 25일 선종하였으며, 유해는 빈에 있는 가족 묘에 안장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Die Tagebücher und Tagzettel des Kardinals Ernst Adalbert von Harrach (1598-1667). Edition und Kommentar
https://harrach.univ[...]
University of Vienna
2023-07-06
[2]
웹사이트
Ernst Adalbert Cardinal von Harrach zu Rohrau
http://www.catholic-[...]
Catholic Hierarchy
[3]
웹사이트
Ernst Adalbert von Harrach
http://www2.fiu.edu/[...]
2018-01-26
[4]
서적
Pope Alexander the Seventh and the College of Cardinals
2009
[5]
웹사이트
Ernst Adalbert von Harrach - About.
http://www.univie.ac[...]
University of Wien
[6]
웹사이트
Ernst Adalbert Cardinal von Harrach zu Rohrau
http://www.catholic-[...]
Catholic Hierarchy
[7]
웹사이트
Ernst Adalbert von Harrach
http://www2.fiu.edu/[...]
2018-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