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에릭 로메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에릭 로메르는 프랑스의 영화감독이자 평론가로, 1920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2010년에 사망했다. 그는 역사학 학위를 받았으며, '누벨 바그' 운동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며 《카이에 뒤 시네마》 편집장을 역임했다. 1959년 《사자 자리》로 장편 영화 감독으로 데뷔했으며, '여섯 개의 도덕 이야기', '희극과 잠언', '사계절 이야기' 등 여러 연작 시리즈를 통해 현대인의 인간관계와 내면을 탐구했다. 그의 작품은 문학적인 주제와 연출 기법, 독특한 스타일로 평가받으며, 칸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 등에서 여러 차례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현대의 아서왕 각색 작가 - 토머스 하디
    토머스 하디는 웨섹스를 배경으로 사회 변화 속 농촌 공동체의 몰락과 개인의 비극을 그린 소설과 나폴레옹 전쟁을 소재로 한 서사시를 쓴 영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20세기 영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근현대의 아서왕 각색 작가 - 존 메이스필드
    존 메이스필드는 해양을 주제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기고 계관 시인으로 활동하며 영국 문학 발전에 기여한 영국의 시인이자 작가이다.
  • 프랑스의 영화 평론가 - 올리비에 아사야스
    올리비에 아사야스는 프랑스 출신의 영화 감독, 각본가, 평론가로, 《카이에 뒤 시네마》에서 평론 활동을 시작하여 《무질서》로 장편 영화 감독으로 데뷔했으며, 《이마 베프》, 《카를로스》 등의 작품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프랑스의 영화 평론가 - 장뤽 고다르
    장 뤽 고다르는 프랑스 누벨바그 운동을 이끈 혁신적인 영화 감독으로, 정치적 메시지와 독창적인 편집 기법을 통해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코레즈주 출신 - 교황 그레고리오 11세
    그레고리오 11세는 아비뇽 유수를 끝내고 교황청을 로마로 되돌린 프랑스 출신의 교황이나, 위클리프 사상 단죄, 팔성인 전쟁 개입 등 보수적 면모와 그의 사망 후 서구 대이교 발생으로 혼란스러운 시대의 전환점을 보여준다.
  • 코레즈주 출신 - 피에르 장 조르주 카바니스
    프랑스의 생리학자, 의사, 철학자인 피에르 장 조르주 카바니스는 생리심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인간 사고가 뇌 기능이라는 유물론적 관점을 제시했고, 프랑스 혁명에 관여하여 관념학을 제창했다.
에릭 로메르
기본 정보
로메르
2004년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에서 로메르
본명모리스 앙리 조제프 셰레 또는 장 마리 모리스 셰레
출생일1920년 3월 21일
출생지프랑스
사망일2010년 1월 11일
사망지프랑스 파리
직업영화 감독
저널리스트
교사
활동 기간1945년–2009년
배우자테레즈 셰레 (1957년 결혼)
자녀2명
로마자 표기법eRik romeʀ
다른 이름에리크 로메르
주요 작품
수상 내역
칸 영화제심사위원 특별 대상 1976년 O 후작 부인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황금사자상 1986년 녹색 광선
각본상 1998년 가을 이야기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1986년 녹색 광선
명예 황금사자상 2001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감독상) 1983년 해변의 폴린
은곰상 (심사위원 특별상) 1967년 수집가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1983년 해변의 폴린
1992년 겨울 이야기
전미 비평가 협회상각본상 1970년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
외국어 영화상 1999년 가을 이야기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각본상 1970년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

2. 생애

1920년 프랑스 코레즈주 튈에서 태어난 로메르는 대학에서 역사 학위를 받고, 파리의 고등학교 교사와 언론인으로 일했다. 1945년에는 질베르 코르디에란 필명으로 소설 '엘리자베스'를 출간했다. 1953년부터 카이에 뒤 시네마지에서 영화 평론을 시작했고, 1956년부터는 앙드레 바쟁의 뒤를 이어 편집장으로 활동하며 장뤼크 고다르, 프랑수아 트뤼포, 클로드 샤브롤, 자크 리베트와 교류했다.

1957년 클로드 샤브롤과 함께 앨프리드 히치콕에 관한 책을 썼고, 같은 해 테레즈 바벳과 결혼하여 두 아들을 얻었다. 1959년 샤브롤이 제작한 《사자 자리》로 장편 영화감독으로 데뷔했으나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1962년, '여섯 개의 도덕 이야기' 시리즈의 첫 작품인 《몽소 빵집》을 만들기 시작했다. 1963년에는 바르베 슈뢰더와 함께 영화사 로장주를 설립하여 자신의 마지막 세 작품을 제외한 모든 작품을 제작했다.

2000년대에 만든 《영국인과 공작》은 프랑스 혁명을 부정적으로 묘사하여 프랑스에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2010년 1월 11일 아침, 로메르는 병원에서 89세로 사망했다. 자크 랑 전 프랑스 문화부 장관은 그를 "프랑스 영화의 거장 중 한 명"이라 칭했고, 영화 감독 티에리 프레모는 "유일무이하다"고 평가했다. 로메르는 파리의 몽파르나스 공동묘지에 안장되었으며, 시네마테크 프랑세즈는 2010년 2월 8일 에릭 로메르 특별 회고전을 개최했다.

2. 1. 초기 생애

1920년 프랑스 코레즈주 튈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장-마리 모리스 셰레(또는 모리스 앙리 조제프 셰레)이다.[3] 파리에서 역사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문학, 철학 및 신학에도 관심이 많았다.[7] 대학 졸업 후, 파리의 고등학교 교사와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945년에는 질베르 코르디에란 필명으로 소설 '엘리자베스'를 출간했다.[3]

로메르는 사생활을 비밀스럽게 유지했으며, 기자들에게 종종 다른 출생 날짜를 알려주기도 했다.[6] 필명은 배우이자 감독인 에리히 폰 스트로하임과 퓨 만추 시리즈의 작가 삭스 로메르의 이름에서 따왔다.[17]

1957년 클로드 샤브롤과 함께 앨프리드 히치콕에 관한 책을 썼고, 같은 해 테레즈 바벳과 결혼하여 두 아들을 낳았다.

2. 2. 영화 평론가 활동

1950년, 로메르는 리베트, 고다르와 함께 영화 잡지 《라 가젯 뒤 시네마》(La Gazette du Cinéma)를 공동 창간했지만, 잡지는 곧 폐간되었다. 1951년 로메르는 앙드레 바쟁이 새로 창간한 영화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Cahiers du Cinéma)의 편집진에 합류하여 1956년에는 편집장이 되었다.[26][8] 그곳에서 로메르는 독특한 목소리를 가진 비평가로 자리매김했다. 동료 '카이에' 기고가이자 프랑스 뉴웨이브 영화 제작자인 뤼크 물레는 후에 트뤼포와 고다르와 같은 젊은 비평가들의 더 공격적이고 개인적인 글쓰기와 달리, 로메르는 질문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1인칭 단수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수사적 스타일을 선호했다고 언급했다.[9] 로메르는 대부분의 '카이에' 직원들보다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고, 그가 편집장이었던 동안 그의 의견은 잡지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쳤다. 로메르는 처음에는 본명으로 기사를 발표했지만, 가족이 그가 영화계에 종사하는 것을 알게 되면 반대할 것이라는 이유로 1955년부터 "에릭 로메르"(Éric Rohmer)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7]

로메르의 가장 잘 알려진 기사는 영화와 다른 예술의 관계를 조명하는 "르 셀룰로이드 에 르 마르브르"(Le Celluloïd et le marbre, "셀룰로이드와 대리석", 1955)이다. 이 기사에서 로메르는 문화적 자의식의 시대에 영화는 "시의 마지막 피난처"이며 은유가 여전히 자연스럽고 자발적으로 솟아날 수 있는 유일한 현대 예술 형식이라고 썼다.[7] 1957년, 로메르와 클로드 샤브롤은 알프레드 히치콕에 대한 최초의 장편 연구서인 《히치콕》(Hitchcock)(파리: 에디시옹 위니베르시테르, 1957)을 집필했다. 이 책은 히치콕의 가톨릭 배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서적 중 하나로, 그때까지 단순한 오락 제공자로 여겨졌던 영화 제작자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고 평가받는다.[2] 《히치콕》은 오토르 이론을 비평 방법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했고, 그 방법의 중심이었던 미국 영화의 재평가에 기여했다. 1963년까지 로메르는 《카이에 뒤 시네마》의 더 급진적인 좌파 비평가들과 점점 더 의견이 충돌했다. 그는 다른 많은 좌파 비평가들이 미국 영화를 거부하고 시네마 베리테와 마르크스주의 영화 비평을 옹호하는 동안 미국 영화에 대한 존경심을 유지했다. 로메르는 그해 사임했고 리베트가 그의 뒤를 이었다.[7]

2. 3. 영화감독 데뷔와 성공

로메르는 1959년 샤브롤이 제작을 맡은 《사자 자리》로 장편 데뷔했으나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1962년, '여섯 개의 도덕 이야기' 시리즈의 첫 작품인 《몽소 빵집》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 시리즈는 무르나우의 1927년 영화 《선라이즈》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대 인간관계에서 유혹의 역할을 탐구한다.[35]

1963년 바르베 슈뢰더와 함께 영화사 로장주를 설립했는데, 이 회사는 로메르의 마지막 세 작품을 제외한 모든 작품을 제작했다. '도덕 이야기' 시리즈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작품인 《몽소 빵집》과 《수잔느의 경력》은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세 번째 작품 《여성 수집가》는 베를린 영화제에서 은곰상을 수상하며 그의 첫 컬러영화가 되었다.

이후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은 전미 비평가 협회 각본상, 뉴욕 비평가 협회 각본상을 수상했고, 《클레르의 무릎》은 1971년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 조개상을 수상하고 1972년 전미비평가협회 작품상을 받으면서 로메르의 명성은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로메르의 영화는 문학에서 소재나 주제를 빌려오기도 했는데, 쥘 베른(녹색 광선)과 윌리엄 셰익스피어(겨울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그는 '도덕 이야기' 시리즈 이후 '희극과 격언' 시리즈를 만들었다. 《비행사의 아내》, 《해변의 폴린느》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수상), 《레네트와 미라벨의 네가지 모험》, 《녹색 광선》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으로 이어지는 이 연작은 감당하기 어려운 감정적 갈등을 겪지만 결국 스스로 구원을 찾아가는 프랑스 현대인들의 모습을 그려냈다.[36] 1987년 몬트리올 영화제는 16mm 카메라와 최소 스태프만으로 무명 배우들과 함께 만든 저예산 연작 전체에 공로상을 헌정했다.

2. 4. 연작 시리즈와 후기 작품

로메르는 영화의 소재나 주제를 쥘 베른(녹색 광선)이나 윌리엄 셰익스피어(겨울 이야기)와 같은 문학 작품에서 가져오기도 했다.[36] 그는 '도덕 이야기' 시리즈에 이어 '희극과 격언' 시리즈를 만들었다. 이 시리즈는 《비행사의 아내》, 《해변의 폴린느》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수상), 《레네트와 미라벨의 네가지 모험》, 《녹색 광선》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 등으로 이어졌다. 이 작품들은 감당하기 어려운 감정적 갈등을 겪으면서도 결국 스스로 구원을 찾아가는 프랑스 현대인들의 모습을 그려냈다.[36]

1987년 몬트리올 영화제에서는 16mm 카메라와 최소 인원의 스태프만으로 무명 배우들과 함께 작업한 저예산 연작 전체에 대해 공로상을 수여했다. 당시 로메르는 '마음의 풍경을 그리는 감독', '영화로 철학하는 감독', '마지막 남은 누벨 바그 감독'이라는 찬사를 받았다.[36]

2000년대에 만든 《영국인과 공작》은 프랑스 혁명에 대해 부정적으로 묘사하여 프랑스에서 논쟁을 일으켰다.

2. 5. 사망

2010년 1월 11일 아침, 로메르는 병원에서 89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사망 원인은 공개되지 않았다.[35] 자크 랑 프랑스 전 문화부 장관은 그를 "프랑스 영화의 거장 중 한 명"이라 평했고, 영화 감독 티에리 프레모는 그를 "유일무이하다"고 평했다.[35]

로메르는 프랑스 파리의 몽파르나스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시네마테크 프랑세즈는 2010년 2월 8일 에릭 로메르 특별 회고전을 열어, 《클레르의 무릎》과 장뤼크 고다르가 로메르에게 헌사하는 짧은 영상 등을 상영했다.[35]

3. 작품 스타일

로메르의 영화는 지능적이고 달변가인 등장인물에 초점을 맞추는데, 이들은 종종 자신의 욕망을 인정하지 못한다. 그들이 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의 대조는 그의 영화에서 많은 드라마를 촉진한다. 제라르 레그랑은 "그는 당신이 지능적이 되도록, 실제로 그의 (호감 가는) 등장인물들보다 더 지능적이 되도록 끊임없이 초대하는 몇 안 되는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이다"라고 말했다.[7]

로메르는 1970년대 후반 《페르세발》 제작 중에 영화 제작진의 수를 줄이기 시작했다. 그는 처음에 스크립트 슈퍼바이저를 없애고, 논란이 되는 방식으로 조감독을 없애고, 다른 모든 조수와 기술 관리자를 없앴다. 1986년에 녹색 광선을 촬영할 때까지 그의 제작진은 카메라 운영자와 사운드 엔지니어로만 구성되었다. 로메르는 "저는 심지어 일반적인 영화 제작 조건에서 일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라고 말했다.[7]

3. 1. 주제와 소재

로메르의 영화들은 세밀한 묘사를 통해 현대 사회의 복잡하게 얽힌 인간관계를 탐구하고, 새로운 관계의 가능성을 모색한다.[35] 그는 정면 클로즈업을 피하고, 화면 밖에서 나오는 음악 사용을 자제하지만, 《녹색 광선》처럼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로메르의 영화에서는 등장인물들이 여러 장소를 이동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데, 《아름다운 결혼》에서는 주인공이 파리르망 사이를 왕복하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로메르 영화의 일반적인 배경은 시간적으로는 현대, 공간적으로는 아름다운 해변이나 휴양지이다. 《여성 수집가》, 《해변의 폴린느》, 《녹색 광선》, 《여름 이야기》 등에서 이러한 경향이 잘 나타나며, 밝은 햇살, 푸른 하늘과 잔디, 백사장, 깨끗한 물 등이 영화 전반에 걸쳐 등장한다.

등장인물들은 주로 남녀 관계나 일상적인 일에 대해 긴 대화를 나누며, 때로는 문학과 철학에 대한 이야기도 나눈다. 이는 대부분의 등장인물이 중산층에 대학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다. 《여름 이야기》는 사운드트랙과 클로즈업을 사용하지 않고 해변 휴양지를 배경으로 하는 등 로메르 영화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로메르는 인물의 행동보다 내면을 보고 싶다고 말했으며, 이러한 스타일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영화 《나이트 무브》에서는 그의 영화를 보는 것이 지루하다고 비판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로메르는 영화 제작을 소설, 특히 영화가 장악하고 있는 특정 고전적인 소설 스타일과 더 가깝다고 생각했다.[7] 그의 영화는 순환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주인공이 덫에서 벗어날 듯하다가 결국 다시 덫으로 돌아오는 식이다. 《해변의 폴린느》와 《여름 이야기》에서 이러한 구조를 볼 수 있다.[20]

로메르는 그의 영화에서 20대의 사람들을 주로 등장시키고, 배경은 즐거운 해변과 인기 있는 리조트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는 나이 든 사람들과 편안하지 않으며, 40세 이상의 사람들이 설득력 있게 이야기하는 것을 얻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7]

로메르의 영화 중 6편은 여름을 배경으로 하는데, 그는 여름을 아름다움과 여가의 시간이지만 "정체와 방황"의 시간으로 묘사한다.[20] 그는 촬영 기법과 사운드 디자인을 통해 이를 표현하고, "시간이 너무 많고 머릿속에 생각이 너무 많은 반성적인 등장인물"을 제시한다.[20] 로메르는 행동보다는 생각을 보고 싶어했으며,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지보다는 그들이 무엇을 하는 동안 그들의 마음속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관심을 가졌다.[20]

로메르는 비전문 배우를 선호했으며, 촬영 전 많은 리허설을 하고 영화를 빠르게 촬영했다. 그는 영화 편집에 거의 시간을 들이지 않았고, 연대순으로 촬영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장면이 일어난 시간대에 촬영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의 영화가 기상학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날씨의 노예라고 말했다.[7]

로메르의 영화는 장소에 대한 강한 감각을 가지고 있다. 파리, 클레르몽페랑 등 어디에서 촬영되었든, 등장인물들이 그 장소의 일부임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등장인물들은 여행하거나 이정표, 기념물을 지나가거나, 이러한 장소에 대해 이야기한다. 로메르는 "장소의 시인"이라고 불린다.[21]

그의 영화는 종종 연극과 소설의 아이디어와 주제를 언급하는데, 《녹색 광선》의 쥘 베른, 《겨울 이야기》의 윌리엄 셰익스피어,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의 파스칼의 내기 등이 그 예이다.

3. 2. 연출 기법

로메르의 영화는 세밀한 묘사를 통해 현대인의 복잡한 인간관계를 탐구하고, 새로운 관계의 가능성을 모색한다.[35] 그는 정면 클로즈업이 우리가 서로를 보는 방식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사용을 피하며, 영화 속 음악도 대부분 사용하지 않지만, 《녹색 광선》처럼 예외도 있다. 로메르는 등장인물들이 여러 장소를 이동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데, 《아름다운 결혼》에서는 주인공이 파리르망을 계속 왕복한다. 그의 영화는 주로 아름다운 해변이나 휴양지를 배경으로 하며, 《여성 수집가》, 《해변의 폴린느》, 《녹색 광선》, 《여름 이야기》에서 잘 나타난다. 밝은 햇살, 푸른 하늘과 잔디, 백사장, 깨끗한 물이 영화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등장인물들은 주로 남녀 관계나 일상적인 일에 대해 긴 대화를 나누며, 때로는 문학과 철학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등장인물이 중산층에 대학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다. 《여름 이야기》는 사운드트랙과 클로즈업을 사용하지 않고 해변 휴양지를 배경으로 하는 등 그의 스타일을 집약한 영화이다. 로메르는 인물의 행동보다 내면을 보고 싶다고 말했으며, 그의 영화를 보는 것이 지루하다는 비판도 있었다.[35]

로메르는 영화 제작을 소설, 특히 고전 소설 스타일과 더 가깝다고 생각했다.[7] 그의 영화는 순환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주인공이 덫에서 벗어나는 듯하다가 결국 다시 덫으로 돌아오는 식이다. 이는 《해변의 폴린느》와 《여름 이야기》에서 잘 드러난다.[19][20]

로메르는 20대 인물들을 주로 등장시키고, 배경은 즐거운 해변과 리조트를 선호했다. 《여성 수집가》, 《해변의 폴린느》, 《녹색 광선》, 《여름 이야기》 등이 대표적이다.[7] 그는 여름을 아름다움과 여가의 시간이면서도 정체와 방황의 시간으로 묘사하며, 등장인물들에게 자의식과 불안을 주는 시간과 공간을 제공한다.[20]

로메르는 비전문 배우를 선호했고, 촬영 전 많은 리허설을 거쳐 빠르게 촬영했다. 편집에는 거의 시간을 들이지 않았고, 연대순으로 촬영하며, 종종 실제 시간에 맞춰 장면을 촬영했다. 그는 "제 영화는 기상학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제 영화는 날씨의 노예입니다."라고 말했다.[7]

로메르 영화는 장소에 대한 강한 감각을 가지고 있다. 파리, 클레르몽페랑 등 등장인물들이 존재하는 장소는 그의 영화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이유로 그는 "장소의 시인"이라고 불린다.[21]

1970년대 후반부터 로메르는 영화 제작진의 수를 줄여나갔다. 《녹색 광선》을 촬영할 때는 카메라 운영자와 사운드 엔지니어만으로 구성된 제작진으로 작업했다. 그는 "저는 심지어 일반적인 영화 제작 조건에서 일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라고 말했다.[7]

그의 스타일은 1975년 영화 《나이트 무브스》에서 "페인트가 마르는 것을 보는 것과 같은 것"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6] 로메르는 문학적인 사람으로, 그의 영화는 연극과 소설의 아이디어와 주제를 자주 언급한다. 《녹색 광선》의 쥘 베른, 《겨울 이야기》의 윌리엄 셰익스피어,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의 파스칼의 내기 등이 그 예이다.

3. 3. 비판

에릭 로메르의 영화는 등장인물 간의 긴 대화가 주를 이루며, 주로 남녀 관계나 일상적인 일에 대해 이야기한다. 때로는 문학과 철학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는데, 이는 대부분의 등장인물이 중산층 출신에 대학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로메르의 스타일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하는데, 영화 《나이트 무브》 (1975)에서는 그의 영화를 보는 것이 지루하다고 비판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26]

로메르는 인물의 행동보다는 내면을 보고 싶어했으며, 그의 영화는 지능적이고 말 잘하는 주인공들이 자신의 욕망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이 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의 차이는 극적 긴장감을 유발한다. 제라르 레그랑은 로메르를 "관객이 등장인물보다 더 지능적이 되도록 끊임없이 초대하는 몇 안 되는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이라고 평가했다.[7]

로메르의 영화는 순환 구조를 띠는 경우가 많은데, 주인공이 덫에서 벗어나는 듯하다가 결국 다시 덫으로 돌아오는 식이다. 《해변의 폴린》, 《여름 이야기》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9][20]

또한 로메르는 정면 클로즈업이나 배경음악(사운드트랙) 사용을 자제하는 경향이 있다. 그는 클로즈업이 우리가 서로를 보는 방식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했으며, 배경음악은 4의 벽을 침해하는 것으로 여겼다. 다만, 《녹색 광선》 (1986)에서는 예외적으로 사운드트랙 음악을 사용하기도 했다.[35]

4. 작품 목록

에릭 로메르는 영화 감독으로서 다음과 같은 작품을 남겼다.[37]

연도제목비고
1962사자자리의 표식
1967수집가
1969모드와 함께 보낸 나의 밤
1970클레르의 무릎
1972오후의 사랑
1976오 백작 부인
1978퍼시발
1980카트린 드 하일브론텔레비전 영화
1981비행사의 아내
1982좋은 결혼
1983해변에서의 폴린
1984파리의 보름달
1986녹색 광선
1987남자 친구와 여자 친구
1987레네트와 미라벨의 네 가지 모험
1988미 단조의 삼중주
1990봄 이야기
1992겨울 이야기
1993나무, 시장, 그리고 메디아텍
1995파리에서의 만남
1996여름 이야기
1998가을 이야기
2001숙녀와 공작
2004트리플 에이전트
2007아스트레아와 셀라돈의 로맨스



1990년대에는 봄 이야기(1990), 겨울 이야기(1992), 여름 이야기(1996), 가을 이야기(1998)를 포함하는 "사계절 이야기" 연작을 제작했다. 특히 가을 이야기는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다.[26]

2000년대에는 숙녀와 공작(2001)과 트리플 에이전트(2004) 같은 시대극을 만들었다. 숙녀와 공작은 프랑스 혁명을 부정적으로 묘사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지만, 혁신적인 영화 스타일로 호평받았다.

2001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평생 업적을 인정받아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27][28] 2007년에는 마지막 영화인 아스트레아와 셀라돈의 로맨스가 베니스 영화제에서 상영되었고,[27] 이후 은퇴했다.[26][27]

4. 1. 감독

에릭 로메르는 195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꾸준히 영화를 제작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영화 세계를 구축했다. 사자자리(1959년 제작, 1962년 공개)로 장편 영화 감독으로 데뷔했다.

이후 몽소의 빵집 소녀(1963년), 수잔느의 경력(1963년) 등의 단편 및 중편 영화를 통해 섬세한 심리 묘사와 일상적인 주제를 다루는 자신만의 스타일을 확립했다.

그는 주로 '연작 영화' 형식을 통해 작품 활동을 했는데, 대표적인 연작으로는 여섯 도덕 이야기, 희극과 잠언, 사계절 이야기 등이 있다.

  • 여섯 도덕 이야기: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반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사랑과 욕망, 도덕적 갈등을 다루었다. 모드네 집에서 하룻밤(1969년), 클레르의 무릎(1970년) 등이 대표적이다.
  • 희극과 잠언: 1980년대에 제작되었으며, 속담이나 격언을 모티브로 하여 인간 관계의 미묘함을 포착했다. 비행사의 아내(1981년), 아름다운 결혼(1982년), 해변의 폴린(1983년), 녹색 광선(1986년) 등이 있다.
  • 사계절 이야기: 1990년대에 제작되었으며,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배경으로 사랑과 우정, 인생의 다양한 면모를 그렸다. 봄 이야기(1990년), 겨울 이야기(1992년), 여름 이야기(1996년), 가을 이야기(1998년) 등이 있다.


이 외에도 O 후작 부인(1976년), 성배 전설(1978년)과 같은 시대극과 그레이스와 공작(2001년), 트리플 에이전트(2004년)와 같은 역사적 배경의 영화도 감독했다. 그의 마지막 작품은 나의 최고의 사랑~아스트레와 셀라돈~(2006년)이다.

4. 1. 1. 단편 영화


  • 1950년: 흉악범의 일기 ''Journal d'un scélérat''
  • 1951년: 프레장타시옹 또는 샤를로트와 그녀의 스테이크 ''Présentation ou Charlotte et son steak''
  • 1952년: 작은 여모델들 ''Les Petites Filles modèles'' (미완성)
  • 1954년: 베레니스 ''Bérénice''
  • 1956년: 크로이체르 소나타 ''La Sonate à Kreutzer''
  • 1958년: 베로니크와 열등생 ''Véronique et son cancre''
  • 1962년: 몽소 빵집 ''La Boulangère de Monceau'' (여섯 도덕 이야기의 첫 작품)
  • 1963년: 수잔의 경력 ''La Carrière de Suzanne'' (여섯 도덕 이야기의 두번째 작품)
  • 1964년: 파리의 나자 ''Nadja à Paris''
  • 1965년: 파리를 통해서 본… ''Paris vu par…''의 일부인 《에투알 광장》 ''Place de l'Étoile''
  • 1966년: 《오늘날의 여학생》 ''Une étudiante d'aujourd'hui'' (12분)
  • 1968년: 몽포콩의 농부 ''Fermière à Montfaucon'' (13분)
  • 1987년: 커피를 마시다 ''Bois ton café'' (로제트, 파스칼 그레고리와 함께.)
  • 1997년: 《모범적인 치과의사》 ''Un dentiste exemplaire''
  • 1999년: 《등의 굽음》 ''La cambrure''
  • 1999년: 《그려지는 이야기》 ''Une histoire qui se dessine''
  • 2004년: 《빨간 소파》 ''Le canapé rouge''

4. 1. 2. 장편 영화

4. 1. 3. 텔레비전 영화


  • 1966년: 《오늘날의 여학생》 (''Une étudiante d'aujourd'hui''), 12분[1]
  • 1968년: 《몽포콩의 농부》 (''Fermière à Montfaucon''), 13분[1]
  • 1979년: ''Catherine de Heilbronn''[1]
  • 1987년: 《커피를 마시다》 (''Bois ton café'') 로제트, 파스칼 그레고리와 함께.[1]
  • 1989년: ''Les Jeux de société''[1]

4. 1. 4. 다큐멘터리

1964년 ''Les Cabinets de physique : la vie de société au XVIIIe siècle''

1964년 ''Les Métamorphoses du paysage : l'ère industrielle''

1964년 《파리의 나자》 ''Nadja à Paris''

1965년 ''Perceval ou le conte du Graal''

1965년 ''Don Quichotte de Cervantès'' (23분)

1965년 ''Les Histoires extraordinaires d'Edgar Poe'' (앙투안 비테즈와 함께)

1965년 ''Les Caractères de La Bruyère''

1965년 ''Entretien sur Pascal'' (브리스 파랭과 père Dubarle 신부와 함께)

1965년 ''Carl Th. Dreyer''

1965년 《에투알 광장》 ''Place de l'Étoile'' (집단 작품 ...에게 보인 파리''Paris vu par…''의 일부)

1966년 ''Victor Hugo : les Contemplations''

1966년 ''Le Celluloïd et le Marbre'' (자닌 바쟁과 앙드레 S. 라바르트가 제작한 «우리의 영화 작가들» 시리즈 중)

1966년 ''Entretien avec Mallarmé''

1966년 ''Nancy au XVIIIe siècle''

1966년 《오늘날의 여학생》 ''Une étudiante d'aujourd'hui'' (12분)

1968년 ''Louis Lumière'' (장 르누아르앙리 랑글루아와 함께)

1968년 《몽포콩의 농부》 ''Fermière à Montfaucon'' (13분)

1969년 ''Victor Hugo architecte''

1969년 ''Le Béton dans la ville''

1975년 ''Villes nouvelles'' :

# ''Enfance d'une ville''

# ''La Diversité du paysage urbain''

# ''La Forme d'une ville''

# ''Le Logement à la demande''

5. 수상 목록

년도시상식부문수상 후보작결과
1967베를린 국제영화제황금곰상수집가후보
은곰상 특별 심사위원상수상
청소년 관람 적합 최우수 장편영화상수상
1969칸 영화제황금종려상마드모아젤후보
1970아카데미상최우수 외국어 영화상후보
프랑스 영화평론가 협회멜리에스상수상
미국영화비평가협회상최우수 각본상수상
산 조르디 상최우수 외국 영화상수상
1971아카데미상최우수 각본상클레르의 무릎후보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최우수 각본상수상
루이 델뤼크 상수상
미국영화비평가협회상최우수 작품상수상
최우수 감독상후보
최우수 각본상후보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황금 조개상수상
1972골든 글로브상최우수 외국어 영화상클레르의 무릎후보
프랑스 영화평론가 협회멜리에스상클레르의 무릎수상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최우수 각본상클레르의 무릎준우승
1976칸 영화제황금종려상오의 후작부인후보
그랑프리수상[1]
1977미국영화비평가협회상최우수 감독상후보
1979발라돌리드 국제영화제황금 스파이크상페르세발후보
가작수상
1980프랑스 영화평론가 협회멜리에스상수상
1983세자르 영화제최우수 각본상아름다운 결혼후보
베를린 국제영화제황금곰상해변의 폴린후보
은곰상 감독상[32]수상
피프레시상[2]수상
OCIC상 – 가작수상
1984보스턴 영화비평가협회상최우수 각본상수상
프랑스 영화평론가 협회멜리에스상수상
1985세자르 영화제최우수 작품상파리의 보름달후보
최우수 감독상후보
최우수 각본상후보
프랑스 영화평론가 협회멜리에스상수상
1986베니스 영화제황금사자상푸른 광선수상
피프레시상수상
골든 치악수상
1988세자르 영화제최우수 각본상남자친구와 여자친구후보
1990다비드 디 도나텔로루키노 비스콘티상해당 없음수상
1992베를린 국제영화제황금곰상[33]겨울 이야기후보
피프레시상수상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 – 특별 언급수상
1995시카고 국제영화제최우수 장편영화상파리의 만남후보
1998베니스 영화제황금사자상가을 이야기후보
골든 오셀라 최우수 각본상수상
세르지오 트라사티상 – 특별 언급수상
1999미국영화비평가협회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수상
2000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최우수 외국어 영화상후보
2001유럽 영화상최우수 감독상숙녀와 공작후보
베니스 영화제공로상 황금사자상해당 없음수상
2004베를린 국제영화제황금곰상트리플 에이전트후보
2007루이 델뤼크 상아스트레아와 셀라돈의 로맨스후보
베니스 영화제황금사자상후보
퀴어 라이언후보


6. 저서


  • 에릭 로메르, 《알프레트 히치콕》, 현대미학사, 2004년
  • 앙투안 드 바크 & 노엘 에르페, 《에릭 로메르》(Éric Rohmer), 스톡(Stock), 2014년
  • 호세 프란시스코 몬테로 & 이스라엘 파레데스, 《혁명의 이미지: 영국 여자와 공작/코뮌(파리, 1871)》(Imágenes de la Revolución. La inglesa y el duque/La commune (París, 1871)), 상그릴라 에디시오네스(Shangrila Ediciones), 2011년, 웹 아카이브
  • 《에릭 로메르: 현실주의자이자 도덕가》(Eric Rohmer: Realist and Moralist), 미들랜드, 1988년 6월 22일[34]
  • 메이모토 요이치(梅本洋一)·다케다 키요시(武田潔) 역, 《미의 맛》, 긴소쇼보(勁草書房), 1988년
  • 호소카와 신(細川晋) 역, 《여섯 개의 마음 이야기》, 하야카와쇼보(早川書房), 1996년
  • 나카죠 시호(中条志穂)·마쓰오카 요코(松岡葉子)·야마기시 타쿠미(山岸貴久美) 역, 《사계절의 사랑 이야기》, 아이쿠샤(愛育社), 1999년
  • 클로드 샤브롤 공저, 기무라 켄야(木村建哉)·오가와라 아야(小河原あや) 역, 《히치콕》, 인스크립트(インスクリプト), 2015년

참조

[1] 웹사이트 The 42nd Academy Awards (1970)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1-11-16
[2] 뉴스 Eric Rohmer https://www.telegrap[...] 2010-01-11
[3] 뉴스 Eric Rohmer, a Leading Filmmaker of the French New Wave, Dies at 89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0-01-11
[4] 웹사이트 Eric Rohmer Biography (1920?-) http://www.filmrefer[...]
[5] 웹사이트 The religion of director Eric Rohmer https://web.archive.[...]
[6] 서적 The New Wave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7] 서적 World Film Directors, Volume 2, 1945-1985 H. W. Wilson 1988
[8] 서적 A history of the French new wave cinema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007-02-19
[9] 웹사이트 The Mask and the Role of God http://mubi.com/note[...]
[10] 서적 The New Wave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11] 뉴스 Eric Rohmer: un hommag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01-12
[12] 간행물 Object/Subject: The Films of Eric Rohmer http://www.upf.edu/m[...] 2005
[13] 학술지 Eric Rohmer: An Interview http://fq.ucpress.ed[...] 1971-07
[14] 서적 The New Wave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15] 서적 The New Wave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16] 서적 The New Wave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17] 뉴스 French filmmaker Eric Rohmer dies at 89 https://www.cbc.ca/n[...] CBC News 2010-01-11
[18] 웹사이트 Review of ''Éric Rohmer coffret intégrale'' (Éditions Potemkine, 2013) http://www.dvdclassi[...] 2015-01-10
[19] 서적 Eric Rohmer, realist and moralist Indiana University Press 1988
[20] 학술지 Eric Rohmer's Oppressive Summers https://www.jstor.or[...] 1993
[21] 웹사이트 A Summer's Tale (1996) for SAM films https://thedarkladyo[...] 2020-03-12
[22] 웹사이트 Le blog de René Monzat Le Club de Mediapart https://blogs.mediap[...] 2022-06-20
[23] 서적 Enquêtes sur la droite extrême https://www.worldcat[...] Le Monde-Editions 1992
[24] 웹사이트 René Monzat https://data.bnf.fr/[...]
[25] 잡지 Looking Behind Éric Rohmer's Cinematic Style https://www.newyorke[...] 2021-03-24
[26] 뉴스 Film-maker Rohmer dies in Paris http://www.irishtime[...] 2010-01-11
[27] 뉴스 French film-maker Eric Rohmer dies http://news.bbc.co.u[...] BBC 2010-01-11
[28] 뉴스 French director Eric Rohmer dies http://www.nzherald.[...] 2010-01-12
[29] 서적 Éric Rohmer: A Biogra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30] 뉴스 French film maker Rohmer dies at 89 http://showbizandsty[...] 2010-01-12
[31] 블로그 Godard on the Death of Róhmer http://cinemasparagu[...]
[32] 웹사이트 Berlinale: 1983 Prize Winners http://www.berlinale[...]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33] 웹사이트 Berlinale: 1992 Programme http://www.berlinale[...]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34] 웹사이트 Eric Rohmer: Realist and Moralist https://www.amazon.c[...]
[35] 웹사이트 네이버 영화 http://movie.naver.c[...]
[36]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100.naver.com[...]
[37] 간행물 (제목 없음) Cahiers du cinéma 2010-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