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하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하디는 1840년에 태어나 1928년에 사망한 영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이다.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적 제약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며, 결혼, 교육, 종교 등과 관련된 인물들의 삶을 그린 소설로 유명하다. 주요 작품으로는 《더버빌가의 테스》, 《캐스터브리지의 시장》, 《어둠 속의 유드》 등이 있으며, 1898년에는 첫 시집 《웨섹스 시와 다른 운문들》을 출판하며 시인으로서도 활동했다. 하디는 20세기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10년에는 공로 훈장을 받았고, 노벨 문학상 후보로 여러 번 지명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현대의 아서왕 각색 작가 - 에릭 로메르
에릭 로메르는 프랑스 뉴웨이브의 중심 인물이자 《카이에 뒤 시네마》 편집장, 그리고 '여섯 개의 도덕 이야기' 등의 연작을 통해 인간관계와 감정의 미묘함을 탐구한 영화감독, 영화 평론가, 소설가이다. - 근현대의 아서왕 각색 작가 - 존 메이스필드
존 메이스필드는 해양을 주제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기고 계관 시인으로 활동하며 영국 문학 발전에 기여한 영국의 시인이자 작가이다. - 도싯주 출신 - 윌리엄 스트롱
윌리엄 스트롱은 17세기 영국의 목사이자 작가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의회 앞에서 설교하고 웨스트민스터 총회 등에서 목회 활동을 하다가 사망 후 유해가 버려졌다. - 도싯주 출신 - 스티븐 돌드리
스티븐 돌드리는 잉글랜드 출신의 영화 및 연극 연출가로, 연극 《An Inspector Calls》로 토니상을 수상하고 영화 《빌리 엘리어트》로 아카데미 감독상 후보에 오른 후 《디 아워스》,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 등의 영화와 《더 크라운》, 《오비완 케노비》 등의 TV 시리즈를 연출하며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계층에 대한 관심을 작품에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 범신론자 - 장자
장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로, 《장자》를 저술하여 개인의 자유와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했으며 노장사상으로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 범신론자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1749년 독일에서 태어난 시인, 소설가, 극작가, 과학자, 정치가로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파우스트》 등의 작품을 남기고 자연과학 연구와 정무 활동을 하였으며, 독일 고전주의 문학 확립에 기여하였다.
토머스 하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토머스 하디 (Thomas Hardy) |
출생 | 1840년 6월 2일 |
출생지 | 잉글랜드 도싯주 스틴스퍼드 |
사망 | 1928년 1월 11일 |
사망지 | 잉글랜드 도싯주 도체스터 |
안장 위치 | 스틴스퍼드 교구 교회 (심장) 시인의 코너, 웨스트민스터 사원 (유골) |
직업 | 소설가 시인 단편 소설 작가 |
모교 | 킹스 칼리지 런던 |
사조 | 자연주의 빅토리아 문학 |
대표 작품 | 더버빌가의 테스 광란의 무리를 떠나 캐스터브리지의 시장 고향사람의 귀향 전집 무명의 주드 |
배우자 | 에마 기퍼드 (1874년–1912년, 사별) 플로렌스 더그데일 (1914년 결혼) |
![]() | |
경력 | |
활동 기간 | 1867년 - 1928년 |
데뷔 작품 | 『가난한 사람과 숙녀』 (1867년) |
기타 정보 | |
영향 받은 인물 | 윌리엄 워즈워스 |
2. 생애
토머스 하디는 1840년 6월 2일 잉글랜드 도싯주 하이어 보크햄프턴에서 태어났다. 석공이자 건축업자인 아버지와 독서를 좋아하는 어머니 밑에서 자랐으며, 8세까지 어머니에게 교육을 받았다.[5][6][7] 도체스터의 학교에서 라틴어를 배우며 학업적 재능을 보였으나, 집안 형편 때문에 16세에 학업을 중단하고 건축가 제임스 힉스의 견습생이 되었다.[7][8]
1862년 런던으로 이주하여 킹스 칼리지 런던에 입학했고, 영국 왕립 건축가 협회 등에서 상을 받으며 건축가 경력을 쌓았다.[9] 그러나 런던 생활에서 계급 차별과 사회적 열등감을 느끼며 존 스튜어트 밀 등의 사회 개혁 사상에 관심을 가졌다.[12]
1867년 첫 소설 《빈자와 숙녀》를 썼으나 출판사를 찾지 못했고, 이후 《필사적 수단》(1871), 《녹림 나무》(1872) 등을 익명으로 출판했다. 1874년 《성난 군중으로부터 멀리》의 성공으로 건축 일을 그만두고 문학에 전념했다.
1870년 콘월의 교회 복원 작업 중 엠마 기포드를 만나 1874년 결혼했다.[14][15][16][17][18] 1885년 도체스터 근교 맥스 게이트로 이사하여 《캐스터브리지의 시장》(1886), 《더버빌가의 테스》(1891) 등을 집필했다.
《더버빌가의 테스》와 《그림자 속의 유드》(1896)는 사회적 통념에 도전하는 내용으로 비판받기도 했지만, 하디는 인간 본성과 운명에 대한 탐구를 이어갔다. 1898년 첫 시집 『웨섹스 시집』을 출판하며 시인으로서의 면모도 보였다.
1912년 아내 에마가 사망 후, 1914년 39세 연하의 비서 플로렌스 더그데일과 재혼했다. 1928년 87세로 사망할 때까지 창작 활동을 했으며, 유해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심장은 스틴스퍼드 교회 에마 묘 옆에 묻혔다.
1910년 오더 오브 메리트(Order of Merit, OM)를 받았다.[133]
2. 1. 초기 생애 (1840-1862)
토머스 하디는 1840년 6월 2일 잉글랜드 도싯주 도체스터 동쪽에 있는 하이어 보크햄프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토머스(1811~1892)는 석공이자 지역 건축업자였고, 어머니 제미마(1813~1904)는 독서를 많이 하여 하디가 여덟 살에 보크햄프턴의 첫 번째 학교에 갈 때까지 그를 가르쳤다.[5][6][7] 그는 도체스터의 라스트 씨 아카데미에서 몇 년 동안 수학하며 라틴어를 배우고 학업 잠재력을 보였다.[7]하디의 가족은 대학 교육을 위한 재정적 여유가 없었기 때문에, 그의 정규 교육은 16세에 지역 건축가 제임스 힉스의 견습생이 되면서 끝났다.[8] 1862년 런던으로 이주하여 킹스 칼리지 런던에 입학했다. 그는 영국 왕립 건축가 협회와 건축가 협회 건축학교에서 상을 받았다. 1862년 4월 아서 블롬필드의 사무실에 조수 건축가로 합류하여, 1863년 탑이 무너진 이스트 쉰의 크라이스트 처치(런던 리치먼드)와 1862~1864년 버크셔주 윈저의 올 세인츠 교구 교회를 작업했다.[9]
하디는 런던에서 계급 차별과 사회적 열등감을 느껴 편안함을 느끼지 못했다. 이 기간 동안 사회 개혁과 존 스튜어트 밀의 작품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도싯 친구인 호레이스 무울을 통해 샤를 푸리에와 오귀스트 콩트의 작품을 접했다. 밀의 에세이 ''자유론''은 하디의 절망을 치유하는 방법 중 하나였고, 1924년 그는 "나의 글은 밀과의 견해 일치를 보여준다"고 선언했다.[12]
2. 2. 런던 시절과 습작 (1862-1867)
1870년, 콘월의 세인트 줄리오트 교구 교회 복원 건축 임무 중에[14] 하디는 엠마 기포드를 만나 사랑에 빠졌고, 1874년 9월 17일 런던 패딩턴의 세인트 피터 교회에서 결혼했다.[15][16][17][18]2. 3. 작가 활동 (1867-1896)
하디는 1867년 첫 소설 《빈자와 숙녀》를 완성했지만, 출판사를 찾지 못했다. 조지 메러디스는 이 소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켜 하디의 향후 출판 활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하디는 그의 조언에 따라 출판을 포기하고 원고를 없앴지만, 이후 작품에서 이 소설의 아이디어를 일부 사용했다.[91]이후 하디는 상업적 성공을 위해 《필사적 수단》(1871)과 《녹림 나무》(1872)를 익명으로 출판했다. 《녹림 나무》를 작업하던 중, 훗날 아내가 되는 에마 기퍼드를 만났고, 그녀와의 교제를 바탕으로 쓴 《두 파란 눈》을 1873년에 자신의 이름으로 출간했다. "클리프행어"라는 단어는 이 소설의 연재판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1874년, 하디는 《성난 군중으로부터 멀리》에서 웨섹스라는 가상의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아이디어를 처음 선보였다. 웨섹스는 초기 색슨 왕국의 이름이며, 잉글랜드에서 그 왕국의 영역이었던 부분을 뜻한다. 이 소설의 성공으로 하디는 건축 일을 그만두고 문학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25년간 10권이 넘는 소설을 집필했다. 하디는 런던에서 요빌, 스터미니스터 뉴턴으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The Return of the Native''(1878)를 썼다.
1882년, 하디는 천문학과 관련된 사랑 이야기 《탑 위의 두 이》를 출판했다. 1885년, 하디는 도체스터 근교 맥스 게이트로 이사하여 《캐스터브리지의 시장》(1886), 《삼림인》(1887), 《더버빌가의 테스》(1891)를 썼다. 《더버빌가의 테스》는 "타락한 여인"을 동정적으로 묘사하여 비평을 받았지만, 부제 "순수한 여인: 충실히 표현된"은 빅토리아 시대 중산층을 겨냥한 것이었다.
하디의 대표작으로는 웨섹스 소설이라 불리는 《광란의 무리를 떠나》, 《귀향》, 《숲의 사람들》, 《캐스터브리지의 시장》, 《더버빌가의 테스》, 《무명의 주드》 등이 있다. 그의 작품들은 영국 남부 웨섹스 지역을 배경으로 하여 지방색이 강하지만, 시간을 초월하는 인간적 가치와 당대의 핵심적 문제를 제시하는 데 뛰어난 작가적 역량을 보여준다고 평가받는다.
하디의 작품 배경인 도체스터는 당시 다소 외진 곳으로, 농촌 풍경과 사람들의 미신, 풍습을 접할 수 있었던 경험은 훗날 그의 소설에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작품 내용이 어둡게 변하면서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이는 그가 지내온 불안한 시대를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870년 콘월의 교회 수리 중 에마 라비니아 기포드를 만나 1874년 결혼했고, 런던 교외 완즈워스에 살았다. 1885년 도시 생활에 대한 불만과 건강상의 이유로 도체스터 근교 스팅스포드에 맥스 게이트를 짓고 영구 거처로 정했다. 에마와 별거하기도 했지만, 1912년 그녀의 사망은 하디에게 큰 정신적 외상을 남겼다.
1891년 《더버빌가의 테스》, 1896년 《그림자 속의 유드》를 발표했지만 혹평을 받았다. 이후 시 창작에 전념하여 나폴레옹 전쟁을 소재로 한 서사시 《패왕》(The Dynasts)을 발표했다.[92]
2. 4. 소설 집필 중단과 시 창작 (1896-1928)
1898년, 30년 이상에 걸쳐 써 온 시들을 모아 첫 시집인 『웨섹스 시집』(Wessex Poems)을 출판했다. 『그림자 속의 주드』(Jude the Obscure)에 대한 혹평 때문에 소설 쓰기를 포기했다는 말도 있지만, 시인 C.H. 시슨(C.H. Sisson)은 그것을 "가설", "피상적이고 불합리하다"고 평가하고 있다.[108][110]하디는 서정시, 발라드, 풍자시, 극적 독백, 대화시, 서사시 등 매우 다양한 시 형식을 사용했지만,[111] 어떤 점에서는 매우 전통적인 시인이기도 했다. 민요와 발라드의 영향을 받았으며,[112] 새로운 연(聯) 형식과 운율을 창안하기도 했고,[113] 거친 리듬과 구어체를 사용하기도 했다.[114]
보어 전쟁(제2차)과 제1차 세계 대전에 관한 전쟁 시 "Drummer Hodge", "In Time of “The Breaking of Nations”", "The Man He Killed" 등을 썼으며, 루퍼트 브룩과 지그프리트 서순 등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15] 이러한 시들에서는 평범한 병사의 관점과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자주 등장한다.[115] 『웨섹스 시집』에는 "군조의 노래", "라이프치히" 등과 같이 나폴레옹 전쟁이 19세기를 거쳐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는 주제가 나타난다.[116] 나폴레옹 전쟁은 『테세우스』(The Dynasts)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1912년 아내 에마가 사망한 후 쓴 『운명의 풍자』(Moments of Vision)의 일부인 "1912-13년의 시"에 실린 작품들은 하디의 유명한 시들이다. 이 시들은 20년간 평가받지 못했지만, 그 서정시에는 깊은 "후회와 자책"이 나타나 있다.[115] 이 시집의 "After a Journey", "The Voice" 등은 그의 시 작품의 정점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111] 하디의 새로운 전기를 쓴 클레어 토멀린(Claire Tomalin)은 하디가 에마의 죽음 이후 이러한 애가(elegy)를 통해 진정으로 위대한 시인이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117]

하디의 시들은 대부분 사랑과 삶에 대한 실망, 그리고 "운명의 장난"을 노래하고 있지만, 그것은 세심하게 절제된 애가조로 묘사되어 있다.[118] 또한 "The Man he Killed", "Are You Digging on My Grave" 등 많은 시에서는 풍자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116] "The Blinded Bird" 등 몇몇 시에서는 생체 해부 반대론자이자 영국동물학대방지협회(RSPCA) 회원으로서 동물 학대에 반대하는 태도를 반영하고 있다.[119]
제럴드 핀지, 벤저민 브리튼, 구스타프 홀스트 등 저명한 작곡가들은 하디의 시에 곡을 붙였다.[120][121][122][123] 홀스트는 1927년 하디에게 경의를 표하는 의미로 교향시 "에그던 히스"(Egdon Heath)를 작곡했다.
하디의 시는 소설처럼 처음부터 인정받지는 못했지만, 현재는 20세기의 위대한 시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로버트 프로스트, W. H. 오든, 딜런 토머스, 필립 라킨 등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114] 라킨은 『옥스퍼드판 20세기 영국 시』(1973)에서 T. S. 엘리엇의 9편에 비해 하디의 27편의 시를 다루고 있다.[124]
2. 5. 만년 (1912-1928)
1912년 첫 아내 에마를 잃었지만, 2년 후인 1914년에 39세 연하의 비서 플로렌스 에밀리 더그데일(Florence Dugdale영어)과 재혼했다. 그러나 전처를 잊지 못하고 시를 쓰는 등 마음을 달랬다. 1928년 감기에 걸려 맥스 게이트에서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국장으로 치러졌고, 화장 후 유골은 후처와 함께 웨스트민스터 사원 "시인의 코너"에 안장되었고, 심장만은 전처와 함께 스틴스퍼드 교회의 묘지에 안치되었다.[96]
1928년 1월 11일, 하디는 아내 플로렌스에게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 시편을 읽어달라고 부탁하고 밤 9시경 사망했다.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고 유해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다. 고향에 묻히고 싶어 했던 고인의 뜻에 따라 심장은 스틴스퍼드 교회에 있는 사별한 첫 아내 에마 기퍼드(Emma Gifford영어)의 묘 옆에 매장되었다.
1927년 12월 뇌졸중에 시달렸으며, 1928년 1월 11일 9시 직후 맥스 게이트에서 사망했다. 그는 임종하면서 아내에게 그의 마지막 시를 받아쓰게끔 했다. 사망증명서에는 그의 사인이 '심장성실신'와 '고령'으로 기재되어있다. 그의 장례식은 1월 16일에 웨스터민스터 사원에서 치뤄졌다. 하디는 스틴스퍼드에 있는 첫번째 아내 에마와 같은 무덤에 묻히길 원했었는데 그의 가족과 친구들은 거기에 동의했으나, 그의 유언 집행자인 시드니 칼라일 코커렐 경은 하디가 웨스터민스터의 명성있는 시인 코너에 안장되어야 한다며 주장했다. 결국엔 그의 심장은 에마와 함께 스틴스퍼드에 안장되고, 유해는 시인 코너에 안장되는 것으로 합의를 보았다. 죽을 당시 하디의 재산은 95418GBP (2015년 가치로 5647015GBP)로 측정되었다.
하디의 작품은 D. H. 로렌스, 존 쿠퍼 포위스와 버지니아 울프같은 많은 젊은 작가들에게 존경받았다.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그의 자서전 《Goodbye to All That》(1929)에서 1920년대 초 도싯에서 있었던 하디와의 만남과 하디가 그레이브스와 그의 새 처를 얼마나 따뜻하게 환영하고 그의 작품에 대해 얼마나 격려했는지를 회상한다. 도체스터 보크햄턴에 있는 하디의 생가와 도체스터에 있는 그의 집 맥스 게이트는 내셔널 트러스트가 소유하고 있다.
2. 6. 서훈
1910년 오더 오브 메리트(Order of Merit, OM)[133]3. 작품 세계
하디의 가족은 잉글랜드 성공회 신자였지만, 특별히 독실하지는 않았다. 그는 5주에 세례를 받았고, 아버지와 삼촌이 음악에 기여했던 교회에 다녔다. 하지만 그는 지역 잉글랜드 성공회 학교가 아닌 3마일 떨어진 학교에 다녔다.[60]
젊은 시절 헨리 R. 바스토우와 친구가 되었고, 개종을 고려했지만 포기했다.[60] 삶의 아이러니와 고난, 타고난 호기심은 그가 기존의 기독교적 신 개념에 의문을 품게 만들었다. 그는 전능한 신 대신 '우주의 무의식적 의지'라는 개념을 생각했다.[61]
학자들은 하디의 종교적 성향에 대해 논쟁을 벌였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알렉산더 발로크 그로사트 박사의 질문에 하디는 악의 존재를 전능한 선과 조화시킬 수 있는 가설을 제시할 수 없다고 답하며, 허버트 스펜서 등 불가지론자들의 저술을 통해 우주에 대한 견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63]
하디는 초자연적인 힘, 특히 무관심이나 변덕으로 우주를 지배하는 힘을 자주 생각하고 글로 썼다. 유령과 영혼에 대한 매력도 보여주었다.[63] 초기 기독교 예배 의식과 교회 의례에 대한 강한 정서적 애착을 유지했으며, 성경적 언급은 그의 소설에 자주 등장한다.
존 힉스에게서 수업을 받는 동안 하디는 호레이스 무울과 윌리엄 반스와 친구가 되었다. 무울은 하디에게 기드온 만텔의 책을 선물했고, 이를 통해 성경의 문자적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는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접하게 되었다.[64]
하디는 평생 동안 사후 세계나 시간을 초월한 존재에 대한 이유를 찾고자 했고, 앙리 베르그송과 같은 영매주의자들과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J. M. E. 맥태거트의 철학을 통해 불멸성과 관련된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개념을 탐구했다.[66]
3. 1. 소설
토머스 하디는 소설가로서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적 제약, 인간의 운명, 우연의 역할을 탐구하는 작품을 주로 썼다. 그의 소설은 대부분 영국 남부 웨섹스 지역을 배경으로 하며, 농촌 풍경과 풍습, 시대적 사회 문제를 다룬다.1867년 완성된 첫 소설 《가난한 남자와 숙녀(The Poor Man and the Lady)》는 출판사를 찾지 못했다. 조지 메러디스는 이 소설이 정치적으로 논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고, 하디는 출판을 포기했다.[35] 이후 《절망적인 구제 방법》(1871)과 《녹색 나무 아래에서》(1872)를 익명으로 출판, 상업적 성공을 목표했다. 1873년에는 《푸른 눈의 한 쌍》을 নিজের 이름으로 출판, '클리프행어'라는 용어의 유래가 된 작품으로 알려졌다.[37][38]
《멀고도 험난한 세상》(1874)은 웨섹스라는 가상의 지역을 처음 소개한 소설로, 문학적 성공을 안겨주었다. 이후 25년간 10편 이상의 소설을 발표했다. 런던에서 예빌, 스터민스터 뉴턴으로 이사 후 《에텔베르타의 손》(1876)과 《원주민의 귀환》(1878)을 썼다.[40] 1880년 유일한 역사 소설 《나팔수》, 1881년 《라오디케아인》, 1882년 천문학 배경 로맨스 소설 《두 개의 탑》을 출판했다.
1885년 도체스터 근교 맥스 게이트로 이사, 《캐스터브리지의 시장》(1886), 《숲 속의 사람들》(1887), 《더버빌가의 테스》(1891)를 집필했다. 《더버빌가의 테스》는 '타락한 여인'을 동정적으로 묘사해 비판받았지만,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 1895년 발표된 《어둠 속의 유드》는 성, 종교, 결혼에 대한 논쟁적 묘사로 큰 논란을 일으켜 소설 집필을 중단하게 되었다.[41][42]
하디의 소설은 결혼, 교육, 종교 등 빅토리아 시대 사회 제약을 비판적으로 다룬다. 작품 속 운명과 우연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등장인물들은 삶의 갈림길에서 어려운 선택에 직면한다.
하디의 소설은 1912년에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85]
3. 1. 1. 주요 작품
- 《가난한 남자와 숙녀(The Poor Man and the Lady)》 (1867, 미발표 및 분실)
- 《절망적인 구제 방법》(Desperate Remedies) (1871)
- 《녹색 나무 아래에서》(Under the Greenwood Tree) (1872)
- 《푸른 눈의 한 쌍》(A Pair of Blue Eyes) (1873)
- 《멀고도 험난한 세상》(Far from the Madding Crowd) (1874)
- 《에셀베르타의 손》(The Hand of Ethelberta) (1876)
- 《원주민의 귀환》(The Return of the Native) (1878)
- 《나팔수》(The Trumpet-Major) (1880)
- 《라오디케아인》(A Laodicean) (1881)
- 《두 개의 탑》(Two on a Tower) (1882)
- 《캐스터브리지의 시장》(The Mayor of Casterbridge) (1886)
- 《숲 속의 사람들》(The Woodlanders) (1887)
- 《더버빌가의 테스》(Tess of the d'Urbervilles) (1891)
- 《어둠 속의 유드》(Jude the Obscure) (1895)
- 《사랑하는 사람》(The Well-Beloved) (1897) (1892년 연재로 처음 출판)
- (플로렌스 헤니커(Florence Henniker)와 공저) 《현실의 유령》(The Spectre of the Real) (1894)
- 《웨섹스 이야기》(Wessex Tales) (1888)
- 《귀부인들의 이야기》(A Group of Noble Dames) (1891)
- 《인생의 작은 아이러니》(Life's Little Ironies) (1894)
- 《변화한 남자와 다른 이야기들》(A Changed Man and Other Tales) (1913)
하디는 자신의 장편소설과 단편소설 모음집을 세 가지 종류로 나누었다.[85]
하디의 작품들은 대부분 영국 남부의 웨섹스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데, 이는 그의 고향 도체스터를 모델로 한 것이다. 당시 도체스터는 농촌 지구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하긴 했으나 다소 외진 곳으로, 하디의 어린 시절에는 철도도 들어오지 않았다. 따라서 농촌 풍경, 농촌 사람들의 미신이나 풍습을 쉽게 접할 수 있었던 경험은 훗날 그가 소설을 쓰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내용이 차차 어둡게 변하여 비난을 받기도 하였는데, 그것은 그가 지내온 불안한 시대를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하디의 대표작으로는 웨섹스 소설이라 일컬어지는 《멀고도 험난한 세상》, 《원주민의 귀환》, 《숲 속의 사람들》, 《캐스터브리지의 시장》, 《더버빌가의 테스》, 《어둠 속의 유드》 등이 있고, 장편 극시 《제왕들》 외에 많은 웨섹스 시편들이 있다. 하디의 작품들은 특정 지역, 즉 영국 남부 지역 농촌을 다루고 있어 지방색이 강하지만 결코 지역 소설에 머물지 않는다. 특히 그의 소설들은 시간을 초월하는 인간적 가치들과 당대의 핵심적 문제들을 제시하는 데 특출한 작가적 역량을 아낌없이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된다.
3. 2. 시
토머스 하디는 빅토리아 시대 사실주의 작가로서, 결혼, 교육, 종교와 관련된 사회적 제약과 이로 인한 불행을 비판하는 작품들을 썼다. 시인 필립 라킨은 하디 작품의 중심에 고통이 있다고 보았다.[44] 하디는 소설 『두 개의 탑』에서 계급을 초월한 사랑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 관습에 도전한다.[45] 또한, 그의 작품에서는 운명이나 우연이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는데, 등장인물들은 종종 갈림길에 서서 운명의 힘을 느끼게 된다.[46]하디는 앙리 베르그송과 같은 영매주의자나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J. M. E. 맥태거트의 철학을 통해 불멸성과 관련된 시간과 공간에 대한 고민을 작품에 담아냈다.[66]
제럴드 핀지, 벤저민 브리튼, 랄프 본 윌리엄스, 구스타프 홀스트 등 저명한 영국 작곡가들이 하디의 시에 음악을 붙였다.[76][77][78][79][80]
하디는 나폴레옹 전쟁을 소재로 한 서사시·극시인 왕위 쟁탈(The Dynasts)을 3부에 걸쳐 출판했다. (1부: 1904년, 2부: 1906년, 3부: 1908년) 1923년에는 콘월 여왕의 유명한 비극: 틴태절에서의 리오네스를 발표했다.
3. 2. 1. 주요 시집
- 웨섹스 시와 다른 운문들(Wessex Poems and Other Verses) (1898)
- 과거와 현재의 시들(Poem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1901)
- 시간의 조롱거리와 다른 운문들(Time's Laughingstocks and Other Verses) (1909)
- 상황의 풍자시들(Satires of Circumstance) (1914)
- 비전의 순간들(Moments of Vision) (1917)
- 전집 시(Collected Poems) (1919)
- 후기 서정시와 초기 시들 그리고 다른 많은 운문들(Late Lyrics and Earlier with Many Other Verses) (1922)
- 인간의 모습들, 먼 환상들, 노래들 그리고 사소한 것들(Human Shows, Far Phantasies, Songs and Trifles) (1925)
- 다양한 분위기와 운율의 겨울 시어들(Winter Words in Various Moods and Metres) (1928)
- 토머스 하디 전집 시(The Complete Poems) (Macmillan, 1976)
- 토머스 하디: 선집 시(Selected Poems) (해리 토머스 편, 펭귄, 1993)
- 하디: 시(Hardy: Poems) (에브리맨즈 라이브러리 포켓 포에츠, 1995)
- 토머스 하디: 선집 시와 수필(Thomas Hardy: Selected Poetry and Nonfictional Prose) (세인트 마틴스 프레스(St. Martin's Press), 1996)
- 토머스 하디: 선집 시(Selected Poems) (로버트 메지 편, 펭귄, 1998)
- 토머스 하디: 전집 시(Thomas Hardy: The Complete Poems) (제임스 기브슨 편, 팔그레이브, 2001)

- 『웨섹스 시와 다른 시편』(Wessex Poems and Other Verses). 1898년
- 『과거와 현재의 시』(Poem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1901년
- 『시간의 조롱거리와 다른 시편』(Time's Laughingstocks and Other Verses). 1909년
- 『상황의 풍자』(Satires of Circumstance). 1914년
- 『영감의 순간』(Moments of Vision). 1917년
- 『시집』(Collected Poems). 1919년
- 『후기 서정시와 초기 시, 그리고 다른 많은 시편』(Late Lyrics and Earlier with Many Other Verses). 1922년
- 『인간의 광경, 먼 환상, 노래와 사소한 것들』(Human Shows, Far Phantasies, Songs and Trifles). 1925년
- 『다양한 분위기와 운율의 겨울 시어』(Winter Words in Various Moods and Metres). 1928년 (사후 출판)
- 『전집 시』(The Complete Poems). 1976년
- 『선집 시』(Selected Poems) (해리 토마스(Harry Thomas) 편). 1993년
- 『하디: 시』(Hardy: Poems). 1995년
- 『토머스 하디: 선집 시와 수필』(Thomas Hardy: Selected Poetry and Nonfictional Prose). 1996년
- 『선집 시』(Selected Poems) (로버트 메지(Robert Mezey) 편). 1998년
- 『토머스 하디: 전집 시』(Thomas Hardy: The Complete Poems) (제임스 기브슨(James Gibson) 편). 2001년
- 왕위 쟁탈(The Dynasts)(나폴레옹 전쟁을 소재로 한 서사시·극시)
- * 1부: 1904년
- * 2부: 1906년
- * 3부: 1908년
- 콘월 여왕의 유명한 비극: 틴태절에서의 리오네스(The Famous Tragedy of the Queen of Cornwall at Tintagel in Lyonnesse). 1923년
3. 3. 기타 작품
하디는 여러 단편 소설을 발표했으며, 주요 단편 소설들은 다음과 같다.
하디는 또한 다음과 같은 운문극을 집필했다.
- ''나폴레옹 전쟁 서사시: 디나스트(The Dynasts): 나폴레옹 전쟁 서사시'' (운문 극)
- ''디나스트, 1부'' (1904)
- ''디나스트, 2부'' (1906)
- ''디나스트, 3부'' (1908)
- ''틴태절(Tintagel) 리오네스의 콘월 여왕의 유명한 비극'' (1923) (1막극)
하디는 자신의 두 번째 아내의 이름으로 다음과 같은 자서전을 출판했다.
- ''토머스 하디의 초기 생애, 1840–1891''. 1928년
- ''토머스 하디의 말년, 1892–1928''. 1930년
이 자서전은 현재 마이클 밀게이트(Michael Millgate)가 편집한 비평판 한 권짜리 "토마스 하디의 생애와 작품"(The Life and Work of Thomas Hardy, 1984)으로 출판되고 있다.[85]
4. 영향
D. H. 로런스는 토머스 하디의 작품을 연구하며 자신의 철학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무지개』(1915), 『사랑에 빠진 여인들』(1920) 등에 반영되었다.[125] 로런스와 같은 시대 작가인 존 쿠퍼 포이스는 첫 소설 "Wood and Stone"(1915)을 "우리 시대 가장 위대한 시인이자 작가인 토머스 하디"에게 헌정했다.[126] 포이스의 후기 작품 "Maiden Castle"(1936)은 하디의 『캐스터브리지 시장』의 배경인 도체스터를 무대로 하고 있다.[127] 또한, 포이스는 "Wolf Solent"(1929), "A Glastonbury Romance"(1932), "Weymouth Sands"(1934) 등 서머싯과 도싯을 배경으로 한 '웨섹스 시리즈'를 발표했다.[128]
서머싯 몸의 『케이크와 맥주』(1936)에 등장하는 작가 에드워드 드리필드는 하디를 모델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9] 존 아일랜드의 교향시 "Mai-Dun"(1921)과 구스타프 홀스트의 "Egdon Heath"(1927)는 하디 소설 속 풍경을 음악으로 표현하려 했다.
하디는 포스트 펑크 록 밴드 Half Man Half Biscuit의 보컬이자 기타리스트인 나이젤 블랙웰에게도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가사에 반영되었다.[130][131]
5. 한국에서의 수용
토머스 하디의 작품은 한국에서 여러 번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1906년 타카세 아오카(高瀬青花)가 『제국문학(帝国文学)』에 『더버빌 가의 테스』를 처음 번역한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출판사에서 그의 장편 소설과 단편 소설이 번역 출간되었다.
다음은 한국어로 번역된 토머스 하디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출판 연도), 번역자, 출판사 |
---|---|
Desperate Remedies (1871) | 『궁여의 책(窮余の策)』 (1984), 마쓰야마 마나부(増山学) 역, 가쿠쇼보(学書房) |
Under the Greenwood Tree (1872) | * 『녹색 나무 그늘 ― 화란파 전원화(緑の木蔭―和蘭派田園画)』 (1936), 아베 지지(阿部知二) 역, 이와나미 문고(岩波文庫) |
A Pair of Blue Eyes (1873) | 『푸른 눈(青い眼)』 (2009), 츠치야 야마코(土屋倭子) 역, 오사카 교육 도서(大阪教育図書) |
Far from the Madding Crowd (1874) | * 『광란의 군중으로부터 멀리(遥か群衆を離れて)』 (1969), 타카하타 후미오(高畠文夫) 역, 각가와 문고(角川文庫) |
The Hand of Ethelberta (1876) | 『에텔베르타의 손(エセルバータの手)』 (2009), 오에노키 시게유키(大榎茂行) 역, 오사카 교육 도서(大阪教育図書) |
The Return of the Native (1878) | * 『귀향(帰郷)』 (1954-55, 개정판), 오사와 마모루(大沢衛) 역, 신초 문고(新潮文庫) |
The Trumpet-Major (1880) | 『라파 대장(ラッパ隊長)』 (1979), 후지이 시게루(藤井繁), 카와시마 미츠코(川島光子) 역, 센죠(千城) |
Two on a Tower (1882) | * 『탑 위의 두 사람(塔上の二人)』 (1987), 후지이 시게루(藤井繁) 역, 센죠(千城) |
The Mayor of Casterbridge (1886) | * 『캐스터브리지의 시장(カスターブリッジの市長)』 (2002), 우에다 카즈오(上田和夫) 역, 시오 출판사(潮出版社) (신판) - 처팔이(売妻)를 주제로 함 |
The Woodlanders (1887) | 『숲에 사는 사람들(森に住む人たち)』 (1981), 타키야마 키노(滝山季乃) 역, 센죠(千城) |
'Alicias Diary'' (1887) | 『앨리시아의 일기(アリシアの日記)』 (2007), 시미즈 사다스케(清水貞助) 역, 겐큐샤 출판(研究社出版) (단편) |
'Tess of the dUrbervilles'' (1891) | * 『테스(テス)』 (1960), 이노우에 소우지(井上宗次), 이시다 에이지(石田英二) 역, 이와나미 문고(岩波文庫) |
A Group of Noble Dames (1891) | 「그리브 가의 바바라 이야기(グリーブ家のバアバラの話)」 (1927), 타니자키 준이치로(谷崎潤一郎) 역, 『중앙공론(中央公論)』 |
Jude the Obscure (1895) | * 『그림자 속의 주드(日陰者ジュード)』 (1988), 고바야시 세이이치(小林清一) 역, 센죠(千城) |
The Well-Beloved (1897) | * 『사랑하는 영혼(恋魂)』 (1988), 타키야마 키노(滝山季乃), 타치바나 토모코(橘智子) 역, 센죠(千城) |
오사카 교육 도서(大阪教育図書)는 『토마스 하디 단편 전집(トマス・ハーディ短編全集)』(전 4권, 2000-2003)과 『토마스 하디 전집(トマス・ハーディ全集)』(전 16권, 2009-2016)을 출간했다.[132]
그 외 단편집으로는 코노 이치로(河野一郎) 역, 신초 문고(新潮文庫)의 『하디 단편집(ハーディ短編集)』(1957), 「무라카미 시바타 번역당(村上柴田翻訳堂)」의 『저주받은 팔 하디 걸작선(呪われた腕 ハーディ傑作選)』(신초 문고(新潮文庫), 2016), 이데 히로유키(井出弘之) 편역, 이와나미 문고(岩波文庫)의 『하디 단편집(ハーディ短篇集)』(2000), 타카하타 후미오(高畠文夫) 역, 각가와 문고(角川文庫)의 『마녀의 저주 하디 단편집(魔女の呪い ハーディ短編集)』(1977) 등이 있다.
하디의 작품은 영화로도 각색되어 한국에 소개되었다.
- 《테스》: 여러 차례 영화화되었으며, 특히 1979년 로만 폴란스키(Roman Polanski) 감독의 작품이 유명하다.
- 《카스터브리지의 시장》: 2000년 마이클 윈터바텀(Michael Winterbottom) 감독의 《더 클레임》(The Claim)으로 각색되었다.
- 《멀리서 들려오는 군중의 소리》(Far from the Madding Crowd): 1915년, 1967년, 2015년에 영화화되었다.
- 《그림자 속의 주드》: 1996년 마이클 윈터바텀(Michael Winterbottom) 감독의 《그림자 속의 두 사람》(The Two of Us)으로 각색되었다.
참조
[1]
논문
Hardy and Wordsworth
1986-12-01 # Winter 1986 추정
[2]
서적
Thomas Hardy: 'Tess of the d'Urbervilles'
Humanities-Ebooks
2007
[3]
웹사이트
BBC – The Big Read
https://www.bbc.co.u[...]
2016-12-16
[4]
웹사이트
The Hardy Tree Of St Pancras Has Fallen
https://londonist.co[...]
2022-12-28
[5]
문서
Copy of marriage certificate in Melbury Osmond parish church
[6]
웹사이트
Thomas Hardy: The Time-Torn Man
https://www.theguard[...]
2016-12-13
[7]
서적
Thomas Hardy: the Time-torn Man
Penguin
[8]
print
The Return of the Native, by Thomas Hardy
Barnes & Noble
[9]
뉴스
Thomas Hardy altarpiece discovered in Windsor church
https://www.theguard[...]
2016-08-16
[10]
웹사이트
Legendary author Thomas Hardy's lost contribution to Windsor church uncovered
http://www.windsorob[...]
2016-08-15
[11]
논문
When steam railroaded history
[12]
서적
A Companion to Thomas Hardy
John Wiley & Sons
2009
[13]
서적
Thomas Hardy and Contemporary Literary Studies
Springer
2004
[14]
서적
Chosen Poems of Thomas Hardy
Macmillan Education
[15]
웹사이트
Hardy, Thomas (1840–1928)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2-07
[16]
웹사이트
FreeBMD Home Page
http://www.freebmd.o[...]
[17]
서적
Some Recollections by Emma Hardy; with some relevant poems by Thomas Hardy
Oxford University Press
[18]
라디오
"Thomas Hardy – the Time-Torn Man"
2006-10-23
[19]
웹사이트
At home with the wizard
https://www.theguard[...]
2019-07-10
[20]
웹사이트
Wiltshire Days Out – Thomas Hardy at Stourhead
https://www.bbc.co.u[...]
BBC
[21]
간행물
London Gazette
1910-07-08
[22]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s://www.nobelpri[...]
2020-04-01
[23]
웹사이트
Yeats och Nobelpriset
https://www.kulturde[...]
kulturdelen.com
2012-12-11
[24]
서적
Thomas Hardy on Stage
The Macmillan Press
[25]
서적
Thomas Hardy on Stage
The Macmillan Press
[26]
문서
A Souvenir of the Performances of the Play adapted from Mr. Thos. Hardy's Novel 'The Trumpet Major'
The Dorchester Debating and Dramatic Society
[27]
논문
The Sources of The Famous Tragedy of the Queen of Cornwall
https://www.jstor.or[...]
1993-02-01
[28]
뉴스
1914 Authors' Manifesto Defending Britain's Involvement in WWI, Signed by H.G. Wells and Arthur Conan Doyle
https://slate.com/hu[...]
[29]
서적
The Pessimism of Thomas Hardy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1976
[30]
서적
Heart Burial
Allen & Unwin
[31]
문서
From Probate Index for 1928
[32]
웹사이트
Homeground: Dead man talking
https://www.bbc.co.u[...]
2003-08-20
[33]
서적
Study of Thomas Hardy and other essay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Novels of Thomas Hardy
[35]
서적
Thomas Hardy: The World of his Novels
https://books.google[...]
Frances Lincoln
2013
[36]
서적
Thomas Hardy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37]
서적
Delphi Complete Works of Thomas Hardy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6-10-16
[38]
잡지
The curious staying power of the cliffhanger.
https://www.newyorke[...]
2019-07-10
[39]
서적
Thomas Hardy's Legal Fiction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3
[40]
웹사이트
Curiosities of Sturminster Newton – Dorset Life – The Dorset Magazine
http://www.dorsetlif[...]
2017-11-09
[41]
서적
Jude the Obscure
https://books.google[...]
Penguin Classics
2016-10-16
[42]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W.W. Norton
2000
[43]
웹사이트
Talks with Thomas Hardy
https://archive.org/[...]
Bookman Publishing Co.
2024-12-14
[44]
서적
Wanted: Good Hardy Critic
Faber and Faber
1983
[45]
서적
Thomas Hardy: The Complete Critical Guide to Thomas Hardy
Routledge
2003
[46]
웹사이트
Far from the Madding Crowd, Thomas Hardy – Introduction (Twentieth-Century Literary Criticism. Ed. Linda Pavlovski. Vol. 153. Gale Group, Inc.)
http://www.enotes.co[...]
Enotes.com
2009-09-07
[47]
서적
Introduction to the Penguin edition of Jude the Obscure
Penguin Books
1984
[48]
뉴스
Poem of the week: The Darkling Thrush, by Thomas Hardy
https://www.theguard[...]
2023-08-09
[49]
백과사전
Thomas Hardy (British writer) –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2014-05-19
[50]
서적
The Bloomsbury Guide to English Literature
Prentice Hall
1990
[51]
서적
The Bloomsbury Guide
[52]
웹사이트
Thomas Hardy | Academy of American Poets
http://www.poets.org[...]
Poets.org
2014-05-19
[53]
웹사이트
Thomas Hardy
http://www.poetryfou[...]
The Poetry Foundation
2014-05-19
[54]
서적
Thomas Hardy's Tragic Poetry: The Lyrics and The Dynasts
University of Iowa Press
1991
[55]
서적
Thomas Hardy
Penguin
2007
[56]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57]
서적
Waking Giants: The Presence of the Past in Modernis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4-16
[58]
웹사이트
Poetry.org
http://www.poets.org[...]
Poets.org
2014-05-19
[59]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60]
서적
Thomas Hardy, The Time Torn Man
Penguin
2007
[61]
서적
Thomas Hardy: Towards A Materialist Criticism
Rowman & Littlefield
1985
[62]
서적
The Early Life of Thomas Hardy, 1840–1891
[63]
서적
Thomas Hardy
Norton
1988
[64]
웹사이트
Pearson Literature: Biography: Thomas Hardy
http://wps.ablongman[...]
2008-04-15
[65]
웹사이트
Adelene Buckland: Thomas Hardy, Provincial Geology and the Material Imagination
http://www.19.bbk.ac[...]
2011-12-10
[66]
서적
"Time's Renewal": Death and Immortality in Thomas Hardy's Emma poems
Palgrave
2020
[67]
웹사이트
Thomas Hardy's Wessex
http://www.st-andrew[...]
St-andrews.ac.uk
2014-05-19
[68]
웹사이트
Thomas Hardy's Wessex: The Evolution of Wessex
http://www.st-andrew[...]
St-andrews.ac.uk
2014-05-19
[69]
서적
Wenlock Abbey 1857–1919: A Shropshire Country House and the Milnes Gaskell Family
Ellingham Press
2015
[70]
서적
Hardy's Heirs: D. H. Lawrence and John Cowper Powy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2012
[71]
서적
Hardy's Heirs: D. H. Lawrence and John Cowper Powys
[72]
서적
Descents of Memory: The Life of John Cowper Powys
Overlook Duckworth
2007
[73]
서적
John Cowper Powys
Seren
1997
[74]
백과사전
Cakes and Ale
http://academic.eb.c[...]
2015-04-26
[75]
서적
The Marriage of Bette and Boo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1987
[76]
song cycle
Earth and Air and Rain
1936
[77]
웹사이트
Biography " Gerald Finzi Official Site
http://www.geraldfin[...]
Ger aldfinzi.com
1956-09-27
[78]
song cycle
Winter Words
1953
[79]
Cantata
Hodie
1954
[80]
웹사이트
Gustav Holst (Vocal Texts and Translations for Composer Gustav Holst)
http://www.lieder.ne[...]
LiederNet Archive
[81]
음악
Three Songs to Poems by Thomas Hardy
[82]
음반
The Past and I: 100 Years of Thomas Hardy
Delphian Records
2024
[83]
뉴스
Taking the biscuit
https://www.theguard[...]
2001-07-21
[84]
서적
Tess of the d'Urbervilles
http://www.victorian[...]
1891
[85]
서적
The Victorian Novel and the Space of Art: Fictional Form on Displa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86]
학술지
Thomas Hardy And Florence Henniker: The Writing Of "The Spectre of the Real
http://digitalcommon[...]
1944-10
[87]
웹사이트
Thomas Hardy
http://www.poetryfou[...]
The Poetry Foundation
[88]
웹사이트
Thomas Hardy poems
http://www.poemhunte[...]
[89]
웹사이트
トマス・ハーディ全集 : 4巻「はるか群衆をはなれて」
https://www.osaka-ky[...]
大阪教育図書
2021-02-12
[90]
서적
トマス・ハーディ全貌
日本ハーディ協会
[91]
서적
テス
岩波文庫
1960
[92]
서적
ハーディ短篇集
岩波文庫
2000
[93]
관보
1910-07-08
[94]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s://www.nobelpri[...]
2021-04-13
[95]
서적
トマス・ハーディ全貌
日本ハーディ協会
[96]
웹사이트
J.M.バリーとトマス・ハーディ(金子幸男)
http://thomashardyja[...]
[97]
서적
ハーディ小説にみる動物の痛み
松柏社
2014
[98]
웹사이트
Homeground: Dead man talking
https://www.bbc.co.u[...]
BBC Online
2003-08-20
[99]
서적
Study of Thomas Hardy and other essay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100]
서적
The Novels of Thomas Hardy
[101]
서적
Thomas Hardy: The World of his Novels
https://books.google[...]
Frances Lincoln
2013-06-24
[102]
서적
Thomas Hardy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103]
서적
Delphi Complete Works of Thomas Hardy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3-11-17
[104]
잡지
The curious staying power of the cliffhanger.
https://www.newyorke[...]
2019-07-10
[105]
서적
Thomas Hardy's Legal Fiction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3
[106]
웹사이트
Curiosities of Sturminster Newton – Dorset Life – The Dorset Magazine
http://www.dorsetlif[...]
2017-11-09
[107]
서적
帰郷
新潮社
1954-1955
[108]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W.W. Norton
2000
[109]
서적
魔女の呪い
角川文庫
1977
[110]
서적
Jude the Obscure
Penguin Books
1984
[111]
백과사전
Thomas Hardy (British writer) –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2014-05-19
[112]
서적
The Bloomsbury Guide to English Literature
Prentice Hall
1990
[113]
서적
The Bloomsbury Guide
[114]
웹사이트
Thomas Hardy | Academy of American Poets
http://www.poets.org[...]
Poets.org
2014-05-19
[115]
웹사이트
Thomas Hardy
http://www.poetryfou[...]
The Poetry Foundation
2014-05-19
[116]
서적
Thomas Hardy's Tragic Poetry: The Lyrics and The Dynasts
University of Iowa Press
1991
[117]
서적
Thomas Hardy
Penguin
2007
[118]
서적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119]
서적
Waking Giants: The Presence of the Past in Modernis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120]
음악
Earth and Air and Rain
[121]
웹사이트
Biography " Gerald Finzi Official Site
http://www.geraldfin[...]
Geraldfinzi.com
2014-05-19
[122]
음악
Winter Words
[123]
웹사이트
Gustav Holst (Vocal Texts and Translations for Composer Gustav Holst)
http://www.lieder.ne[...]
LiederNet Archive
2014-05-19
[124]
웹사이트
Poetry.org
http://www.poets.org[...]
Poets.org
2014-05-19
[125]
서적
A Companion to Thomas Hard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2012
[126]
서적
Hardy's Heirs: D. H. Lawrence and John Cowper Powys
[127]
서적
Descents of Memory: The Life of John Cowper Powys
Overlook Duckworth
2007
[128]
서적
John Cowper Powys
Seren
1997
[129]
백과사전
Cakes and Ale
http://academic.eb.c[...]
2015-04-26
[130]
뉴스
Taking the biscuit
https://www.theguard[...]
2001-07-21
[131]
서적
Tess of the d'Urbervilles
http://www.victorian[...]
1891
[132]
서적
トマス・ハーディの生涯
[133]
저널
The London Gazette
https://www.thegazet[...]
2016-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