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메이스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메이스필드는 1878년 영국에서 태어나 1967년 사망한 영국의 시인, 극작가, 소설가이다. 그는 13세에 선원이 되어 항해하며 작가의 꿈을 키웠고, 1902년 시집 ''Salt-Water Ballads''로 문단에 데뷔했다. 이후 서사시 ''The Everlasting Mercy'', 전쟁 경험을 담은 ''갈리폴리'' 등을 발표하며 명성을 얻었고, 1930년에는 영국 계관시인으로 임명되어 37년간 재임했다. 그의 작품은 바다, 전쟁, 어린이 등을 주제로 하며, "Sea-Fever"와 같은 시는 널리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동화 ''기쁨의 상자''가 번역 출판되어 사랑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현대의 아서왕 각색 작가 - 에릭 로메르
에릭 로메르는 프랑스 뉴웨이브의 중심 인물이자 《카이에 뒤 시네마》 편집장, 그리고 '여섯 개의 도덕 이야기' 등의 연작을 통해 인간관계와 감정의 미묘함을 탐구한 영화감독, 영화 평론가, 소설가이다. - 근현대의 아서왕 각색 작가 - 토머스 하디
토머스 하디는 웨섹스를 배경으로 사회 변화 속 농촌 공동체의 몰락과 개인의 비극을 그린 소설과 나폴레옹 전쟁을 소재로 한 서사시를 쓴 영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20세기 영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시인 - 퍼시 비시 셸리
퍼시 비시 셸리는 급진적인 신념과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낭만주의 시대의 영국 시인이자 작가로서, 《서풍의 노래》, 《프로메테우스의 해방》, 《오지맨디아스》 등의 작품을 통해 낭만주의적 열정과 자유, 이상을 노래하며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시인 - 제프리 초서
제프리 초서는 《캔터베리 이야기》로 유명한 중세 영국의 시인이자 작가이며 영국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고,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며 프랑스어와 이탈리아 문학의 영향을 받아 독창적인 문학 스타일을 구축하여 중세 영어 문학의 황금기를 이끌었으며 현대 영어 발전에도 기여했다. - 1878년 출생 - 뤼시앵 페브르
뤼시앵 페브르는 마르크 블로크와 함께 아날 학파를 창시하여 총체적 역사와 심성사를 개척하고 다양한 사료 활용 및 학문 간 협력을 강조하며 20세기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역사학자이다. - 1878년 출생 - 잭 존슨 (권투 선수)
흑인 최초로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등극한 잭 존슨은 1908년부터 1915년까지 챔피언으로 활동하며 인종차별 속에서 "세기의 대결" 승리 후 인종 폭동을 야기하기도 했지만, 맨 법 위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수감되었고 사후 사면된, 도전적인 삶으로 후대 복서들에게 영감을 준 전설적인 권투 선수이다.
존 메이스필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존 에드워드 메이스필드 |
출생 | 1878년 6월 1일 |
출생지 | 레드베리, 헤리퍼드셔, 잉글랜드 |
사망 | 1967년 5월 12일 |
사망지 | 애빙던온템스, 옥스퍼드셔, 잉글랜드 |
국적 | 잉글랜드 |
직업 | 시인, 작가 |
경력 | |
활동 기간 | 1902년–1967년 |
장르 | 시, 아동 소설 |
수상 | 셰익스피어 상 (1938년) |
공직 | |
직함 | 영국 왕실 시인 |
군주 |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
임기 시작 | 1930년 5월 9일 |
임기 종료 | 1967년 5월 12일 |
이전 | 로버트 브리지스 |
계승 | 세실 데이루이스 |
2. 생애
존 메이스필드는 1878년 영국 허리퍼드셔 주 레드버리에서 변호사인 아버지 조지 메이스필드와 교사인 어머니 캐롤라인 사이에서 태어났다.[1] 어린 시절, 어머니와 아버지를 모두 잃고 이모의 손에서 자랐다.[1]
1888년부터 1891년까지 워릭의 킹스 스쿨에서 기숙사 생활을 하며 교육을 받았으나,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했다.[1] 이후 13세에 상선 훈련선 호에 탑승하여 선원 생활을 시작했다.[1] ''Conway''호에서 그는 항해술을 배우고 독서와 글쓰기에 몰두하며 작가이자 이야기꾼이 되기로 결심했다.[1]
1894년, 메이스필드는 칠레로 향하는 ''Gilcruix''호에 탑승하여 첫 항해를 경험했다.[1] 이 항해에서 그는 뱃멀미를 겪었지만, 거친 날씨 속에서 날치, 돌고래, 새를 보며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경외감을 느꼈다.[1] 칠레에서 일사병으로 입원한 후 증기선을 타고 영국으로 귀국했다.[1]
1895년, 메이스필드는 윈드재머를 타고 뉴욕 시티로 건너갔으나, 작가의 꿈과 선원 생활에 대한 절망감으로 배에서 내려 방랑 생활을 시작했다.[3] 뉴욕 등지에서 여러 직업을 전전하며 몇 달 동안 방랑하다가 뉴욕으로 돌아와 바텐더 조수로 일했다.[3] 이 시기, Duncan Campbell Scott의 시 "The Piper of Arll"을 읽고 시에 대한 열정을 갖게 되었다.[3][4]
그는 1895년부터 1897년까지 뉴욕주, 욘커스에 있는 알렉산더 스미스 카펫 공장에서 일하면서, 조지 뒤 모리에, 알렉상드르 뒤마 (아버지), 토마스 브라운, 윌리엄 해즐릿, 찰스 디킨스, 러디어드 키플링,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제프리 초서, 존 키츠와 퍼시 비시 셸리등의 작품을 탐독했다.[6] 1897년, 메이스필드는 증기선을 타고 영국으로 돌아와 본격적으로 문학 공부를 시작했다.[6]
존 메이스필드는 1902년 첫 시집 ''Salt-Water Ballads''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이 시집에는 "Sea-Fever"가 포함되어 있다. 1908년에는 소설 ''Captain Margaret''을, 1909년에는 ''Multitude and Solitude''를 발표했다. 1911년에는 서사시 ''The Everlasting Mercy''를 발표하여 대중적 인기와 비평가들의 찬사를 동시에 얻었으며, 1912년에는 에드몽 드 폴리냑 상을 수상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1914년, 메이스필드는 징집 면제를 받을 수 있었으나 1915년 봄, 6주 동안 프랑스 오트마른의 Hôpital Temporaire d'Arc-en-Barrois에서 프랑스 군인을 위한 영국 병원 직원으로 복무했다.[9] 그는 이후 자신의 경험을 기록으로 출판했다.
귀국 후, 메이스필드는 미국에서 3개월간 강연을 했다. 영문학 강연이 주 목적이었으나, 유럽 전쟁에 대한 미국인들의 분위기와 견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그는 영국 외무부에 보고서를 제출하고, 다르다넬스 연합군의 실패에 대한 책을 써서 독일 선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허락해 줄 것을 제안했다. 그 결과, ''갈리폴리''가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메이스필드는 프랑스에서 영국 군사 정보국 국장을 만나 솜 전투에 대한 기록을 써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공식 기록 접근이 거부되었고, 솜 지역의 지리를 묘사한 ''The Old Front Line''을 출판했다.[9]
1918년, 메이스필드는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 군인들에게 연설과 강연을 했다. 흑인 병사 부대가 그의 강연 후 그를 위해 춤과 노래를 부를 정도로 강연은 매우 성공적이었다.[9] 이 투어 동안 그는 대중 연설가로서 능력을 키웠으며, 예일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9]
1920년대에 메이스필드는 보어스 힐에 정착하여 양봉, 염소 치기, 가금류 사육을 하며 작가로 활동했다. ''수집된 시''(1923) 초판은 약 80,000부 이상 판매되었다. 서사시 ''Reynard The Fox''(1920)는 제프리 초서의 작품과 비교되기도 했으나, 메이스필드에게 유리한 비교는 아니었다.[10] 이후 인류와 자연의 관계를 강조한 ''Right Royal''과 ''킹 콜''(1921)을 출판했다.
''킹 콜'' 이후, 메이스필드는 장시에서 벗어나 소설로 돌아섰다. 1924년부터 1939년까지 다양한 장르의 소설 12편을 출판했다. 같은 시기에 그는 많은 드라마 작품을 썼는데, 대부분 기독교 주제를 기반으로 했다. 1928년 그의 ''The Coming of Christ''는 중세 이후 영국 대성당에서 공연된 최초의 연극이 되었다.[11]
1930년, 로버트 브리지스가 사망하자 램지 맥도널드 총리의 추천으로 조지 5세 국왕은 존 메이스필드를 영국 계관시인으로 임명했다. 그는 1967년 사망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는데, 이는 알프레드 테니슨 경 다음으로 긴 재임 기간이었다.[13] 메이스필드는 이 직책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So Many True Princesses Who Have Gone"[13] 등 왕실 행사를 위한 시를 다수 창작했다. 그는 겸손한 자세로 왕실 관련 시를 제출할 때마다 반송용 봉투를 동봉하는 성의를 보였다.[13]
임명 후, 메이스필드는 조지 5세로부터 공로 훈장을 받았고, 여러 영국 대학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13] 1937년에는 작가 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938년에는 함부르크의 알프레드 토페르 재단에서 수여하는 셰익스피어 상을 수상했다. 그는 영국 문학과 시의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35세 미만 시인의 초판 또는 재판 시집에 시 로열 메달을 매년 수여하기도 했다.
메이스필드는 70세 무렵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나, 질병으로 인해 점차 활동이 줄어들었다. 1960년, 오랜 투병 끝에 아내 콘스탄스가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4] 그는 아내의 죽음으로 큰 슬픔에 잠겼지만, 계관시인으로서의 의무는 계속 수행했다. 1966년 말, 메이스필드는 발목에 괴저가 발생하여 다리로 번졌고, 1967년 5월 12일 감염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화장되어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시인의 코너에 안치되었다.[14]
2. 1. 어린 시절과 선원 생활 (1878-1897)
존 메이스필드는 1878년 영국 허리퍼드셔 주 레드버리에서 변호사인 아버지 조지 메이스필드와 교사인 어머니 캐롤라인 사이에서 태어났다.[1] 어린 시절, 어머니와 아버지를 모두 잃고 이모의 손에서 자랐다.[1]1888년부터 1891년까지 워릭의 킹스 스쿨에서 기숙사 생활을 하며 교육을 받았으나,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했다.[1] 이후 13세에 상선 훈련선 호에 탑승하여 선원 생활을 시작했다.[1] ''Conway''호에서 그는 항해술을 배우고 독서와 글쓰기에 몰두하며 작가이자 이야기꾼이 되기로 결심했다.[1]
1894년, 메이스필드는 칠레로 향하는 ''Gilcruix''호에 탑승하여 첫 항해를 경험했다.[1] 이 항해에서 그는 뱃멀미를 겪었지만, 거친 날씨 속에서 날치, 돌고래, 새를 보며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경외감을 느꼈다.[1] 칠레에서 일사병으로 입원한 후 증기선을 타고 영국으로 귀국했다.[1]
1895년, 메이스필드는 윈드재머를 타고 뉴욕 시티로 건너갔으나, 작가의 꿈과 선원 생활에 대한 절망감으로 배에서 내려 방랑 생활을 시작했다.[3] 뉴욕 등지에서 여러 직업을 전전하며 몇 달 동안 방랑하다가 뉴욕으로 돌아와 바텐더 조수로 일했다.[3] 이 시기, Duncan Campbell Scott의 시 "The Piper of Arll"을 읽고 시에 대한 열정을 갖게 되었다.[3][4]
그는 1895년부터 1897년까지 뉴욕주, 욘커스에 있는 알렉산더 스미스 카펫 공장에서 일하면서, 조지 뒤 모리에, 알렉상드르 뒤마 (아버지), 토마스 브라운, 윌리엄 해즐릿, 찰스 디킨스, 러디어드 키플링,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제프리 초서, 존 키츠와 퍼시 비시 셸리등의 작품을 탐독했다.[6] 1897년, 메이스필드는 증기선을 타고 영국으로 돌아와 본격적으로 문학 공부를 시작했다.[6]
2. 2. 작가 활동 초기 (1897-1914)
존 메이스필드는 1902년 첫 시집 ''Salt-Water Ballads''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이 시집에는 "Sea-Fever"가 포함되어 있다. 1908년에는 소설 ''Captain Margaret''을, 1909년에는 ''Multitude and Solitude''를 발표했다. 1911년에는 서사시 ''The Everlasting Mercy''를 발표하여 대중적 인기와 비평가들의 찬사를 동시에 얻었으며, 1912년에는 에드몽 드 폴리냑 상을 수상했다.2. 3. 제1차 세계 대전과 전후 (1914-1930)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1914년, 메이스필드는 징집 면제를 받을 수 있었으나 1915년 봄, 6주 동안 프랑스 오트마른의 Hôpital Temporaire d'Arc-en-Barrois에서 프랑스 군인을 위한 영국 병원 직원으로 복무했다.[9] 그는 이후 자신의 경험을 기록으로 출판했다.귀국 후, 메이스필드는 미국에서 3개월간 강연을 했다. 영문학 강연이 주 목적이었으나, 유럽 전쟁에 대한 미국인들의 분위기와 견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그는 영국 외무부에 보고서를 제출하고, 다르다넬스 연합군의 실패에 대한 책을 써서 독일 선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허락해 줄 것을 제안했다. 그 결과, ''갈리폴리''가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메이스필드는 프랑스에서 영국 군사 정보국 국장을 만나 솜 전투에 대한 기록을 써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공식 기록 접근이 거부되었고, 솜 지역의 지리를 묘사한 ''The Old Front Line''을 출판했다.[9]
1918년, 메이스필드는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 군인들에게 연설과 강연을 했다. 흑인 병사 부대가 그의 강연 후 그를 위해 춤과 노래를 부를 정도로 강연은 매우 성공적이었다.[9] 이 투어 동안 그는 대중 연설가로서 능력을 키웠으며, 예일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9]
1920년대에 메이스필드는 보어스 힐에 정착하여 양봉, 염소 치기, 가금류 사육을 하며 작가로 활동했다. ''수집된 시''(1923) 초판은 약 80,000부 이상 판매되었다. 서사시 ''Reynard The Fox''(1920)는 제프리 초서의 작품과 비교되기도 했으나, 메이스필드에게 유리한 비교는 아니었다.[10] 이후 인류와 자연의 관계를 강조한 ''Right Royal''과 ''킹 콜''(1921)을 출판했다.
''킹 콜'' 이후, 메이스필드는 장시에서 벗어나 소설로 돌아섰다. 1924년부터 1939년까지 다양한 장르의 소설 12편을 출판했다. 같은 시기에 그는 많은 드라마 작품을 썼는데, 대부분 기독교 주제를 기반으로 했다. 1928년 그의 ''The Coming of Christ''는 중세 이후 영국 대성당에서 공연된 최초의 연극이 되었다.[11]
2. 4. 계관시인 시절과 말년 (1930-1967)
1930년, 로버트 브리지스가 사망하자 램지 맥도널드 총리의 추천으로 조지 5세 국왕은 존 메이스필드를 영국 계관시인으로 임명했다. 그는 1967년 사망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는데, 이는 알프레드 테니슨 경 다음으로 긴 재임 기간이었다.[13] 메이스필드는 이 직책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So Many True Princesses Who Have Gone"[13] 등 왕실 행사를 위한 시를 다수 창작했다. 그는 겸손한 자세로 왕실 관련 시를 제출할 때마다 반송용 봉투를 동봉하는 성의를 보였다.[13]임명 후, 메이스필드는 조지 5세로부터 공로 훈장을 받았고, 여러 영국 대학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13] 1937년에는 작가 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938년에는 함부르크의 알프레드 토페르 재단에서 수여하는 셰익스피어 상을 수상했다. 그는 영국 문학과 시의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35세 미만 시인의 초판 또는 재판 시집에 시 로열 메달을 매년 수여하기도 했다.
메이스필드는 70세 무렵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나, 질병으로 인해 점차 활동이 줄어들었다. 1960년, 오랜 투병 끝에 아내 콘스탄스가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4] 그는 아내의 죽음으로 큰 슬픔에 잠겼지만, 계관시인으로서의 의무는 계속 수행했다. 1966년 말, 메이스필드는 발목에 괴저가 발생하여 다리로 번졌고, 1967년 5월 12일 감염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화장되어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시인의 코너에 안치되었다.[14]
3. 작품 세계 및 평가
메이스필드의 작품은 바다를 주제로 한 시, 전쟁 경험을 다룬 산문, 그리고 어린이를 위한 동화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초기 시들은 뱃사람 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바다와 항해에 대한 낭만적인 동경과 향수를 담고 있으며, "Sea-Fever", "Cargoes" 등이 대표적이다.[17]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경험은 그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갈리폴리''와 ''The Old Front Line''은 전쟁의 참혹함과 인간의 고통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전쟁 문학의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서사시 ''The Everlasting Mercy''는 당시 사회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면서도 인간의 구원 가능성을 탐구한 작품으로, 메이스필드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 어린이를 위한 동화 ''The Midnight Folk''(1927)와 ''기쁨의 상자''(1935)는 환상적인 모험과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어 사랑받고 있다.
존 아일랜드를 포함한 여러 작곡가들이 그의 시를 가곡으로 만들었다.[16] 존 아일랜드의 "바다의 열병"이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17] 프레더릭 킬은 《소금물 발라드》 등에서 "무역풍"을 포함한 여러 곡을 작곡했다.[18][19] 킬의 "내일"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루레벤 포로 수용소에 억류되어 있는 동안 쓰여졌으며,[18] 전쟁 후 BBC 프롬스에서 자주 연주되었다.[20] 아이버 거니는 1916년 전선 뒤 짧은 휴식 시간에 "영구차 옆에서"를 작곡했다.[21]
1977년 Folkways Records는 메이스필드가 직접 낭독한 것을 포함하여 그의 시 일부를 낭독한 앨범을 발매했다.[15] 보존된 녹음에는 메이스필드의 1914년 성금요일이 포함되어 있다. 그가 다녔던 워릭 스쿨의 메이스필드 센터와 존 메이스필드 고등학교(John Masefield High School)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한국과의 관계
메이스필드의 작품은 여러 편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특히 동화 ''기쁨의 상자''는 이시이 모모코의 번역으로 1975년 평론사에서 출간되어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다. ''닭 1호''는 키지마 헤이지로 번역, 테라시마 류이치 그림으로 1967년 후쿠인칸 서점에서 출간되었다.
5. 주요 작품 목록
5. 1. 시
존 메이스필드는 다양한 시집을 출간하며 왕성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초기 작품으로는 ''바닷물 발라드''(1902),[22][23] ''발라드''(1903) 등이 있으며, 이후 ''영원한 자비''(1911), ''골목길의 미망인''(1912), ''도버: 시''(1912) 등 주목할 만한 작품들을 발표했다. 그는 ''라운드 하우스 이야기와 다른 시''(1912), ''수선화 들판''(1913), ''필립 왕과 다른 시''(1914) 등을 통해 시인으로서의 명성을 이어갔다.1916년에는 ''바닷물 시와 발라드''를 출간했으며, 같은 해 ''소네트와 시''(1916), 이듬해에는 ''롤링던 다운과 소네트가 있는 다른 시''(1917)를 발표했다. 1918년에는 ''로사스''를, 1919년에는 ''시 [로사스]와 두 개의 희곡'' 및 ''여우 레이너드: 유령 히스 런''을 출간했다. 1920년대에도 ''애니물라''(1920), ''노예가 된 자와 다른 시''(1920), ''라이트 로열''(1920), ''킹 콜''(1921) 등 꾸준히 작품을 발표했다.
1922년에는 ''선집''을, 1923년에는 ''존 메이스필드의 시 전집''을 출간했다. 이후 ''시''(1925), ''레나 애쉬웰 플레이어를 위한 기쁨의 소네트''(1926), ''한여름 밤과 다른 운문 이야기''(1928) 등을 발표했다. 1930년대에도 ''남쪽과 동쪽''(1929), ''미니 메이로우의 이야기와 다른 이야기 및 장면''(1931), ''트로이 이야기''(1932), ''폰투스에서 온 편지 및 다른 운문''(1936) 등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몇몇 독일인에게 보내는 몇몇 시''(1939), ''계몽된 고타마와 다른 운문''(1941), ''나탈리 메이지와 파빌라스투케이''(1942), ''토지 노동자''(1942), ''세대 부상''(1943) 등을 발표했다. 전쟁 이후에도 ''오소리의 괴롭힘''(1949), ''언덕 위에서''(1949), ''푸른 종과 다른 운문''(1961), ''늙은 라이거와 다른 운문''(1964), 그리고 ''기쁜 감사''(1966)를 발표하며 생을 마감할 때까지 꾸준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5. 2. 소설
존 메이스필드는 1905년 ''A Mainsail Haul''을 시작으로 여러 편의 소설을 발표했다. 1907년에는 단편 소설 ''A Tarpaulin Muster''를 출간했다. 1908년에는 ''Captain Margaret''을, 1909년에는 ''Multitude and Solitude''와 ''Martin Hyde: The Duke's Messenger''를 발표했다. 1910년에는 ''Lost Endeavour'' (넬슨)와 어린이 소설 ''A Book of Discoveries''를 출간했다.1911년에는 ''The Street of Today''와 ''Jim Davis'' (Wells Gardner)를 발표했다. 1924년 사드 하커(하이네만)를 발표하였고, 1926년에는 ODTAA를 발표했다. 1927년에는 어린이 소설 미드나잇 폴크를 발표했다.
1930년대에도 꾸준히 작품을 발표하여, 1933년 ''The Bird of Dawning''(하이네만), 1934년 그리(Gry)의 점령, 1935년 ''Victorious Troy: or The Harrying Angel''와 어린이 소설 기쁨의 상자: 혹은 늑대가 달릴 때, 1936년 ''Eggs and Baker'', 1937년 ''The Square Peg: or The Gun Fella'', 1938년 ''Dead Ned'', 1939년 ''Live and Kicking Ned''를 발표했다.
1940년 ''Basilissa: A Tale of the Empress Theodora'', 1941년 ''Conquer: A Tale of the Nika Rebellion in Byzantium'', 1947년 ''Badon Parchments''를 발표했다.
5. 3. 희곡
메이스필드는 희곡을 1907년 《캠던의 기적》을 시작으로 1929년까지 꾸준히 발표하였다. 1910년에는 《대 폼페이의 비극》을 발표하였고, 1914년에는 《필립 왕》을 발표하였다.[24] 1916년에는 《잠긴 상자》와 《성 금요일: 운문극》을 발표하였다. 이후 1923년에는 《왕의 딸: 운문 비극》, 1925년에는 《예수의 재판》, 1926년에는 한스 비어스-옌센의 노르웨이어 연극 《안네 페데르스도터 (연극)|안네 페데르스도터》를 번역한 《마녀》를 발표하였다. 1927년에는 《트리스탄과 이졸데: 운문극》, 1928년에는 《그리스도의 강림》[25], 1929년에는 《부활절: 가수를 위한 연극》을 발표하였다.5. 4. 논픽션 및 자서전
참조
[1]
논문
Masefield, John Edward
https://www.oxforddn[...]
2013
[2]
웹사이트
Salt-Water Ballads
https://archive.org/[...]
1902
[3]
웹사이트
The Piper of Arll
https://web.archive.[...]
2011-03-30
[4]
웹사이트
Duncan Campbell Scott
https://web.archive.[...]
2011-03-30
[5]
웹사이트
Ballads
https://archive.org/[...]
1903
[6]
서적
The Cambridge Guide to English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7]
웹사이트
John Masefield Society, A Biography
http://ies.sas.ac.uk[...]
2007-05-13
[8]
웹사이트
Self-published Blog on Masefield Biog
https://web.archive.[...]
2006-03-21
[9]
서적
John Masefield's Letters from the Front, 1915–17
Franklin Watts
1985
[10]
서적
Aspects of Literature
W. Collins Sons
2014-05-08
[11]
웹사이트
Self-published Blog on Masefield Biog – middle life
https://web.archive.[...]
2006-03-21
[12]
웹사이트
Shakespeare Lectures
https://www.thebriti[...]
[13]
뉴스
The Times
1930
[14]
웹사이트
Self-published Blog on Masefield Biog – Later Life
https://web.archive.[...]
2006-03-21
[15]
웹사이트
John Masefield Reads His Poetry
https://folkways.si.[...]
[16]
웹사이트
John Masefield
http://www.lieder.ne[...]
2011-11-04
[17]
서적
Parry to Finzi: twenty English song composers
https://books.google[...]
The Boydell Press
2011-11-04
[18]
논문
In Ruhleben camp
http://www.tandfonli[...]
2011-11-04
[19]
웹사이트
John Masefield
http://www.poetryfou[...]
2011-11-04
[20]
웹사이트
Frederick Keel — Tomorrow
http://www.bbc.co.uk[...]
2011-11-04
[21]
웹사이트
Ivor Gurney (1890–1937): Songs
http://www.naxos.com[...]
2011-11-04
[22]
서적
The Columbia Anthology of British Poetr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23]
서적
Cambridge Paperback Guide to Literature in Englis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4]
논문
Philip the King by John Masefield
1915-01
[25]
서적
The Church and Humanity: The Life and Work of George Bell, 1883–1958
https://books.google[...]
[26]
웹사이트
The Wanderer
https://www.liverpoo[...]
[27]
서적
A Guide to Twentieth Century Literature in English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