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마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마르는 유프라테스 강을 통한 교역의 요충지였으며, 고대 도시 유적이다. 기원전 3천년기 중반 에블라의 영향 아래에 있었고, 기원전 18세기에는 아모리인의 국가 얌하드의 지배를 받았다. 후기 청동기 시대에는 히타이트 제국의 세력권에 속했으며, 아카드어 문서가 발견되었다. 기원전 12세기 말 청동기 시대 붕괴 이후 폐허가 되었고, 로마 제국 시대에는 바르발리소스라는 도시가 건설되었다. 1970년대 프랑스 발굴팀에 의해 유적 발굴이 이루어졌으며, 약 1100개의 아카드어 점토판을 포함한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발굴 - 마왕퇴
    마왕퇴는 중국 후난성 창사시에 있는 한나라 시대 무덤군으로, 1970년대 발굴을 통해 1호, 2호, 3호 무덤이 발견되었으며, 1호묘에서 2100년 이상 보존된 미라와 다양한 부장품들이 출토되어 당시의 사회,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1972년 발굴 - 리아체 청동상
    리아체 청동상은 1972년 이탈리아 리아체 해안에서 발견된 기원전 5세기경의 고대 그리스 조각 두 구로, 초기 양식에서 초기 고전 양식으로의 과도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으며 발견 경위와 제작 시기 등에 대한 논쟁이 있고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복원되었다.
  • 얌하드 - 알레포
    알레포는 시리아 북부의 도시로, 고대부터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치며 동서양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시리아 내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정부군에 장악됐다가 시리아 반군에 재점령되며 내전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았다.
  • 얌하드 - 홈스
    시리아 중서부에 위치한 홈스는 20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도시로,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여러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거주하는 시리아 북부의 농업, 생산, 무역 중심지였으나,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다.
  • 알레포주 - 코바니
    코바니는 시리아 북부 튀르키예 국경 근처 도시로, 쿠르드족 정착지에서 시작하여 철도 건설과 아르메니아인 합류로 성장, 시리아 내전 중 쿠르드 인민수비대의 자치 추진과 ISIL 공격, 그리고 터키군의 침공으로 이어진 격전지이다.
  • 알레포주 - 아프린주
    아프린주는 시리아 북서부에 위치한 쿠르드족 중심 지역으로, 내전 이후 인구 변화를 겪었으며, 한때 자치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현재는 터키군과 시리아 국민군의 통제하에 있고, 주요 산업은 농업 생산과 알레포 비누 생산이었으며, 아프린 대학교가 있었으나 폐쇄되었다.
에마르
위치 정보
일반 정보
이름에마르
대체 이름텔 메스케네 ()
위치마스카나 근처, 알레포 주, 시리아
지역아사드 호 해안선
유형정착지
문화아모리인
종속에블라, 얌하드, 카르케미시
파괴기원전 1187년
발굴1972–1976년, 1996–2002년
발굴가장-클로드 마르그롱
고대 이름
아카드어𒂍𒈥 (É-mar)

2. 역사

에마르는 유프라테스 강을 이용한 교역품을 육로 운송을 위해 다시 싣는 지점으로 전략적 위치에 있었다.

기원전 3천년기 중반, 에마르는 에블라의 지배 아래 있었으며, 이는 에블라 문서고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 밝혀졌다. 마리에서 발견된 기원전 18세기 (청동기 시대 중기) 문서에는 에마르가 인접한 아모리인 국가 야마드 (현재의 알레포)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기원전 13세기기원전 12세기 초 (후기 청동기 시대)에는 에마르에서 아카드어 문서가 출토되었으며, 하투샤, 우가리트, 아시리아 제국의 문서고에서도 에마르에 대한 언급이 발견된다. 당시 에마르는 히타이트 제국의 세력권에 속했으며, 카르케미시의 부왕에게 지배받았다.

유적과 문서는 기원전 12세기를 경계로 끊어지는데, 이는 청동기 시대 말기에서 철기 시대 초기에 걸쳐 일어난 이민족 침입 등으로 인한 문명 붕괴의 결과이다. 이후 에마르는 황폐한 채로 고대 로마에 편입되었다. 유프라테스 강 유역은 로마 제국의 동쪽 국경 지대였으며, 에마르 폐허 남쪽(현재의 칼라아트 발리스 Qala'at Balis)에 바르바리소스가 건설되었다. 253년 사산 제국샤푸르 1세가 이끄는 군대와 로마 군단이 바르바리소스 전투를 벌여 사산 제국이 승리했고, 로마는 시리아를 잃게 되었다. 동로마 제국은 바르바리소스의 지배권을 되찾았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성벽을 새로 건설했다. 6세기 무렵까지 기독교 교회 자료에도 바르바리소스가 언급되지만, 이후 잊혀져 폐허가 되었다.

2. 1. 초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3천년기)

기원전 3천년기 중반 에마르는 에블라의 지배 아래 있었으며, 에블라의 기록 보관소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된다.[1][2]

2. 2. 중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2천년기 전반)

기원전 18세기 마리 문서에 따르면, 에마르는 인접한 아모리 국가인 얌하드의 영향을 받았다. 에마르에는 왕권에 대한 지역적 전통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1]

기원전 1760년 이후, 함무라비에 의해 짐리림이 통치하던 마리 왕국이 멸망했고, 에마르의 바로 동쪽에 있는 테르카에 새로운 정치체인 카나 왕국이 등장했다.[2]

2. 3. 후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2세기 초)

기원전 13세기기원전 12세기 초(후기 청동기 시대) 에마르는 히타이트의 영향권 아래 있었으며, 히타이트의 종속 왕인 카르케미시 왕의 통치를 받았다.[3] 아스타타 (Ashtata) 지역의 주요 도시였으며, 텔 프레이를 포함했다.

당시 에마르에서 작성된 문서들은 주로 아카드어로 기록되었으며, 하투사, 우가리트, 아시리아 기록에서도 언급된다. 에마르의 왕들을 카르케미시의 왕 목록과 비교하여 절대적인 연대 측정이 가능하다.

고고학적 자료와 기록 자료는 기원전 12세기 말 청동기 시대의 붕괴와 함께 끝을 맺는다. 멸망 시점은 바빌론 왕 멜리-시팍 2세 통치 2년째인 기원전 1187년으로 추정된다.[3]

2. 4. 로마 제국 시대 이후

에마르는 로마 제국의 불안정한 동쪽 국경 지역에 위치해 황폐한 상태로 남아 있었으며, 인근 바르발리소스로 재정착되었다. 253년 사산 제국샤푸르 1세가 이끄는 페르시아군과 로마군 간에 바르발리소스 전투가 벌어졌다. 이후 동로마 제국은 바르발리소스의 지배권을 되찾았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성벽을 새롭게 건설했다. 6세기 무렵까지의 기독교 교회 자료에도 바르바리소스의 이름이 보이지만, 이윽고 잊혀져 폐허가 되었다.[1]

3. 고고학적 발굴

1970년대 시리아 타브카 댐 건설로 엘 아사드 호수의 수위가 상승하기 전, 1972년부터 1976년까지 장-클로드 마르게론의 지휘 아래 두 개의 프랑스 팀이 초기 구조 발굴 작업을 수행했다.[4] 1990년대 이후에는 시리아와 독일(튀빙겐 대학교) 공동 발굴팀이 추가 조사를 진행했다.

3. 1. 주요 발견

에마르에서는 후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13세기와 12세기 초)의 바알 신전과 아스타르테 신전 구역이 발견되었다.[3] 또한 1100여 개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아카드어로 기록되었으며, 후르어와 히타이트어로 기록된 것도 있다. 이 점토판들 중 800개는 발굴을 통해 발견되었고, 300개는 고대 유물 시장에서 발견되었다.

3. 1. 1. 점토판 문서

에마르에서 발견된 점토판 문서는 대부분 후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13세기와 12세기 초)의 것으로, 아카드어로 작성되었다. 이 외에도 후르어로 된 점토판 100개와 히타이트어로 된 점토판 1개도 발견되었다.[5][6] 이 점토판들은 당시 히타이트의 영향권 아래에 있던 에마르의 사회, 경제, 종교,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발굴을 통해 800개의 아카드어 점토판이 발견되었고, 약 300개는 고대 유물 시장을 통해 유통되었다.[5][6]

참조

[1] 서적 Cuniform Inscriptions in the Collection of the Bible Lands Museum Jerusalem: The Emar Tabltes https://brill.com/vi[...] Styx
[2] 간행물 Emar, Capital of Aštata in the Fourteenth Century BCE 1995-09
[3] 논문 Les textes d'Emar et la chronologie de la fin du Bronze Recent
[4] 기타 Les fouilles françaises de Meskéné-Emar
[5] 간행물 Emar & Balis 1996-1998. Preliminary Report of the Joint Syrian-German Excavations with the Collaboration of Princeton University
[6] 서적 Emar after the closure of the Tabqa Dam - The Syrian-German Excavations 1996 - 2002. Volume I: Late Roman and Medieval Cemeteries and Environmental Studies Brepo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