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무라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무라비는 기원전 1792년 바빌론 왕위를 계승하여 메소포타미아를 통일한 아모리인 출신 왕이다. 복잡한 지정학적 상황 속에서 즉위하여 주변 도시 국가들을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특히 바빌론 문화가 문해 계층 사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함무라비는 강력한 법전인 함무라비 법전을 제정하여 법치주의를 강조했으며, 이는 세계 정치와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또한 공공 사업을 추진하고 메소포타미아의 여러 도시를 통일하여 강력한 제국을 건설했으나, 사후 제국은 쇠퇴했다. 함무라비는 법률 제정자로서 숭배받았으며, 그의 법전은 현대에도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함무라비
기본 정보
함무라비 (서 있는 모습)가 [[샤마시]](또는 [[마르두크]]일 가능성)로부터 왕권을 받는 모습
함무라비 (서 있는 모습)가 샤마시(또는 마르두크일 가능성)로부터 왕권을 받는 모습
칭호바빌론의 왕, 세계 네 귀퉁이의 왕
로마자 표기Ḫâmmurapi
어원아모리어: ʻAmmurāpi ("친족은 치유자이다"), ʻAmmu ("아버지의 친족") 및 Rāpi ("치유자")에서 유래
출생기원전 1810년경
출생지바빌론
사망기원전 1750년경 (59–60세)
사망지바빌론
자녀삼수-일루나
통치
왕조바빌론 제1왕조
즉위기원전 1792년경
퇴위기원전 1750년경
선임자신-무발리트
후임자삼수-일루나

2. 생애

함무라비는 아모리인 출신 바빌론 제1왕조의 왕으로, 기원전 1792년경 아버지 신-무발리트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당시 바빌론은 메소포타미아 중부와 남부 평원의 비옥한 농업 토지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던 여러 도시 국가 중 하나였다.

함무라비 통치 초기 메소포타미아는 복잡한 지정학적 상황에 놓여 있었다. 강력한 에쉬눈나 왕국은 티그리스 강 상류를, 라르사는 강 삼각주를 통제했다. 동쪽에는 엘람 왕국이 메소포타미아 남부 국가들에게 조공을 강요했고, 북쪽에서는 아시리아 왕 샴시-아다드 1세가 영토를 확장했지만, 그의 죽음으로 제국은 분열되었다.

함무라비는 초기에는 비교적 평화롭게 도시 방어를 위해 성벽을 높이고 신전을 확장하는 등 공공 사업을 수행했다.[2] 그러나 엘람이 메소포타미아 평원을 침략하여 에스눈나 왕국을 파괴하자, 함무라비는 라르사와 동맹을 맺어 엘람을 격파했다. 하지만 라르사가 군사적 지원에 소극적이자, 함무라비는 기원전 1763년경 라르사를 공격하여 하 메소포타미아 평원 전체를 장악했다.[3]

이후 함무라비는 북쪽으로 관심을 돌려 에스눈나를 파괴하고, 마리를 포함한 나머지 북부 국가들을 정복했다. 아시리아이쉬메-다간 1세와 오랜 전쟁 끝에 승리하여 그를 몰아냈고, 새로운 왕 무트-아슈쿠르는 함무라비에게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3]

몇 년 만에 함무라비는 메소포타미아 전체를 통일하는 데 성공했다.[4] 아시리아는 존속했지만 조공을 바쳐야 했고, 서쪽의 알레포와 카트나만이 독립을 유지했다. 함무라비는 디야르베키르까지 진출하여 "아모리인의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4]

함무라비의 정복 활동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연도사건
기원전 1787년이신 정벌
기원전 1776년 ~ 기원전 1768년라르사와 전쟁에서 승리
기원전 1766년엘람의 침공 격퇴, 에슌나 멸망
기원전 1763년라르사 정복, 남부 메소포타미아 지배
이후북부 메소포타미아 정복, 마리 복속, 메소포타미아 통일



기원전 1750년 함무라비는 아들 삼수 일루나에게 왕위를 맡기고 병사했다.

2. 1. 초기 생애 및 즉위

함무라비의 가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아버지 신-무발리트는 메소포타미아에 흩어져 있던 여러 군주 중 한 명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함무라비는 기원전 1792년 아버지의 바빌론 왕위를 계승했다. 당시 메소포타미아의 비옥한 토지를 둘러싸고 여러 문화가 존재했는데, 바빌로니아 문화는 문자를 통해 다른 문화보다 발전된 위치에 있었다. 함무라비 이전의 왕들은 이러한 바빌로니아 문화의 이점을 바탕으로 메소포타미아 중부에서 세력을 공고히 하고 있었고, 함무라비 치세에 주변의 도시국가들을 정복하며 세력을 더욱 확장했다.

함무라비 통치 초기 수십 년간은 비교적 평온했으나, 샴시-아다드 1세의 사망으로 메소포타미아 북쪽의 왕국들이 분열하면서 바빌로니아의 힘이 더욱 강해졌다. 함무라비는 이때를 이용하여 방어용 성벽을 높이고 신전을 신축하는 등 공공사업을 시행하였다.

기원전 1787년 이신 정벌, 기원전 1776년에서 1768년에 라르사와 싸워 이겼고, 기원전 1766년 강한 엘람 왕국이 메소포타미아 평원을 침범하고 에쉬눈나 제국을 멸망시킨 후 바빌로니아와 라르사를 위협하자, 함무라비는 라르사와 동맹하여 이를 격파하였다. 동맹 당시 라르사가 군사적 지원에 소극적이었던 것을 구실로 함무라비는 라르사를 공격하여 기원전 1763년 메소포타미아 남부 지배권을 차지하였다. 라르사를 정복한 후 함무라비는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이전의 동맹국이었던 마리를 비롯한 여러 왕국을 복속시키고 메소포타미아를 통일하는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기원전 1750년 함무라비는 아들 삼수 일루나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병사했다.

300x300px


함무라비는 복잡한 지정학적 상황 속에서 작은 왕국의 왕으로 즉위했다. 함무라비는 아모리인 출신의 바빌론 제1왕조 왕으로, 기원전 1792년에 아버지 신-무발리트로부터 권력을 물려받았다. 바빌론은 메소포타미아 중부와 남부 평원에 흩어져 비옥한 농업 토지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 전쟁을 벌였던 많은 아모리인 통치 도시 국가 중 하나였다. 함무라비 치하에서 바빌론 문화는 메소포타미아에서 여러 문화가 공존했음에도 불구하고 문해 계층 사이에서 어느 정도 두각을 나타냈다. 함무라비 이전의 왕들은 기원전 1894년에 도시 자체를 제외하고는 거의 영토를 통제하지 못하는 비교적 작은 도시 국가를 세웠다. 바빌론은 건국 후 약 100년 동안 엘람, 아시리아, 이신, 에쉬눈나, 라르사와 같은 더 오래되고, 더 크고, 더 강력한 왕국에 가려져 있었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 신-무발리트는 바빌론의 지배하에 메소포타미아 남중부의 작은 지역에 대한 지배를 통합하기 시작했고, 그의 통치 시기에는 보르시파, 키쉬, 시파르의 작은 도시 국가들을 정복했다.

강력한 에쉬눈나 왕국은 티그리스 강 상류를 통제했고, 라르사는 강 삼각주를 통제했다. 메소포타미아 동쪽에는 강력한 엘람 왕국이 있었는데, 이 왕국은 정기적으로 침략하여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작은 국가들에게 조공을 강요했다. 메소포타미아 북부에서는 이미 소아시아에 수백 년 된 아시리아 식민지를 물려받은 아시리아 왕 샴시-아다드 1세가 레반트와 메소포타미아 중부로 영토를 확장했지만,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그의 제국은 다소 분열되었다.

이신-랄사 시대

아버지인 신-무발리트(기원전 1812년 - 기원전 1793년) 시대에는 아직 작은 왕국이었으며, 강대국에 둘러싸여 있었다. 남쪽에서는 라르사수메르 지방을, 북쪽에서는 아시리아가 마리와 아슈르를, 동쪽에서는 엘람이 티그리스강 좌안을 각자 지배하고 있었다. 기원전 1850년경에는 각 세력이 메소포타미아에 침입하려 했다.[28]

2. 2. 메소포타미아 통일

함무라비는 아모리인 출신 바빌론 제1왕조의 왕으로, 기원전 1792년경 아버지 신-무발리트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당시 바빌론은 메소포타미아 중부와 남부 평원의 비옥한 농업 토지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던 여러 도시 국가 중 하나였다. 함무라비 이전의 왕들은 기원전 1894년에 도시 자체를 제외하고는 거의 영토를 통제하지 못하는 비교적 작은 도시 국가를 세웠지만, 아버지 신-무발리트는 바빌론의 지배하에 메소포타미아 남중부의 작은 지역에 대한 지배를 통합하기 시작했고, 보르시파, 키쉬, 시파르를 정복했다.[2]

함무라비 통치 초기 메소포타미아는 복잡한 지정학적 상황에 놓여 있었다. 강력한 에쉬눈나 왕국은 티그리스 강 상류를, 라르사는 강 삼각주를 통제했다. 동쪽에는 엘람 왕국이 메소포타미아 남부 국가들에게 조공을 강요했고, 북쪽에서는 아시리아 왕 샴시-아다드 1세가 영토를 확장했지만, 그의 죽음으로 제국은 분열되었다.

함무라비는 초기에는 비교적 평화롭게 도시 방어를 위해 성벽을 높이고 신전을 확장하는 등 공공 사업을 수행했다.[2] 그러나 엘람이 메소포타미아 평원을 침략하여 에스눈나 왕국을 파괴하자, 함무라비는 라르사와 동맹을 맺어 엘람을 격파했다. 하지만 라르사가 군사적 지원에 소극적이자, 함무라비는 기원전 1763년경 라르사를 공격하여 하 메소포타미아 평원 전체를 장악했다.[3]

이후 함무라비는 북쪽으로 관심을 돌려 에스눈나를 파괴하고, 마리를 포함한 나머지 북부 국가들을 정복했다. 아시리아이쉬메-다간 1세와 오랜 전쟁 끝에 승리하여 그를 몰아냈고, 새로운 왕 무트-아슈쿠르는 함무라비에게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3]

몇 년 만에 함무라비는 메소포타미아 전체를 통일하는 데 성공했다.[4] 아시리아는 존속했지만 조공을 바쳐야 했고, 서쪽의 알레포와 카트나만이 독립을 유지했다. 함무라비는 디야르베키르까지 진출하여 "아모리인의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4]

함무라비의 정복 활동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연도사건
기원전 1787년이신 정벌
기원전 1776년 ~ 기원전 1768년라르사와 전쟁에서 승리
기원전 1766년엘람의 침공 격퇴, 에슌나 멸망
기원전 1763년라르사 정복, 남부 메소포타미아 지배
이후북부 메소포타미아 정복, 마리 복속, 메소포타미아 통일


2. 3. 통치와 사망

함무라비의 가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다만 함무라비의 아버지 신 무발리트는 메소포타미아에 흩어진 많은 군주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함무라비는 기원전 1792년 아버지의 바빌론 왕위를 계승했다. 당시 메소포타미아의 비옥한 토지를 둘러싸고 여러 문화가 있었는데, 바빌로니아 문화는 문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다른 문화보다 발전된 위치에 있었다. 함무라비 이전의 왕들은 이러한 바빌로니아 문화의 이점을 바탕으로 중앙 메소포타미아에서 세력을 공고히 하고 있었고, 함무라비는 치세에 주변의 도시국가들을 정복하며 세력을 더욱 키웠다.

함무라비의 통치 초기 수십 년간은 꽤 평온했으나, 삼시 아다드 1세가 사망하면서 메소포타미아 북쪽의 왕국들이 분열되었고, 이는 바빌로니아의 힘을 더욱 강화시켰다. 함무라비는 이 시기를 이용하여 방어용 성벽을 높이고 신전을 신축하는 등 공공사업을 시행하였다.

기원전 1787년 함무라비는 이신을 정벌하고, 기원전 1776년에서 1768년에는 라르사와 싸워 이겼다. 기원전 1766년 강한 엘람 왕국이 메소포타미아 평원을 침범하여 에슌나 제국을 멸망시키고 바빌로니아와 라르사를 위협하자, 함무라비는 라르사와 동맹하여 엘람을 격파하였다. 그러나 동맹 당시 라르사가 군사적 지원에 소극적이었던 것을 구실로 함무라비는 라르사를 공격하여 기원전 1763년 남쪽 메소포타미아의 지배권을 차지하였다. 라르사를 정복한 후, 함무라비는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이전의 동맹국이었던 마리를 비롯한 많은 왕국을 복속시키고 메소포타미아를 통일하는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기원전 1750년 함무라비는 아들 삼수 일루나에게 왕위를 맡기고 병사했다. 함무라비는 기원전 1750년에 사망할 때까지 왕으로 통치했다. 사망 연도는 기원전 1750년으로 알려져 있으나, 연대 측정법의 차이에 따라 기원전 1728년부터 기원전 1686년까지로 여겨지기도 한다.

3. 함무라비 법전



함무라비 법전은 광범위한 문제들을 다루는 282개의 법률 모음집이다.[5] 이 법전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법전은 아니지만 세계 정치와 국제 관계에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전의 수메르 법전들과 달리, 함무라비 법전은 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상보다는 범죄자에 대한 신체적 처벌에 초점을 맞췄다. 또한 이 법전은 피해자가 보복 행위를 할 수 있는 범위에 제한을 둔 최초의 법전 중 하나였으며, 무죄 추정의 원칙 개념을 제시한 초기 사례 중 하나로, 피고와 고소인이 증거를 제시할 기회를 주었다.[6]

함무라비 법전은 비석에 새겨져 공공 장소에 놓였지만, 문자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이 비석은 엘람인들에게 약탈되어 수도 수사로 옮겨졌고, 1901년 이란에서 재발견되어 현재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12개의 점토판에 서기들이 기록한 282개 법률은 바빌론의 일상 언어인 아카드어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도시의 문맹자도 읽을 수 있었다. 당시 아카드어는 수메르어를 대체했고, 함무라비는 아카드어를 가장 흔한 언어로 만들기 위한 언어 개혁을 시작했다.[7] 비석 상단의 조각은 함무라비가 바빌론의 정의의 신 샤마쉬로부터 법을 받는 모습을 묘사하며,[8] 서문에는 함무라비가 샤마쉬에 의해 백성들에게 법을 전달하도록 선택되었다고 명시되어 있다.[9]

함무라비는 법 제정자로 명성이 높아 전 세계 법원 건물에서 그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미국 국회의사당 미국 하원 의사당 회의실 대리석 부조에 묘사된 23명의 입법자 중 한 명이 함무라비이다.[10] 미국 대법원 건물 남쪽 벽에는 애돌프 와인만이 제작한 함무라비를 포함한 "역사상 위대한 입법자들"을 묘사한 프리즈가 걸려 있다.[11][12]

3. 1. 법전의 구성과 내용

함무라비는 『함무라비 법전』이라고 불리는 법전을 통해 도시 문명을 확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함무라비 법전』은 피해자와 가해자의 신분에 따라 형벌의 차이를 두며, 신체형을 많이 부과하기 때문에 현대적인 시각에서 잔혹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성문법을 만들 뿐만 아니라 법을 체계화하려 했다는 점은 문명의 발달에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여겨진다. 『성경』에 나오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말은 『함무라비 법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동해복수법 체계와의 관련성이 지적되고 있다.

3. 2. 법전의 의의와 한계

함무라비는 함무라비 법전을 통해 도시 문명을 확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함무라비 법전은 피해자와 가해자의 신분에 따라 형벌의 차이를 두며, 신체형을 많이 부과하기 때문에 현대적인 시각에서 잔혹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성문법을 만들 뿐만 아니라 법을 체계화하려 했다는 점은 문명의 발달에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여겨진다. 성경에 나오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말은 함무라비 법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동해복수법 체계와의 관련성이 지적되고 있다.[1]

4. 유산 및 평가

함무라비는 생전에 신으로 선포된 독특한 왕이었다.[13][14][15] 그의 통치 기간과 그 이후에 "함무라비는 나의 신이다"라는 의미의 "함무라비-일리"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었다. 함무라비는 전쟁에서의 승리, 평화, 정의 구현이라는 세 가지 업적으로 주로 기념되었다.[13] 그의 정복은 모든 국가에 문명을 전파하는 신성한 사명으로 여겨졌다.[13]

우르에서 발견된 비문에는 함무라비가 악을 굴복시키고 모든 백성이 마르두크를 숭배하도록 강요하는 강력한 통치자라고 칭송하며, "엘람, 구티움, 수바르투, 그리고 투크리쉬의 백성들은, 그들의 산은 멀리 떨어져 있고 그들의 언어는 이해하기 어려우며, 나는 그들을 [마르두크]의 손 안에 두었다. 나는 그들의 혼란스러운 마음을 바로잡는 일을 계속했다."라고 적혀 있다.[13]

이후 쓰여진 찬가에서는 함무라비를 마르두크를 위한 강력하고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존재로 칭송하며 다음과 같이 노래한다.[13]

> 나는 왕이며, 악을 행하는 자를 붙잡아 백성들을 하나로 만드는 버팀목이라,

> 나는 왕들 중의 거대한 용이며, 그들의 계획을 흩뜨려 놓는다,

> 나는 적에게 뻗어지는 그물이라,

> 나는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자이며, 맹렬한 눈을 들어 불순종하는 자에게 죽음의 선고를 내린다,

> 나는 악한 의도를 덮는 거대한 그물이라,

> 나는 그물과 홀을 부수는 어린 사자라,

> 나는 나를 거스르는 자를 잡는 전쟁 그물이다.

찬가는 마지막에 "나는 정의의 왕, 함무라비이다."라고 선언한다.[13] 후대의 기념물에서 함무라비는 위대한 법률 제정자로 강조되었고, 그의 군사적 업적은 덜 부각되었다. 함무라비의 통치는 먼 과거의 모든 사건에 대한 기준으로 여겨졌다. 암미사두카의 통치 기간에 쓰여진 이슈타르 여신에 대한 찬가에는 "이 노래를 당신의 영웅담의 노래로 처음 들은 왕은 함무라비이다. 당신을 위한 이 노래는 그의 통치 기간에 작곡되었다. 그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소서!"라는 구절이 있다.[13] 함무라비의 법전은 그의 사후 수세기 동안 서기관들에 의해 글쓰기 연습의 일부로 계속 복사되었고, 심지어 수메르어로 부분 번역되기도 했다.[13]

함무라비 통치 기간 동안 바빌론니푸르의 "가장 신성한 도시" 지위를 찬탈했다.[16] 그러나 함무라비의 후계자 샴수일루나의 통치하에 바빌론 제국은 붕괴되기 시작했다. 아모리인과 바빌론인은 아시리아에서 쫓겨났고, 메소포타미아 남쪽에서는 해양 왕조가 세워졌다. 함무라비의 후계자들은 아시리아, 해양 왕조, 엘람, 카시트인들에게 패배하여 영토를 잃었고, 바빌론은 작은 국가로 축소되었다.

히타이트 제국이 바빌론을 약탈하면서 함무라비의 아모리 왕조는 멸망했지만, 히타이트인들은 바빌론을 카시트인에게 넘겨주었다. 카시트 왕조는 400년 이상 바빌론을 통치하며 함무라비의 법전을 포함한 바빌로니아 문화를 채택했다. 아모리 왕조가 멸망한 후에도 함무라비는 여전히 기억되고 숭배받았다. 엘람 왕 슈투루크 나후테 1세는 함무라비 법률 비석의 일부를 지웠지만, 새로운 비문을 추가하지는 않았다.[13] 함무라비 사후 1,000년이 넘어서도 수후 땅의 왕들이 그를 자신들의 조상이라고 주장했다.[13]

4. 1. 정치적 유산

함무라비는 기원전 2천년대의 다른 모든 왕들보다 숭배를 받았으며, 생전에 신으로 선포되는 독특한 영예를 누렸다.[13][14][15] "함무라비는 나의 신이다"라는 의미를 가진 "함무라비-일리"라는 개인 이름은 그의 통치 기간과 그 이후에 널리 사용되었다. 함무라비 사후 얼마 지나지 않아 쓰여진 기록에서 그는 주로 전쟁에서의 승리, 평화의 도래, 정의 구현이라는 세 가지 업적으로 기념되었다.[13] 함무라비의 정복은 모든 국가에 문명을 전파하는 신성한 사명의 일부로 여겨졌다.[13]

우르에서 발견된 비문은 함무라비를 악을 굴복시키고 모든 백성들이 마르두크를 숭배하도록 강요하는 강력한 통치자로 찬양한다.[13] 비문에는 "엘람, 구티움, 수바르투, 그리고 투크리쉬의 백성들은, 그들의 산은 멀리 떨어져 있고 그들의 언어는 이해하기 어려우며, 나는 그들을 [마르두크]의 손 안에 두었다. 나는 그들의 혼란스러운 마음을 바로잡는 일을 계속했다."라고 적혀있다. 이후 쓰여진 찬가 또한 함무라비의 목소리로 쓰여졌으며 마르두크를 위한 강력하고 초자연적인 힘으로서 그를 칭송한다.[13]



나는 왕이며, 악을 행하는 자를 붙잡아 백성들을 하나로 만드는 버팀목이라,


나는 왕들 중의 거대한 용이며, 그들의 계획을 흩뜨려 놓는다,


나는 적에게 뻗어지는 그물이라,


나는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자이며, 맹렬한 눈을 들어 불순종하는 자에게 죽음의 선고를 내린다,


나는 악한 의도를 덮는 거대한 그물이라,


나는 그물과 홀을 부수는 어린 사자라,


나는 나를 거스르는 자를 잡는 전쟁 그물이다.[13]



함무라비의 군사적 업적을 찬양한 후, 찬가는 마지막으로 "나는 정의의 왕, 함무라비이다."라고 선언한다.[13] 후대의 기념물에서 함무라비는 다른 모든 업적보다 위대한 법률 제정자로 강조되었고, 그의 군사적 업적은 덜 부각되었다. 함무라비의 통치는 먼 과거의 모든 사건에 대한 기준으로 여겨졌다. 암미사두카는 함무라비의 네 번째 후계자인데, 그의 통치 기간에 쓰여진 것으로 보이는 이슈타르 여신에 대한 찬가에서는 "이 노래를 당신의 영웅담의 노래로 처음 들은 왕은 함무라비이다. 당신을 위한 이 노래는 그의 통치 기간에 작곡되었다. 그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소서!"라고 적혀있다.[13] 함무라비 사후 수세기 동안 함무라비의 법전은 서기관들에 의해 그들의 글쓰기 연습의 일부로 계속 복사되었고, 심지어 수메르어로 부분적으로 번역되기까지 했다.[13]

함무라비 통치 기간 동안 바빌론은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전임자였던 니푸르의 "가장 신성한 도시" 지위를 찬탈했다.[16] 함무라비의 후계자 샴수일루나의 통치하에 단명했던 바빌론 제국은 붕괴되기 시작했다. 북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아모리인과 바빌론인 모두 아카드어를 사용하는 통치자인 푸주르 신에 의해 아시리아에서 쫓겨났다. 거의 같은 시기에, 아카드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메소포타미아 남쪽에서 아모리 바빌론의 통치를 벗어나 해양 왕조를 세웠는데, 이는 고대 수메르 지역과 거의 일치했다. 함무라비의 무능한 후계자들은 아다시와 벨 이브니와 같은 아시리아 왕들, 남쪽의 해양 왕조, 동쪽의 엘람, 그리고 북동쪽의 카시트인들에게 패배하고 영토를 잃었다. 따라서 바빌론은 건국 당시의 작고 사소한 국가로 빠르게 축소되었다.[13]

함무라비의 아모리 왕조는 기원전 1595년에 강력한 히타이트 제국에 의해 바빌론이 약탈 및 정복되면서 몰락했고, 이로써 메소포타미아에서 아모리인의 모든 정치적 입지가 종식되었다.[13] 그러나 인도유럽어를 사용하는 히타이트인들은 머무르지 않고 바빌론을 자그로스 산맥 지역에서 온 고립어를 사용하는 카시트 동맹국에게 넘겨주었다. 이 카시트 왕조는 400년 이상 바빌론을 통치했으며 함무라비의 법전을 포함하여 바빌로니아 문화의 많은 측면을 채택했다.[13] 아모리 왕조가 멸망한 후에도 함무라비는 여전히 기억되고 숭배받았다.[13] 엘람 왕 슈투루크 나후테 1세가 기원전 1158년에 바빌론을 습격하여 많은 석조 기념물을 빼앗아 갔을 때, 그는 이러한 기념물에 새겨진 대부분의 비문을 지우고 그 안에 새로운 비문을 새겼다.[13] 그러나 함무라비의 법률이 담긴 비석에서는 네다섯 개의 열만 지워졌고 새로운 비문은 전혀 추가되지 않았다.[13] 함무라비 사후 1,000년이 넘어서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바빌론 바로 북서쪽에 위치한 수후 땅의 왕들이 그를 자신들의 조상이라고 주장했다.[13]

신 바빌로니아 왕실 비문은 비석에 전시하기 위한 것으로, 9개의 바빌론 도시에 대한 조세 면제의 왕실 수여를 기념하고, 왕실 주인공을 두 번째 함무라비로 제시한다.[17]

기원전 1531년, 바빌론 제1왕조 제11대 왕 삼수일루나 치세에 무르실리 1세가 이끄는 히타이트인의 급습을 받아 바빌로니아 왕국은 멸망했다. 곧, 아굼 2세영어(아굼 카크리메) 왕이 이끄는 카시트인이 탈환했다. 많은 도시의 반항을 받으면서도 카시트인은 400년 동안 지배를 계속했으며, 함무라비 법전을 존중했다.

4. 2. 문화적 유산

함무라비는 기원전 2천년대의 다른 모든 왕들보다 숭배를 받았으며, 생전에 신으로 선포되는 독특한 영예를 누렸다.[13][14][15] "함무라비는 나의 신이다"라는 의미를 가진 "함무라비-일리"라는 개인 이름은 그의 통치 기간과 그 이후에 널리 사용되었다. 함무라비는 사후 얼마 지나지 않아 쓰여진 기록에서 주로 전쟁에서의 승리, 평화의 도래, 정의 구현이라는 세 가지 업적으로 기념되었다. 함무라비의 정복은 모든 국가에 문명을 전파하는 신성한 사명의 일부로 여겨졌다. 우르에서 발견된 비문은 그를 악을 굴복시키고 모든 백성들이 마르두크를 숭배하도록 강요하는 강력한 통치자로서 그의 목소리로 찬양한다. 비문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엘람, 구티움, 수바르투, 그리고 투크리쉬의 백성들은, 그들의 산은 멀리 떨어져 있고 그들의 언어는 이해하기 어려우며, 나는 그들을 [마르두크]의 손 안에 두었다. 나는 그들의 혼란스러운 마음을 바로잡는 일을 계속했다." 이후 쓰여진 찬가 또한 함무라비의 목소리로 쓰여졌으며 마르두크를 위한 강력하고 초자연적인 힘으로서 그를 칭송한다.

> 나는 왕이며, 악을 행하는 자를 붙잡아 백성들을 하나로 만드는 버팀목이라,

> 나는 왕들 중의 거대한 용이며, 그들의 계획을 흩뜨려 놓는다,

> 나는 적에게 뻗어지는 그물이라,

> 나는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자이며, 맹렬한 눈을 들어 불순종하는 자에게 죽음의 선고를 내린다,

> 나는 악한 의도를 덮는 거대한 그물이라,

> 나는 그물과 홀을 부수는 어린 사자라,

> 나는 나를 거스르는 자를 잡는 전쟁 그물이다.

함무라비의 군사적 업적을 찬양한 후, 그 찬가는 마지막으로 "나는 정의의 왕, 함무라비이다."라고 선언한다. 후대의 기념물에서 함무라비의 역할은 다른 모든 업적보다 위대한 법률 제정자로 강조되었고, 그의 군사적 업적은 덜 부각되었다. 함무라비의 통치는 먼 과거의 모든 사건에 대한 기준으로 여겨졌다. 암미사두카는 함무라비의 네 번째 후계자인데, 그의 통치 기간에 쓰여진 것으로 보이는 이슈타르 여신에 대한 찬가에서는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이 노래를 당신의 영웅담의 노래로 처음 들은 왕은 함무라비이다. 당신을 위한 이 노래는 그의 통치 기간에 작곡되었다. 그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소서!" 함무라비 사후 수세기 동안 함무라비의 법전은 서기관들에 의해 그들의 글쓰기 연습의 일부로 계속 복사되었고, 심지어 수메르어로 부분적으로 번역되기까지 했다.



함무라비 통치 기간 동안 바빌론은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전임자였던 니푸르의 "가장 신성한 도시" 지위를 찬탈했다.[16] 함무라비의 후계자 샴수일루나의 통치하에 단명했던 바빌론 제국은 붕괴되기 시작했다. 북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아모리인과 바빌론인 모두 아카드어를 사용하는 통치자인 푸주르 신에 의해 아시리아에서 쫓겨났다. 거의 같은 시기에, 아카드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메소포타미아 남쪽에서 아모리 바빌론의 통치를 벗어나 해양 왕조를 세웠는데, 이는 고대 수메르 지역과 거의 일치했다. 함무라비의 무능한 후계자들은 아다시와 벨 이브니와 같은 아시리아 왕들, 남쪽의 해양 왕조, 동쪽의 엘람, 그리고 북동쪽의 카시트인들에게 패배하고 영토를 잃었다. 따라서 바빌론은 건국 당시의 작고 사소한 국가로 빠르게 축소되었다.

기원전 1595년, 강력한 히타이트 제국에 의해 바빌론이 약탈 및 정복되면서 함무라비의 아모리 왕조는 결정타를 맞았고, 메소포타미아에서 아모리인의 모든 정치적 입지는 종식되었다. 그러나 인도유럽어를 사용하는 히타이트인들은 머무르지 않고 바빌론을 자그로스 산맥 지역에서 온 고립어를 사용하는 카시트 동맹국에게 넘겨주었다. 이 카시트 왕조는 400년 이상 바빌론을 통치했으며 함무라비의 법전을 포함하여 바빌로니아 문화의 많은 측면을 채택했다. 아모리 왕조가 멸망한 후에도 함무라비는 여전히 기억되고 숭배받았다. 기원전 1158년, 엘람 왕 슈투루크 나후테 1세가 바빌론을 습격하여 많은 석조 기념물을 빼앗아 갔을 때, 그는 이러한 기념물에 새겨진 대부분의 비문을 지우고 그 안에 새로운 비문을 새겼다. 그러나 함무라비의 법률이 담긴 비석에서는 네다섯 개의 열만 지워졌고 새로운 비문은 전혀 추가되지 않았다. 함무라비 사후 1,000년이 넘어서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바빌론 바로 북서쪽에 위치한 수후 땅의 왕들이 그를 자신들의 조상이라고 주장했다.

신 바빌로니아 왕실 비문은 비석에 전시하기 위한 것으로, 9개의 바빌론 도시에 대한 조세 면제의 왕실 수여를 기념하고, 왕실 주인공을 두 번째 함무라비로 제시한다.[17] 기원전 1531년, 바빌론 제1왕조 제11대 왕 삼수일루나 치세에 무르실리 1세가 이끄는 히타이트인의 급습을 받아 바빌로니아 왕국은 멸망했다. 곧, 아굼 2세영어(아굼 카크리메) 왕이 이끄는 카시트인이 탈환했다. 많은 도시의 반항을 받으면서도 카시트인은 400년 동안 지배를 계속했으며, 함무라비 법전을 존중했다.

4. 3. 현대적 평가

함무라비는 기원전 2000년대의 다른 왕들보다 더 숭배를 받았으며, 생전에 신으로 선포되는 특별한 영예를 누렸다.[13][14][15] "함무라비는 나의 신이다"라는 뜻의 "함무라비-일리"라는 이름은 그의 통치 기간과 그 이후에 널리 사용되었다. 함무라비는 주로 전쟁에서의 승리, 평화, 정의 구현이라는 세 가지 업적으로 기념되었다.[13][14][15] 함무라비의 정복은 모든 국가에 문명을 전파하는 신성한 사명의 일부로 여겨졌다.[13][14][15] 우르에서 발견된 비문은 함무라비를 악을 굴복시키고 모든 백성들이 마르두크를 숭배하도록 강요하는 강력한 통치자로 칭송한다.[13][14][15] 비문에는 "엘람, 구티움, 수바르투, 그리고 투크리쉬의 백성들은, 그들의 산은 멀리 떨어져 있고 그들의 언어는 이해하기 어려우며, 나는 그들을 [마르두크]의 손 안에 두었다. 나는 그들의 혼란스러운 마음을 바로잡는 일을 계속했다."라고 적혀 있다.[13][14][15]

나중에 쓰여진 찬가는 함무라비를 마르두크를 위한 강력하고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존재로 칭송한다.[13][14][15]

>

>나는 왕이며, 악을 행하는 자를 붙잡아 백성들을 하나로 만드는 버팀목이라,

>나는 왕들 중의 거대한 용이며, 그들의 계획을 흩뜨려 놓는다,

>나는 적에게 뻗어지는 그물이라,

>나는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자이며, 맹렬한 눈을 들어 불순종하는 자에게 죽음의 선고를 내린다,

>나는 악한 의도를 덮는 거대한 그물이라,

>나는 그물과 홀을 부수는 어린 사자라,

>나는 나를 거스르는 자를 잡는 전쟁 그물이다.

함무라비의 군사적 업적을 찬양한 후, 찬가는 "나는 정의의 왕, 함무라비이다."라고 선언한다.[13][14][15] 후대의 기념물에서 함무라비는 위대한 법률 제정자로 강조되었고, 군사적 업적은 덜 부각되었다. 함무라비의 통치는 먼 과거의 모든 사건에 대한 기준으로 여겨졌다. 함무라비의 네 번째 후계자인 암미사두카의 통치 기간에 쓰여진 것으로 보이는 이슈타르 여신에 대한 찬가에는 "이 노래를 당신의 영웅담의 노래로 처음 들은 왕은 함무라비이다. 당신을 위한 이 노래는 그의 통치 기간에 작곡되었다. 그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소서!"라는 구절이 있다.[13][14][15] 함무라비의 법전은 그의 사후 수세기 동안 서기관들에 의해 글쓰기 연습의 일부로 계속 복사되었고, 심지어 수메르어로 부분 번역되기도 했다.[13][14][15]

5. 이름의 어원

함무라비의 이름은 출토되는 쐐기 문자 문서에 ḪA-AM-MU-RA-BI|함무라비sux의 5자, 또는 드물게 ḪA-MU-RA-BI|함무라비sux의 4자로 표기되어 있다.

쐐기 문자는 원래 수메르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이므로, 셈어파의 언어를 표기하면 음소의 구별이 불충분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문서의 본문은 동셈어의 아카드어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 언어에서는 셈어파 특유의 음소 소실이 어느 정도 일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쐐기 문자에 의한 표기의 역사가 길기 때문에 표기법이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함무라비는 같은 셈어파이면서도 쐐기 문자의 표기 역사가 얕은 서셈어의 아모리어를 사용하는 아모리인이다. 아모리인의 아모리어 인명은 쐐기 문자로는 불충분하게 표기되어 있어, 어의 해석의 장애가 된다.

이름의 구성에 관해서는 "ḪA-AM-MU|함무sux는 RA-BI|라비sux이다"라는 해석으로 연구자들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지만, 음소가 불완전하게밖에 재현되지 않기 때문에, ḪA-AM-MU|함무sux와 RA-BI|라비sux의 의미 해석에서 견해가 갈리고 있다.

전반부의 ḪA-AM-MU|함무sux에 관해서는, 공통 셈어에서 "의붓아버지"를 의미하는 ''ḥamu|하무sux''라는 설과 아랍어 등에서 "아버지 쪽의 삼촌"을 의미하는 '' ̔mmu|함무sux''라는 설이 있지만, 마리 문서에서도 함무라비는 ḪA-AM-MU-RA-BI|함무라비sux로 표기되어 있으며, 게다가 이 문서군의 쐐기 문자에서는 ''ḥamu|하무sux''가 A-MU(-UM)|아무sux , '' ̔mmu|함무sux''가 ḪA-AM-MU|함무sux로 표기되어 있다는 점에서, ḪA-AM-MU|함무sux를 후자로 해석하여, ''ḫammu|함무sux''로 읽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아모리인의 인명에 포함된 신명에는 친족 어휘로 불리는 것이 자주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전반부에 관해서는 "(아버지 쪽의) 삼촌(이라고 불리는 신)"으로 여겨진다.

후반부의 RA-BI|라비sux에 관해서는, ''rabi|라비sux''로 읽고 "위대하다"라고 하는 설과, ''rāpi|라피sux''로 읽고 "치료자"라고 하는 설이 있다. 전자는 쐐기 문자에 ''pi|피sux''의 음을 표기하는 문자가 있는데 함무라비의 이름 표기에 사용하고 있는 예가 없는 것과 알라라크 문서에서 함무라비의 이름 표기에 ''rabi|라비sux''를 의미하는 표의 문자가 사용되고 있는 예가 있다는 것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후자는 ''b|브sux''와 ''p|프sux''의 구분이 가능한 우가리트 문자로 쓰여진 우가리트 문서에 기록된 왕명에 ''mrp|므르프sux'' 또는 '' ̔mrpi|함르피sux''로 표기된 것이 있는데, 이것이 함무라비와 동명이인이라고 하는 설을 근거로 하고 있다.

이상에서, 함무라비의 이름의 발음과 의미의 해석은,


  • ''Ḫammu-rabi|함무라비sux''로 읽고 "(아버지 쪽의) 삼촌(이라고 불리는 신)은 위대하다"라고 해석한다.
  • ''Ḫammu-rāpi|함무라피sux''로 읽고 "(아버지 쪽의) 삼촌(이라고 불리는 신)은 치료자이다"라고 해석한다.


두 가지 설이 대표적이다.

6. 성경과의 관계

19세기 말, 함무라비 법전은 성경과 고대 바빌로니아 텍스트의 관계에 대한 독일의 격렬한 '바벨 운트 비벨'('바빌론과 성경') 논쟁에서 주요 논쟁의 중심지가 되었다.[25] 1902년 1월, 독일의 아시리아학자 프리드리히 델리취는 베를린 싱 아카데미에서 카이저와 그의 아내 앞에서 강의를 했는데, 그는 구약성경의 모세 율법이 함무라비 법전에서 직접 베껴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델리취의 강의는 매우 논란이 많아서, 1903년 9월까지 신문과 저널에서 1,350개의 짧은 기사, 300개 이상의 긴 기사, 그리고 28개의 팜플렛이 쏟아져 나왔는데, 모두 이 강의와 길가메시 서사시의 홍수 이야기에 대한 이전 강의에 대한 응답이었다. 이 기사들은 압도적으로 델리취를 비판했지만, 몇몇은 동정적이었다. 카이저는 델리취와 그의 급진적인 견해로부터 거리를 두었고, 1904년 가을, 델리취는 베를린이 아닌 쾰른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세 번째 강의를 해야 했다.[25] 모세 율법과 함무라비 법전 사이의 관계는 델리취가 1920–21년에 쓴 저서 ''Die große Täuschung'' (''거대한 기만'')에서 중요한 부분이 되었는데, 그는 히브리 성경이 바빌로니아의 영향으로 오염되었고, 기독교인들이 진정한 아리아인신약성경 메시지를 믿으려면 구약성경을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세기 초, 많은 학자들은 함무라비가 창세기 14:1에 나오는 시날의 왕 아므라펠이라고 믿었다.[18][19]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현재 대체로 거부되었고,[20][21] 아므라펠의 존재는 성경 외의 어떤 기록에서도 증명되지 않는다.[21]

야훼성경출애굽기에서 시나이산 정상에서 모세에게 언약의 율법을 준 것과 함무라비 이야기, 그리고 두 법전 사이의 유사점은 두 법전의 셈족 배경에 공통 조상이 있음을 시사한다.[22][23][2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 법전의 단편들이 발견되었고, 모세의 율법이 함무라비 법전에서 직접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은 낮다.[22][23][24] 일부 학자들은 이에 대해 이견을 제시했다. 데이비드 P. 라이트는 유대교의 언약의 율법이 함무라비 법전에 "직접적이고, 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기반을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25] 2010년, 히브리 대학교의 고고학자 팀은 이스라엘의 텔 하조르에서 기원전 18세기 또는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설형 문자판을 발견했는데, 이 판에는 함무라비 법전에서 분명히 파생된 법률이 포함되어 있었다.[26]

한편, 함무라비와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등장하는 바빌론의 왕 니므롯을 연결하는 사람들도 있다. 함무라비의 이름은 "위대한 함"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니므롯은 노아의 셋째 아들인 함의 손자이며, 바벨 탑의 건설자로 여겨진다.

참조

[1] wikisource The Sacred Books and Early Literature of the East 1917
[2] book Peace: A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05-08
[3] book World History: Patterns of Interaction https://archive.org/[...] McDougal Littell
[4] book The Empire of the Amorit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5] wikisource Records of the Past, Volume II, Part III.
[6] book "Victimology: Theories and Applications" Jones & Bartlett Learning
[7] book Multilingua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8] book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e Western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20-11-01
[9] book The Origin and History of Hebrew Law https://books.google[...] The Lawbook Exchange, Ltd. 2020-11-01
[10] 웹사이트 Hammurabi http://www.aoc.gov/c[...] Architect of the Capitol 2008-05-19
[11] 웹사이트 Courtroom Friezes https://www.supremec[...]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2008-05-19
[12] 뉴스 Lawgivers: From Two Friezes, Great Figures of Legal History Gaze Upon the Supreme Court Bench https://www.washingt[...] WP Company LLC 2017-11-28
[13] book Cuneiform Tablets in the British Museum http://www.etana.org[...] British Museum 2020-03-14
[14] book A guide to the Babylonian and Assyrian antiquities https://archive.org/[...] London : Printed by the order of the Trustees 1908
[15]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2021-11-04
[16] citation An Introduction to Ancient Mesopotamian Religion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20-11-01
[17] journal "The just judgements that Ḫammu-rāpi, a former king, rendered": A New Royal Inscription in the Istanbul Archaeological Museums https://www.degruyte[...] 2023-03-20
[18] 웹사이트 Amraphel http://www.jewishenc[...] 2012-11-24
[19]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Genesis 14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www.biblegate[...] 2012-11-24
[20] book The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21] book Abraham and Melchizedek: Scribal Activity of Second Temple Times in Genesis 14 and Psalm 110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0-03-26
[22] book Zonderv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Zondervan 2011
[23] book Archaeology and the Old Testament Zondervan Publishing Co.
[24] book Archaeology and Biblical History Scripture Press
[25] book Inventing God's Law: How the Covenant Code of the Bible Used and Revised the Laws of Hammurabi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6] journal Hazor 18: Fragments of a Cuneiform Law Collection from Hazor https://www.academia[...]
[27] 교과서 中学社会 歴史 교육출판 주식회사 1998-01-20
[28] book 라루스 도설 세계사 인물백과 原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