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쿠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쿠올은 콩 이소플라본인 다이드제인이 장내 세균에 의해 대사되어 생성되는 화합물이다. 1932년 말의 뇨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을 나타낸다. 에쿠올은 (S)-에쿠올과 (R)-에쿠올의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S)-에쿠올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에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에쿠올은 갱년기 증상 완화, 피부 건강 개선, 심혈관 질환 및 특정 암 예방 등 다양한 건강 효과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 인구에서 에쿠올 생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테로이드 설포트랜스퍼레이스 저해제 -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치료제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함께 CYP17A1 효소를 억제하여 안드로겐 생성을 억제하며, 2011년 미국 FDA 승인 후 유럽 등에서 승인받았다.
  • 선택적 ERβ 작용제 - 퀘르세틴
    퀘르세틴은 케이퍼, 사과, 양파 등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과 같은 생리 활성 효과가 있으며, 건강식품으로 판매되지만 약물 상호작용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에쿠올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개요
화학식C₁₅H₁₄O₃
분자량242.266 g/mol
IUPAC 이름(3S)-아이소플라반-4,7′-다이올
다른 이름4',7-아이소플라반다이올
PubChem91469
UNII2T6D2HPX7Q
ChEMBL198877
ChemSpider ID82594
KEGGC14131
CAS 등록번호531-95-3
SMILESC1C(COC2=C1C=CC(=C2)O)C3=CC=C(C=C3)O
InChI1/C15H14O3/c16-13-4-1-10(2-5-13)12-7-11-3-6-14(17)8-15(11)18-9-12/h1-6,8,12,16-17H,7,9H2/t12-/m1/s1
InChIKeyADFCQWZHKCXPAJ-GFCCVEGCBP
StdInChI1S/C15H14O3/c16-13-4-1-10(2-5-13)12-7-11-3-6-14(17)8-15(11)18-9-12/h1-6,8,12,16-17H,7,9H2/t12-/m1/s1
StdInChIKeyADFCQWZHKCXPAJ-GFCCVEGCSA-N
특성
분자식C₁₅H₁₄O₃
겉모습해당 없음
밀도해당 없음
녹는점해당 없음
끓는점해당 없음
용해도해당 없음
위험성
주요 위험해당 없음
인화점해당 없음
자연 발화점해당 없음
상세 정보
설명다이드제인으로부터 대사되는 아이소플라반다이올 에스트로겐

2. 역사

(''S'')-에쿠올은 1932년 말의 소변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5] 이름은 이러한 말과의 관련성에서 유래되었다.[6] 그 이후 에쿠올은 다른 많은 동물 종의 소변이나 혈장에서 발견되었지만, 이러한 동물들은 다이데인을 에쿠올로 대사시키는 능력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6] 1980년 과학자들은 사람에게서 에쿠올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7] 1984년에 (''S'')-에쿠올이 에스트로겐 또는 안드로겐 매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이 처음 제기되었다.[8]

3. 화학 구조

에쿠올은 키랄 중심을 하나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거울상 이성질체)인 (''S'')-에쿠올 및 (''R'')-에쿠올의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그러나 콩 이소플라본 섭취 후 에쿠올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인간과 동물은 (''S'')-에쿠올만 생산한다. (''S'')-에쿠올은 콩 이소플라본인 다이드제인의 대사 산물이며, 이소플라반으로 특징지어진다.[43] 반대로 (''R'')-에쿠올은 인간에게서는 생산되지 않지만 실험실 등에서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47] (''S'')-에쿠올의 분자 및 물리적 구조는 에스트라디올 호르몬과 유사하다.[48] (''S'')-에쿠올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에 우선적으로 결합한다.[2][11]

4. 약리학

(''S'')-에쿠올은 비스테로이드 선택적 작용제로,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ERβ)에 대한 선택성이 높다(Ki = 16 nM).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ERα)에 비해 ERβ에 대한 선택성이 13배 더 높다.[3] 에스트라디올과 비교했을 때, (''S'')-에쿠올은 인간 ERα에 대한 결합 친화력이 약 2%이며, 인간 ERβ에 대해서는 20%의 결합 친화력을 보인다. 이처럼 (''S'')-에쿠올이 ERα보다 ERβ에 더 선호적으로 결합하는 특성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SERM)와 일부 유사한 점을 시사한다.[12] 에쿠올은 GPER (GPR30)의 작용제로도 작용한다.[13]

(''S'')-에쿠올은 소화 과정에서 거의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분자로, 빠르게 흡수되며 높은 생체 이용률을 나타낸다.[14] (''S'')-에쿠올 섭취 후 최고 혈장 농도(Tmax)는 2~3시간 내에 도달한다.[15] 반면, 다이드제인의 Tmax는 4~10시간으로 더 긴데, 이는 다이드제인이 배당체 (포도당 측쇄를 가짐)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신체는 다이드제인을 사용하기 위해 소화 과정에서 당 측쇄를 제거하여 아글리콘 형태(포도당 측쇄 없음)로 변환해야 한다. 아글리콘 형태로 섭취할 경우, 다이드제인의 Tmax는 1~3시간이다.[15] 경구 투여 후 (''S'')-에쿠올은 소변을 통해 매우 높은 비율로 제거되며, 일부 성인의 경우 거의 100%에 달할 수 있다. 다이드제인의 제거율은 30~40% 수준이다.[16]

4. 1. 에스트로겐 수용체 결합

(''S'')-에쿠올은 비스테로이드 선택적 작용제로,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ERβ)에 대한 선택성이 높다(Ki = 16 nM).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ERα)에 비해 ERβ에 대한 선택성이 13배 더 높다.[3] (''R'')-에쿠올은 (''S'')-에쿠올에 비해 효능이 낮으며, ERα에 결합하고(Ki = 50 nM) ERβ에 비해 3.5배 더 선택성이 높다.[3] (''S'')-에쿠올은 인간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ERα)에 대한 에스트라디올의 결합 친화력의 약 2%를 가지며, 인간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 (ERβ)에 대한 에스트라디올의 결합 친화력의 20%를 가진다. (''S'')-에쿠올이 ERα에 비해 ERβ에 더 선호적으로 결합하는 것은 에스트라디올에 비해 분자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SERM)의 일부 특성을 공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2] 에쿠올은 GPER (GPR30)의 작용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3]

4. 2. 약물 동태

(''S'')-에쿠올은 소화 시 거의 변하지 않는 매우 안정적인 분자로, 빠른 흡수와 높은 생체 이용률을 보인다.[14] (''S'')-에쿠올 섭취 후 2~3시간 내에 최고 혈장 농도(Tmax)에 도달한다.[15] 이와 비교하여 다이드제인의 Tmax는 4~10시간인데, 이는 다이드제인이 배당체 (포도당 측쇄를 가짐)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신체는 다이드제인을 사용하기 전에 소화 과정에서 당 측쇄를 제거하여 다이드제인을 아글리콘 형태(포도당 측쇄 없음)로 변환해야 한다. 아글리콘 형태로 직접 섭취할 경우, 다이드제인의 Tmax는 1~3시간이다.[15] 경구 투여 후 소변 내 (''S'')-에쿠올의 제거율은 매우 높으며, 일부 성인의 경우 거의 100%에 이를 수 있다. 다이드제인의 제거율은 30~40%이다.[16]

5. 인체 내 생성

콩 섭취 후 (''S'')-에쿠올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특정 종류의 장내 세균이 필요하다.[8] 인간에게서 배양된 21가지 서로 다른 종류의 장내 미생물이 다이드제인을 (''S'')-에쿠올 또는 관련 중간 화합물로 전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 여러 연구에 따르면 서구 국가의 성인 인구 중 25~30%만이 이소플라본을 함유한 콩 식품을 섭취한 후 (''S'')-에쿠올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10][17][18][19] 한국, 일본, 중국의 성인 중 50~60%가 에쿠올 생산자이다.[20][21][22][23] 채식주의자 또한 다이드제인을 (S)-에쿠올로 전환하는 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24] 해조류와 유제품 섭취는 에쿠올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10][25]

(''S'')-에쿠올을 생산하는 개인의 능력은 최소 한 달 동안 항생제를 복용하지 않은 사람들을 검사하여 결정된다. 이 표준화된 검사를 위해 개인은 3일 동안 240밀리리터의 두 잔의 두유를 마시거나 이에 상응하는 콩 식품을 섭취하며, 4일째에 소변 내 (''S'')-에쿠올 농도를 측정한다.[26]

5. 1. 에쿠올 생성균

다이드제인을 (S)-에쿠올로 완전히 변환하는 박테리아는 다음과 같다:[27][28][43]

  • Adlercreutzia equolifaciens
  • Asaccharobacter celatus AHU1763
  • Bacteroides ovatus
  • Bifidobacterium
  • Bifidobacterium animalis
  • Coriobacteriaceae sp MT1B9
  • Eggerthella sp YY7918
  • Enterococcus faecium
  • Eubacterium sp D1 and D2
  • Finegoldia magna
  • Lactobacillus mucosae
  • Lactobacillus sp Niu-O16
  • Lactococcus garvieae (Lc 20-92)
  • Ruminococcus productus
  • Slackia sp HE8
  • Slackia equolifaciens (Strain DZE)
  • Streptococcus intermedius
  • Veillonella sp


Bifidobacterium에 의한 변환은 2002년 Tsangalis et al.에 의해 한 번 보고되었고[29] 그 이후로 재현되지 않았다.[58] Lactobacillus sp. Niu-O16 및 Eggerthella sp. Julong 732와 같은 혼합 배양도 (''S'')-에쿠올을 생산할 수 있다.[58] 일부 에쿠올 생성균은 Adlercreutzia equolifaciens, Slackia equolifaciens, Slackia isoflavoniconvertens와 같이 그 명칭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건강 효과

에쿠올은 피부 건강, 호르몬 관련 건강 및 기타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 건강과 관련하여 에쿠올은 항노화 물질로서 작용하여 활성 산소로 인한 손상을 줄이고, 광노화를 방지하며, 후성 유전적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30][31][34] 또한, 에쿠올은 갱년기 증상 완화, 위축성 질염 관련 증상 감소, 질 내 환경 개선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36][37][38]

그 외에도 에쿠올은 유방암, 뇌경색, 심근경색, 전립선암 등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59][60][61][62][63][64] 치매 위험 감소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68]

6. 1. 피부 건강

에쿠올의 국소적인 효과는 항노화 물질로서 다양한 연구에서 입증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피부의 분자적, 구조적 변화 모두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에쿠올은 텔로미어 길이의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 에쿠올은 항산화제로서, 활성 산소(ROS)로 인한 손상을 줄임으로써 노화 과정을 늦출 수 있다. 또한, 급성 UVA 유도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여 광노화 방지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30] 더불어, 에쿠올은 후성 유전적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31] 에쿠올의 식물성 에스트로겐 특성은 피부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32] 에쿠올 치료 후 다크 서클과 눈가 주름이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다.[33] 에쿠올은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으로 인해 오염으로 인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34]

한 연구에 따르면 (RS)-에쿠올이 특히 국소적으로 적용했을 때 피부 건강에 가장 큰 전반적인 개선을 보였다.[35]

6. 2. 호르몬 관련 건강 효과

약용 에쿠올은 갱년기 증상, 예를 들어 안면 홍조, 근육 및 관절 통증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6][37] (RS)-에쿠올은 질 가려움증, 질 건조증, 성교 시 통증과 같은 갱년기 위축성 질염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키고 질 내 세균총, 세포 구성 및 pH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8]

동물 연구에 따르면,[39] 항안드로겐 효과가 있으며 5알파 환원효소 억제 및 낮은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DHT) 수치를 유발할 수 있다.

6. 3. 기타 건강 효과

한국, 일본의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식품으로부터의 이소플라본 섭취량이 많을수록 한국인 및 일본인 여성의 유방암[59][60]뇌경색과 심근경색[61][62], 남성의 일부 전립선암[63][64]의 위험이 감소한다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콩 이소플라본의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이 이소플라본이 대사되어 생산된 에쿠올에 의한 것이 아니냐는 가설이 세워지고 있다.[65] 역학 연구에서 사람의 에쿠올 생산 유무와 전립선암, 유방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및 개선 효과와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다.[66] 또한, 에쿠올 생산자와 비생산자의 실험에서, 에쿠올은 폐경에 따른 모발 밀도 감소, 연모화, 백발화 억제 등에 관여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67]

콩의 장내 세균 대사물인 에쿠올이 치매 위험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68]

참조

[1] 논문 Structural Elucidation of Hydroxylated Metabolites of the Isoflavan Equol by GC/MS and HPLC/MS http://dmd.aspetjour[...] 2005
[2] 논문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S-equol from dihydrodaidzein by a newly isolated anaerobic human intestinal bacterium 2005-01
[3] 논문 Equol, a natural estrogenic metabolite from soy isoflavones
[4] 논문 High concordance of daidzein-metabolizing phenotypes in individuals measured 1 to 3 years apart 2005-12
[5] 논문 Equol, a new inactive phenol isolated from the ketohydroxyoestrin fraction of mares' urine
[6] 논문 Equol: history, chemistry, and formation 2010-07
[7] 논문 The identification of the weak oestrogen equol [7-hydroxy-3-(4'-hydroxyphenyl)chroman] in human urine 1982-02-01
[8] 논문 Nonsteroidal estrogens of dietary origin: possible roles in hormone-dependent disease 1984-09
[9] 논문 The clinical importance of the metabolite equol-a clue to the effectiveness of soy and its isoflavones 2002-12
[10] 논문 Gut bacterial metabolism of the soy isoflavone daidzein: exploring the relevance to human health 2005-03
[11] 논문 Phytoestrogens and their human metabolites show distinct agonistic and antagonistic properties on estrogen receptor {α} (ER{α}) and ERβ in human cells http://toxsci.oxford[...] 2004-04
[12] 논문 S-equol, a potent ligand for estrogen receptor beta, is the exclusive enantiomeric form of the soy isoflavone metabolite produced by human intestinal bacterial flora 2005-05
[13] 논문 Estrogen biology: New insights into GPER function and clinical opportunities
[14] 논문 The pharmacokinetic behavior of the soy isoflavone metabolite S-(-)equol and its diastereoisomer R-(+)equol in healthy adults determined by using stable-isotope-labeled tracers 2009-10
[15] 논문 The pharmacokinetics of S-(-)equol administered as SE5-OH tablets to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2009-11
[16] 논문 Equol: pharmacokinetics and biological actions 2010-07
[17] 논문 Urinary equol excretion with a soy challenge: influence of habitual diet 1998-03
[18] 논문 Method of defining equol-producer status and its frequency among vegetarians 2006-08
[19] 논문 Interindividual variation in metabolism of soy isoflavones and lignans: influence of habitual diet on equol production by the gut microflora
[20] 논문 Pharmacokinetics of soybean isoflavones in plasma, urine and feces of men after ingestion of 60 g baked soybean powder (kinako) 1998-10
[21] 논문 Comparison of isoflavones among dietary intake, plasma concentration and urinary excretion for accurate estimation of phytoestrogen intake 2000-03
[22] 논문 Comparisons of percent equol producers between prostate cancer patients and controls: case-controlled studies of isoflavones in Japanese, Korean and American residents 2004-02
[23] 논문 Prevalence of daidzein-metabolizing phenotypes differs between Caucasian and Korean American women and girls 2006-05
[24] 논문 The pros and cons of phytoestrogens. 2010-10
[25] 논문 Dietary seaweed modifies estrogen and phytoestrogen metabolism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2009-08
[26] 논문 Method of defining equol-producer status and its frequency among vegetarians 2006-08
[27] 논문 S-equol, a potent ligand for estrogen receptor beta, is the exclusive enantiomeric form of the soy isoflavone metabolite produced by human intestinal bacterial flora
[28] 논문 Equol: History, Chemistry, and Formation
[29] 서적 Beneficial Microbes in Fermented and Functional Food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4-12-17
[30] 논문 Protection Against Photoaging in the Hairless Mouse by the Isoflavone Equol 2005-11
[31] 논문 Topical equol preparation improves structural and molecular skin parameters 2017-10
[32] 논문 Skin aging and oxidative stress: Equol's anti-aging effects via biochemical and molecular mechanisms 2016-11
[33] 간행물 Equol – a Topically Applied Phyto-Oestrogen Improves Skin Characteristics Global ingredients and Formulations Guide 2016
[34] 논문 Equol's Anti-Aging Effects Protect against Environmental Assaults by Increasing Skin Antioxidant Defense and ECM Proteins While Decreasing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2018-01-29
[35] 논문 Protective effects of equol and their polyphenolic isomers against dermal aging: Microarray/protein evidence with clinical implications and unique delivery into human skin 2013-11
[36] 간행물 Efficacy and safety of natural S-equol supplement in US postmenopausal women. Belinda H. Jenks of Scientific Affairs, Pharmavite LLC, Northridge, CA, et.al.
[37] 간행물 Effect of natural S-equol on bone metabolism in equol non-producing postmenopausal Japanese women: a pilot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Tomomi Ueno of Saga Nutraceutricals Research Institute,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Japan, et.al
[38] 학술지 Eine Proof-of-concept-Studie von Isoflavandiol-E55-RS-Vaginalkapseln oder Vaginalgel zur Linderung der menopausalen Vaginalatrophie 2019-03-01
[39] 웹사이트 Equol Is a Novel Anti-Androgen that Inhibits Prostate Growth and Hormone Feedback, Biology of Reproduction, Volume 70, Issue 4, 1 April 2004, Pages 1188–1195 https://academic.oup[...] 2023-11-17
[40] 학술지 Structural elucidation of hydroxylated metabolites of the isoflavan equol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41] 학술지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S-equol from dihydrodaidzein by a newly isolated anaerobic human intestinal bacterium
[42] 학술지 High concordance of daidzein-metabolizing phenotypes in individuals measured 1 to 3 years apart
[43] 학술지 Equol: history, chemistry, and formation
[44] 학술지 Phytoestrogens and their human metabolites show distinct agonistic and antagonistic properties on estrogen receptor {α} (ER{α}) and ERβ in human cells
[45] 학술지 Equol, a new inactive phenol isolated from the ketohydroxyoestrin fraction of mares' urine
[46] 학술지 Nonsteroidal estrogens of dietary origin: possible roles in hormone-dependent disease 1984-09
[47] 학술지 The clinical importance of the metabolite equol-a clue to the effectiveness of soy and its isoflavones 2002-12
[48] 학술지 Gut bacterial metabolism of the soy isoflavone daidzein: exploring the relevance to human health 2005
[49] 학술지 Urinary equol excretion with a soy challenge: influence of habitual diet 1998
[50] 학술지 Method of defining equol-producer status and its frequency among vegetarians 2006
[51] 학술지 Interindividual variation in metabolism of soy isoflavones and lignans: influence of habitual diet on equol production by the gut microflora
[52] 학술지 Pharmacokinetics of soybean isoflavones in plasma, urine and feces of men after ingestion of 60 g baked soybean powder (kinako) 1998-10
[53] 학술지 Comparison of isoflavones among dietary intake, plasma concentration and urinary excretion for accurate estimation of phytoestrogen intake 2000-03
[54] 학술지 Comparisons of percent equol producers between prostate cancer patients and controls: case-controlled studies of isoflavones in Japanese, Korean and American residents 2004-02
[55] 학술지 Prevalence of daidzein-metabolizing phenotypes differs between Caucasian and Korean American women and girls 2006-05
[56] 학술지 The pros and cons of phytoestrogens. 2010
[57] 학술지 Method of defining equol-producer status and its frequency among vegetarians 2006
[58] 서적 Bifidobacteria: Genomics and Molecular Aspects https://books.google[...] Caister Academic Pr
[59] 웹사이트 大豆・イソフラボン摂取と乳がん発生率との関係について http://epi.ncc.go.jp[...] 2011-03-10
[60] 학술지 Soy, isoflavones, and breast cancer risk in Japan
[61] 웹사이트 イソフラボンと脳梗塞・心筋梗塞発症との関連について http://epi.ncc.go.jp[...] 2011-03-10
[62] 학술지 Association of dietary intake of soy, beans, and isoflavones with risk of cerebral and myocardial infarctions in Japanese populations: the Japan Public Health Center-based (JPHC) study cohort I
[63] 웹사이트 大豆製品・イソフラボン摂取量と前立腺がんとの関連について http://epi.ncc.go.jp[...] 2011-03-10
[64] 학술지 Soy product and isoflavone consumption in relation to prostate cancer in Japanese men
[65] 문서 大豆由来の新規成分 “エクオール” の最新知見 https://doi.org/10.3[...]
[66] 문서 腸内細菌が作り出す大豆イソフラボン代謝産物の有用性と安全性 https://doi.org/10.1[...]
[67] 학술지 閉経後女性の薄毛に対するエクオールの新しい可能性
[68] 뉴스 Bacterial metabolism of dietary soy may lower risk factor for dementia https://www.eurekale[...] eurekalert 2020-10-22
[69] 학술지 S-equol, a potent ligand for estrogen receptor beta, is the exclusive enantiomeric form of the soy isoflavone metabolite produced by human intestinal bacterial flora 2005
[70] 학술지 The pharmacokinetic behavior of the soy isoflavone metabolite S-(-)equol and its diastereoisomer R-(+)equol in healthy adults determined by using stable-isotope-labeled tracers 2009-10
[71] 논문 The pharmacokinetics of ''S''-(−)equol administered as SE5-OH tablets to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2009
[72] 논문 Equol: pharmacokinetics and biological actions 2010
[73] 논문 Estrogen biology: New insights into GPER function and clinical opportunities
[74] 웹사이트 Structural Elucidation of Hydroxylated Metabolites of the Isoflavan Equol by GC/MS and HPLC/MS http://dmd.aspetjour[...] 2005
[75] 논문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S-equol from dihydrodaidzein by a newly isolated anaerobic human intestinal bacterium 2005-01
[76] 논문 Equol, a natural estrogenic metabolite from soy isoflavones
[77] 논문 Equol: history, chemistry, and formation 2010-06-02
[78] 논문 High concordance of daidzein-metabolizing phenotypes in individuals measured 1 to 3 years apart 2005-12
[79] 논문 Phytoestrogens and their human metabolites show distinct agonistic and antagonistic properties on estrogen receptor {α} (ER{α}) and ERβ in human cells http://toxsci.oxford[...] 20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