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몽고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리자베스 몽고메리는 미국의 배우로, 1933년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1995년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그녀는 로버트 몽고메리와 엘리자베스 브라이언 앨런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4번의 결혼을 경험했다. 1955년 배우로 데뷔하여 1964년부터 1972년까지 시트콤 《유쾌한 마녀》에서 사만다 스티븐스 역을 맡아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역할로 5번의 에미상을 수상했으며, 이후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하며 연기 변신을 시도했다. 또한, 여성 권리, 에이즈 운동, 동성애자 권리를 옹호하며 자유주의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장암으로 죽은 사람 - 황인철 (1940년)
황인철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변호사, 사회운동가로서, 판사 출신으로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며 민청학련 사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등 시국사건 변론을 맡아 민주화 운동에 기여하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창립,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연합 대표 등 사회운동에도 참여했다. - 대장암으로 죽은 사람 - 에드워드 엘가
에드워드 엘가는 1857년 영국에서 태어나 관현악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하여 《수수께끼 변주곡》, 《위풍당당 행진곡》 등을 작곡하고 기사 작위와 공로 훈장을 받았으며 1934년에 사망했다. - HIV/AIDS 활동가 - 넬슨 만델라
넬슨 만델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서,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운동을 이끌고 27년간 수감 생활을 했으며, 석방 후 남아프리카공화국 첫 흑인 대통령이 되어 국민 화합과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 HIV/AIDS 활동가 - 로라 부시
로라 부시는 미국의 영부인으로서 교육 및 읽기 능력 향상, 여성 건강, 아동 복지에 힘썼으며, 텍사스 영부인 시절부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영부인 재임 기간에는 아프가니스탄 여성 인권 문제와 유방암, 심장병 인식 개선 등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 - 글로리아 스타이넘
글로리아 스타이넘은 미국의 저명한 페미니스트 저널리스트이자 사회 운동가로, 여성 해방 운동의 지도자였으며 잡지 《Ms.》의 공동 창립자로서 여성의 권리와 사회 정의를 위해 활동하며 여러 저서를 남겼다. - 미국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 - 프랜 드레셔
1957년생 미국 배우이자 코미디언, 작가, 프로듀서인 프랜 드레셔는 시트콤 《더 내니》의 프랜 파인 역으로 성공했으며, 암 극복 후 암 예방 운동에 참여하고 정부 공공 외교 특사, SAG-AFTRA 회장으로서 노동 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엘리자베스 몽고메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엘리자베스 빅토리아 몽고메리 |
출생일 | 1933년 4월 15일 |
출생지 | 미국캘리포니아주로스앤젤레스 |
사망일 | 1995년 5월 18일 |
사망지 | 미국캘리포니아주베벌리힐스 |
직업 | 배우 |
활동 기간 | 1951년–1995년 |
학력 | 미국 드라마 예술 아카데미 |
아버지 | 로버트 몽고메리 |
어머니 | 엘리자베스 브라이언 앨런 |
친척 | 마사-브라이언 앨런 (이모) |
대표작 | 오쿠사마와 마죠(번역: 아내는 마녀) 서맨사 스티븐스 역 |
![]() | |
![]() | |
결혼 | |
배우자 | 프레더릭 갤러틴 캐먼 (1954년 결혼, 1955년 이혼) 기그 영 (1956년 결혼, 1963년 이혼) 윌리엄 애셔 (1963년 결혼, 1973년 이혼) 로버트 폭스워스 (1993년 결혼) |
자녀 | 3명 |
2. 생애
엘리자베스 몽고메리는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서 배우 로버트 몽고메리와 Elizabeth Bryan Allen|엘리자베스 브라이언 앨런영어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녀에게는 태어나기 전 사망한 언니 마사 브라이언 몽고메리와 1936년에 태어난 남동생 로버트 몽고메리 주니어가 있었다.[37]
몽고메리는 평생 네 번 결혼했다. 1954년, 21세 때 아버지의 프로그램 무대 매니저였던 프레데릭 캐먼과 첫 번째 결혼을 했으나 1년 만에 이혼했다. 1956년에는 기가 영과 결혼했지만, 영의 알코올 의존증으로 결혼 생활은 파탄났다. 1963년부터 1973년까지는 영화감독이자 『몽고메리의 마법』의 프로듀서인 William Asher|윌리엄 애셔영어와 결혼 생활을 했으며, 애셔와의 사이에서 세 자녀를 낳았다. 이 관계는 몽고메리가 리처드 마이클스와 불륜 관계를 맺으면서 1974년에 이혼으로 끝났다. 1993년에는 배우 로버트 폭스워스와 결혼하여 1995년 사망할 때까지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
1995년 5월 18일, 대장암으로 6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당시 폭스워스의 수술 간호에 바빠 병의 징후를 무시했기 때문에 진찰을 받았을 때는 이미 말기 상태였고, 진단 후 불과 8주 만에 사망했다. 회복 가능성이 없다는 통보를 받자, 병원에서 죽는 것을 원치 않고 폭스워스와 함께 살던 비벌리힐스의 자택에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죽음을 맞이했다.
실생활에서는 흡연자였다.
2. 1. 초기 생애
1933년 4월 15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브로드웨이 배우 엘리자베스 다니엘 브라이언 앨런과 영화 배우 로버트 몽고메리 사이에서 태어났다.[3] 어머니는 켄터키주 출신이었고, 아버지는 뉴욕 출신이었다. 1931년에 태어나 유아기에 사망한 언니 마사 브라이언 몽고메리 (이모 마사 브라이언 앨런의 이름을 따서 지음)와 남동생 로버트 B. 몽고메리 주니어가 있었다.[3] 아일랜드 및 스코틀랜드 계통으로, 증조부 아치볼드 몽고메리는 벨파스트에서 태어나 1849년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사망 후 진행된 족보 연구에 따르면, 1893년 아버지와 새어머니 살인 혐의로 무죄 판결을 받은 리지 보든과 육촌간이었으며, 둘 다 17세기 매사추세츠 거주민 존 루터의 후손이었다. 몽고메리는 자신의 먼 친척이었음을 알지 못한 채, 1975년 텔레비전 영화 ''리지 보든의 전설''에서 보든을 연기했다.[3]로스앤젤레스 홀름비 힐스에 있는 웨스트레이크 여자고등학교를 다닌 후,[4] 뉴욕 시에 있는 스펜스 학교를 졸업했다. 맨해튼에 있는 아메리칸 드라마 예술 아카데미에서 3년간 공부했다.[5]
2. 2. 사생활
몽고메리는 일생 동안 네 번 결혼했다. 1954년 뉴욕 사교계 명사 프레데릭 갤러틴 캐먼과 결혼했으나 1년도 채 안 되어 이혼했다.[13] 1956년부터 1963년까지 아카데미상 수상 배우 기가 영과 결혼했고, 1963년부터 1973년까지는 감독이자 프로듀서인 윌리엄 애셔와 결혼했다.[13] 윌리엄 애셔와의 사이에서는 세 자녀 윌리엄, 로버트, 레베카를 두었다. 1993년 1월 28일, 약 20년 동안 동거했던 배우 로버트 폭스워스와 결혼하여 1995년 사망할 때까지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2]작가 허비 J. 필라토에 따르면, 몽고메리는 폭스워스와 동거했지만 아직 결혼하지 않았을 때 알렉산더 고두노프와 불륜 관계였다.[14][15]
아이 러브 아빠 방영 기간 동안, 뉴욕주 패터슨이 시리즈에 여러 번 언급되었다. 뉴욕주 퍼트넘 카운티에 위치한 이 마을은 몽고메리의 고향이었으며,[18] 어린 시절 여름을 보낸 곳이기도 하다.
몽고메리는 실생활에서 흡연자였다.
2. 3. 사망
1995년 3월 말, ''Deadline for Murder: From the Files of Edna Buchanan'' 촬영 중 독감과 유사한 증상을 무시했던 엘리자베스 몽고메리는 결장암으로 고통받고 있었다.[27] 늦은 진단으로 인해 암은 결장에서 간으로 전이되었다.[28]회복의 희망이 없고 병원에서 죽는 것을 원치 않았던 몽고메리는 로버트 폭스워스와 함께 살던 비벌리힐스 자택으로 돌아가기로 했다.[29] 1995년 5월 18일 아침, 62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이전 윌리엄 애셔와의 결혼에서 낳은 세 자녀와 폭스워스가 곁을 지켰다.[30] 그녀의 시신은 화장되었다.[31]
몽고메리가 사망한 한 달 후인 1995년 6월 18일, 비벌리힐스 캐논 극장에서 추모식이 열렸다. 허비 행콕이 음악을 연주했고, 아만다 맥브룸이 노래했으며, 도미니크 던은 그들이 뉴욕시에 살던 시절의 우정에 대해 이야기했고, 폭스워스는 팬들이 보낸 많은 위로 카드를 읽었다. 다른 연설자로는 그녀의 딸, 그녀의 형제, 그녀의 의붓아들, 그리고 그녀의 간호사가 있었다.[32]
몽고메리는 뉴욕주 퍼트넘 카운티 패터슨에 있는 부모님의 집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녀가 사망한 지 약 3년 후, 그 저택은 매각되어 원더 레이크 주립 공원의 일부가 되었다.[33]
3. 경력
1955년 아버지 로버트 몽고메리가 출연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로버트 몽고메리 프레젠츠》와 영화 《군법회의》로 데뷔했다.
1964년부터 1972년까지 방영된 《유쾌한 마녀》는 엘리자베스 몽고메리의 출세작이자 유일한 텔레비전 시리즈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시즌 8까지 이어진 이 작품은 수많은 재방송과 배포를 통해 현재에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이후 니콜 키드먼이 사만다 역을 맡아 《유쾌한 마녀》로 영화화되기도 했다. 엘리자베스는 사만다 역으로 5번의 에미상을 수상했으며, 골든 글로브상에도 4번 노미네이트되었다.
엘리자베스 몽고메리는 인기 프로그램이었던 《유쾌한 마녀》의 사만다 역에 대해 "시즌 4를 마칠 즈음에 질렸다"고 고백했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사만다의 유명한 코를 찡긋거리는 제스처를 부탁받아도 하려 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엘리자베스는 이미지 변신을 위해 적극적으로 배역을 선택했다. 《나는 범해졌다/엘레인 부인의 재판》에서 희생자 역으로 에미상에 노미네이트되었고, 《The Legend of Lizzie Borden|여 사형수의 비밀영어》에서는 실존 살인자(억울한 피해자) 리지 보든을 연기했으며, 미니시리즈 《개척자들》에서는 1820년대 오하이오에서 어려움에 직면한 강인한 여성 역할을 맡았다.
1985년 영화 《아모스》에서는 간호사 역을 맡아 잔혹한 악역 연기를 선보이기도 했다.
1995년 9월 12일 방영된 애니메이션 《배트맨》의 에피소드 "''Showdown''"에서 바의 여급 역을 특별 게스트로 연기한 것이 마지막 작품이었다. 그 외에 몇 개의 내레이션을 맡았다.
1979년과 1982년에는 일본 롯데 CM에 사만다 역으로 출연했으며, 1982년 CM에서는 기모노 차림으로 출연했다.
3. 1. 초기 활동 (1951-1963)
몽고메리는 아버지의 시리즈 ''로버트 몽고메리 프레젠트''로 텔레비전 데뷔를 했으며, 이후 그의 "서머 스톡" 공연단의 일원으로 출연했다. 1953년 10월, 몽고메리는 브로드웨이 데뷔작인 ''레이트 러브(Late Love)''[6]에 출연하여 공연으로 극장 세계상을 수상했다.[5] 그 후 그녀는 오토 프레밍거의 영화 ''빌리 미첼의 군법회의'' (1955)로 영화 데뷔를 했다. 몽고메리는 1956년 브로드웨이로 돌아와 ''더 라우드 레드 패트릭(The Loud Red Patrick)''에 출연했다.[6]몽고메리의 초기 경력은 ''스튜디오 원'', ''크래프트 텔레비전 극장'', ''조니 스타카토'', ''버크의 법칙'', ''환상 특급'', ''엘레븐스 아워'', ''왜건 트레인'', ''보리스 카를로프의 스릴러'', ''알프레드 히치콕 Presents''와 같은 생방송 텔레비전 드라마와 시리즈에 주연으로 출연하며 이루어졌다.[5] 몽고메리는 1960년 ''언터처블'' 에피소드에서 남부 나이트클럽 공연자 러스티 헬러 역을 맡아 데이비드 화이트와 함께 출연하여 제13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후보에 올랐으며, 데이비드 화이트는 나중에 ''유쾌한 마녀''에서 래리 테이트 역을 연기했다.[7] 그녀는 ''로하이드'' 에피소드 "엘 크루세로의 사건" (1963)에서 로즈 코르넬리우스 역을 맡았다.[8]
- -|]]|thumb|right|upright|몽고메리의 ''원 스텝 비욘드''(1960) 에피소드 홍보 사진]]
몽고메리는 윌리엄 애셔가 감독한 ''조니 쿨'' (1963)에서 갱스터 (헨리 실바)에게 반하는 사교계 명사 역을 맡았으며, 딘 마틴과 캐롤 버넷이 출연하고 다니엘 만이 감독한 코미디 영화 ''내 침대에서 누가 잤나?'' (1963)에도 출연했다. 그녀는 ''알프레드 히치콕 Presents'' 출연 후 알프레드 히치콕은 영화 ''마니'' (1964)에서 고뇌하는 여주인공의 경쟁자로 여기는 숀 코너리의 처제 역으로 그녀를 염두에 두었지만, 몽고메리는 출연할 수 없었다.[9]
3. 2. 《아내는 요술쟁이》 (1964-1972)
딕 요크(나중에는 딕 서전트)가 남편 역을 맡은 ABC 시트콤 ''아내는 요술쟁이''에서 몽고메리는 사랑스러운 마녀 사만다 스티븐스 역을 맡았다.[10] 2번째 시즌부터는 사만다의 장난기 많은 사촌 세레나 역도 맡았는데, 판도라의 상자를 이용한 말장난인 판도라 스폭스라는 가명으로 출연했다.''아내는 요술쟁이''는 시청률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당시 네트워크에서 역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시리즈였다).[10] 1964년부터 1972년까지 8개의 시즌으로 방영되었고, 몽고메리는 이 작품으로 5번의 프라임타임 에미상과 4번의 골든 글로브상 후보에 올랐다. 시리즈 후반부 시청률이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1972년 가을부터 시작되는 9번째 시즌으로 갱신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몽고메리와 ''아내는 요술쟁이''의 감독인 윌리엄 애셔와의 결혼 생활은 실패했고, 부부는 8번째 시즌 말에 헤어졌다.
이러한 상황은 그들의 직업적 관계에 심각한 마찰을 일으켰고, 또 다른 시즌의 가능성을 종식시켰다. ABC에 대한 위로로 몽고메리와 애셔 (그들의 회사명인 애쉬몬트(Ashmont)를 통해 ''아내는 요술쟁이''를 제작)는 1972-1973 시즌을 위해 네트워크에 30분짜리 시트콤 ''폴 린드 쇼''를 제공했다. 린드의 시리즈는 단 1년만 지속되었다.
그녀는 사만다 스티븐스 역을 패러디하여 비치 파티 영화 ''야생 비키니 채우는 법''(1965)의 마지막 부분에서 마녀로 카메오 출연을 했다. 이 영화는 당시 그녀의 남편이었던 애셔가 감독했다. 같은 해에 그녀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플린스톤''의 한 에피소드에서 사만다의 목소리를 연기하기도 했다.
1964년부터 1972년까지 방영된 출세작이자 유일한 텔레비전 시리즈가 된 《유쾌한 마녀》는 대성공을 거두었다. 시즌 8까지 이어진 이 작품은 수많은 재방송과 배포가 이루어져 현재에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작품이 되었으며, 이후 니콜 키드먼이 사만다 역을 맡아 《유쾌한 마녀》로 영화 리메이크되었다. 엘리자베스는 사만다 역으로 5번의 에미상을 수상했으며, 골든 글로브상에도 4번 노미네이트되었다.
인기 프로그램이 된 반면, 엘리자베스 자신은 "시즌 4를 마칠 즈음에 사만다 역에 질렸다"고 고백했다.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는 사만다의 유명한 코를 찡긋거리는 제스처는, 부탁을 받아도 하려 하지 않았다고 한다.
3. 3. 후기 활동 (1973-1995)
몽고메리는 말년의 경력 동안 선량한 사만다와 가능한 한 거리가 먼 드라마틱한 역할을 추구했다.[3] 1974년 TV 영화 ''A Case of Rape''에서 강간 피해자 역할을 맡았고, 1975년에는 윌리엄 바스트의 ''The Legend of Lizzie Borden''에서 살인자 리지 보든 역을 연기하여 에미상 후보에 올랐다. 몽고메리와 보든은 먼 친척 관계였다.[3]몽고메리는 게임 쇼 ''패스워드''에 여러 번 출연했고, 진행자 앨런 러든은 그녀를 "패스워드의 여왕"이라고 불렀다.[11] 1978년 미니시리즈 ''The Awakening Land''에서 1820년대 오하이오 개척민 여성을 연기해 아홉 번째 에미상 후보에 지명되었다.
1977년 ''A Killing Affair''에서 O. J. 심슨이 연기한 유부남 파트너와 불륜을 저지르는 형사 역할을 연기했다. 1985년 텔레비전 영화 ''Amos''에서는 노인 요양원에서 환자들을 학대하는 악랄한 간호사 역을 맡아 드물게 악역을 연기했다.[6] 1989년, 몽고메리는 로버트 폭스워스와 함께 ''러브 레터스'' 공연으로 마지막으로 브로드웨이에 복귀했다.
그녀는 ''배트맨: 애니메이션 시리즈'' 에피소드 "결투"에서 바텐더 역할을 맡아 마지막 역할을 수행했다. 이 에피소드는 사후에 방영되었다.[12] 그녀의 마지막 텔레비전 시리즈는 에드나 부캐넌 탐정 시리즈였으며, 이 시리즈의 두 번째이자 마지막 영화는 몽고메리가 사망하기 9일 전인 1995년 5월 9일에 처음 방영되었다.[12]
1992년 다큐멘터리 영화 The Panama Deception|파나마 디셉션영어의 내레이션을 맡았다.
4. 한국과의 인연
1979년과 1982년에 일본 롯데 CM에 사만다 역으로 출연했으며, 1982년의 해당 CM에서는 기모노 차림으로 출연했다.
5. 출연 작품
연도 | 제목 | 분류 |
---|---|---|
1955 | 빌리 밋첼의 군사법원 | 영화 |
1963 | 후즈 빈 슬리핑 인 마이 베드? | 영화 |
1963 | 해변 파티 | 영화 |
1965 | 하우 투 스터프 어 와일드 비키니 | 영화 |
1977 | 배신의 그림자 | 영화 |
1979 | 샌프란시스코의 이혼녀 | 영화 |
1980 | 벨 스타 | 영화 |
1992 | 파나마 사기극 | 영화 |
1951–1956 | 로버트 몽고메리 프레젠트 | TV 프로그램 |
1953–1954 | 암스트롱 서클 극장 | TV 프로그램 |
1954–1957 | 크라프트 텔레비전 극장 | TV 프로그램 |
1955–1956 | 모험과의 약속 | TV 프로그램 |
1955–1958 | 스튜디오 원 | TV 프로그램 |
1956 | 워너 브라더스 프레젠트 | TV 프로그램 |
1956 | 클라이맥스! | TV 프로그램 |
1958 | 플레이하우스 90 | TV 프로그램 |
1958 | 서스피션 | TV 프로그램 |
1958 | 듀퐁 쇼 오브 더 먼스 | TV 프로그램 |
1958 | 시마론 시티 | TV 프로그램 |
1958 | 알프레드 히치콕 프레젠트 | TV 프로그램 |
1959 | 로레타 영 쇼 | TV 프로그램 |
1959 | 제3의 사나이 | TV 프로그램 |
1959 | 리버보트 | TV 프로그램 |
1959 | 자니 스타카토 | TV 프로그램 |
1959 | 왜건 트레인 | TV 프로그램 |
1960 | 탭 헌터 쇼 | TV 프로그램 |
1960 | 원 스텝 비욘드 | TV 프로그램 |
1960 | 언터처블 | TV 프로그램 |
1961 | 환상 특급 | TV 프로그램 |
1961 | 스릴러 | TV 프로그램 |
1961 | 프론티어 서커스 | TV 프로그램 |
1962 | 체크메이트 | TV 프로그램 |
1962 | 알코아 프리미어 | TV 프로그램 |
1963 | 세인트 앤드 시너스 | TV 프로그램 |
1963 | 로하이드 | TV 프로그램 |
1963 | 77 선셋 스트립 | TV 프로그램 |
1963 | 일레븐스 아워 | TV 프로그램 |
1963–1964 | 버크의 법칙 | TV 프로그램 |
1964–1972 | 유쾌한 마녀 | TV 프로그램 |
1965 | 애니메이션 플린스톤 | TV 프로그램 |
1965–1975 | 패스워드 | TV 프로그램 |
1968 | 캐롤 버넷 쇼 | TV 프로그램 |
1979 | 패스워드 플러스 | TV 프로그램 |
1995 | 배트맨: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 TV 프로그램 |
5. 1. 영화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55 | 빌리 미첼의 군사법원 | 마가렛 랜스다운 | |
1963 | 후즈 빈 슬리핑 인 마이 베드? | 멜리사 모리스 | |
1963 | 해변 파티 | ||
1965 | 하우 투 스터프 어 와일드 비키니 | 부와나의 딸, 마녀 | 크레딧 미기재 |
1977 | 배신의 그림자 | 비키 이튼 | 텔레비전 영화 |
1979 | 샌프란시스코의 이혼녀 | ||
1980 | 벨 스타 | 벨 스타 |
5. 2. 텔레비전
프라임타임 에미상 여우주연상 노미네이트코미디 시리즈 부문 프라임타임 에미상 여우주연상 노미네이트 (1966–1970)
골든 글로브상 TV 코미디/뮤지컬 부문 여우주연상 노미네이트 (1965, 1967 & 1969)
게임 쇼 참가자 / 유명 게스트 스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