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엘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워드 엘가는 1857년 영국에서 태어난 작곡가로, 주로 관현악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법률가가 되려 했으나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독학하여 음악가로 활동하게 되었으며, 헨리 퍼셀, 헨델, 드보르자크 등의 영향을 받았다.
엘가는 민속 음악을 경멸했으며, 1899년 발표한 《수수께끼 변주곡》으로 유명해졌다. 이후 《제론티우스의 꿈》, 《위풍당당 행진곡》 등을 작곡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1904년 기사 작위를 받았고, 1911년 공로 훈장을 수훈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그의 음악은 쇠퇴했으나, 말년에 다시 부흥기를 맞이했다. 엘가는 1934년 사망했으며, 그의 생가와 동상, 그리고 그의 이름을 딴 여러 기념물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드워드 엘가 - 자넷 베이커
자넷 베이커는 폭넓은 레퍼토리와 뛰어난 음악성으로 오페라와 콘서트 무대에서 활약하며 헨델, 글루크, 말러 등의 작품 해석에 뛰어났던 영국의 메조소프라노 가수이다. - 에드워드 시대 사람 - 에드워드 7세
에드워드 7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나 웨일스 공으로 오랜 기간 지내다가 1901년 영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외교에 힘쓰고 9년 동안 영국을 통치하다 사망했다. - 에드워드 시대 사람 - 에드워드 8세
에드워드 8세는 1894년에 태어나 1936년 영국의 국왕이 되었으나 미국인 이혼녀와의 결혼을 위해 퇴위하고 윈저 공작으로 불렸으며, 나치 독일과의 관계와 관련된 논란을 겪었다. - 우스터셔주 출신 - 셰어 로이드
잉글랜드 가수 셰어 로이드는 《The X Factor UK》 시즌7에서 4위를 기록하며 데뷔, "Swagger Jagger"로 영국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한 후 "Want U Back"으로 미국 시장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 우스터셔주 출신 - 존 보냄
존 보냄은 1948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레드 제플린의 드러머로 활동하며 강력하고 독창적인 드럼 스타일로 록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에드워드 엘가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에드워드 엘가 |
출생명 | 에드워드 윌리엄 엘가 |
출생 | 1857년 6월 2일, , |
사망 | , , 우스터 |
국적 | 영국 |
장르 | 클래식 음악 |
직업 | 작곡가, 편곡가, 지휘자 |
칭호 | 남작 (1st Baronet) |
추가 정보 | |
영어 이름 | Sir Edward Elgar, 1st Baronet |
로마자 표기 | Edward Elgar |
2. 생애
영국 우스터의 교외 브로드히드에서 태어난 엘가는, 악보상을 경영하고 교회 오르가니스트이자 피아노 조율사였던 아버지 덕분에 유복한 음악적 환경에서 성장했다. 16세에 변호사 사무소에 취직했으나, 음악이 천직임을 깨닫고 독학으로 음악을 배워 고향에서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361]
1889년 결혼 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창작에 몰두했으나, 1891년 고향으로 돌아와 13년간 《검은 기사》(1893), 《올라프 왕》(1896) 등을 작곡했다. 1899년 《수수께끼 변주곡》이 런던에서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고, 1901년 독일에서도 호평을 받았다.[361]
1900년 오라토리오 《제론티우스의 꿈》은 엘가의 명성을 국제적으로 알렸으며,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이 작품을 극찬했다. 1902년 에드워드 7세 대관식 송가 작곡, 1903년 《사도행전》, 1906년 《신국》 등 오라토리오를 발표했다. 이후 2개의 교향곡, 바이올린 협주곡, 교향시 《팔스타프》 등 대규모 작품들을 발표했다.[361]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애국적인 작품을 썼고, 종전 후에는 바이올린 소나타, 현악 4중주곡, 피아노 5중주곡(1918), 첼로 협주곡(1919) 등을 발표했다.[361] 1933년 대장암 말기 진단을 받고 이듬해 1934년 2월 23일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63]
2. 1. 어린 시절 (1857-1872)
에드워드 엘가는 1857년 6월 2일 잉글랜드 우스터셔주 우스터 근처의 작은 마을인 로어 브로드히스(브로드히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윌리엄 헨리 엘가는 악보상을 경영하는 교회 오르가니스트이자 피아노 조율사(피아노 조율사)였다.[2] 엘가는 "음악의 흐름이 집이나 점포 안에 넘쳐, 나는 언제나 음악에 젖어 있었다"라고 회상할 정도로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다.[361]

엘가의 아버지는 전문적인 수준의 바이올리니스트였고, 1846년부터 1885년까지 세인트 조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오르가니스트였다.[6] 8살 무렵 엘가는 피아노와 바이올린 레슨을 받았고, 그의 아버지는 때때로 그를 데리고 다니며 지역 유지들에게 그의 기술을 보여줄 기회를 주었다.[2]
엘가의 어머니는 예술에 관심이 많았고 그의 음악적 발전을 장려했다.[3] 그는 어머니에게서 문학에 대한 뛰어난 취향과 시골에 대한 열정적인 사랑을 물려받았다.[7] 엘가는 어린 나이에 작곡을 시작했는데, 그가 열 살쯤 되었을 때 엘가 자녀들이 쓴 희곡을 위해 작곡한 음악은 40년 후 약간의 변화만으로 재편곡되어 "The Wand of Youth" 모음곡으로 불린다.[3]
15세가 될 때까지 엘가는 지역 학교에서 일반적인 교육을 받았다. 지역 교사로부터 피아노와 바이올린 레슨을 받은 것 외에, 1877-78년 런던을 짧게 방문하는 동안 아돌프 폴리처(Adolf Pollitzer)에게서 더욱 수준 높은 바이올린 수업을 받은 것이 그의 유일한 공식적인 음악 교육이었다. 엘가는 "내 첫 음악은 워스터 대성당에서 배웠다... 여덟, 아홉, 열 살 때 음악 도서관에서 빌린 책에서"라고 말했다.[11] 그는 오르간 연주 지침서를 꼼꼼히 공부했고 음악 이론에 관한 책이라면 무엇이든 읽었다.[6]
엘가는 더 많은 음악 공부를 위해 라이프치히 음악원에 가기를 희망하며 독일어를 배우기 시작했지만, 그의 아버지는 그를 보낼 여유가 없었다.[6] 1872년 학교를 떠난 후, 엘가는 라이프치히 대신 지역 변호사 사무실의 서기로 일하게 된 것에 실망했다. 그는 사무실 일에 적응하지 못하고 음악과 문학에 몰두하며 탐욕스러운 독서가가 되었다.[6]
몇 달 후, 엘가는 변호사를 그만두고 음악 경력을 시작하여 피아노와 바이올린 레슨을 하고 때때로 아버지의 가게에서 일했다.[2] 그는 아버지와 함께 워스터 글리 클럽(Glee club)의 회원이 되어 가수들에게 반주를 해주고,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작곡과 편곡을 했으며, 처음으로 지휘를 했다. 16세 때 아버지의 뜻에 따라 법률가가 되기 위하여 런던의 한 변호사 사무소에 취직했으나 음악이 자신의 천직임을 깨달았다.[361]
2. 2. 음악가의 길 (1872-1889)
엘가는 16세 때 아버지의 뜻에 따라 법률가가 되기 위하여 런던의 한 변호사 사무소에 취직했으나, 음악이 자신의 천직임을 깨닫고 거의 독학으로 음악을 배웠다. 고향에 돌아와 글리 클럽의 피아니스트 겸 지도자, 교회 오르가니스트,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리니스트 등으로 일하였다. 곧 오케스트라의 지휘도 하게 되었고 이 악단을 위한 편곡도 맡아보면서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점차 관현악법과 지휘법의 기술을 체득하였다.[361]2. 3. 결혼과 런던 생활 (1889-1891)
1889년, 엘가는 8살 연상의 캐롤라인 앨리스 로버츠와 결혼하여 런던으로 이주했다. 아내의 격려를 받으며 대규모 작품 창작에 몰두하였으나,[361] 그 성과가 세상에 알려지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361]2. 4. 고향으로의 귀환과 창작 활동 (1891-1899)
1889년 엘가는 결혼 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대규모 작품 창작에 몰두하였다. 그러나 작품이 세상에 알려지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1891년, 엘가는 런던의 소음을 피해 고향으로 돌아가 13년간 머무르며 칸타타 《검은 기사》(1893년), 《올라프 왕》(1896년) 등을 작곡하였다.[361] 1899년에는 엘가의 명성을 크게 높인 《수수께끼 변주곡》이 런던에서 초연되었다. 엘가는 각 변주에 친구, 아내 앨리스, 그리고 자기 자신의 음악적 초상을 담았다. 이 작품은 1901년 독일에서도 호평을 받으며 오늘날 엘가의 대표작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361]2. 5. 명성의 획득 (1899-1914)
1899년 런던에서 초연된 《수수께끼 변주곡》은 엘가의 명성을 단번에 높였다.[361] 이 곡은 자작 주제를 바탕으로 한 변주곡으로, 각 변주에는 친구들과 부인 앨리스, 그리고 자기 자신의 음악적 초상이 묘사되어 있다.[361] 1901년에는 독일에서도 호평을 받으며 엘가의 작품 중 가장 대중적인 곡이 되었다.[361]1900년 버밍검 음악제에서 초연된 오라토리오 《제론티우스의 꿈》은 엘가의 명성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361] 이 작품은 영국 합창음악의 수법을 계승하여 탁월한 합창 처리와 효과적인 관현악법으로 신비로운 아름다움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진정한 대가의 작품이라고 극찬했다.[361] 1902년에는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을 위한 송가 작곡 의뢰를 받았고, 1903년 《사도행전》, 1906년 《신국》 등 두 개의 오라토리오를 완성했다.[361] 그 후 2개의 교향곡, 바이올린 협주곡, 서곡과 알레그로, 교향시 《팔스타프》 등 대규모 작품들을 발표했다.[361]
엘가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다음과 같은 서훈을 받았다.
연도 | 서훈 |
---|---|
1904년 | 기사작위(Knight Bachelor) 서임[364] |
1911년 | 메리트 훈장(OM) 수훈[365] |
2. 6. 제1차 세계 대전과 이후 (1914-1934)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엘가는 애국심으로 몇 편의 작품을 만들었으나, 음악적으로 앞선 것만은 아니었다. 대전이 종결된 뒤 바이올린 소나타, 현악 4중주곡, 피아노 5중주곡(1918), 첼로 협주곡(1919)을 완성하였다. 이 작품들은 엘가의 창작력의 최후의 연소를 보인 것으로 평가된다.[361]1933년 10월 8일 대장암 말기 진단을 받았다. 엘가는 자신의 주치의에게 사후세계란 없으며, 완전한 망각만이 있다고 믿는다는 말을 남겼다.[362] 엘가는 이듬해인 1934년 2월 23일,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63]
3. 주요 작품
엘가는 윌리엄 버드(William Byrd)와 같은 초기 영국 작곡가들을 "박물관 소장품"이라 칭하며 경멸했고, 헨리 퍼셀(Henry Purcell)을 가장 위대한 작곡가로 여겼다.[123] 대륙 작곡가 중에서는 헨델, 드보르작, 그리고 어느 정도 브람스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색채음악에는 바그너의 영향이 나타난다. 엘가의 관현악 편곡 스타일은 베를리오즈, 쥘 마스네(Jules Massenet), 생상스, 레오 델리브(Léo Delibes) 등 19세기 프랑스 작곡가들의 영향을 받았다.[123][147]
엘가는 어린 시절부터 작곡을 시작하여 평생 초기 스케치에서 주제와 영감을 얻었다.[125] 초기 성인 시절 작품에는 바이올린과 피아노곡, 그와 그의 형제가 연주했던 목관 5중주를 위한 음악, 파위크 정신병원 밴드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음악이 포함된다. 사랑의 인사(Salut d'Amour)와 (수십 년 후 청춘의 마법봉(The Wand of Youth) 모음곡으로 편곡된) 어린 시절 스케치 일부를 제외하고는 정기적으로 연주되는 작품은 거의 없다.[3] 1889~1891년 런던 시절의 주목할 만한 유일한 작품은 프루아사르 서곡(Froissart)이다.[3] 이후 워스터셔에서 현악을 위한 세레나데(Serenade for Strings)와 바바리아 무곡 3곡(Three Bavarian Dances)을 작곡했다. 이 시기와 그 이후에 엘가는 노래와 합창곡을 작곡했다.[126]
엘가의 주요 초기 대규모 작품은 세 성가대(Three Choirs)와 다른 축제를 위해 작곡된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작품이었다. "검은 기사"(The Black Knight), "올라프 왕"(King Olaf), "생명의 빛"(The Light of Life), "세인트 조지의 깃발"(The Banner of St George), "카락타쿠스"(Caractacus)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는 또한 헤리퍼드 축제를 위해 "테 데움"(Te Deum)과 "베네딕투스"(Benedictus)를 작곡했다. 다이애나 맥비(Diana McVeagh)는 이 작품들에서 엘가의 풍부한 관현악 편곡과 주제동기의 혁신적인 사용을 호평했지만, 그가 선택한 텍스트의 질과 영감의 불균형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평가를 내렸다. 맥비는 1890년대의 이 작품들이 오랫동안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연주도 드물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수수께끼 변주곡(Enigma Variations)의 숙련된 기교가 평범함에서 천재성으로의 갑작스러운 변신처럼 보였지만, 사실 그의 관현악 기술은 그 10년 동안 꾸준히 발전해 왔다는 점을 강조했다.[3]
3. 1. 관현악곡
- 세빌리아냐 Op.7(1884)
- 프루아사르 서곡 Op.19(1890)
- 현악을 위한 세레나데 Op.20(1888~92)
- 수수께끼 변주곡 Op.36(1899)
- 코케인 서곡 Op.40(1900~1)
- 위풍당당 행진곡 Op.39(1901~30)
- 남국에서 Op.50(1903~4)
- 서주와 알레그로(현악 4중주와 현악합주) Op.47(1904~5)
- 젊은이의 지팡이 Op.1a&b(1867~71, 1907년 개정)
- 교향곡 1번 내림 가장조 Op.55(1907~8)
- 교향곡 2번 내림 마장조 Op.61(1909~11)
- 교향곡 3번 다단조 Op.89 (미완성, 앤서니 페인이 완성)
- 팔스타프 Op.68(1913)
- 소스피리 Op.70(1914)(현악합주, 하프, 오르간을 위한 곡)
- 폴로니아 Op.76(1915)
- 낙천적인 판 Op.81(1917, 발레)
- 세번강 모음곡 Op.87(1930(취주악판), 1932(관현악판))
- 사랑의 인사 OP.12
3. 2. 협주곡
Elgar|엘가영어의 협주곡은 다음과 같다.작품명 | 조성 | 작품 번호 | 작곡 연도 | 비고 |
---|---|---|---|---|
바이올린 협주곡 | 나단조 | Op. 61 | 1909~10 | |
바순과 관현악을 위한 로망스 | 라단조 | Op. 62 | 1910 | |
첼로 협주곡 | 마단조 | Op. 85 | 1918~9 | |
피아노 협주곡 | 다장조 | Op. 88 | 1932-3 | 미완성, 로버트 워커가 완성 |
케네디는 엘가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첼로 협주곡을 "그의 최고 작품일 뿐만 아니라 같은 형식의 작품 중에서도 최상급"이라고 평가했다.[131] 1909년 엘가가 인기의 절정에 달했을 때 작곡된 바이올린 협주곡은 전반적으로 서정적이며, 때때로 열정적이고 화려하다.[132] 반면, 10년 후 제1차 세계 대전 직후에 작곡된 첼로 협주곡은 케네디의 표현을 빌리면 "다른 시대, 다른 세계에 속하는 것" 같으며, "엘가의 주요 작품 중 가장 단순한 작품... 또한 가장 과장되지 않은 작품"이다.[133]
1933년, 엘가는 예후디 메뉴힌을 독주자로 하여 바이올린 협주곡을 지휘하기 위해 파리로 갔다.[201]
엘가는 1926년부터 자신의 작품을 직접 녹음하기 시작했다. 1914년부터 그라모폰 사(HMV)에서 초기 아쿠스틱 레코딩 방식으로 자신의 작품을 다수 녹음했지만, 1925년 전기식 마이크로폰이 등장하면서 축음기는 단순한 새로운 매체를 넘어 관현악과 합창 음악을 현실적으로 재현하는 수단으로 변모했다.[285] 엘가는 이러한 기술적 진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최초의 작곡가였다.[285] HMV에서 엘가의 녹음을 담당한 프레드 가이즈버그는 주요 관현악 작품에서 작곡가 자신의 해석을 남기기 위해 녹음 세션을 기획했는데, 여기에는 첼로 및 바이올린 협주곡 등이 포함되었다.[28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32년 10대 메뉴힌을 독주자로 한 바이올린 협주곡 녹음은 78회전 및 LP 레코드로 발매되었다.[285]
1913년에 작성된 엘가의 피아노 협주곡 스케치는 작곡가 로버트 워커에 의해 확장되어 1997년 8월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오언 노리스의 연주로 초연되었다. 이 작품은 이후 대폭 수정되었다.[145]
3. 3. 실내악
작품명 | 연도 | 비고 |
---|---|---|
로망스 Op.1 | 1878년 | 바이올린 & 피아노 |
사랑의 인사 Op.12 | 1888년 | 바이올린 & 피아노 |
밤의 노래와 낮의 노래 Op.15 | 1897년, 1899년 | |
바이올린 소나타 마단조 Op.82 | 1918년 | |
현악 4중주 마단조 Op.83 | 1918년 | |
피아노 5중주 가단조 Op.84 | 1918년~1919년 |
3. 4. 피아노곡
에드워드 엘가는 피아노곡으로 연주회 알레그로 다장조 Op.46(1901)과 소나티나(1889년 작곡, 1931년 개정)를 작곡했다.3. 5. 오르간곡
Elgar영어는 오르간 연주자로서의 배경을 가지고 있어 오르간을 위한 작품을 작곡했다.[123]; 오르간 소나타 사장조 Op.28
1895년에 작곡되었다.
3. 6. 가곡
에드워드 엘가는 1899년에 바다 풍경(Sea Pictures)을 작곡했는데, 이는 콘트랄토와 관현악을 위한 5개의 가곡집이다.[126] 1901년에는 2개의 노래(Two Songs) Op. 41을 작곡했다. 1907년에는 7개의 노래, 1910년에는 3개의 노래 Op. 59를 작곡했다.[123]3. 7. 합창
- 에드워드 엘가의 세 개의 모테트 Op.2 (1887)
- 흑기사 Op.25 (1889~92)
- 생명의 빛 Op.29 (1896)
- 올라프 왕의 사가의 장면 Op.30 (1896)
- 카락타쿠스 Op.35 (1897~8)
- 제론티우스의 꿈 Op.38 (1899~1900)
- 사도들 Op.49 (1902~3)
- 주의 왕국 Op.51 (1901~6)
4. 음악적 특징 및 평가
엘가의 작품은 오라토리오나 칸타타 등의 대작을 포함하여 그 수가 많지만, 특히 관현악곡이 걸출한 평가를 받는다. 엘가의 곡은 영국인답게 견실하고 중후한 구성을 보이며, 화려하지는 않으나 풍요한 선율미와 화성적인 변화가 특징이다. 슈만이나 브람스와 일맥상통하는, 동경에 찬 로맨틱한 서정성을 찬양하고 있다. 엘가는 국제적인 명성을 떨쳤으며 오랫동안 극히 부진하던 영국음악 부흥의 효시라는 점에서 공적이 매우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361]
엘가의 음악은 에드워드 시대의 분위기와 시대정신을 반영하고 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그의 음악이 더 이상 유행하지 않게 되었다. 20세기 후반에 엘가의 음악에 대한 관심이 다시 살아났으며, 그의 주요 작품들은 21세기에도 콘서트홀에서 자주 연주되고 있다.
엘가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들은 1899년부터 1920년까지 21년 동안 작곡되었으며, 대부분 오케스트라곡이다. 리드는 "엘가의 천재성은 오케스트라 작품에서 가장 빛을 발했다"라고 쓰고, 작곡가가 오라토리오에서조차 오케스트라 파트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인용했다.[127]
엘가를 존경했던 작곡가들로는 시벨리우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본 윌리엄스,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가 있다.[153] 특히 시벨리우스는 엘가를 "음악에서 진정한 영국적 성격의 화신 ... 고귀한 인격과 타고난 귀족"이라고 칭송했다.[153]
5. 영향
엘가는 헨델, 드보르작, 브람스, 그리고 어느 정도 바그너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엘가의 독특한 관현악 편곡 스타일은 19세기 프랑스 작곡가인 베를리오즈, 마스네, 생상스, 그리고 특히 레오 델리브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123][147]
엘가의 음악은 후대 영국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엘가가 사망한 이후 에이드리언 볼트, 말콤 사전트, 존 바비롤리와 같은 차세대 음악가들이 엘가의 음악을 재발견하고 옹호했다.[290][291]
6. 한국과의 관계
엘가의 작품은 한국에서도 자주 연주되며, 특히 위풍당당 행진곡은 졸업식과 같은 행사에서 널리 사용된다.[359] 이 곡은 한국인들에게 매우 친숙하며, 엘가의 음악은 한국 음악 애호가들에게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7. 기념 및 추모
엘가가 태어난 로어 브로드히스의 집은 현재 엘가 출생지 박물관으로 운영되어 그의 삶과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엘가의 딸 캐리스는 1936년 박물관 설립에 기여했고, 1970년 사망할 때 엘가의 편지와 문서를 많이 기증했다. 캐리스는 엘가의 악보를 음악 대학에 남겼다.[170] 작곡가와 그의 작품을 연구하는 엘가 협회는 1951년에 설립되었다.[171]
우스터 고가 끝에 있는 엘가의 동상은 대성당을 향해 서 있으며, 그의 아버지의 가게가 있던 곳에서 불과 수 미터 떨어져 있다. 로즈 개러드가 제작한 또 다른 엘가 동상은 말번의 처치 스트리트 꼭대기에 있으며, 마을을 내려다보고 있어 방문객들이 그가 자주 바라보던 언덕의 그림자 속에서 작곡가 옆에 설 수 있다. 2005년 9월, 해리퍼드 대성당 근처에 제마 피어슨이 조각한 세 번째 동상이 공개되었는데, 이 동상은 자전거를 탄 엘가를 묘사하여 그의 음악 및 도시와의 연관성을 기념하고 있다.
1999년부터 2007년 초까지 잉글랜드 은행 20파운드 지폐에는 엘가의 초상화가 실려 있었다. 2007년 엘가 탄생 150주년이었기에 그의 이미지 제거 변경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2007년부터 엘가 지폐는 단계적으로 폐지되어 2010년 6월 30일에 법정 통화가 아니게 되었다.[172]
참조
[1]
웹사이트
Elgar
https://www.collinsd[...]
2021-03-19
[2]
백과사전
Elgar, Sir Edward William, baronet (1857–1934)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Elgar, Edward
http://www.oxfordmus[...]
2010-04-20
[4]
서적
Moore (1984)
[5]
서적
Moore (1984)
[6]
간행물
Edward Elgar
The Musical Times
1900-10-01
[7]
서적
Moore (1984) and Kennedy (ODNB)
[8]
서적
Reed
[9]
기타
In conversation in 1896
[10]
웹사이트
Elgar – His Music: The Dream of Gerontius – A Musical Analysis
http://www.elgar.org[...]
2010-06-06
[11]
서적
Kennedy (ODNB)
[12]
서적
Reed
[13]
간행물
Edward Elgar and Elgar, the man
The Musical Times and The Observer
1934-02-25
[14]
서적
Moore (1984)
[15]
간행물
Edward Elgar
The Guardian
1934-02-24
[16]
서적
Young (1973)
[17]
웹사이트
Elgar, Sir Edward William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4-20
[18]
서적
Moore (1984)
[19]
서적
Moore (1984)
[20]
서적
Young (1995)
[21]
서적
Moore (1984)
[22]
서적
Reed
[23]
간행물
Edward Elgar
The Musical Times
1900-10-01
[24]
서적
Kennedy (1987a)
[25]
간행물
Some of Elgar's Friends
The Musical Times
1934-04
[26]
서적
Moore (1984)
[27]
서적
Moore (1984)
[28]
서적
Moore (1984)
[29]
서적
Kennedy (1987a)
[30]
서적
Reed
[31]
웹사이트
Elgar's Musical Style
https://www.jstor.or[...]
The Musical Times
2010-10-23
[32]
서적
Reed
[33]
서적
Reed
[34]
서적
Reed
[35]
간행물
obituary of Elgar
The Musical Times
1934-04
[36]
뉴스
Talking classical
https://www.independ[...]
2011-10-05
[37]
서적
(1987a)
[38]
서적
(1987a)
[39]
서적
[40]
뉴스
New Answer to a Riddle Wrapped in Elgar's 'Enigma' Variations
https://www.nytimes.[...]
1991-11-07
[41]
간행물
Elgar's 'Enigma' Variations
1934-04
[42]
서적
[43]
서적
[44]
간행물
The German Press on Dr. Elgar's 'Dream of Gerontius
1902-02-01
[45]
서적
[46]
간행물
First Performances in Foreign Countries
1934-04
[47]
간행물
Elgar, Newman and 'The Dream of Gerontius'
1996-11
[48]
간행물
A Cathedral in Sound
2008-09
[49]
서적
(1970)
[50]
웹사이트
Last Night of the Proms set to reach largest ever global audience
https://www.bbc.co.u[...]
2009-09-07
[51]
음반
Liner note (orig. 1977) to EMI CD CDM 5-66323-2
[52]
서적
[53]
서적
(1984)
[54]
웹사이트
Why Americans graduate to Elgar
http://www.elgar.org[...]
[55]
웹사이트
Pomp and Circumstance: Familiar Standard Marches Ahead of Competitors
https://www.npr.org/[...]
[56]
뉴스
Concerts
1904-03-15
[57]
뉴스
The Elgar Festival
1904-03-16
[58]
뉴스
The Elgar Festival
1904-03-17
[59]
뉴스
Birthday Honours
1904-06-24
[60]
웹사이트
Elgar Court, once known as Plas Gwyn
https://www.geograph[...]
[61]
서적
(1984)
[62]
서적
[63]
서적
[64]
간행물
Sir Arthur Sullivan
1901-03
[65]
서적
(1971)
[66]
서적
[67]
서적
(1987a)
[68]
서적
[69]
서적
(1987)
[70]
서적
The Progressive Music Series, Books One, Two, Three & Four
Silver, Burdett & Co.
1914
[71]
서적
[72]
서적
[73]
간행물
Elgar's Symphony
1909-02-01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웹사이트
Supplement
http://www.london-ga[...]
1911-06-19
[78]
서적
[79]
간행물
Elgar's 'Falstaff' Reconsidered
1929-08-01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음반
HMV discs 02734-7
[86]
간행물
Review
1986-06-01
[87]
간행물
Sir E. Elgar's Violin Sonata
1919-03-22
[88]
간행물
Elgar's New Chamber Music
1919-05-22
[89]
웹사이트
How I fell in love with E E's darling
https://www.telegrap[...]
2007-05-17
[90]
간행물
Music of the Week
1919-11-02
[91]
서적
[92]
간행물
Elgar's Cello Concerto
1921-01-16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웹사이트
Plas Gwyn, Hereford
http://www.classicfm[...]
[98]
웹사이트
http://www.rsc.org/c[...]
[99]
서적
The Symphony: A Listener's Guide
https://archive.org/[...]
[100]
웹사이트
http://faculty.cua.e[...]
[101]
웹사이트
Elgar's Wolverhampton Wanderers striker anthem sung
https://www.bbc.co.u[...]
2010-09-25
[102]
웹사이트
Sir Edward Elgar wrote football chant along with his classical music
https://www.telegrap[...]
2010-09-26
[103]
음반
Malcolm Sargent
[104]
웹사이트
Yehudi Menuhin
https://www.bbc.co.u[...]
[105]
서적
[106]
뉴스
Beyond the Malverns: Elgar in the Amazo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03-25
[107]
서적
[108]
서적
[109]
간행물
The London Gazette
http://www.london-ga[...]
1924-05-13
[110]
논문
The recordings of Edward Elgar (1857–1934): Authenticity and Performance Practice
Early Music
1984-11
[111]
간행물
Elgar Edition
Gramophone
1992-06, 1993-02, 1993-08
[112]
Youtube
https://www.youtube.[...]
[113]
웹사이트
Green plaques scheme
http://transact.west[...]
City of Westminster
[114]
서적
[115]
서적
1979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Liner notes to NMC compact disc D053
1998
[119]
웹사이트
The Spanish Lady
http://www.elgar.org[...]
The Elgar Society
[120]
서적
1984
[121]
서적
1973
[122]
서적
1968
[123]
서적
1970
[124]
서적
1970
[125]
뉴스
Antony Payne on Elgar's Symphony No 3
http://news.bbc.co.u[...]
BBC News
1998-02-13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970
[129]
서적
1970
[130]
서적
1970
[131]
서적
1970
[132]
서적
1970
[133]
서적
1970
[134]
논문
Elgar, Master of Music
Music and Letters
1935-01
[135]
서적
1970
[136]
서적
[137]
서적
[138]
웹사이트
Notes to Naxos recording of The Music Makers
http://www.naxos.com[...]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간행물
Review
2000-03
[143]
음반
Liner notes to Naxos compact disc 8.554719
[144]
뉴스
BBCSO/Davis
https://www.theguard[...]
2006-08-04
[145]
간행물
Session report – New from Elgar
2005-03
[146]
뉴스
Music – The Elgar Symphony
1908-12-13
[147]
서적
[148]
간행물
Holst
1990-12
[149]
서적
[150]
서적
[151]
간행물
The Elgar Protest
1931-04, 1931-05, 1931-06, 1932-03, 1932-04, 1932-05
[152]
뉴스
Pre-war Symphonies
1930-02-01
[153]
간행물
Tribute and Commentary
1934-04
[154]
간행물
Elgar Today
1957-06
[155]
간행물
Elgar Today
1957-06
[156]
서적
[157]
간행물
A Study of Elgar
1917-04
[158]
간행물
Elgar
1934-04
[159]
서적
[160]
간행물
Elgar Today
1957-06
[161]
간행물
Elgar, Symphony No. 2 in E-flat major, Op. 63
1957-07
[162]
간행물
Three English Masters
1984-03
[163]
서적
[164]
간행물
Vision of the Hereafter
2003-02
[165]
웹사이트
An Elgar Musical Diary
http://www.elgar.org[...]
[166]
간행물
1931-06-26
[167]
웹사이트
Elgar, Sir Edward
http://www.ukwhoswho[...]
A & C Black, Oxford University Press
1933-06-02
[168]
서적
Who's Who, 1934
A and C Black
[169]
서적
[170]
간행물
1970-12
[171]
웹사이트
Half Century
https://elgarsociety[...]
2001
[172]
뉴스
£20 Elgar note withdrawal 'a national disgrace'
https://www.telegrap[...]
2010-06-29
[173]
웹사이트
Elgar and the Bridge
https://www.bbc.co.u[...]
[174]
서적
[175]
서적
[176]
논문
(제목 없음)
[177]
논문
(제목 없음)
[178]
뉴스
The Times Diary
The Times
1984-02-21
[179]
뉴스
Making notes of horror in the air
The Times
1993-10-20
[180]
뉴스
Radio: Where the dead have been
The Guardian
1994-03-13
[181]
뉴스
OTV: Radio
The Observer
2003-06-22
[182]
웹사이트
Vertigo Magazine – Penda's Fen
http://www.vertigoma[...]
2010-11-18
[183]
논문
Fictional Elgar
https://www.jstor.or[...]
The Musical Times
1979-10
[184]
논문
Rustling Reeds and Lofty Pines: Elgar and the Music of Nature
19th-Century Music
2002-09
[185]
웹사이트
Elgar, Sir Edward William, baronet (1857?1934)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4-22
[186]
웹사이트
Elgar, Edward
http://www.oxfordmus[...]
2010-04-20
[187]
논문
(제목 없음)
[188]
논문
(제목 없음)
[189]
뉴스
Edward Elgar
The Musical Times
1900-10-01
[190]
논문
(제목 없음)
[191]
논문
(제목 없음)
[192]
논문
(제목 없음)
[193]
웹사이트
Elgar ? His Music: The Dream of Gerontius ? A Musical Analysis
http://www.elgar.org[...]
The Elgar Society
2010-06-06
[194]
웹사이트
English Heritage
http://www.heritageg[...]
2014-05-04
[195]
논문
(제목 없음)
[196]
논문
(제목 없음)
[197]
뉴스
Edward Elgar, Elgar, the man
The Musical Times, The Observer
1900-10-01, 1934-02-25
[198]
논문
(제목 없음)
[199]
뉴스
Edward Elgar
The Manchester Guardian
1934-02-24
[200]
논문
(제목 없음)
[201]
웹사이트
Elgar, Sir Edward William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4-20
[202]
논문
(제목 없음)
[203]
뉴스
Edward Elgar
The Musical Times
1900-10-01
[204]
논문
(제목 없음)
[205]
뉴스
Some of Elgar's Friends
The Musical Times
1934-04
[206]
논문
(제목 없음)
[207]
논문
(제목 없음)
[208]
논문
(제목 없음)
[209]
논문
(제목 없음)
[210]
웹사이트
Elgar's Musical Style
http://www.jstor.org[...]
The Musical Times
2010-10-23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214]
간행물
obituary of Elgar
The Musical Times
1934-04
[215]
웹사이트
Edward Elgar: A maestro you can bank on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2007-03-16
[216]
서적
1987
[217]
서적
1987
[218]
서적
1987
[219]
웹사이트
New Answer to a Riddle Wrapped in Elgar's 'Enigma' Variations, The Answer to Elgar's 'Enigma', Elgar's Enigma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The Musical Quarterly, Proceedings of the Royal Musical Association
1991-11-07, 1985, 1959-1960
[220]
간행물
Elgar's 'Enigma' Variations
The Musical Times
1934-04
[221]
서적
[222]
서적
[223]
간행물
The German Press on Dr. Elgar's 'Dream of Gerontius'
The Musical Times
1902-02-01
[224]
서적
[225]
간행물
First Performances in Foreign Countries
The Musical Times
1934-04
[226]
간행물
Elgar, Newman and 'The Dream of Gerontius'
Music & Letters
1996-11
[227]
간행물
A Cathedral in Sound
Gramophone
2008-09
[228]
서적
1970
[229]
웹사이트
Last Night of the Proms set to reach largest ever global audience
http://www.bbc.co.uk[...]
BBC website
2009-09-07
[230]
음반
Liner note
EMI
1977
[231]
서적
[232]
서적
1984
[233]
웹사이트
Why Americans graduate to Elgar
http://www.elgar.org[...]
The Elgar Society
2010-06-05
[234]
웹사이트
Pomp and Circumstance': Familiar Standard Marches Ahead of Competitors
http://www.npr.org/t[...]
NPR Music
2010-10-25
[235]
간행물
Concerts
The Times
1904-03-15
[236]
기타
[237]
간행물
The Elgar Festival
The Times
1904-03-16
[238]
간행물
The Elgar Festival
The Times
1904-03-17
[239]
간행물
Birthday Honours
The Times
1904-06-24
[240]
웹사이트
Elgar Court, once known as Plas Gwyn
http://www.geograph.[...]
Geograph
2010-10-29
[241]
서적
1984
[242]
서적
[243]
서적
[244]
간행물
Sir Arthur Sullivan
Cornhill Magazine
1901-03
[245]
서적
1971
[246]
서적
[247]
서적
[248]
서적
[249]
서적
[250]
서적
[251]
간행물
Elgar's Symphony
1909-02-01
[252]
서적
[253]
서적
[254]
서적
[255]
웹사이트
Supplement
http://www.london-ga[...]
The London Gazette
1911-06-19
[256]
서적
[257]
간행물
Elgar's 'Falstaff' Reconsidered
1929-08-01
[258]
서적
[259]
서적
[260]
서적
[261]
서적
[262]
서적
[263]
음반
HMV discs 02734-7
[264]
간행물
Review
1986-06-01
[265]
간행물
Sir E. Elgar's Violin Sonata
1919-03-22
[266]
간행물
Elgar's New Chamber Music
1919-05-22
[267]
웹사이트
How I fell in love with E E's darling
http://www.telegraph[...]
The Daily Telegraph
2007-05-17
[268]
간행물
Music of the Week
1919-11-02
[269]
서적
[270]
간행물
Elgar's Cello Concerto
1921-01-16
[271]
서적
[272]
서적
[273]
서적
[274]
기타
[275]
서적
[276]
웹사이트
Plas Gwyn, Hereford
http://www.classicfm[...]
2010-10-25
[277]
웹사이트
Sir Edward Elgar wrote football chant along with his classical music
http://www.telegraph[...]
The Daily Telegraph
2010-09-26
[278]
음반
Malcolm Sargent
BBC
[279]
웹사이트
Yehudi Menuhin
http://www.bbc.co.uk[...]
BBC Four
2010-05-01
[280]
서적
[281]
웹사이트
Beyond the Malverns: Elgar in the Amazon
http://www.guardian.[...]
guardian.co.uk
2010-03-25
[282]
서적
Reed
[283]
서적
Reed
[284]
간행물
London Gazette
1924-05-13
[285]
논문
The recordings of Edward Elgar (1857–1934): Authenticity and Performance Practice
1984-11
[286]
간행물
Elgar Edition
1992-06, 1993-02, 1993-08
[287]
Youtube
https://www.youtube.[...]
2017-07-11
[288]
웹사이트
Green plaques, City of Westminster
http://www.westminst[...]
2014-03-15
[289]
서적
Reed
[290]
서적
Moore
1979
[291]
서적
Aldous
[292]
서적
Reed
[293]
서적
Liner notes to NMC compact disc D053
1998
[294]
웹사이트
The Spanish Lady
http://www.elgar.org[...]
The Elgar Society
2010-06-02
[295]
서적
Moore
1984
[296]
서적
Kennedy
1970
[297]
서적
Kennedy
1970
[298]
웹사이트
Antony Payne on Elgar's Symphony No 3
http://news.bbc.co.u[...]
BBC News
1998-02-13
[299]
서적
Reed
[300]
서적
Reed
[301]
서적
Kennedy
1970
[302]
서적
Kennedy
1970
[303]
서적
Kennedy
1970
[304]
서적
Kennedy
1970
[305]
서적
Kennedy
1970
[306]
서적
Kennedy
1970
[307]
서적
Kennedy
1970
[308]
논문
Elgar, Master of Music
1935-01
[309]
서적
Kennedy
1970
[310]
서적
Reed
[311]
서적
Reed
[312]
웹사이트
Notes to Naxos recording of ''The Music Makers'' (CD 8.557710)
http://www.naxos.com[...]
2014-06-21
[313]
서적
Reed
[314]
서적
Reed
[315]
서적
McVeagh
2007
[316]
간행물
Review
2000-03
[317]
웹사이트
BBCSO/Davis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6-08-04
[318]
간행물
Session report – New from Elgar
2005-03
[319]
뉴스
Music – The Elgar Symphony
The Observer
1908-12-13
[320]
서적
[321]
간행물
Holst
1990-12
[322]
서적
[323]
서적
[324]
간행물
The Elgar Protest; Mr. Maine and Elgar
1931-04, 1931-05, 1931-06, 1932-03, 1932-04, 1932-05
[325]
뉴스
Pre-war Symphonies
The Times
1930-02-01
[326]
간행물
Tribute and Commentary
1934-04
[327]
간행물
Elgar Today
1957-06
[328]
간행물
Elgar Today
1957-06
[329]
서적
[330]
간행물
A Study of Elgar
1917-04
[331]
간행물
Elgar
1934-04
[332]
서적
[333]
간행물
Elgar Today
1957-06
[334]
간행물
Elgar, Symphony No. 2 in E flat major, Op. 63
1957-07
[335]
간행물
Three English Masters
1984-03
[336]
서적
[337]
간행물
Vision of the Hereafter
2003-02
[338]
웹사이트
An Elgar Musical Diary
http://www.elgar.org[...]
The Elgar Society
[339]
간행물
London Gazette
1931-06-26
[340]
웹사이트
Elgar, Sir Edward, Who Was Who
http://www.ukwhoswho[...]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
[341]
간행물
1970-12
[342]
웹사이트
Library Services, University of Birmingham
http://www.library.b[...]
[343]
웹사이트
£20 Elgar note withdrawal 'a national disgrace'
http://www.telegraph[...]
The Daily Telegraph
2010-06-29
[344]
웹사이트
Elgar and the Bridge
http://www.bbc.co.uk[...]
BBC Hereford and Worcester
[345]
서적
[346]
서적
[347]
서적
[348]
서적
[349]
서적
[350]
뉴스
The Times Diary
The Times
1984-02-21
[351]
뉴스
Making notes of horror in the air
The Times
1993-10-20
[352]
뉴스
Radio:Where the dead have been
The Guardian
1994-03-13
[353]
뉴스
OTV: Radio
The Observer
2003-06-22
[354]
웹사이트
Vertigo Magazine – Penda's Fen
http://www.vertigoma[...]
2010-11-18
[354]
웹사이트
Penda's Fen (BBC Birmingham, 1973)
http://www.elidor.fr[...]
2010-11-18
[355]
웹사이트
Fictional Elgar, p. 830
http://www.jstor.org[...]
The Musical Times
1979-10-01
[356]
간행물
Rustling Reeds and Lofty Pines: Elgar and the Music of Nature
19th-Century Music
2002-09-01
[357]
기타
[358]
기타
[359]
기타
[360]
기타
[361]
웹사이트
엘가
https://ko.wikisourc[...]
[362]
서적
1984
[363]
서적
1973
[364]
저널
The London Gazette
https://www.thegazet[...]
1904-07-12
[365]
저널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11 Coronation Honours
https://www.thegazet[...]
1911-06-11
[366]
저널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28 New Year Honours
https://www.thegazet[...]
1927-12-30
[367]
저널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31 Birthday Honours
https://www.thegazet[...]
1931-06-02
[368]
저널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33 Birthday Honours
https://www.thegazet[...]
1933-06-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첼로 인생 50년 맞은 양성원 “클래식이라는 인류 문명 유산 전달하는 것이 제 소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