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국은 중국의 역사서인 『수서』, 『북사』, 『구당서』, 『신당서』 등에 기록된 국가로, 파미르 고원 남쪽에 위치했다. 초기 기록에서는 여성을 왕으로 삼았으며, 수나라와 당나라에 조공했다. 586년 수나라에 사신을 파견했으나 관계가 단절되었고, 당나라 무덕 연간에 조공을 하기도 했다. 742년에는 현종이 조예부를 귀창왕으로 봉하고 좌금오위대장군으로 임명했으며, 이후 남자가 왕으로 삼게 되었다. 793년에는 당나라에 귀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 - ♀
여성을 상징하는 ♀는 그리스 신화 아프로디테를 상징하는 기호에서 유래했으며 천문학, 점성술, 연금술에서 각각 금성, 구리, 콘센트 암컷 등을 나타내는 기호로도 사용되고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다. - 단성세계 - 아마조네스
아마조네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 전사 부족으로, 트로이아 전쟁 시기 흑해 연안에 여인 왕국을 건설한 것으로 전해지며, 다양한 어원 설과 함께 예술 작품 및 현대 매체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단성세계 - 에이리언 3
에이리언 3는 엘렌 리플리가 살인범 수감 행성 피오리나 161에 불시착하여 에이리언과 싸우며 웨이랜드-유타니사의 음모에 맞서 희생하는 이야기를 그린 1992년 미국 SF 공포 영화이자 에이리언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이다. - 전설 - 춘향전
《춘향전》은 조선 시대 사회의 부조리를 풍자하며 이몽룡과 성춘향의 사랑 이야기를 그린 대표적인 고전 소설로, 다양한 형태로 재창작되어 현재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으며 신분 상승 염원과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해석이 있다. - 전설 - 서동요
서동요는 백제 무왕의 아명인 서동이 신라 선화공주를 얻기 위해 노래를 지어 퍼뜨린 설화로, 미륵사 창건, 익산 천도 등과 연결되어 다양한 해석과 논란을 낳고 있다.
여국 | |
---|---|
기본 정보 | |
위치 | 동아시아 |
존속 기간 | 기원전 3세기 ~ 기원후 3세기 |
주요 위치 | 한반도 남부 |
관련 민족 | 삼한 |
역사 | |
기원 | 진나라의 고공이 동해로 망명하여 세운 나라 |
멸망 | 삼한 시대에 흡수됨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장 국가 |
통치자 | 여왕 |
문화 | |
특징 | 여성 중심 사회, 무격 정치 |
2. 역사 기록
여국에 대한 기록은 주로 수서, 북사, 구당서, 신당서 등 중국 역사서에 나타난다.
2. 1. 『수서』와 『북사』
총령 남쪽에 위치한 여국은 대대로 여성을 왕으로 삼았다. 여왕의 성은 소비(蘇毗), 자는 말갈(末羯)이며, 재위 기간은 20년이었다. 여왕의 남편은 금취(金聚)라 불렸고, 정치에는 관여하지 않았다. 여국 사람들은 산 위에 성을 쌓고, 주변 5~6리에 집을 밀집시켜 거주했다. 왕은 9층 누각에 살았고, 시녀는 수백 명이었으며, 5일에 한 번 조정을 열었다. 소여왕(小女王)도 있어 함께 국정을 돌보았다. 여국에서는 부인이 남성을 업신여기는 풍습이 있었다. 남녀 모두 얼굴에 채색을 하고 하루에도 여러 번 바꾸었으며, 수렵을 생업으로 삼았다.여국에서는 광석, 주사(朱砂), 사향, 소, 말 등을 생산했고, 암염을 인도와 교역하여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 여왕이 죽으면, 사망자의 일족 중 현명한 여자 두 명을 뽑아 한 명은 여왕으로, 다른 한 명은 소왕으로 삼았다. 귀인이 죽으면 가죽을 벗겨 금가루와 골육을 병에 담아 묻고, 1년 후에는 그 가죽을 철기에 넣어 다시 묻었다. 아수라신과 수신(樹神)을 숭배했으며, 연초에는 원숭이를 사용한 제사를 지냈다. 제사가 끝나면 암꿩과 같은 새의 배를 갈라 풍년을 점쳤다. 수나라 개황 6년(586년)에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했지만, 이후에는 관계가 끊어졌다.
2. 2. 『구당서』와 『신당서』
동녀국은 소벌랄나구타라라고도 불렸으며, 서강(西羌)의 별종이었다. 동쪽으로 무주·당항과 접하고, 동남쪽으로는 아주의 나녀만(羅女蠻)·백랑이(白狼夷)와 경계를 이루었다. 동서로 9일, 남북으로 20일 거리의 영토에 80여 개의 성이 있었다. 약수가 흐르고, 소가죽 배를 이용해 강을 건넜다. 여왕은 '빈취(賓就)', 여관은 '고패(高霸)'라 불렸다.수나라 대업 연간(605년~618년)에 촉왕 양수가 초빙하였으나 거절하였다. 당나라 무덕 연간(618년~626년)에 여왕 탕방씨(湯滂氏)가 당나라에 조공하였다. 돌궐 힐리 가한 평정 후, 당나라에 입조하였다. 686년, 692년, 696년에 당나라(무주)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741년 동녀국왕 조예부(趙曳夫)가 아들을 파견하여 당나라에 조공하였다. 742년 현종이 조예부를 귀창왕(歸昌王)으로 봉하고, 좌금오위대장군(左金吾衛大將軍)으로 임명하였다. 이후 남자를 왕으로 삼게 되었다. 793년 동녀국왕 탕립실(湯立悉) 등이 당나라에 귀순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